KR200497794Y1 - 캐디 백 - Google Patents

캐디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94Y1
KR200497794Y1 KR2020190000501U KR20190000501U KR200497794Y1 KR 200497794 Y1 KR200497794 Y1 KR 200497794Y1 KR 2020190000501 U KR2020190000501 U KR 2020190000501U KR 20190000501 U KR20190000501 U KR 20190000501U KR 200497794 Y1 KR200497794 Y1 KR 200497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opening
caddy
partition member
caddy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153U (ko
Inventor
와타루 다카노
신지 야마가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에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에무에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2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실용신안의 목적은, 간이한 구성에 의해 소형의 캐디 백 (서브 백) 을 수용 가능한 캐디 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캐디 백은, 일단이 저부에 의해 폐색되고, 타단이 개방된 백 본체와, 상기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타단의 개방된 영역을 복수의 개구부로 분할하여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구비하는 입구 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캐디 백보다 소형의 서브 백을 백 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제 1 개구부와, 서브 백에 형성된 제 1 손잡이의 선단을 백 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제 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 부재는,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개구부를 구획하는 제 1 구획 부재를 포함하고, 제 1 구획 부재는, 제 1 손잡이를 지지하는 노치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캐디 백{CADDIE BAG}
본 실용신안은 캐디 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디 백보다 소형인 소형 캐디 백을 수용 가능한 캐디 백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 클럽을 수용하는 메인 캐디 백과는 별도로, 몇 개의 골프 클럽을 수용하는 소형의 캐디 백 (서브 백이라고도 한다) 을 사용하는 플레이어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는 캐디 백을 골프 카트에 싣고, 당해 캐디 백으로부터 빼낸 몇 개의 골프 클럽을 서브 백에 수용하여, 당해 서브 백을 가지고 코스를 돈다. 플레이어는 서브 백을 사용함으로써, 복수 개의 골프 클럽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또 플레이 지점에 골프 클럽을 두고 잊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디 백 및 서브 백을 사용할 때의 가반성 (可搬性) 및 스페이스 효율을 고려한 캐디 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캐디 백은, 당해 캐디 백의 내부에 서브 백을 수용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캐디 백에서는, 서브 백이 캐디 백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서브 백의 손잡이 (핸들) 가, 캐디 백의 손잡이 (핸들) 에 끼워 맞춰지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서브 백 및 캐디 백 각각의 손잡이의 구조가 복잡화된다. 또, 손잡이 구조의 복잡화에 수반하여, 캐디 백의 외형이 커진다.
본 실용신안의 목적은, 간이한 구성에 의해 소형의 캐디 백 (서브 백) 을 수용 가능한 캐디 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용신안의 일 양태에 관련된 캐디 백은, 골프 클럽을 수용하는 캐디 백으로서, 일단이 저부 (底部) 에 의해 폐색되고, 타단이 개방된 백 본체와, 상기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타단의 개방된 영역을 복수의 개구부로 분할하여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구비하는 입구 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캐디 백보다 소형인 소형 캐디 백을 상기 백 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제 1 개구부와, 상기 소형 캐디 백에 형성된 제 1 손잡이의 선단을 상기 백 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제 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개구부를 구획하는 제 1 구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획 부재는, 상기 제 1 손잡이를 지지하는 노치부를 구비한다.
본 실용신안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에 의해 소형의 캐디 백 (서브 백) 을 수용 가능한 캐디 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요는, 첨부한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는 개념을 정리한 것을 간략화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이다. 본 개요는, 청구항에 기재된 주제의 중요한 특징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며, 또한, 청구항에 기재된 주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청구항에 기재된 대상은, 본 개시에 있어서 기재되는 일부 혹은 모든 결점을 해결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 수용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 수용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백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백이 자립 (自立) 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구 테두리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 는 도 4a 의 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c 는 도 4a 의 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구 테두리와 당해 입구 테두리에 삽입된 서브 백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백을 캐디 백에 삽입할 때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b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백을 캐디 백에 삽입할 때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백을 캐디 백에 삽입할 때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b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백을 캐디 백에 삽입할 때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백을 캐디 백에 삽입할 때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b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백을 캐디 백에 삽입할 때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에 수용된 서브 백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이 골프 카트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는 참고 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b 는 참고 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a 는 참고 형태에 관련된 입구 테두리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b 는 도 12a 의 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c 는 도 12a 의 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 은 참고 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14a 는 참고 형태에 관련된 서브 백을 캐디 백에 삽입할 때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b 는 참고 형태에 관련된 서브 백을 캐디 백에 삽입할 때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a 는 참고 형태에 관련된 서브 백을 캐디 백에 삽입할 때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b 는 참고 형태에 관련된 서브 백을 캐디 백에 삽입할 때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용신안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실용신안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실용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성격을 갖지 않는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클럽 수용 시스템 (1)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 캐디 백 (100) 의 제 2 손잡이 (21) 가 돌출되는 방향 (정면 방향) 을 X 방향으로 하고, 캐디 백 (100) 의 측면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캐디 백 (100) 의 연직 방향을 Z 방향으로 한다.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골프 클럽 수용 시스템 (1) 은, 메인 캐디 백 (100) 과, 캐디 백 (100) 보다 소형인 서브 캐디 백 (200) (이하, 서브 백이라고 한다.) 을 포함하고 있다. 캐디 백 (100) 은, 서브 백 (200) 을 수용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백 (200) 은, 캐디 백 (100) 의 일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캐디 백 (100) 내에 삽입되거나 캐디 백 (100) 내에서 빼내어진다. 캐디 백 (100) 은, 예를 들어 14 개의 골프 클럽을 수용 가능한 수용 스페이스를 갖고, 서브 백 (200) 은, 캐디 백 (100) 보다 적은 개수 (예를 들어 4 ∼ 5 개) 의 골프 클럽을 수용 가능한 수용 스페이스를 갖는다.
