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58Y1 - 차량 역주행 방지턱 - Google Patents

차량 역주행 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58Y1
KR200497458Y1 KR2020220000693U KR20220000693U KR200497458Y1 KR 200497458 Y1 KR200497458 Y1 KR 200497458Y1 KR 2020220000693 U KR2020220000693 U KR 2020220000693U KR 20220000693 U KR20220000693 U KR 20220000693U KR 200497458 Y1 KR200497458 Y1 KR 200497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driving
vehicle
bump
guidan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878U (ko
Inventor
안종욱
Original Assignee
안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욱 filed Critical 안종욱
Priority to KR2020220000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58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역주행 차량을 우회도로로 유도하기 위한 차량 역주행 방지턱으로서, 상기 도로에 설치되고 언덕부를 갖는 방지턱 본체; 및 상기 방지턱 본체에 상면에 각각 설치되며 주행 차량의 좌측 차량휠이 지나가는 제1 주행유도 모듈과 상기 주행 차량의 우측 차량휠이 지나가는 제2 주행유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행유도 모듈과 상기 제2 주행유도 모듈은 상기 역주행 차량의 전진을 제한하는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역주행 방지턱{Road bump for preventing reverse driving}
본 고안은 역주행 방지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역주행을 방지하는 역주행 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도로나 고속도로에서는 차선 및 차량의 주행 방향이 정해진 상태에서 규정의 속도로 차량을 운행하도록 법적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 놓이거나 또는 운전자의 졸음 또는 부주의 상황, 또는 진입 경로의 착오,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비상상황 등의 이유로 도로 상의 정해진 방향이 아닌 이에 대해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역주행 상황은 특히 차량이 고속으로 운전되는 고속화 도로에서는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며 이러한 상황은 맞은으로 주행하는 차량과의 정면 충돌 및 이어지는 후방 차량과의 이차 추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의 역주행 발생 상황시 이를 감지하여 후속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주행 차량 방지시스템(아래 선행기술 1)이 개발되었으나, 역주행 감지를 위해 한 쌍의 센서부가 이격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고, 정주행 방향에서 진입되어 정주행 측 센서가 작동시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역주행 측 센서를 전원 오프(OFF)하는 등의 작동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이런 종래기술은 역주행을 감지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그 설비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 등이 있었다. 또한 역주행 방향으로 진입된 차량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거나 우회시켜 2차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더욱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07451호(공고일자:2015년 04월 08일)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도로에 역주행으로 진입한 차량을 안전하게 대피 및 우회시켜 2차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역주행 방지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로의 역주행 차량을 우회도로로 유도하기 위한 차량 역주행 방지턱으로서, 상기 도로에 설치되고 언덕부를 갖는 방지턱 본체; 및 상기 방지턱 본체에 상면에 각각 설치되며 주행 차량의 좌측 차량휠이 지나가는 제1 주행유도 모듈과 상기 주행 차량의 우측 차량휠이 지나가는 제2 주행유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행유도 모듈과 상기 제2 주행유도 모듈은 상기 역주행 차량의 전진을 제한하는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차량 역주행 방지턱이 제공된다.
상기 역주행 방지 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스플라인부가 형성된 롤러 몸체부와, 상기 방지턱 본체에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그 선단이 상기 스플라인부에 지지되는 래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롤러 몸체부의 타측방향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주행유도 모듈에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의 구름저항(rolling resistance coefficient)은, 상기 제2 주행유도 모듈에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의 구름저항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주행유도 모듈에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의 상기 스플라인부는 톱니형 스플라인이 상기 롤러 몸체부의 외주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주행유도 모듈에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의 상기 스플라인부는 라운드형 스플라인이 상기 롤러 몸체부의 외주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방지턱 본체의 내부에는 판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역주행 방지 롤러를 하부에서 탄성지지하고, 상기 방지턱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래치부에 대해 수평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그 선단이 상기 스플라인부에 지지된 가이드핀부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고안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방통행 도로나 고속도로 진입로 등과 같은 도로의 역주행 차량을 안전하게 우회도로로 유도함으로써 안전사고 방지 및 2차 