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41Y1 -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41Y1
KR200497741Y1 KR2020210003196U KR20210003196U KR200497741Y1 KR 200497741 Y1 KR200497741 Y1 KR 200497741Y1 KR 2020210003196 U KR2020210003196 U KR 2020210003196U KR 20210003196 U KR20210003196 U KR 20210003196U KR 200497741 Y1 KR200497741 Y1 KR 200497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upling
box
snap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850U (ko
Inventor
천-슈안 리
Original Assignee
천-슈안 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슈안 리 filed Critical 천-슈안 리
Priority to KR2020210003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41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8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18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of snap-o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3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서로 덮으며 결합 조립되는 박스체 및 상부 덮개가 포함된다. 상기 박스체에는 적어도 2개의 제1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에는 걸림 돌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걸림 돌출부 주변에는 커팅 파선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 덮개에는 적어도 2개의 제1 케이싱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케이싱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씌우도록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걸림 돌출부와 상기 제1 케이싱부를 스냅핏 고정한다. 걸림 돌출부 및 커팅 파선 설계를 통해, 상기 상부 덮개가 상기 박스체에서 개방될 경우, 상기 걸림 돌출부가 상기 커팅 파선에 의해 끊어져 반복 스냅핏할 수 없게 되어, 상기 상부 덮개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무단으로 개방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보호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STRUCTURE TO PREVENT OPENING OF LATCHING OF BOX BODY AND UPPER COVER}
본 고안은 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라스틱 찬합은 박스 덮개와 박스체를 포함한다. 주로 박스체를 이용해 식품을 담은 다음 박스 덮개로 밀봉한다. 상기 박스 덮개는 통상적으로 꼭대기부, 및 상기 꼭대기부 가장자리로부터 박스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를 포함한다. 측부를 통해 상기 박스체 상단 주변을 덮고 상기 박스 덮개를 박스체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박스 덮개를 밀봉 및 제한한다.
그러나 종래의 박스 덮개는 측면을 통해서만 박스체 주변을 덮는다. 상기 박스 덮개 측면 내벽의 걸림점 설계는 상기 박스 덮개 주변과 버클링되어 고정되나 박스체 또는 박스 덮개가 압출되어 부딪히면, 상기 박스 덮개 측면은 압출 변형으로 인해 상기 걸림 리브가 상기 박스체 주변에 확실하게 걸릴 수 없게 만든다. 이로 인해 상기 박스 덮개가 스냅핏 작용을 일으키지 못하고 상기 박스체에서 이탈하게 되며, 박스체 내에 담긴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넘치게 되어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박스 덮개의 걸림점 설계는 반복적으로 덮어 고정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는 박스체 및 박스 덮개 외관으로부터 다른 사람이 무단으로 개방했는지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내용물을 훔치거나 몰래 먹는 사건이 빈번이 발생하여 소비자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상기 박스 덮개의 걸림점 설계는 고리형으로 상기 박스체 주변에 스냅핏되어 박스 덮개를 박스체 상에 밀봉하여 덮거나, 박스체 상으로부터 분리할 때 비교적 긴 시간을 들여 상기 스냅핏 리브를 일일이 스냅핏하거나 분리하기 때문에, 상기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조립, 분리가 비교적 번거롭고 실용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관련 제품의 제조, 개발 및 설계에 다년간 종사해 왔으며, 상기 목표에 대한 상세한 설계와 신중한 평가를 거쳐 마침내 실용적인 창작물을 고안하였다.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선행 기술의 결점에 대응하여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조는 서로 덮으며 결합 조립되는 박스체 및 상부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체 상의 개구 외주에는 외부 립이 설치되고, 상기 외부 립의 대칭 위치에는 외부를 향해 적어도 2개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2개의 제2 결합부가 돌출 설치된다.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주에는 제1 가동 걸림편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가동 걸림편과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에는 절곡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가동 걸림편 상표면에는 걸림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가동 걸림편 표면은 상기 걸림 돌출부 주변에 커팅 파선이 설치된다.