여기서, 서브 백 (200) 의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 는, 서브 백 (200)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b 는, 서브 백 (200) 을 자립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서브 백 (200) 은, 서브 백 본체 (210) 와, 제 1 손잡이 (220) 와, 레그부 (230) 와, 로크 장치 (240) 와, 지지부 (250) 를 구비하고 있다.
서브 백 본체 (210) 는, 하단의 저부 (210a) 가 폐색되고, 상단이 개방 (개구) 된 통형 (筒型) 형상을 가지고 있다. 서브 백 본체 (210) 의 내부에는, 몇 개의 골프 클럽을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백 (200) 은, 상단에 구획 부재 (260) 를 가져도 된다. 구획 부재 (260) 에 의해, 서브 백 본체 (210) 의 상단에는, 복수의 개구부 (200a, 200b) 가 형성된다.
제 1 손잡이 (220) 는,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서브 백 (200) 을 캐디 백 (100) 내에 삽입하거나 캐디 백 (100) 내에서 빼낼 때, 및, 플레이어가 플레이 중에 서브 백 (200) 을 운반할 때에 손으로 잡는 부분 (핸들) 이다. 제 1 손잡이 (220) 는, 뿌리 부근에 만곡부를 갖고, 일단이 서브 백 (200) 의 상단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백 (200) 이 직립 상태일 때에, 제 1 손잡이 (220) 의 타단은, 하방 (지면 방향) 을 향하고 있다.
레그부 (230) 는, 2 개가 형성되어 있고, 서브 백 (200) 을 자립시키기 위한 스탠드로서 기능 한다. 각 레그부 (230) 의 상단은, 서브 백 (200) 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부 (250)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플레이어는, 서브 백 (200) 을 운반하거나 수용하는 경우에는, 각 레그부 (230) 의 하단을, 서브 백 (200) 의 하단에 형성된 로크 장치 (240) 에 로크시킨다 (도 3a 참조). 한편, 플레이어는, 서브 백 (200) 을 자립시키는 경우에는, 로크 장치 (240) 의 로크 상태를 해제한다. 이로써, 각 레그부 (230) 가, 지지부 (250) 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3b 참조).
예를 들어, 플레이어는, 골프의 플레이 중에, 서브 백 (200) 을 소지하고 플레이 지점으로 이동하여, 당해 플레이 지점 부근에 있어서, 서브 백 (200) 의 로크 장치 (240) 를 지면에 대고 누른다. 그러면,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장치 (240) 가 밀어 올려짐으로써 로크 상태가 해제되고, 각 레그부 (230) 가, 지지부 (250) 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서브 백 (200) 은, 서브 백 본체 (210) 의 저부 (210a) 와, 2 개의 레그부 (230) 에 의해 자립 가능해진다. 또, 플레이어가 골프의 플레이 중에 서브 백 (200) 을 운반할 때에는, 플레이어는, 서브 백 (200) 을 잡고 들어 올려 각 레그부 (230) 를 서브 백 본체 (210) 로 끌어 당긴다. 이로써,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레그부 (230) 가 로크 장치 (240) 에 로크된다.
도 1 로 돌아와, 캐디 백 (100) 은, 백 본체 (20) 와, 백 본체 (20) 의 상단에 형성되는 입구 테두리 (10) 를 구비하고 있다.
백 본체 (20) 는, 하단의 저부가 폐색되고, 상단이 개방된 통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백 본체 (20) 의 내부에는, 골프 클럽 및 서브 백 (200) 을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백 본체 (20) 는, 플레이어 및 골프장의 스탭 등이 캐디 백 (100) 을 운반할 때에 손으로 잡는 제 2 손잡이 (21) (핸들) 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 테두리 (10) 는, 백 본체 (20) 의 상단의 개방된 영역을 복수의 개구부로 분할하여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개방된 영역은, 구획 부재에 의해 복수의 개구부로 분할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입구 테두리 (10) 는, 제 1 구획 부재 (12), 제 2 구획 부재 (14) 및 제 3 구획 부재 (13) 를 구비하고, 입구 테두리 (10) 에는, 제 1 구획 부재 (12), 제 2 구획 부재 (14) 및 제 3 구획 부재 (13) 에 의해 분할된 5 개의 개구부 (10a ∼ 10e) 가 형성된다. 상기 구획 부재 및 상기 개구부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부 (10a) (제 1 개구부) 는, 플레이어가 서브 백 (200) 을 백 본체 (20) 내에 삽입하거나 백 본체 (20) 내에서 빼내기 위한 영역이다. 개구부 (10b) (제 2 개구부) 는, 서브 백 (200) 이 백 본체 (20)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가 삽입되는 영역이다. 즉, 캐디 백 (100) 은, 서브 백 (200) 의 서브 백 본체 (210) 와,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가, 서로 상이한 개구부 (개구부 (10a) 및 개구부 (10b)) 를 통하여 백 본체 (20) 내에 삽입됨으로써, 서브 백 (200) 을 수용한다.