사고의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역주행 방지턱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의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역주행 방지턱의 사용상태를 간략히 보여주는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역주행 방지턱의 역주행 방지 주행 유도기능을 보여주는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역주행 방지턱의 제1 역주행 방지 롤러 유닛과 제2 역주행 방지롤러 유닛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역주행 방지턱의 방지턱 본체에 설치된 롤러 몸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차량의 양측 휠의 주행에 따른 유도 주행롤러 모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구성도,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역주행 방지턱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역주행 방지턱은 일반도로의 일방통행로나 고속도로의 진입로 등 다양한 도로에 설치되는데, 이하 실시예에서는 진입로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주행도로의 측면으로는 역주행 차량을 대피 및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도로(30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진입도로의 초입에는 역주행 방지턱(100)이 설치된다. 이 역주행 방지턱(100)은 오진입한 역주행 차량(1)을 우회도로(300) 측으로 유도시켜 대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역주행 방지턱(100)의 전방에는 역주행 차량(1)의 감지를 위한 감지센서(S1)가 마련된다. 이 감지센서(S1)는 역주행 차량을 감지하면 그 신호를 역주행 경고판(400)로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역주행 진입을 경고한다. 여기서 역주행 방지턱(100)을 통해 대피영역으로 유도된 차량에게 우회도로(300)를 안내하기 위한 우회 안내판(200)도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역주행 차량의 진입시 방지턱 본체(50) 상에는 다수의 역주행 방지롤러 유닛(110)이 설치되어, 역주행 차량(1)의 차량휠(W1)과 함께 회전(도 2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됨으로써 역주행 차량(1)의 전진을 저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량 역주행 방지턱은 진입한 역주행 차량(1)을 우회도로(300)로 유도하도록 방지턱 본체(50)에는 제1 역주행 방지 롤러유닛(110)과 제2 역주행 방지 롤러유닛(120)이 각각 구비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좌측 차량휠(W1)이 주행하는 일부의 방지턱 본체(50A)에는 제1 역주행 방지 롤러유닛(110)이 설치된다(제1 주행유도모듈). 한편 차량의 우측 차량휠(W2)이 주행하는 다른 일부의 방지턱 본체(50B)에는 제2 역주행 방지롤러 유닛(120)이 설치된다(제2 주행유도모듈).
여기서 제1 주행유도 모듈에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의 구름저항은, 제2 주행유도 모듈에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에 비해 작게 구성한다. 즉 역주행 차량이 차량 역주행 방지턱(100)을 통과하는 경우 좌측 차량휠(W1)이 통과하는 제1 역주행 방지롤러 유닛(110)이 우측 차량휠(W2)이 통과하는 제2 역주행 방지롤러 유닛(120)보다 쉽게 구름되도록 구성(구름적항이 적게 구성)한다. 이에 따라 도 3에 표시한 역주행 방지 주행 유도선과 같이 역주행 차량의 주행방향을 좌측으로 유도시킬 수 있다(양측의 롤러의 구름저항의 차이로 차량의 주행방향을 유도함).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의 역주행 방지 롤러는, 롤러 몸체부(10), 및 래치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롤러 몸체부(10)는 복수의 스플라인부(11,12)를 구성한다. 래치부(20)는 방지턱 본체(50A)에 토션 스프링(21S)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그 선단(22)이 스플라인부(11,12)에 각각 지지된다. 이에 따라 역주행 차량(1)이 진입한 경우 역주행 차량휠의 이동을 제지하는 방향으로 롤러 몸체부(10)의 회전이 가능한 반면, 정주행 차량휠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래치부(20)가 롤러 몸체부(1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앞선 도 3과 같은 역주행 방지 주행 유도를 위한 구성에서, 제1 주행유도 모듈에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의 스플라인부는 톱니형 스플라인(11)으로 롤러 몸체부(10A)의 외주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한다(도 6 참조).
그리고 제2 주행유도 모듈에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의 스플라인부는 라운드형 스플라인(15)이 롤러 몸체부의 외주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한다.
이에 따라 양측의 롤러의 구름저항의 차이로 인해 역주행 차량의 주행유도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방지턱 본체(50B)에는 정주행 차량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롤러의 좌회전(도 7을 기준)을 제한하는 정주행 가드핀(35)이 제공된다.
또한 래치부(30)는 하부에 스프링(31S)에 의희 탄성지지되고, 롤러의 스플라인부의 외주면의 일부에 밀착되는 라운드 형상의 선단(31)을 갖도록 구성된다.
도 8를 참조하면, 방지턱 본체(50)의 내부에는 역주행 방지 롤러의 하부에 위치되고 방지턱 본체(50)의 내부에는 판스프링(55S)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역주행 방지 롤러에 기설정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롤러몸체가 하강되어 역주행 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자전거나 보행자(차량보다 현저히 낮은 중량물)가 역주행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롤러몸체가 판스프링(55S)에 지지되어 가이드핀부(51)와 래치부(60)에 의해 양측 회전이 고정됨으로써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역주행 차량
2: 정주행 차량
10: 롤러 몸체부
11: 제1 스플라인부
11A: 제1 롤러부
11B: 제2 롤러부
12: 제2 스플라인부
15: 라운드형 스플라인부
15a,15b: 스플라인부
20,30,60: 래치부
21S, 31S: 스프링부재
22,31: 선단
35: 정주행 가이드핀
50: 방지턱 본체
51: 가이드핀부
50A: 제1 주행유도 모듈
50B: 제2 주행유도 모듈
55S: 판스프링
100: 차량 역주행 방지턱
110: 제1 역주행 방지롤러 유닛
120: 제2 역주행 방지롤러 유닛
200: 우회 안내판
300: 우회도로
400: 역주행 경고판