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주에는 제2 가동 걸림편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동 걸림편과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는 절곡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결합부 중앙에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출부 양측에는 2개의 결합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동 걸림편 상표면에는 스냅핏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스냅핏부 내측면은 상기 결합 돌출부에 대해 스냅핏 오목부가 설치된다. 상기 스냅핏 오목부의 양측단은 2개의 맞닿음면을 형성하고, 상기 스냅핏부 꼭대기단은 더욱 상기 스냅핏 오목부 바닥면과 평행하게 삽입 걸림부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덮개 외주에는 덮개 립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 립 내측은 상기 박스체의 외부 립과 덮인다. 상기 덮개 립 주변의 대칭 위치에는 적어도 2개의 제1 케이싱부 및 적어도 2개의 제2 케이싱부가 돌출 설치된다. 상기 제1 케이싱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씌우도록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제2 케이싱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 씌우도록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제1 케이싱부 표면에는 걸림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 오목부는 상기 제1 가동 걸림편의 걸림 돌출부를 걸어 삽입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커팅 파선을 상기 걸림 돌출부의 파단 지점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1 가동 걸림편이 상기 제1 케이싱부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제1 가동 걸림편을 끊어 상기 스냅핏 오목부와의 삽입 걸림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2 케이싱부 중앙에는 버클링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버클링 돌출부 양측에는 모두 위치제한 오목부가 설치된다. 상기 버클링 돌출부 내부는 중공이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 돌출부를 덮는다. 2개의 상기 위치제한 오목부는 2개의 상기 결합 오목부 내에 결합되어 위치를 제한하며, 상기 버클링 돌출부 꼭대기단은 외측면을 따라 위를 향해 삽입부가 연장 설치된다. 상기 삽입부와 상기 덮개 립 사이에는 오목홈이 형성된다.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부 중앙에는 상부 맞댐 돌출부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맞댐 돌출부 상표면에는 위치제한 호면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케이싱부는 융기되어 수직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싱부 내부에는 중공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 오목부는 상기 제1 케이싱부의 수직면에서 상기 중공홈 공간을 향해 오목하게 설치된다. 상기 걸림 오목부는 수직면 단부에서 안쪽으로 점점 확장되며 원추형 홈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제1 가동 걸림편의 표면에서 위로 점점 확장되어 원추형 기둥체를 형성한다.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부 중앙에는 안으로 축소되며 위치제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케이싱부 선단은 경사면이 아래로 경사지고, 상기 걸림 오목부는 상기 경사면에서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 오목부는 경사면 단부에서 안으로 점점 축소되며 원추형 홈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제1 가동 걸림편의 표면에서 점점 확장되어 원추형체를 형성한다.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 오목부는 비원홀형의 원추형 홈이고, 상기 걸림 돌출부는 비원기둥형의 원추형체이다.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클링 돌출부 및 그 삽입부의 외표면에는 복수의 종방향 보강 구조가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고안은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1)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박스체가 덮여 고정되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케이싱부 사이는 걸림 돌출부 및 커팅 파선의 설계에 의해, 상기 상부 덮개가 상기 박스체에서 개방될 때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커팅 파선에 의해 끊어져 반복해서 스냅핏할 수 없다. 상기 상부 덮개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무단으로 개방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보호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2) 상기 박스체와 상부 덮개를 닫고 포장할 때, 상기 상부 덮개의 상기 제2 케이싱부는 상기 박스체의 상기 제2 결합부에 대응하도록 위치가 고정된다. 이어서 다시 상기 제2 가동 걸림편의 누름 스냅핏을 통해 상기 스냅핏부를 확실하게 상기 버클링 돌출부에 스냅핏시킨다. 