개구부 (10c ∼ 10e) 는, 골프 클럽을 백 본체 (20) 내에 삽입하기 위한 영역이다. 플레이어는, 예를 들어 14 개의 골프 클럽 중, 10 개의 골프 클럽을 개구부 (10c ∼ 10e) 를 사용하여 캐디 백 (100) 에 수용하고, 4 개의 골프 클럽을 캐디 백 (100) 내의 서브 백 (200) 에 수용한다. 또한, 플레이어는, 플레이 중, 캐디 백 (100) 내의 골프 클럽과, 서브 백 (200) 내의 골프 클럽을 적절히 교체한다.
다음으로, 캐디 백 (100) 의 입구 테두리 (10) 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 는 입구 테두리 (10) 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 는, 도 4a 의 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4c 는, 도 4a 의 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입구 테두리 (10) 는, 외측 테두리 (11) 와, 외측 테두리 (11) 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구획 부재 (12), 제 2 구획 부재 (14) 및 제 3 구획 부재 (13) 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테두리 (11) 는, 캐디 백 (100) 의 백 본체 (20) 에 있어서의 상단의 개방 영역을 규정한다. 제 1 구획 부재 (12), 제 2 구획 부재 (14) 및 제 3 구획 부재 (13) 는, 외측 테두리 (11) 의 내측에 형성되는 영역 (개방 영역) 을 복수의 영역 (개구부) 으로 분할한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 부재 (12) 는, 외측 테두리 (11) 에 있어서의 X 방향의 하측에 있어서 Y 방향의 좌우단 사이에 배치되며, 전체적으로 X 방향의 상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또,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 부재 (12) 는, Y 방향의 중앙 부근에 있어서, Z 방향의 하방으로 도려낸 노치부 (12a) 를 갖는다. 노치부 (12a) 는, 하면 (12b) 으로부터의 높이가 「H1」이고, 폭이 「W1」이다. 또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 부재 (12) 는, 외측 테두리 (11) 의 상면 (제 2 손잡이 (21) 측의 상면) 으로부터 제 1 구획 부재 (12) 의 상단까지의 높이가 「H2」이다. 외측 테두리 (11) 와 제 1 구획 부재 (12) 에 의해, 개구부 (10a) 가 형성된다. 서브 백 (200) 의 서브 백 본체 (210) 는, 개구부 (10a) 를 통해서 백 본체 (20) 내에 삽입된다. 또,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의 일부 (뿌리 부분) 는, 제 1 구획 부재 (12) 의 노치부 (12a) 의 내측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노치부 (12a) 는, 제 1 손잡이 (220) 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노치부 (12a) 의 폭 「W1」은, 적어도 제 1 손잡이 (220) 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노치부 (12a) 의 높이 「H1」는, 제 1 손잡이 (220) 의 높이보다 낮아도 된다. 즉, 노치부 (12a) 는, 제 1 손잡이 (220) 가 옆으로 어긋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또 노치부 (12a) 의 형상은,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이 아니어도 되며, 예를 들어, 만곡 형상, U 자 형상 , V 자 형상이어도 된다.
또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구획 부재 (13) 는, 외측 테두리 (11) 에 있어서의 X 방향의 상측에 있어서 Y 방향의 좌우단 사이에 배치된다. 또, 2 개의 제 2 구획 부재 (14) 는, 외측 테두리 (11) 의 내측에 형성되는 영역의 중앙 부근에 있어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 1 구획 부재 (12) 및 제 3 구획 부재 (13) 사이에 배치된다. 2 개의 제 2 구획 부재 (14) 와 제 1 구획 부재 (12) 와 제 3 구획 부재 (13) 에 의해, 개구부 (10b) 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구획 부재 (12) 는 개구부 (10a) 를 구획하고, 제 2 구획 부재 (14) 는 개구부 (10b) 를 구획한다. 제 1 구획 부재 (12) 는, 개구부 (10a) 와 개구부 (10b) 사이에 배치된다.
