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033B1 -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 - Google Patents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033B1
KR100969033B1 KR1020040106937A KR20040106937A KR100969033B1 KR 100969033 B1 KR100969033 B1 KR 100969033B1 KR 1020040106937 A KR1020040106937 A KR 1020040106937A KR 20040106937 A KR20040106937 A KR 20040106937A KR 100969033 B1 KR100969033 B1 KR 100969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swing
low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285A (ko
Inventor
남찬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03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60Y2200/1432Low floor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러쉬의 마모 및 영구변형을 방지하고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여 외기 유통 및 소음 투과 방지를 확실히 하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는, 탑승면에 경사가 형성된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단 일측에는 도어의 가로방향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된 플레이트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탑승면에 구름 접촉되며 플레이트를 탑승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플레이트가 하방으로 탄지되도록 탄성체가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외기 유통 및 소음 투과 방지용 부재가 설치되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시 경사진 탑승면을 따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플레이트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기 유통 및 소음 투과 방지용 부재는 브러쉬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Description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SWING-IN DOOR OF LOW-FLOOR BUS FOR MINIMIZING LOW-END GAP}
도 1은 종래의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스윙-인 도어를 A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스윙-인 도어의 하부를 B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a는 도 2의 C 방향에서 바라본 스윙-인 도어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도 2의 D 방향에서 바라본 스윙-인 도어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
도 4c는 도 4a의 E-E 단면도;
도 4d는 도 4b의 F-F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스윙-인 도어의 정면도;
도 6a는 스윙-인 도어가 닫혔을 때 하부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스윙-인 도어가 열렸을 때 하부를 나타낸 도면;
도 6c는 도 6a의 G-G 단면도; 그리고,
도 6d는 도 6b의 H-H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윙-인 도어 2: 브러쉬
4: 플로어 41: 탑승면
31: 플레이트 32: 힌지
33: 브러쉬 34: 가이드볼
35: 하우징 36: 스프링
본 발명은 탑승면이 경사진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의 하부에 플레이트의 일측을 힌지연결하고, 플레이트의 타측에 탑승면과의 가이드수단을 구비하여 도어 개폐시 탑승면을 따라 플레이트가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시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행중인 초저상(low-floor) 버스는 중비 도어로 스윙-인 도어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윙-인 도어(1)를 A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스윙-인 도어(1)의 하부를 B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은 버스 실내에서 도어(1)를 바라본 형태이고, 도 2는 도면에서 보았을 때 도어(1)의 윗부분이 실외이며 도어(1)의 아랫부분이 실내가 된다. 스윙-인 도어(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의 외면이 바깥을 향하도록 실내로 들어오면서 열리는 구조를 한다.
일반 고상(high-floor) 버스의 경우에는 승객 탑승용 계단이 플로어와의 단차를 충분히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승객 탑승시 별도의 물빠짐을 위한 바닥 경사가 필요없으나, 초저상 버스는 플로어(4)가 낮고 탑승면(41) 자체가 계단이 없이 평면 이므로 빗물의 실내 유입을 방지하고 승객의 탑승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탑승면(41)에 약 3.58도 정도의 경사를 두고 있다. 일예로 도어(1) 한쪽의 폭이 650mm라면 탑승면 경사화에 따른 플로어(4) 부위의 단차(m)는 650 × tan(3.58°)로서 약 40mm 정도가 된다.
경사진 탑승면(41) 상에서 궤적을 형성하는 중비 도어의 하부는,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 기밀을 최대화시켜야 하며, 열린 상태에서는 바닥면과 간섭이 없어야 하는 모순된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스윙-인 도어(1)의 하부에는 브러쉬(2)가 설치되어 있다. 일예로 든 40mm의 단차가 있는 경우, 브러쉬(2)는 약 60mm 정도가 되는 길이로 설치하고 있다.