상기 걸림 돌출부는 반복해서 스냅핏할 수 없는 특징 하에서 상기 스냅핏부와 상기 버클링 돌출부의 스냅핏 결합을 이용해 상기 박스체와 상기 상부 덮개 반복 덮기 및 스냅핏 고정의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상기 박스체(10) 및 상기 상부 덮개(20)의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3) 상기 제2 가동 걸림편의 스냅핏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의 버클링 돌출부가 버클링 고정되면, 다시 상기 스냅핏부의 삽입 걸림부와 상기 버클링 돌출부의 삽입부를 서로 버클링 고정하여,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박스체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상부 덮개의 고정 안정성을 보장하고 상기 상부 덮개가 압출 충격으로 인해 이탈되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 2에서 제1 결합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도 2에서 제1 케이싱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결합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케이싱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케이싱부와 제1 결합부가 덮여 고정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가동 걸림편과 제1 케이싱부가 걸려 고정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케이싱부와 제2 결합부가 덮여 고정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가동 걸림편과 제2 케이싱부가 걸려 고정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가동 걸림편과 상기 제2 케이싱부가 분리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가동 걸림편과 상기 제2 케이싱부가 분리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에 대한 심사관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서로 덮으며 결합 조립되는 박스체(10) 및 상부 덮개(20)가 포함된다. 상기 박스체(10) 상의 개구 외주에는 외부 립(11)이 설치되고, 상기 외부 립(11)의 대칭 위치에는 외부를 향해 적어도 2개의 제1 결합부(12)가 돌출 설치된다. 상기 제1 결합부(12)의 중앙에는 상부 맞댐 돌출부(121)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맞댐 돌출부(121)의 상표면에는 위치제한 호면(12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결합부(12)의 외주에는 제1 가동 걸림편(13)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가동 걸림편(13)과 상기 제1 결합부(12) 사이에는 절곡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가동 걸림편(13) 상표면에는 걸림 돌출부(131)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가동 걸림편(13) 표면은 상기 걸림 돌출부(131) 주변에 커팅 파선(132)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 덮개(20) 외주에는 덮개 립(21)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 립(21) 내측은 상기 박스체(12)의 외부 립(11)과 덮인다. 상기 덮개 립(21) 주변의 대칭 위치에 적어도 2개의 제1 케이싱부(22)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제1 케이싱부(22)는 상기 제1 결합부(12)와 씌우도록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제1 케이싱부(22)는 융기되어 수직면(22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싱부(22) 내부에는 중공홈 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싱부(22)는 수직면(221)에서 중공홈 공간을 향해 걸림 오목부(222)가 설치된다. 상기 걸림 오목부(222)는 수직면(221) 단부에서 안으로 점차 확장되며 원추형홈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 오목부(222)는 상기 제1 가동 걸림편(13)의 걸림 돌출부(131)가 걸려 삽입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커팅 파선(132)을 상기 걸림 돌출부(131)의 파단 지점으로 사용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체(10)의 외부 립 대칭 위치에 밖을 향해 적어도 2개의 제2 결합부(15)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2 결합부(15)의 외주에는 제2 가동 걸림편(16)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동 걸림편(16)과 상기 제2 결합부(15) 사이에는 절곡부(17)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결합부(15) 중앙에는 결합 돌출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출부(151) 양측에는 2개의 결합 오목부(152)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동 걸림편(16) 상표면에는 스냅핏부(161)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스냅핏부(161) 내측면은 상기 결합 돌출부(151)에 대해 스냅핏 오목부(162)가 설치된다. 상기 스냅핏 오목부(162)의 양측단은 2개의 맞닿음면(163)을 형성하고, 상기 스냅핏부(161) 꼭대기단은 더욱 상기 스냅핏 오목부(162) 바닥면과 평행하게 삽입 걸림부(164)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덮개(20)의 덮개 립(21) 대칭 위치에 밖을 향해 적어도 2개의 제2 케이싱부(23)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2 케이싱부(23)는 상기 제2 결합부(15)와 씌우도록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제2 케이싱부(23) 중앙에는 버클링 돌출부(231)가 설치되고,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 양측에는 모두 위치제한 오목부(232)가 설치된다.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 내부는 중공이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 돌출부(151)를 덮는다. 2개의 상기 위치제한 오목부(232)는 2개의 상기 결합 오목부(152) 내에 결합되어 위치를 제한하며,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 꼭대기단은 외측면을 따라 위를 향해 삽입부(233)가 연장 설치된다. 상기 삽입부(233)와 상기 덮개 립(21) 사이에는 오목홈(234)이 형성되고,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 및 그 삽입부(233)의 외표면에는 복수의 종방향인 보강 구조(235)가 설치된다.
