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989A - 차량 진입 제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진입 제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989A
KR20200060989A KR1020180146270A KR20180146270A KR20200060989A KR 20200060989 A KR20200060989 A KR 20200060989A KR 1020180146270 A KR1020180146270 A KR 1020180146270A KR 20180146270 A KR20180146270 A KR 20180146270A KR 20200060989 A KR20200060989 A KR 20200060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ovable bar
support
hou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용
서효진
Original Assignee
서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효진 filed Critical 서효진
Priority to KR102018014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0989A/ko
Publication of KR2020006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동바가 차량의 중량에 의하여 하강함에 따라 제동부재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차륜을 가동바와 함께 공회전시켜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의 진입을 양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차량 진입 제한 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에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하우징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가동바; 및 상기 가동바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동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진입 제한 장치{Device for restraint on vehicle entry}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동바가 차량의 중량에 의하여 하강함에 따라 제동부재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차륜을 가동바와 함께 공회전시켜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의 진입을 양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각종 테러 위협 등으로부터의 보안 시설 보호, 차량 검문 검색시 피검문 차량의 도주 방지, 구조적 안전성 문제 또는 차 없는 거리 등에서 보행자 보호 등을 위한 목적으로 차량의 진입을 제한이 필요가 있는 곳에서는 차량 진입 방지 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을 통제한다.
일례로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20-0252863호에는 블레이드를 돌출시켜 차량 통행을 제한하는 차량 진입 방지 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등록기술은 차량의 통행을 일방향으로만 제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블레이드가 돌출되므로 보행자나 이륜차 등 통행시 방해가 되거나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아울러 종래 등록특허 제10-0754028호에는 콘트롤장치에 의해 롤러의 회전을 차단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등록기술은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별도의 콘트롤장치가 필요하여 구성이 복잡하고 비경제적이다. 아울러 상부로 노출되는 롤러가 보행자 통행 시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행자나 이륜차 등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차량 통행을 양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구성이 단순하여 경제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차량 진입 제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에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하우징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가동바; 및 상기 가동바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동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가동바 사이에는 하우징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가동바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제1가동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각 가동바의 외측에는 하우징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가동바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2가동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가동바와 제2가동커버의 양단에는 각각 제1지지샤프트와 제2지지샤프트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내부에는 지지격벽이 구비되되, 상기 지지격벽에는 제1지지샤프트와 제2지지샤프트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것으로 하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가이드공과 제2가이드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샤프트와 제2지지샤프트의 단부에는 각각 제1지지링크와 제2지지링크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링크와 제2지지링크의 하단은 링크가이드부재의 슬라이드공에 삽입되며, 상기 제1지지링크와 제2지지링크의 외부에는 제1지지샤프트와 제2지지샤프트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동부재는 제1가이드공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가동바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1지지샤프트의 일측에 밀착됨으로써 가동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내부에서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동바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동부재가 가동바의 회전을 제한하며, 차량의 중량에 의하여 가동바가 하강하면 제동부재의 로킹으로부터 가동바가 해제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가동바의 상승에 의하여 보행자나 이륜차 등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차량의 중량에 의하여 가동바가 하강하면 차량의 차륜이 가동바와 함께 공회전하여 전진 또는 후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진입을 양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진입 제한 장치는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 및 설치가 쉬어 경제적이며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 진입 제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가동바와 가동커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가동바, 제2가동커버와 지지격벽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지지샤트프와 지지링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차량 통행 허용시 본 발명 차량 진입 제한 장치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차량 통행 제한시 본 발명 차량 진입 제한 장치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차량 통행 제한시 본 발명 차량 진입 제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가동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 진입 제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가동바와 가동커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가동바, 제2가동커버와 지지격벽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지지샤트프와 지지링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5 및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차량 진입 제한 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의 내에 하우징(1)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가동바(2); 및 상기 가동바(2)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2)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동부재(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행자나 이륜차 등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고, 양방향으로 차량 통행을 제한하면서도 구성이 단순하여 경제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차량 진입 제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차량 진입 제한 장치는 하우징(1), 가동바(2) 및 제동부재(3)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은 내부에 가동바(2)와 제동부재(3)를 수납 가능한 것으로, 상면이 통행로의 지상면과 일치하도록 통행로 내에 매립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은 폭을 차량의 전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통과하는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하우징(1)은 좌우 차륜(W)의 위치에 각각 구비되도록 한 쌍을 분리하여 위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가동바(2)는 하우징(1)의 내부에 하우징(1)의 폭 방향을 따라 한 쌍이 배치된다.