Claims (5)

  1. 도로의 역주행 차량을 우회도로로 유도하기 위한 차량 역주행 방지턱으로서,
    상기 도로에 설치되고 언덕부를 갖는 방지턱 본체; 및
    상기 방지턱 본체에 상면에 각각 설치되며 주행 차량의 좌측 차량휠이 지나가는 제1 주행유도 모듈과 상기 주행 차량의 우측 차량휠이 지나가는 제2 주행유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행유도 모듈과 상기 제2 주행유도 모듈은 상기 역주행 차량의 전진을 제한하는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역주행 방지 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스플라인부가 형성된 롤러 몸체부와, 상기 방지턱 본체에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그 선단이 상기 스플라인부에 지지되는 래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롤러 몸체부의 타측방향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제1 주행유도 모듈에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의 구름저항(rolling resistance coefficient)은, 상기 제2 주행유도 모듈에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의 구름저항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행유도 모듈에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의 상기 스플라인부는 톱니형 스플라인이 상기 롤러 몸체부의 외주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주행유도 모듈에 설치된 역주행 방지 롤러의 상기 스플라인부는 라운드형 스플라인이 상기 롤러 몸체부의 외주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 본체의 내부에는 판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역주행 방지 롤러를 하부에서 탄성지지하고,
    상기 방지턱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래치부에 대해 수평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그 선단이 상기 스플라인부에 지지된 가이드핀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턱.
  4. 삭제
  5. 삭제
KR2020220000693U 2022-03-18 2022-03-18 차량 역주행 방지턱 KR200497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93U KR200497458Y1 (ko) 2022-03-18 2022-03-18 차량 역주행 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93U KR200497458Y1 (ko) 2022-03-18 2022-03-18 차량 역주행 방지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78U KR20230001878U (ko) 2023-09-26
KR200497458Y1 true KR200497458Y1 (ko) 2023-11-15

Family

ID=8819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693U KR200497458Y1 (ko) 2022-03-18 2022-03-18 차량 역주행 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5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0479A (zh) 2013-10-17 2014-01-15 钱志湘 控制道路通行方向的拦车路障
KR101535761B1 (ko) 2014-12-26 2015-07-09 김돈신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JP2019100007A (ja) * 2017-11-29 2019-06-24 コイト電工株式会社 逆走防止構造
JP2020056287A (ja) 2018-10-03 2020-04-09 株式会社スペシャルエフエックススタジオ 移動体阻止器及び拘束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261B1 (ko) * 2004-12-23 2006-09-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과속방지 및 일방통행로 진입 차단 장치
KR20200000969U (ko) * 2018-11-07 2020-05-15 윤현민 역주행 진입 감지 과속방지턱
KR20200060989A (ko) * 2018-11-23 2020-06-02 서효진 차량 진입 제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0479A (zh) 2013-10-17 2014-01-15 钱志湘 控制道路通行方向的拦车路障
KR101535761B1 (ko) 2014-12-26 2015-07-09 김돈신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JP2019100007A (ja) * 2017-11-29 2019-06-24 コイト電工株式会社 逆走防止構造
JP2020056287A (ja) 2018-10-03 2020-04-09 株式会社スペシャルエフエックススタジオ 移動体阻止器及び拘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78U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0592B2 (en) Collision warn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KR101406457B1 (ko)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
US8370023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WO2016107581A1 (zh) 汽车转弯防侧翻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246733A (zh) 用于紧急情况辅助的方法和装置
WO2006126736A1 (ja) 車両逸脱防止装置
US11964661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having an emergency stopping function for a vehicle, vehicle having said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emergency stopping of a vehicle
CN112519674B (zh) 一种车辆转弯安全警示系统
CN107161213B (zh) 一种基于车联网的汽车安全有序行驶系统
US20210245740A1 (en) Vehicle driving assist system for safe motorcycle lane splitting
Bayly et a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and motorcycle safety
KR200497458Y1 (ko) 차량 역주행 방지턱
KR20130013997A (ko) 차량의 충돌 방지장치 및 방법
KR20140004529U (ko) 예고없는 차선변경시 방향지시등 자동작동 시스템
CN211479292U (zh) 一种急转弯道来车预警装置
KR20140126037A (ko) 도로상 비상 대피용 경보 시스템
KR950007370B1 (ko) 자동차용 턴-경고신호 자동 및 수동화 방법
KR20230119916A (ko) 개문사고 방지를 위한 버튼식 잠금장치가 탑재된 차량 손잡이
KR20240032044A (ko) 도로에서 차량에 대해 지정된 제한 속도를 검사하는 방법 및 운전자를 보조하는 방법
Kiriki et al. Development of an Emergency Stop Assist System with Pull-Over Function
KR19980025491U (ko) 차량의 주행중 차선감지에 의한 졸음운전 방지구조
WO2024107140A1 (en) Vehicle warning system
Devices The Issue
JPS61179907A (ja) 乗用車の軌道バス走行路使用を防ぐ乗入れ防止装置
TW202239643A (zh) 車輛活動護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