그 구조적 실시예의 사용 상태는 도 1 및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한다. 상기 상부 덮개(20)는 주변의 덮개 립(21)으로 상기 박스체(10) 개구 주변의 외부 립(11)을 덮고, 상기 제1 케이싱부(22), 제2 케이싱부(23)를 가지런하게 상기 결합부(12, 15)에 덮는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 덮개(20)를 상기 박스체(10)의 개구에 위치를 결정하여 덮는다. 상기 제1 케이싱부(22)와 상기 제1 결합부(12)가 씌워지면, 상기 걸림 오목부(222)는 상대적으로 상기 상부 덮개(20) 내측의 외주에 성형되어 상기 상부 맞댐 돌출부(121)의 위치제한 호면(122) 상에 적층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제1 결합부(12)의 제1 가동 걸림편(13)를 위로 뒤집고, 상기 걸림 돌출부(131)를 상기 제1 케이싱부(22)의 걸림 오목부(222) 내에 걸어 넣는다. 상기 걸림 돌출부(131) 및 상기 걸림 오목부(222)의 원추형 설계를 이용해, 구조적 스냅핏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1 가동 걸림편(13)을 상기 수직면(221)에 부착한다. 상기 제2 케이싱부(23)와 상기 제2 결합부(15)가 씌워지도록 덮이면,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는 상대적으로 덮으며 상기 결합 돌출부(151)에 맞닿고, 상기 결합 돌출부(151)를 통해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의 오목홈(234) 바닥면을 지지하여,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이어서 다시 상기 제2 가동 걸림편(16)을 상기 상부 덮개(20) 방향으로 눌러 스냅핏하고, 상기 제2 가동 걸림편(16)의 스냅핏부(161)와 상기 제2 케이싱부(23)의 버클링 돌출부(231)를 통해 스냅핏 고정한다. 실제 스냅핏 시, 상기 스냅핏부(161)의 스냅핏 오목부(162)는 상대적으로 각 상기 버클링 돌출부(221)에 삽입 걸림된다. 상기 스냅핏부(161)의 삽입 걸림부(164)가 스냅핏 오목부(162)의 개구 면적을 축소시키고,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에 상기 삽입부(233)와 상기 삽입 걸림부(164)가 더 설치되어 매칭되며 스냅핏되어, 상기 제2 가동 걸림편(16)에 일정한 힘을 가해야만 상기 삽입 걸림부(164)가 상기 삽입부(233)를 넘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냅핏 오목부(162)는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를 덮고, 상기 삽입 걸림부(164)가 상기 오목홈(234) 내에 위치가 제한되어 상기 삽입부(233)와 스냅핏 고정된다. 상기 스냅핏 오목부(162) 양측의 맞닿음면(163)은 순조롭게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 양측의 위치제한 오목부(232) 내에 맞닿아, 상기 제2 가동 걸림편(16)과 상기 제2 결합부(15) 단면을 가지런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가동 걸림편과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의 버클링 긴밀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상부 덮개(20)가 충돌로 인해 상기 박스체(10)로부터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박스체(10)와 상기 상부 덮개(20)의 포장 안정도가 향상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체(10)의 제1 가동 걸림편(13)은 걸림 돌출부(131) 주변에 커팅 파선(132)이 설치된다. 