일방 (도 4a 에서는 좌측) 의 제 2 구획 부재 (14) 와 제 1 구획 부재 (12) 와 제 3 구획 부재 (13) 와 외측 테두리 (11) 에 의해, 개구부 (10c) (제 4 개구부) 가 형성된다. 타방 (도 4a 에서는 우측) 의 제 2 구획 부재 (14) 와 제 1 구획 부재 (12) 와 제 3 구획 부재 (13) 와 외측 테두리 (11) 에 의해, 개구부 (10d) (제 5 개구부) 가 형성된다. 제 3 구획 부재 (13) 와 외측 테두리 (11) 에 의해, 개구부 (10e) (제 3 개구부) 가 형성된다. 골프 클럽은, 개구부 (10c, 10d, 10e) 를 통하여 백 본체 (20) 내에 삽입된다.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구획 부재 (13) 는, 외측 테두리 (11) 의 상면 (제 2 손잡이 (21) 측의 상면) 으로부터 제 3 구획 부재 (13) 의 상단까지의 높이가, 상기 높이 「H2」 보다 높이 「H3」만큼 낮아져 있다. 즉, 캐디 백 (100) 을 플로어면에 자립시킨 경우에, 플로어면으로부터 제 1 구획 부재 (12) 의 상단까지의 길이 (높이) 는, 플로어면으로부터 제 3 구획 부재 (13) 의 상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면으로부터 제 1 구획 부재 (12) 의 상단까지의 높이가, 플로어면으로부터 그 밖의 구획 부재 중 어느 것의 상단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는, 개구부 (10b) 를 통하여 백 본체 (20) 내에 삽입된다. 또, 제 1 손잡이 (220) 의 뿌리 부분 (서브 백 (200) 의 상단 부근) 은, 제 1 구획 부재 (12) 의 노치부 (12a) 에 수용된다.
도 5 는, 입구 테두리 (10) 와, 입구 테두리 (10) 에 삽입된 서브 백 (200) 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백 (200) 은, 서브 백 본체 (210) 가 개구부 (10a) 로부터 캐디 백 (100) 내에 삽입되고, 제 1 손잡이 (220) 의 뿌리 부분이, 노치부 (12a) 에 수용됨과 함께, 노치부 (12a) 의 하면 (12b) 에 맞닿아 고정된다. 서브 백 (200) 의 상단은, 노치부 (12a) 의 상단보다 Z 방향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구획 부재 (14) 는, 제 1 구획 부재 (12) 의 노치부 (12a) 의 하면 (12b) 보다 높이 「H4」만큼 Z 방향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노치부 (12a) 의 하단은, 제 2 구획 부재 (14) 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제 1 손잡이 (220) 와 제 2 구획 부재 (14) 의 상면 (14a) 사이에는, 높이 「H4」에 상당하는 간극 (S1) (스페이스) 이 형성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플레이어는, 손가락을 간극 (S1) 에 삽입하여 제 1 손잡이 (220) 를 잡고, 상방 (도 5 중의 화살표 방향) 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서브 백 (200) 을 캐디 백 (100) 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도 2 참조).
다음으로, 도 6 ∼ 도 8 을 사용하여, 플레이어가 서브 백 (200) 을 캐디 백 (100) 에 삽입할 때의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6a, 도 7a 및 도 8a 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6b, 도 7b 및 도 8b 는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어는, 캐디 백 (100) 에 대해 서브 백 (200) 이 비스듬한 방향을 향하도록, 일방의 손으로 제 1 손잡이 (220) 를 파지하면서, 서브 백 (200) 을 잡고 들어 올린다. 이 때, 플레이어는, 타방의 손으로 서브 백 본체 (210) 를 지지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어는, 서브 백 (200) 을, 개구부 (10a) (도 4a 참조) 로부터 캐디 백 (100) 내에 삽입한다. 여기서, 제 1 구획 부재 (12) 는, 외측 테두리 (11) 의 상면으로부터 제 1 구획 부재 (12) 의 상단까지 충분한 높이 (도 4c 의 「H2」) 를 갖기 때문에, 개구부 (10a) 의 폭 및 면적 (특히, 도 4c 에 나타내는 비스듬한 방향의 폭 「W2」) 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는,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서브 백 (200) 을 용이하게 캐디 백 (100)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a 및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어는,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가 노치부 (12a) 의 하면 (12b) 에 접촉할 때까지, 서브 백 (200) 을 캐디 백 (100) 내에 삽입한다. 이로써, 서브 백 (200) 이 캐디 백 (100) 내에 수용된다. 여기서, 제 2 구획 부재 (14) 의 상면 (14a) 과 노치부 (12a) 의 하면 (12b) 은, 높이 「H4」만큼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가, 서브 백 (200) 을, 제 1 손잡이 (220) 가 노치부 (12a) 의 하면 (12b) 에 접촉할 때까지 캐디 백 (100) 내에 삽입한 경우에도, 제 1 손잡이 (220) 와 제 2 구획 부재 (14) 의 상면 (14a) 사이에 간극 (S1) (도 5 참조) 이 형성된다. 따라서, 플레이어의 손가락이 제 1 손잡이 (220) 와 제 2 구획 부재 (14) 사이에 끼이는 일이 없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플레이어는, 서브 백 (200) 을 캐디 백 (100) 으로부터 빼내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동작의 역순의 동작을 실시한다. 또한, 플레이어는, 손가락을 간극 (S1) 에 삽입하여 제 1 손잡이 (220) 를 잡고, 상방 (도 5 중의 화살표 방향) 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서브 백 (200) 을 캐디 백 (100) 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도 9 는, 캐디 백 (100) 에 수용된 서브 백 (200) 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에서는, 서브 백 (200) 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백 (200) 은, 캐디 백 (100) 내에 있어서, 제 1 손잡이 (220) 가 노치부 (12a) (도 5 참조) 에 걸림으로써, 매달리도록 하여 고정된다. 또, 서브 백 (200) 은, 캐디 백 (100) 내에 있어서, 최하단 (로크 장치 (240)) 이 캐디 백 (100) 내의 수용 저면 (20a) 보다 Z 방향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캐디 백 (100) 내에 있어서, 수용 저면 (20a) 으로부터, 노치부 (12a) 의 하면 (12b) (도 4b 참조) 까지의 길이를 「H10」(도 6b 참조) 으로 하고, 서브 백 (200) 에 있어서, 로크 장치 (240) 의 하단으로부터, 제 1 손잡이 (220) 에 있어서의 노치부 (12a) 에 맞닿는 부분까지의 길이를 「H20」(도 3a 참조) 으로 했을 때, 수용 저면 (20a) 과 로크 장치 (240) 의 하단과의 사이에는, 높이 (H10-H20) 에 상당하는 간극 (S2) (스페이스) 이 형성된다.
