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293Y1 -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293Y1
KR200497293Y1 KR2020200003569U KR20200003569U KR200497293Y1 KR 200497293 Y1 KR200497293 Y1 KR 200497293Y1 KR 2020200003569 U KR2020200003569 U KR 2020200003569U KR 20200003569 U KR20200003569 U KR 20200003569U KR 200497293 Y1 KR200497293 Y1 KR 200497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guidance
movement
operating space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335U (ko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2020200003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93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8Details of bottom or upper slats or thei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는 설치 프레임(WF)의 아래쪽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작동 공간(OS1, OS2); 하부 작동 공간(OS1)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유도 모듈; 및 측면 작동 공간(OS2)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이동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A Blind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an Area Exposed to an Outside}
본 고안은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블라인드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부에 대하여 노출되는 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햇빛 또는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블라인드는 외부에 대한 노출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블라인드는 주로 창호 시스템과 결합될 수 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블라인드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등록번호 10-1762067은 건물 창호의 이중 유리 내부에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창호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공개번호 10-2012-0053751는 이중 창호 내 중공 층을 확보하여 에너지의 소비를 감소시키면서 블라인드의 요동을 최소화하여 작동 소음을 줄이는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 창호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블라인드는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추가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외부에 대한 노출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창문 또는 채광 도어가 외부 지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블라인드는 외부에 대한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진 블라인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10-1762067(이선중, 2017.08.,04. 공고)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 창호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12-0053751(현대엠코 주식회사, 2012.06.29. 공개)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 상호 시스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라인드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이동되어 외부에 대한 노출 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이드 장치는 설치 프레임(WF)의 아래쪽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작동 공간; 하부 작동 공간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유도 모듈; 및 측면 작동 공간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이동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끝 부분에 형성된 위치 고정 유닛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설치 프레임의 외부에 형성되는 방습 차폐 블록 및 방습 차폐 블록의 외부에 형성되는 기밀 층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는 다양한 창호 시스템 또는 도어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저층에 설치된 창문에 블라인드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층에 설치되어 블라인드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이동되어 아래쪽 부분을 차단하여 실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는 건물의 다양한 위치의 창호 시스템에 설치되어 노출 영역이 아래쪽으로부터 조절되도록 하여 블라인드 기능의 효용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는 이중 창호를 비롯한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창호 시스템 또는 도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가 이중 창호 시스템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에 적용되는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에 적용되는 밀폐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고안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는 설치 프레임(WF)의 아래쪽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작동 공간(OS1, OS2); 하부 작동 공간(OS1)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유도 모듈; 및 측면 작동 공간(OS2)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이동 모듈을 포함한다.