상기 제1 가동 걸림편(13)이 아래로 당겨져 상기 상부 덮개(20)의 제1 케이싱부(22)를 이탈하면, 상기 걸림 돌출부(131) 및 상기 걸림 오목부(222)는 원추형 설계를 통해 비교적 밀집된 결합 상태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 돌출부(131)가 상기 걸림 오목부(222)를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만들고, 상기 커팅 파선(132)이 벌어져 상기 걸림 돌출부(131)가 상기 제1 가동 걸림편(13)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걸림 돌출부(131)와 상기 걸림 오목부(222)는 삽입 걸림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1 가동 걸림편(13)이 상기 상부 덮개(20)와 스냅핏 고정되지 못한다. 따라서 다른 사람이 내용물 또는 용품을 무단으로 열려고 할 경우, 상기 제1 가동 걸림편(13)과 상기 걸림 돌출부(131)의 연결 여부로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 덮개(20)를 무단으로 열어 내용물을 훔치거나 먹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 및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실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15)의 제2 가동 걸림편(16)이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를 눌러 이탈시키고 상기 상부 덮개(20)를 상기 박스체(10)로부터 열 경우, 일정한 힘을 가해야만 상기 삽입 걸림부(164)가 상기 삽입부(233)를 넘어 스냅핏 상태에서 이탈하도록 만들 수 있다. 동시에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 및 삽입부(233) 외표면의 보강 구조(235)를 통해, 일반적인 왕복의 폐합 동작 하에서 상기 삽입부(233)의 구조적 강도를 보장하고,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며, 사용자가 상기 박스체(10), 상부 덮개(20)를 반복 사용하고자 하는 의지를 높이므로 친환경적이다.
그 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한다. 상기 박스체(10)의 상기 제1 결합부(12) 중앙은 안으로 축소되어 위치제한 공간(123)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덮개(20)의 상기 제1 케이싱부(22) 선단은 경사면(233)이 아래로 경사지고, 상기 걸림 오목부(222)는 상기 경사면(223)에서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 오목부(222)는 경사면(223) 단부에서 안으로 점점 축소되며 원추형 홈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 덮개(20)가 상대적으로 상기 박스체(10)에 닫히면, 상기 걸림 오목부(222)는 상대적으로 상기 상부 덮개(20) 내측의 외주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제1 결합부(12)의 위치제한 공간(123) 내에 수용 설치되며, 상기 제1 가동 걸림편(13)의 걸림 돌출부(131)를 통해 상기 걸림 오목부(222)와 스냅핏 고정된다.
상기 걸림 돌출부(131)는 상기 제1 가동 걸림편(13)의 표면에서 위로 점점 확장되어 비원기둥형의 원추형 홈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 오목부(222)는 비원홀형의 원추형 홈이다.