캐디 백 (100) 내에 상기 간극 (S2) 이 형성됨으로써, 서브 백 (200) 이 캐디 백 (100) 내에 수용된 상태일 때, 로크 장치 (240) 가 수용 저면 (20a) 에 접촉하여 레그부 (230) 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레이어가 골프 코스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 (100) 을 사용할 때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도 10 은, 캐디 백 (100) 이 골프 카트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캐디 백 (100) 은, 플레이어가 골프 클럽을 넣고 꺼내기 쉽도록, 입구 테두리 (10) 가 후방 비스듬한 상방을 향하도록 골프 카트에 실린다. 또, 골프장의 스탭 등이 캐디 백을 골프 카트에 싣거나 내리기 쉽게, 캐디 백 (100) 은, 제 2 손잡이 (21) 가 상방을 향하도록 골프 카트에 실린다.
도 10 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서브 백 (200) 은, 캐디 백 (100) 내의 하측 (지면측) (화살표 d1 측) 에 수용되고, 골프 클럽은, 캐디 백 (100) 내의 서브 백 (200) 보다 상측 (화살표 d2 측) 에 수용된다. 즉, 서브 백 (200) 은, 골프 클럽보다 플레이어에 가까운 위치에 수용된다. 또, 제 1 구획 부재 (12) 는, 외측 테두리 (11) 로부터의 높이가 높기 (도 4c 의 「H2」) 때문에, 서브 백 (200) 을 캐디 백 (100) 에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삽입할 때에, 안내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는, 서브 백 (200) 을 캐디 백 (100) 으로부터 빼내거나 삽입할 때에, 캐디 백 (100) 내의 골프 클럽에 방해받지 않는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서브 백 (200) 의 넣고 빼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캐디 백 (100) 에 수용된 골프 클럽과 서브 백 (200) 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골프 클럽 및 서브 백 (200)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서브 백 (200) 은, 캐디 백 (100) 내에 있어서,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가 상방을 향하고, 서브 백 (200) 의 서브 백 본체 (210) 가 하방을 향하여 수용된다. 즉, 중량이 무거운 서브 백 본체 (210) 가 하방을 향하고, 서브 백 본체 (210) 를 매다는 제 1 손잡이 (220) 가 상방을 향하여 수용된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가 서브 백 (200) 을 캐디 백 (100) 으로부터 빼내는 경우에 있어서, 제 1 손잡이 (220) 를 잡고 서브 백 (200) 을 들어 올릴 때 및 빼낼 때에, 플레이어의 손에 가해지는 부담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또, 플레이어가 서브 백 (200) 을 캐디 백 (100) 에 수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1 손잡이 (220) 를 잡고 서브 백 (200) 을 들어 올릴 때, 플레이어의 손에 가해지는 부담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는, 서브 백 (200) 을, 제 1 손잡이 (220) 에 의해 매달리도록 하여 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백 (200) 을 넣고 빼는 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 (100) 은, 도 10 에 나타내는 사용예에 적절한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입구 테두리 (10) 에 있어서, 서브 백 (200) 의 서브 백 본체 (210) 를 삽입하는 개구부 (10a) 가, 제 2 손잡이 (21)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를 삽입하는 개구부 (10b) 가, 개구부 (10a) 보다 제 2 손잡이 (21)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캐디 백 (100) 을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개구부 (10a) 가, 제 2 손잡이 (21) 가 배치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되고, 개구부 (10b) 가, 개구부 (10a) 보다 제 2 손잡이 (21)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 (100) 은, 도 10 에 나타내는 사용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실용신안에 관련된 캐디 백 (100) 은, 입구 테두리 (10) 에 있어서, 서브 백 (200) 의 서브 백 본체 (210) 를 삽입하는 개구부 (10a) 가, 제 2 손잡이 (21) 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를 삽입하는 개구부 (10b) 가, 제 2 손잡이 (21)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 (100) 은, 서브 백 (200) 의 서브 백 본체 (210) 를 캐디 백 (100) 내에 유도하기 위한 개구부 (10a) 와,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를 수용하기 위한 노치부 (12a) 와, 제 1 손잡이 (220) 를 캐디 백 (100) 내에 유도하기 위한 개구부 (10b) 를 갖는다. 