단차가 40mm인 경우 브러쉬(2)를 그보다 더 긴 길이인 60mm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도어(1)가 열렸을 때에도 플로어(4)와 도어(1) 하부 사이에 간격(n; 일예에서는 약 20mm)을 주기 위해서이다. 도어(1)가 열렸을 때 플로어(4)와 도어(1) 사이에 간격이 없게 되면 브러쉬(2)가 과도하게 꺾여 영구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a는 도 2의 C 방향에서 바라본 스윙-인 도어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도 2의 D 방향에서 바라본 스윙-인 도어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 도 4c는 도 4a의 E-E 단면도, 그리고 도 4d는 도 4b의 F-F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듯이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는 브러쉬(2)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펼쳐져 있다. 상술하였듯이, 탑승면(41)의 단차(m), 플로어(4)와 도어(1) 하부 사이에 두어야 하는 간격(n) 때문에 브러쉬(2)의 길이가 길게 될 수 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4b는 도어(1)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것인데, 탑승면(41)의 높은 쪽에는 도 4d에 도시되어 있듯이 브러쉬(2)가 휘게 된다.
위와 같이 브러쉬(2)의 길이가 길어지면 도어(1)를 닫은 상태에서 하부 기밀이 충분하지 못하여 주행시 외부 공기 입출에 따른 냉난방 효율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승객의 불만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도어(1) 개폐의 횟수가 많아질수록 브러쉬(2)가 영구 변형되어 도어(1)를 닫았을 때에도 브러쉬(2) 하단과 플로어(4) 간에 간격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탑승면(41)에 승하차하는 사람들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부착된 논-슬립 테이프가 브러쉬(2)와 마찰하여 금방 닳아버리기 때문에 운송회사 측에서 불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도어 개폐시 도어 주변의 승객의 발(신발)이 도어(1)와 플로어(4) 사이의 간격(m, n)에 끼게 되어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하부 일측에 플레이트를 힌지연결하고, 플레이트의 타측에 탑승면과의 가이드수단을 구비하고 플레이트가 탑승면에 밀착되도록 스프링으로 탄지시키며 플레이트의 하부에 짧은 길이의 브러쉬를 설치하여서, 도어와 플로어와의 간격을 최소화시키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브러쉬의 마모 및 영구변형을 방지하여 외기 유통 및 소음 투과를 방지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탑승면에 경사가 형성된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단 일측에는 도어의 가로방향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된 플레이트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탑승면과의 마찰을 줄이고 플레이트와 플로어 면 간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플레이트가 하방으로 탄지되도록 탄성체가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외기 유통 및 소음 투과 방지용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시 경사진 탑승면을 따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플레이트가 상하로 움직여 도어와 플로어와의 간격을 최소화시키면서 유지함으로써 외기 유통 및 소음 투과 방지용 부재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고, 플로어와의 마찰에 의한 브러쉬의 변형과 논-슬립 테이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 끼임 등에 의한 안전사고의 예방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외기 유통 및 소음 투과 방지용 부재는 브러쉬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스윙-인 도어(1)의 정면도이다. 스윙-인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 보았을 때 양측 도어가 맞닿는 측 하부에서 플레이트 (31)가 도어(1)와 힌지(32) 연결되어 있다. 플레이트(31)의 하부에는 짧은 길이(일예로는 대략 10mm정도)의 브러쉬(33)가 외기 유통 및 소음 투과 방지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도 6a는 스윙-인 도어(1)가 닫혔을 때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도 5의 우측 도어의 하부를 확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어(1)와 힌지(32) 연결된 플레이트(31)의 타측 하부에는 탑승면(41)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탑승면(41)과 플레이트(31)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인 가이드볼(34)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볼(34)은 탑승면(41)에 구름 접촉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인 가이드볼(34)은 플레이트(31)와 플로어(4) 사이에 구비되되, 저면이 플로어(4)의 탑승면(41)에 구름 접촉된 상태로 도 6a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플레이트(31)의 우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를 통해 플레이트(31)와 플로어(4)를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1)를 이동시키면, 가이드볼(34)이 플로어(4)의 탑승면(41)을 따라 구름 접촉함으로써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어(1)에는 플레이트(31)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35)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35)의 내부에서 플레이트(31)의 가이드볼(34)이 설치된 측 상부에는 스프링(36)이 설치되어 있어서, 탄성력이 플레이트(31)를 힌지점(32)을 중심으로 아래로 밀도록 하고 있다. 스프링(36)의 위치는 반드시 플레이트(31)의 타측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플레이트(31)가 아래로 탄지되도록 설치되면 족하다.