그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한다. 상기 박스체(10)의 상기 제1 결합부(12) 상표면에는 삽입 걸림 돌출부(124)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덮개(20)의 상기 제1 케이싱부(22) 상표면은 융기되어 중공의 걸림 돌출부(224)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케이싱부(22) 표면은 상기 걸림 돌출부(224) 주변에 커팅 파선(225)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 덮개(20)가 상기 박스체(10) 상을 덮고, 상기 제1 케이싱부(22)와 상기 제1 결합부(12)가 씌워져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걸림 돌출부(224)는 아래를 향해 상기 제1 결합부(12)의 삽입 걸림 돌출부(124)에 스냅핏되고, 상기 커팅 파선(225)을 상기 걸림 돌출부(224)의 파단 지점으로 사용한다. 상기 제1 케이싱부(22)가 상기 제1 결합부(12)에서 멀어지면, 상기 걸림 돌출부(224)가 상기 제1 케이싱부(22)로부터 끊어지고, 상기 삽입 걸림 돌출부(124)의 스냅핏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1 케이싱부(22)와 상기 걸림 돌출부(224)의 연결 여부를 통해 상기 상부 덮개(20)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덮개(20)를 무단으로 열어 내용물을 훔치거나 먹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 및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실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조를 통해 다음의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덮개(20)와 상기 박스체(10)가 덮여 고정되면, 상기 제1 결합부(12)와 상기 제1 케이싱부(22)는 걸림 돌출부(131, 224) 및 커팅 파선(132, 225)의 설계를 통해, 상기 상부 덮개(20)가 상기 박스체(10)에서 개방될 때, 상기 걸림 돌출부(131, 224)가 상기 커팅 파선(132, 225)에 의해 끊어져 반복하여 스냅핏할 수 없으므로, 상기 상부 덮개(20)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사람이 무단으로 개방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보호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박스체(10)와 상기 상부 덮개(20)를 덮어 포장할 때, 상기 상부 덮개(20)의 상기 제2 케이싱부(23)는 상기 박스체(10)의 상기 제2 케이싱부(15)에 대응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제2 가동 걸림편(16)의 누름 스냅핏을 통해, 상기 스냅핏부(161)가 확실히 긴밀하게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에 스냅핏되며, 상기 버클링 돌출부(131, 224)는 반복해서 스냅핏할 수 없는 특징 하에서 상기 스냅핏부(161)와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의 스냅핏 결합을 이용해 상기 박스체(10)와 상기 상부 덮개(20) 반복 덮기 및 스냅핏 고정의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상기 박스체(10) 및 상기 상부 덮개(20)의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제2 가동 걸림편(16)의 스냅핏부(161)와 상기 제2 케이싱부(23)의 버클링 돌출부(231)가 버클링 고정되면, 다시 상기 스냅핏부(161)의 삽입 걸림부(164)와 상기 버클링 돌출부(231)의 삽입부(233)를 서로 버클링 고정하여, 상기 상부 덮개(20)와 상기 박스체(10)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상부 덮개(20)의 고정 안정성을 보장하고 상기 상부 덮개(20)가 압출 충격으로 인해 이탈되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고안은 획기적인 구조적 설계를 구현하였으며 개선된 발명의 내용과 산업상 이용 가능성 및 진보성을 구비한다. 본 고안은 어떠한 간행물에도 보고되지 않아 신규성도 구비한다. 특허법 관련 규정에 의거하여 발명특허를 출원하므로 이에 심사위원회에 법적 특허권 부여를 요청한다.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일 뿐이며, 본 고안의 실시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특허 출원 범위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모든 등가의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10: 박스체
11: 외부 립
12: 제1 결합부
121: 상부 맞댐 돌출부
122: 위치제한 호면
123: 위치제한 공간
124: 삽입 걸림 돌출부
13: 제1 가동 걸림편
131: 걸림 돌출부
132: 커팅 파선
14: 절곡부
15: 제2 결합부
151: 결합 돌출부
152: 결합 오목부
16: 제2 가동 걸림편
161: 스냅핏부
162: 스냅핏 오목부
163: 맞닿음면
164: 삽입 걸림부
17: 절곡부
20: 상부 덮개
21: 덮개 립
22: 제1 케이싱부
221: 수직면
222: 걸림 오목부
223: 경사면
224: 걸림 돌출부
225: 커팅 파선
23: 제2 케이싱부
231: 버클링 돌출부
232: 위치제한 오목부
233: 삽입부
234: 오목홈
235: 보강 구조

Claims (8)

  1. 박스체 및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조는 서로 덮으며 결합 조립되는 박스체 및 상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체 상의 개구 외주에는 외부 립이 설치되고, 상기 외부 립의 대칭 위치에는 외부를 향해 적어도 2개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2개의 제2 결합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주에는 제1 가동 걸림편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가동 걸림편과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에는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가동 걸림편 상표면에는 걸림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가동 걸림편 표면은 상기 걸림 돌출부 주변에 커팅 파선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주에는 제2 가동 걸림편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동 걸림편과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는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부 