상기 가동바(2)는 하우징(1)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다.
상기 가동바(2)의 상승시, 가동바(2)는 하우징(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켜 보행자나 이륜차 등의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각 가동바(2)는 회전 가능한 원형 단면으로 형성 가능하다.
상기 가동바(2)는 보행자, 이륜차 등 가벼운 하중에 대해서는 하강하지 않고, 설정된 중량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하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진입시에만 차량의 중량에 의해 가동바(2)가 하강한다.
상기 제동부재(3)는 가동바(2)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2)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가동바(2)가 상승 상태일 때 제동부재(3)가 가동바(2)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보행자 등 통행시 가동바(2)의 회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가동바(2)가 차량의 중량에 의하여 하강하면, 가동바(2)가 제동부재(3)의 로킹으로부터 해제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상기 가동바(2)가 자유 회전을 하게 되므로, 차량의 차륜(W)이 가동바(2)와 함께 공회전하여 전진 또는 후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차량의 진입을 양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차량은 견인 등에 의해 제거 가능하다.
도 3,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가동바(2) 사이에는 하우징(1)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가동바(2)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2)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제1가동커버(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바(2)는 상승 상태에서 제동부재(3)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하더라도 보행자의 발이 빠지거나 보행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원형 단면의 가동바(2)는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부각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한 쌍의 가동바(2) 사이에 가동바(2)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제1가동커버(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가동커버(4)는 단순히 이웃하는 가동바(2) 사이의 공간을 페쇄한다.
상기 제1가동커버(4)는 평소에는 하우징(1)의 상면 높이와 일치하도록 위치하였다가 차량 진입시 차량의 중량에 의해 가동바(2)와 함께 하강된다.
도 3,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가동바(2)의 외측에는 하우징(1)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가동바(2)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2)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2가동커버(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동커버(4)는 한 쌍의 가동바(2) 사이의 공간만 폐쇄 가능한 것으로, 가동바(2)의 외측 부분은 폐쇄 불가능하다.
따라서 보행자의 원활한 통행을 위하여 가동바(2)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2)의 외측 부분도 폐쇄할 수 있도록 각 가동바(2)의 외측에는 각 가동바(2)의 상부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제2가동커버(6)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차량 통행 허용시 본 발명 차량 진입 제한 장치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차량 통행 제한시 본 발명 차량 진입 제한 장치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차량 통행 제한시 본 발명 차량 진입 제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바(2)와 제2가동커버(6)의 양단에는 각각 제1지지샤프트(21)와 제2지지샤프트(6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의 양측 내부에는 지지격벽(11a, 11b)이 구비되되, 상기 지지격벽(11a, 11b)에는 제1지지샤프트(21)와 제2지지샤프트(61)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것으로 하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가이드공(111)과 제2가이드공(112)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동바(2)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제1지지샤프트(2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동커버(6)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제2지지샤프트(6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격벽(11a, 11b)은 하우징(1)의 폭 방향 양단에서 하우징(1)의 내측에 구비된다.
즉, 하우징(1)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지지격벽(11a, 11b)이 위치된다.
상기 지지격벽(11a, 11b)은 중량의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각 지지격벽(11a, 11b)에는 제1가이드공(111)과 제2가이드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공(111)에는 제1지지샤프트(21)가 삽입되어 가이드되고, 상기 제2가이드공(112)에는 제2지지샤프트(61)가 삽입되어 가이드된다.
상기 제1가이드공(111)과 제2가이드공(112)은 각각 하향 외측으로 경사진 장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샤프트(21)와 제2지지샤프트(61)는 하우징(1)의 폭 방향 양단에서 하우징(1)의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격벽(11a, 11b)의 제1가이드공(111)과 제2가이드공(112)에 각각 삽입된다.