이로써, 서브 백 (200) 은, 캐디 백 (100) 에 수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또, 제 1 손잡이 (220) 를 삽입시키는 영역 (개구부 (10b)) 과, 골프 클럽을 삽입시키는 영역 (개구부 (10c, 10d, 10e)) 을 확실하게 구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서브 백 (200) 이, 캐디 백 (100) 내에서 이동하거나, 골프 클럽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 1 손잡이 (220) 에 골프 클럽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손잡이 (220) 를 잡기 위한 스페이스 (간극 (S1)) 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서브 백 (200) 을 캐디 백 (100) 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 (100) 에 의하면, 캐디 백 (100) 의 입구 테두리 (10) 를 상기 서술한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 (100) 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에 의해 서브 백 (200) 을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추가로 상기 각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참고 형태]
이하, 참고 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 (500)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a 는, 캐디 백 (500)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b 는, 캐디 백 (500)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디 백 (500) 은, 백 본체 (60) 와, 백 본체 (60) 의 상단에 형성되는 입구 테두리 (50) 를 구비하고 있다. 백 본체 (60) 는, 캐디 백 (500) 을 운반할 때에 손으로 잡는 손잡이 (61) 와, 백 본체 (60) 를 덮는 백 커버 (62) 와, 서브 백 (200) 을 수용하는 수용 커버 (63) 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 커버 (63) 는, 캐디 백 (500) 의 측면에 형성되고, 신축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커버 (63) 는 패스너 (64) 를 구비하고 있어, 패스너 (64) 의 이가 서로 맞물려 있을 때에는, 수용 커버 (63) 는 닫혀진 상태 (오그라든 상태) 가 되고, 패스너 (64) 의 이가 서로 맞물려 있지 않을 때에는, 수용 커버 (63) 는 열린 상태 (펴진 상태) 가 된다. 또한, 신축 가능한 구성은 패스너로 한정되지 않고, 탄성 소재 (고무 등) 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12a 는 입구 테두리 (50) 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b 는, 도 12a 의 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12c 는, 도 12a 의 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입구 테두리 (50) 는, 외측 테두리 (51) 와, 외측 테두리 (51) 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획 부재 (52 ∼ 56) 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테두리 (51) 는, 캐디 백 (500) 의 백 본체 (60) 에 있어서의 상단의 개방 영역을 규정한다. 구획 부재 (52 ∼ 56) 는, 외측 테두리 (51) 의 내측에 형성되는 영역을 복수의 영역 (개구부) 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을 구획한다.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 부재 (52) 는, 외측 테두리 (51) 에 있어서의 X 방향의 하측에 있어서 Y 방향의 좌우단 사이에 배치된다. 구획 부재 (53) 는, 외측 테두리 (51) 에 있어서의 X 방향의 중앙측에 있어서 Y 방향의 좌우단 사이에 배치된다. 구획 부재 (54) 는, 외측 테두리 (51) 에 있어서의 X 방향의 상측에 있어서 Y 방향의 좌우단 사이에 배치된다. 2 개의 구획 부재 (55) 는, 외측 테두리 (51) 에 있어서의 X 방향의 하측에 있어서, 외측 테두리 (51) 와 구획 부재 (52) 사이에 배치된다. 구획 부재 (56) 는, 외측 테두리 (51) 에 있어서의 X 방향의 중앙측 및 Y 방향의 중앙측에 있어서, 구획 부재 (52) 와 구획 부재 (53) 와 구획 부재 (54) 사이에 배치된다. 외측 테두리 (51) 의 주위에는, 프레임 (57) 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테두리 (51) 와 각 구획 부재 (52 ∼ 56) 에 의해, 개구부 (50a ∼ 50h) 가 형성된다. 골프 클럽은, 개구부 (50b ∼ 50h) 를 통하여 백 본체 (60) 내에 삽입된다.
또, 도 12a 및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테두리 (51) 의 X 방향의 하단 (도 12a 참조) 에는, 외측 테두리 (51) 의 상면에서부터 상방 (도 12b 의 Z 방향) 으로 기립하는 수용부 (58)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 (58) 는, 볼록부 (58a, 58b) 와, 볼록부 (58a, 58b)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 (58c) 를 포함한다. 오목부 (58c) 의 형상은,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형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사각 형상, U 자 형상, V 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디 백 (500) 에 있어서, 플로어면으로부터 오목부 (58c) 의 하단까지의 높이는 H50 이다.