중앙에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출부 양측에는 2개의 결합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동 걸림편 상표면에는 스냅핏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스냅핏부 내측면은 상기 결합 돌출부에 대해 스냅핏 오목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냅핏 오목부의 양측단은 2개의 맞닿음면을 형성하고, 상기 스냅핏부 꼭대기단은 더욱 상기 스냅핏 오목부 바닥면과 평행하게 삽입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덮개 외주에는 덮개 립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 립 내측은 상기 박스체의 외부 립과 덮이고, 상기 덮개 립 주변의 대칭 위치에는 적어도 2개의 제1 케이싱부 및 적어도 2개의 제2 케이싱부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제1 케이싱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씌우도록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제2 케이싱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 씌우도록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1 케이싱부 표면에는 걸림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 오목부는 상기 제1 가동 걸림편의 걸림 돌출부를 걸어 삽입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커팅 파선을 상기 걸림 돌출부의 파단 지점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1 가동 걸림편이 상기 제1 케이싱부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제1 가동 걸림편을 끊어 상기 스냅핏 오목부와의 삽입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케이싱부 중앙에는 버클링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버클링 돌출부 양측에는 모두 위치제한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버클링 돌출부 내부는 중공이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 돌출부를 덮고, 2개의 상기 위치제한 오목부는 2개의 상기 결합 오목부 내에 결합되어 위치를 제한하며, 상기 버클링 돌출부 꼭대기단은 외측면을 따라 위를 향해 삽입부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덮개 립 사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체 및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중앙에는 상부 맞댐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맞댐 돌출부 상표면에는 위치제한 호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케이싱부는 융기되어 수직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싱부 내부에는 중공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오목부는 상기 제1 케이싱부의 수직면에서 상기 중공홈 공간을 향해 오목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 오목부는 수직면 단부에서 안쪽으로 점점 확장되며 원추형 홈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제1 가동 걸림편의 표면에서 위로 점점 확장되어 원추형 기둥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체 및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중앙에는 안으로 축소되며 위치제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케이싱부 선단은 경사면이 아래로 경사지고, 상기 걸림 오목부는 상기 경사면에서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 오목부는 경사면 단부에서 안으로 점점 축소되며 원추형 홈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제1 가동 걸림편의 표면에서 점점 확장되어 원추형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체 및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오목부는 비원홀형의 원추형 홈이고, 상기 걸림 돌출부는 비원기둥형의 원추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체 및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링 돌출부 및 그 삽입부의 외표면에는 복수의 종방향 보강 구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체 및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6.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에 있어서,
    서로 덮으며 결합 조립되는 박스체 및 상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체 상의 개구 외주에는 외부 립이 설치되고, 상기 외부 립의 대칭 위치에는 외부를 향해 적어도 2개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2개의 제2 결합부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 상표면에는 삽입 걸림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주에는 제2 가동 걸림편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동 걸림편과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는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부 중앙에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출부 양측에는 2개의 결합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동 걸림편 상표면에는 스냅핏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스냅핏부 내측면은 상기 결합 돌출부에 대해 스냅핏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스냅핏 오목부의 양측단은 2개의 맞닿음면을 형성하고, 상기 스냅핏부 꼭대기단은 더욱 상기 스냅핏 오목부 바닥면과 평행하게 삽입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덮개 외주에는 덮개 