차량의 통행이 없거나 하중이 적은 사람이나 이륜차 등의 통행시에는 본 발명 차량 진입 제한 장치는 도 5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 차륜(W)이 접촉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중량에 의해 한 쌍의 가동바(2)와 제2가동커버(6)는 각각 제1가이드공(111)과 제2가이드공(112)을 따라 서로 멀어지면서 하강한다.
이때, 하강된 한 쌍의 가동바(2)는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 차륜(W)의 전후에 밀착되어 차륜(W)이 공회전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가동커버(4)와 제2가동커버(6)는 가동바(2)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2)의 상부를 덮어 가동바(2)의 노출이 최소한으로 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과 같이, 차량 진입시 제1가동커버(4)는 직하부로 하강하고, 한 쌍의 가동바(2)와 제2가동커버(6)는 각각 외측으로 하향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가동커버(4)와 제2가동커버(6) 사이가 멀어지면서 사이 공간이 열려 가동바(2)가 노출되고, 차륜(W)이 가동바(2)에 밀착되어 공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가동커버(6)는 제2가이드공(112)을 따라 하향 외측의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가동바(2)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제2가동커버(6)로 하우징(1)의 상부 전체를 폐쇄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2가동커버(6)의 외측에는 고정커버(7)가 하우징(1)의 상부 외곽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샤프트(21)와 제2지지샤프트(61)의 단부에는 각각 제1지지링크(22)와 제2지지링크(62)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링크(22)와 제2지지링크(62)의 하단은 링크가이드부재(12)의 슬라이드공(121)에 삽입되며, 상기 제1지지링크(22)와 제2지지링크(62)의 외부에는 제1지지샤프트(21)와 제2지지샤프트(61)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S)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링크(22)는 제1지지샤프트(2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지지샤프트(21)의 외주면에 베어링(211)을 결합하고, 상기 베어링(211)에 제1지지링크(22)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링크가이드부재(12)는 가동바(2) 및 제2가동커버(6)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격벽(11b)의 외측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링크가이드부재(12)에는 제1지지링크(22)와 제2지지링크(62)의 하단이 삽입되는 슬라이드공(1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링크(22)의 외부에는 제1지지샤프트(21)와 링크가이드부재(12)의 사이에 스프링(S)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링크(62)의 외부에는 제2지지샤프트(61)와 링크가이드부재(12)의 사이에 스프링(S)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S)은 제1지지링크(22)와 제2지지링크(62)를 각각 돌출된 상태로 유지하여, 가동바(2)와 제2가동커버(6)가 상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S)의 탄성보다 큰 하중이 작용할 경우, 스프링(S)이 압축되면서 제1지지링크(22)와 제2지지링크(62)가 각각 외측 하향으로 하강된다. 이에 따라 지지링크(22, 62)에 결합된 지지샤프트(21, 61)의 하강에 의해 가동바(2)와 제2가동커버(6)가 경사 방향으로 하강한다.
상기 스프링(S)은 통행을 제한하고자 하는 차량의 중량에 따라 탄성이 다른 것을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동부재(3)는 제1가이드공(11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가동바(2)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1지지샤프트(21)의 일측에 밀착됨으로써 가동바(2)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동부재(3)는 가동바(2)와 일체로 형성된 제1지지샤프트(21)에 밀착되어 가동바(2)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제동부재(3)는 제1지지샤프트(21)의 상승 위치 일측에 구비되어 제1지지샤프트(21)가 상승 상태에 있을 때 가동바(2)의 회전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바(2)는 하강시 외측 하향으로 경사 이동하므로, 제1지지샤프트(21)가 제동부재(3)와 이격되면서 자연스럽게 제동이 해제된다.
상기 제동부재(3)는 지지격벽(11a, 11b)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동부재(3)는 우레탄 브레이크, 마찰패드 등을 사용 가능하다.
도 8은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가동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동커버(4)의 하부에는 제1가동커버(4)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동커버(4)는 한 쌍의 가동바(2) 사이에서 지지부재(5)에 의하여 상하로만 탄성적으로 승하강 가능하다.