서브 백 (200) 은, 서브 백 본체 (210) 가 캐디 백 (500) 의 수용 커버 (63) 에 수용되고, 제 1 손잡이 (220) 의 뿌리 부분이 수용부 (58) 의 오목부 (58c) 에 수용되고, 제 1 손잡이 (220) 의 몸체부가 개구부 (50a) 를 통하여 캐디 백 (500) 의 백 본체 (60) 내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는 서브 백 (200) 을 캐디 백 (500) 에 수용하는 경우에는, 도 14a 및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디 백 (500) 의 수용 커버 (63) 을 연 상태로 하고, 서브 백 (200) 을 수용 커버 (63) 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 때, 플레이어는,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가, 입구 테두리 (50) 의 개구부쪽을 향하도록 하여, 서브 백 (200) 을 수용 커버 (63) 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플레이어는, 도 14a 및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가 입구 테두리 (50) 의 오목부 (58c) (도 12b 참조) 에 접촉할 때까지, 서브 백 (200) 을 수용 커버 (63) 의 내부로 삽입한다. 제 1 손잡이 (220) 가 오목부 (58c) 에 맞닿은 상태가 되면, 서브 백 (200) 은, 제 1 손잡이 (220) 에 의해 매달리도록 하여 고정된다. 이 때, 서브 백 (200) 은, 최하단 (로크 장치 (240)) 이 플로어면보다 Z 방향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디 백 (500) 에 있어서, 플로어면으로부터 오목부 (58c) 의 하단까지의 높이를 「H50」(도 13 참조) 으로 했을 때, 플로어면과 로크 장치 (240) 의 하단 사이에는, 높이 (H50-H20) 에 상당하는 간극 (S3) (스페이스) 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 (S3) 이 형성됨으로써, 서브 백 (200) 이 캐디 백 (100) 에 수용된 상태일 때, 로크 장치 (240) 가 플로어면에 접촉하여 레그부 (230) 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 (58) 에 있어서, 서브 백 (200) 이 캐디 백 (100) 에 수용된 상태일 때에 상기 간극 (S3) 이 형성되도록, 외측 테두리 (51) 로부터 오목부 (58c) 까지의 높이 및 오목부 (58c) 의 형상이 설정된다.
수용 커버 (63) 는, 캐디 백 (500) 의 Z 방향의 중앙 부근에 형성된다. 또 수용 커버 (63) 의 길이 (도 11b 의 「H60」) 는, 서브 백 (200) 의 전체 길이의 절반보다 길다. 이와 같이,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를 오목부 (58c) 에 의해 유지하면서, 서브 백 (200) 의 서브 백 본체 (210) 를 수용 커버 (63) 로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서브 백 (200) 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서브 백 (200) 은, 캐디 백 (500) 의 손잡이 (61) 가 배치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수용된다. 즉, 개구부 (50a) 및 수용부 (58) 는, 캐디 백 (500) 의 손잡이 (61) 가 배치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 및 스탭은, 캐디 백 (500) 의 손잡이 (61) 를 잡기 쉬워지기 때문에, 캐디 백 (500) 의 운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참고 형태에 관련된 캐디 백 (500) 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해도 된다.
(1) 캐디 백 (500) 은, 일단이 저부에 의해 폐색되고, 타단이 개방된 백 본체 (60) 와, 상기 타단에 형성되는 입구 테두리 (50) 와, 상기 백 본체 (60) 의 측면에 형성되는 수용 커버 (63) 를 구비한다. 입구 테두리 (50) 는, 상기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타단의 개방된 영역의 주위를 둘러싸는 외측 테두리 (51) 와, 상기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타단의 개방된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 부재 (52 ∼ 56) 와, 구획 부재 (52 ∼ 56) 에 의해 분할된 개구부 (50a ∼ 50h) 와, 외측 테두리 (51) 의 상면에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수용부 (58) 를 구비한다. 수용 커버 (63) 는, 캐디 백 (500) 보다 소형의 서브 백 (200) 을 수용한다. 상기 개구부는, 서브 백 (200) 을 운반하기 위한 제 1 손잡이 (220) 를 백 본체 (60) 내에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 (50a) 를 포함한다. 수용부 (58) 는, 제 1 손잡이 (220) 를 수용하는 오목부 (58c) 를 구비한다.
(2) 캐디 백 (500) 은, 상기 (1) 에 기재된 캐디 백 (500) 에 있어서, 추가로, 서브 백 (200) 이 캐디 백 (500) 에 수용된 경우에, 플로어면과 서브 백 (200) 의 하단 사이에 간극 (S3) 이 형성된다.
(3) 캐디 백 (500) 은, 상기 (1) 에 기재된 캐디 백 (500) 에 있어서, 서브 백 (200) 이 캐디 백 (500) 에 수용된 경우에, 플로어면으로부터 오목부 (58c) 까지의 길이 「H50」가, 플로어면으로부터, 서브 백 (200) 의 제 1 손잡이 (220) 에 있어서의 오목부 (58c) 에 맞닿는 부분까지의 길이 「H20」보다 길다.