립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 립 내측은 상기 박스체의 외부 립과 덮이고, 상기 덮개 립 주변에는 적어도 2개의 제1 케이싱부 및 적어도 2개의 제2 케이싱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제1 케이싱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씌우도록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제2 케이싱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 씌우도록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1 결합부 상표면은 융기되어 중공의 걸림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케이싱부 표면은 상기 걸림 돌출부 주변에 커팅 파선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 돌출부는 아래를 향해 상기 제1 결합부의 삽입 걸림 돌출부에 스냅핏되고, 상기 커팅 파선을 상기 걸림 돌출부의 파단 지점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1 케이싱부가 상기 제1 결합부에서 멀어지면, 상기 걸림 돌출부가 상기 제1 케이싱부로부터 끊어지고, 상기 삽입 걸림 돌출부의 스냅핏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케이싱부 중앙에는 버클링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버클링 돌출부 양측에는 모두 위치제한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버클링 돌출부 내부는 중공이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 돌출부를 덮고, 2개의 상기 위치제한 오목부는 2개의 상기 결합 오목부 내에 결합되어 위치를 제한하며, 상기 버클링 돌출부 꼭대기단은 외측면을 따라 위를 향해 삽입부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덮개 립 사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출부는 제1 결합부 표면에서 위로 점점 확장되어 원추형체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제1 케이싱부의 표면에서 위로 점점 확장되어 원추형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링 돌출부 및 그 삽입부의 외표면에는 복수의 종방향인 보강 구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KR2020210003196U 2021-10-22 2021-10-22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KR200497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196U KR200497741Y1 (ko) 2021-10-22 2021-10-22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196U KR200497741Y1 (ko) 2021-10-22 2021-10-22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50U KR20230000850U (ko) 2023-05-02
KR200497741Y1 true KR200497741Y1 (ko) 2024-02-15

Family

ID=8631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196U KR200497741Y1 (ko) 2021-10-22 2021-10-22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4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152Y1 (ko) 2003-08-12 2003-10-30 주식회사 뉴라이프 밀폐용기의 체결구조
KR102208458B1 (ko) 2020-10-06 2021-01-26 이재혁 포장용기의 덮개 결합구조체
KR102402114B1 (ko) 2019-08-23 2022-05-25 리락 컴퍼니 리미티드 체결형 조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24900U (en) * 2011-07-01 2012-03-21 Ya-Qian Zheng Sealed food container convenient to open
CN113044389A (zh) * 2021-05-07 2021-06-29 余庆河 密封效果好并且易于开启的密封盒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152Y1 (ko) 2003-08-12 2003-10-30 주식회사 뉴라이프 밀폐용기의 체결구조
KR102402114B1 (ko) 2019-08-23 2022-05-25 리락 컴퍼니 리미티드 체결형 조합 용기
KR102208458B1 (ko) 2020-10-06 2021-01-26 이재혁 포장용기의 덮개 결합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50U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7768A (en) Child resistant dispensing closure
US4607768A (en) Dispensing closure with latch mechanism
CA2760243C (en) Container and lid
US5356018A (en) Plastics closure with warranty element
KR100216714B1 (ko) 리세스 내에 위치된 래치를 갖는 아동 안전용 마개
US20130081364A1 (en) Container Assembly
JP5670088B2 (ja) ヒンジキャップ
CA1321166C (en) Child-proof screw closure
JPS6013649A (ja) 容器
PL204847B1 (pl) Zamknięcie przeznaczone dla pojemnika
US20190084727A1 (en) Cap Assembly Having Integrated Inner Liner and Shell
KR200497741Y1 (ko)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JPS60502097A (ja) コンテナ−とこのコンテナ−の製造方法
WO2006032539A1 (en) Combination of a can and a lid
CN109051277B (zh) 一种改进的密封包装容器
JPH0221406Y2 (ko)
JP2596216Y2 (ja) 不正開封防止容器
CN210063850U (zh) 盖子以及粉状冲剂容器
CN219524825U (zh) 具有辨识开启功能的容器结构
US11560260B2 (en)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secure closure and retention elements
JP3236519U (ja) 容器本体と上蓋との開き防止のロック構造
KR200423190Y1 (ko) 음식물용 밀폐용기
AU760789B2 (en) Container
JP6086722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7409813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