1: 하우징 11a, 11b: 지지격벽
111: 제1가이드공 112: 제2가이드공
12: 링크가이드부재 121: 슬라이드공
2: 가동바 21: 제1지지샤프트
211: 베어링 22: 제1지지링크
3: 제동부재 4: 제1가동커버
5: 지지부재 6: 제2가동커버
61: 제2지지샤프트 62: 제2지지링크
7: 고정커버 S: 스프링
W: 차륜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의 내에 하우징(1)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가동바(2); 및
    상기 가동바(2)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2)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동부재(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가동바(2) 사이에는 하우징(1)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가동바(2)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2)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제1가동커버(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각 가동바(2)의 외측에는 하우징(1)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가동바(2)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동바(2)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2가동커버(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가동바(2)와 제2가동커버(6)의 양단에는 각각 제1지지샤프트(21)와 제2지지샤프트(6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의 양측 내부에는 지지격벽(11a, 11b)이 구비되되,
    상기 지지격벽(11a, 11b)에는 제1지지샤프트(21)와 제2지지샤프트(61)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것으로 하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가이드공(111)과 제2가이드공(11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지지샤프트(21)와 제2지지샤프트(61)의 단부에는 각각 제1지지링크(22)와 제2지지링크(62)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링크(22)와 제2지지링크(62)의 하단은 링크가이드부재(12)의 슬라이드공(121)에 삽입되며, 상기 제1지지링크(22)와 제2지지링크(62)의 외부에는 제1지지샤프트(21)와 제2지지샤프트(61)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S)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제동부재(3)는 제1가이드공(11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가동바(2)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1지지샤프트(21)의 일측에 밀착됨으로써 가동바(2)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제한 장치.
KR1020180146270A 2018-11-23 2018-11-23 차량 진입 제한 장치 KR20200060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270A KR20200060989A (ko) 2018-11-23 2018-11-23 차량 진입 제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270A KR20200060989A (ko) 2018-11-23 2018-11-23 차량 진입 제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989A true KR20200060989A (ko) 2020-06-02

Family

ID=7109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270A KR20200060989A (ko) 2018-11-23 2018-11-23 차량 진입 제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09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78U (ko) * 2022-03-18 2023-09-26 안종욱 차량 역주행 방지턱
KR102604244B1 (ko) * 2023-06-01 2023-11-17 이선근 주차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78U (ko) * 2022-03-18 2023-09-26 안종욱 차량 역주행 방지턱
KR102604244B1 (ko) * 2023-06-01 2023-11-17 이선근 주차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0989A (ko) 차량 진입 제한 장치
KR101663461B1 (ko) 개폐가능 펜스
CN102548826A (zh) 铁路车辆用门结构
JP3595030B2 (ja) プラットホ−ムの簡易可動柵
KR20080081119A (ko) 슬라이딩 도어의 이탈방지용 잠금부재, 걸림부재 및 이들로 구성된 슬라이딩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518136B1 (ko)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KR100656844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 가이드 장치
KR101734034B1 (ko) 폴딩 도어용 하부 레일
KR101637307B1 (ko) 스텝 장치
JP4607843B2 (ja) 縁石兼排水溝ユニット
US9150386B2 (en) Wind energy installation working gantry and wind energy installation
CN117916426A (zh) 可变滑动式人孔安全防护装置
JP3626231B2 (ja) 動物の自動車道路への侵入防止構造
KR20160046197A (ko) 그레이팅 안전 출입장치
EP1582404A2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ramp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0379353B1 (ko) 회전문의 문 지지기구
JP2004107089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0969033B1 (ko)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
JP2009091820A (ja) 扉用滑走装置
JP2006273264A (ja) ホームドア用侵入防止柵及びホームドア装置
JP4383774B2 (ja) エレベータドア遮蔽装置
KR102255164B1 (ko)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도어 어셈블리
KR20200002444U (ko) 도어용 문틀 프레임
KR100788408B1 (ko) 안전부재를 구비한 ps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