(4) 캐디 백 (500) 은, 상기 (1) 에 기재된 캐디 백 (500) 에 있어서, 추가로, 캐디 백 (500) 을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 (61) 를 구비한다. 캐디 백 (500) 을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개구부 (50a) 및 수용부 (58) 는, 손잡이 (61) 가 배치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선행하는 상세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되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는, 예시에 불과하며, 또한 비한정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모든 변경 또는 균등물이,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골프 클럽을 수용하는 캐디 백으로서,
    일단이 저부에 의해 폐색되고, 타단이 개방된 백 본체와,
    상기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타단의 개방된 영역을 복수의 개구부로 분할하여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구비하는 입구 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캐디 백보다 소형인 소형 캐디 백을 상기 백 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제 1 개구부와, 상기 소형 캐디 백에 형성된 제 1 손잡이의 선단을 상기 백 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제 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개구부를 구획하는 제 1 구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획 부재는, 상기 제 1 손잡이를 지지하는 노치부를 구비하는, 캐디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제 2 개구부를 구획하는 제 2 구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부의 하단은, 상기 제 2 구획 부재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캐디 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캐디 백이 상기 백 본체 내에 수용된 경우에, 상기 백 본체 내의 저면과, 상기 소형 캐디 백의 하단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캐디 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제 1 구획 부재의 상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저부로부터, 그 밖의 상기 구획 부재 중 어느 것의 상단까지의 길이보다 긴, 캐디 백.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추가로, 상기 골프 클럽을 상기 백 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제 3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개구부는, 상기 입구 테두리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개구부는, 상기 입구 테두리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구부는,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3 개구부 사이에 형성되는, 캐디 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추가로,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와 상기 제 3 개구부가 정렬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의 양 옆에, 상기 골프 클럽을 상기 백 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제 4 개구부 및 제 5 개구부를 포함하는, 캐디 백.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디 백은, 추가로, 제 2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캐디 백을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 1 개구부는, 상기 제 2 손잡이가 배치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되는, 캐디 백.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캐디 백이 상기 백 본체 내에 수용된 경우에, 상기 제 1 구획 부재의 상단의 플로어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소형 캐디 백의 상단의 플로어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은, 캐디 백.
KR2020190000501U 2018-02-13 2019-01-31 캐디 백 KR20049779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23347 2018-02-13
JP2018023347A JP6434664B1 (ja) 2018-02-13 2018-02-13 キャディバッ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53U KR20190002153U (ko) 2019-08-21
KR200497794Y1 true KR200497794Y1 (ko) 2024-02-29

Family

ID=6456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501U KR200497794Y1 (ko) 2018-02-13 2019-01-31 캐디 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34664B1 (ko)
KR (1) KR200497794Y1 (ko)
CN (1) CN210131338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6279A1 (en) * 2002-08-08 2004-02-12 Edward Miller Golf club carrier
JP2016096939A (ja) * 2014-11-19 2016-05-30 株式会社Tsiグルーヴアンドスポーツ キャディ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073U (ko) * 1988-06-06 1989-12-20
JP2954007B2 (ja) * 1995-10-13 1999-09-27 美津濃株式会社 キャディバッグ
JP3068958U (ja) * 1999-11-15 2000-05-26 中部総業株式会社 ゴルフバッグ
US6499593B1 (en) * 2000-10-24 2002-12-31 Hakker Golf Bag, Inc. Golf bag
JP2008006131A (ja) * 2006-06-30 2008-01-17 Mizuno Corp ゴルフクラブバッグ
JP3154078U (ja) * 2009-06-01 2009-10-08 紀史 森 セルフプレー用ゴルフキャディーバック
JP2015019774A (ja) * 2013-07-18 2015-02-02 井ノ口 泰啓 ゴルフバッグ用のクラブケー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6279A1 (en) * 2002-08-08 2004-02-12 Edward Miller Golf club carrier
JP2016096939A (ja) * 2014-11-19 2016-05-30 株式会社Tsiグルーヴアンドスポーツ キャディ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131338U (zh) 2020-03-10
JP2019136350A (ja) 2019-08-22
JP6434664B1 (ja) 2018-12-05
KR20190002153U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686B2 (en) Golf bag assembly having a main bag and a removable accessory bag
US6752278B2 (en) Sports equipment storage rack
US5168992A (en) Golf case with club retainers
US4344660A (en) Baseball equipment cabinet
KR20060043513A (ko) 다용도 골프 클럽 가방
KR200497794Y1 (ko) 캐디 백
US7419037B2 (en) Equipment carrier with a rotatable handle
US20040114836A1 (en) Gaming machine coin carrying device and method
US20130049312A1 (en) Bowling Ball Bag
JPH04131263U (ja) ゴルフ鞄
KR200497377Y1 (ko) 라켓 수납에 따른 효율성이 향상된 라켓가방
WO2007109831A1 (en) Improvements in golf bags
JP2884325B2 (ja) クラブ回動保持装置付きゴルフバッグ
KR200465612Y1 (ko) 퍼팅용 매트를 구비한 가방
CN207202348U (zh) 一种易拉省力的行李箱
US20120286490A1 (en) Travel golf bag
KR200329914Y1 (ko) 골프백 이송가방
CN209031545U (zh) 一种多功能的收纳柜
CN219290160U (zh) 一种针灸针盒
KR200497909Y1 (ko) 골프용 파우치 손가방
CN219729148U (zh) 一种同心击鼓活动器材的集成收纳箱
JP6777353B1 (ja) ゴルフクラブケース
JP3232363U (ja) ゴルフバッグ
JPS62243576A (ja) 硬貨ホルダ−付きパチンコ機
ES2338329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de palos de go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