도 6b는 스윙-인 도어가 열렸을 때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어(1)가 열리면 플레이트에서 스프링(36) 및 가이드볼(34)이 설치된 측이 탑승면(41) 위쪽으로 타고 올라가게 된다. 힌지(32) 때문에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31)는 탑승면(41)의 경사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높이 조절은 탑승면(41)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가이드볼(34)에 의해 더 잘 이루어진다. 또한 도어(1)가 열린 상태에서 스프링(36)이 작용하기 때문에 플로어와의 밀착도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6c는 도 6a의 G-G 단면도이고, 도 6d는 도 6b의 H-H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도어(1)가 열리어 도어(1)의 일측이 탑승면(41)을 타고 올라가게 되더라도 브러쉬(33)는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브러쉬(33)의 마모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33)의 영구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1)와 플로어(4)와의 간격을 둘 필요가 없으므로 틈새를 최소화(예를 들면, 10mm 이내)하는 것이 가능하여 발끼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는 도어 기밀성을 증대시켜 냉난방 성능 및 소음 투과 성능을 개선하고, 브러쉬 및 바닥면 논-슬립 테이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도어 하부 틈새에 승객의 발이 끼는 등의 승객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의 영구변형에 따른 차량의 외관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

  1. 탑승면에 경사가 형성된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단 일측에는 도어의 가로방향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된 플레이트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탑승면에 구름 접촉되며 플레이트를 탑승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플레이트가 하방으로 탄지되도록 탄성체가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외기 유통 및 소음 투과 방지용 부재가 설치되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시 경사진 탑승면을 따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플레이트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통 및 소음 투과 방지용 부재는 브러쉬 또는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
KR1020040106937A 2004-12-16 2004-12-16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 KR100969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937A KR100969033B1 (ko) 2004-12-16 2004-12-16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937A KR100969033B1 (ko) 2004-12-16 2004-12-16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285A KR20060068285A (ko) 2006-06-21
KR100969033B1 true KR100969033B1 (ko) 2010-07-09

Family

ID=3716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937A KR100969033B1 (ko) 2004-12-16 2004-12-16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961B1 (ko) * 2012-12-04 2018-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도어용 브러시
CN105437932A (zh) * 2015-11-26 2016-03-30 苏州江南航天机电工业有限公司 一种车辆平移式电动顶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747B1 (ko) * 2008-06-18 2010-02-05 (주)에이디에스레일 저상 버스용 전기식 오픈닝 출입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747B1 (ko) * 2008-06-18 2010-02-05 (주)에이디에스레일 저상 버스용 전기식 오픈닝 출입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285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2684B2 (en) Railcar door apparatus and railcar
JP2011213226A (ja) 軌条車両
KR100969033B1 (ko) 하단 틈새를 최소화하는 초저상 버스용 스윙-인 도어
EP1476629B1 (en) Combined weather seal, light block and wear insert for overhead door panel
JP4416435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JP4644721B2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装置
KR101734034B1 (ko) 폴딩 도어용 하부 레일
JP487671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4107089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200060989A (ko) 차량 진입 제한 장치
JP5507480B2 (ja) 屋外設置型エレベーター
JP5253783B2 (ja) 鉄道車両用引戸装置
EP1650393A1 (en) Door with protection element
KR20130032181A (ko)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US9212027B1 (en) Gate system for residential elevators
KR200485400Y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RU2800155C1 (ru) Внутренняя распашная дверь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профилем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внутренней распашной дверью
JP2009167764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のセンタレール構造
JP4266763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場ドア装置
KR100778792B1 (ko) 플랫폼스크린도어용 가이드장치
KR200254820Y1 (ko) 도어의 하부공간 차단장치
KR101200511B1 (ko) 철도차량용 출입문 결빙 방지장치
JP5678557B2 (ja) 遮煙部材を備えた扉装置
KR200460162Y1 (ko) 엘리베이터 스크린 도어 슬라이딩 안내장치
KR100788408B1 (ko) 안전부재를 구비한 ps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