블라인드 장치는 다양한 창호 시스템 또는 도어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고, 설치 프레임(WF)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테두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설치 프레임(WF)은 창호 시스템 또는 도어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고, 금속, 합성수지, 목재 또는 이와 유사한 이 분야에서 공지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설치 프레임(WF)에 작동 공간(OS1, OS2)이 형성될 수 있고, 작동 공간(OS1, OS2)은 설치 프레임(WF)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설치 프레임(WF)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하부 작동 공간(OS1)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작동 공간(OS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작동 공간(OS1, OS2)에 유도 모듈 및 이동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도 모듈은 하부 작동 공간(OS1)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블라인드(B)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도 모듈은 블라인드(B)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하부 작동 공간(OS1)과 측면 작동 공간(OS2)을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작동 유도 유닛(11); 하부 작동 공간(OS1)에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제1, 2 이동 유도 유닛(12a, 12b); 및 작동 유도 유닛(11)과 제1, 2 이동 유도 유닛(12a, 12b)을 연결하는 선형 유도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유도 부재(121)는 하부 작동 공간(OS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각각 회전 가능한 롤러, 휠, 드럼 또는 이와 유사한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작동 유도 유닛(11) 및 제1, 2 이동 유도 유닛(12a, 12b)이 선형 유도 부재(12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2 이동 유도 유닛(12a, 12b)에 블라인드(B)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조절 스트립(171, 172)이 결합될 수 있고, 제1, 2 이동 유도 유닛(12a, 12b)에 블라인드(B)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 스트립(181, 182)이 결합될 수 있다. 블라인드(B)는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조절 스트립(171, 17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다수 개의 블라인드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작동 공간(OS2)은 설치 프레임(WF)의 측면에 형성되어 수직 방향을 연장되면서 하부 작동 공간(OS1)의 한쪽 끝과 연결될 수 있고, 연결 부분에 작동 유도 유닛(11)이 배치될 수 있다. 블라인드(B)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은 측면 작동 공간(OS1) 또는 측면 자유 공간(FS)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모듈은 작동 스트링(S1, S2)를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 블록(13); 방향 스트립(181, 182)을 작동시키는 방향 조절 유닛(16); 작동 스트링(S1, S2)의 일부를 고정하면서 작동 스트링(S1, S2)의 한쪽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고정 유도 유닛(14); 및 작동 스트링(S1, S2)을 한쪽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라인드(B)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조절 유닛(15)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블록(13)은 작동 스트링(S1, S2)가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하면서 장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2 작동 스트링(S1, S2)의 유도를 위한 유도 홈 또는 유도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도 유닛(14)의 한쪽 부분에 제1, 2 방향 스트립(181, 182)과 연결된 제2 작동 스트링(S2)이 고정될 수 있고, 제1 작동 스트링(S1)은 고정 유도 유닛(14)에 의하여 유도되어 이동 조절 유닛(15)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작동 스트링(S2)에 방향 조절 유닛(16)이 결합되어 블라인드(B)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동 조절 유닛(15)에 방향 전환 유닛(151)이 형성될 수 있고, 방향 전환 유닛(151)에 제1 작동 스트링(S1)이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조절 유닛(15)이 측면 작동 공간(OS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블라인드(B)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고, 블라인드(B)는 아래쪽 부분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노출이 차단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작동 스트링(S1)은 하부 작동 공간(OS1)을 따라 연장되는 이동 스트링(MS)과 연결될 수 있고, 이동 스트링(MS)에 결합된 제1, 2 이동 유도 유닛(12a, 12b)의 회전에 의하여 블라인드(B)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조절 유닛(15)의 상하 이동에 따라 조절 스트립(171, 172)과 방향 스트립(181, 182)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조절 스트립(171, 172) 또는 방향 스트립(181, 182)은 선택적으로 블라인드(B)가 위쪽으로 이동되면서 함께 이동될 수 있고, 이동된 위치에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스트립(181, 182)은 선형으로 유지되면서 제1, 2 이동 유도 유닛(181, 182)에 감길 수 있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스트립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동 조절 유닛(15)의 작동에 따라 블라인드(B)는 설치 프레임(WF)의 내부에 형성된 경계 벽(BG1, BG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블라인드(B)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유지되는 경우 아래쪽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블라인드(B)가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라인드(B)의 끝 부분에 위치 고정 유닛(191, 192)이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유닛(191, 191)은 예를 들어 블라인드(B)의 위쪽 끝 부분에 배치된 블라인드 날개의 양쪽 끝 부분에 형성되거나, 위쪽 부분에 배치된 다수 개의 블라인드 날개의 양쪽 끝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유닛(191, 192)은 예를 들어 약한 자기장을 가지는 자석과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치 고정 유닛(191, 192)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가 이중 창호 시스템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라인드 장치는 이중 창호 시스템에 적용되고, 두 개의 윈도우(W1, W2)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윈도우(W2)가 설치 프레임(WF)의 뒤쪽 부분에 결합되고, 하부 작동 공간(OS1) 및 측면 작동 공간(OS2)에 각각 유도 모듈 및 작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윈도우(W1)가 설치 프레임(WF)의 앞쪽에 결합되면서 두 개의 윈도우(W1, W2)의 사이에 배치된 블라인드를 밀폐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윈도우(W2)의 측면에 이동 가이드(23)가 형성될 수 있고, 이동 가이드(23)를 따라 이동 블록(15a) 및 방향 블록(16a)이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블록(15a) 및 방향 블록(16a)에 의하여 이동 조절 유닛(15) 및 방향 조절 유닛(16)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블라인드(B)가 상하로 이동되고, 블라인드(B)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설치 프레임(WF)의 한쪽 가장자리에 이동 블록(15a) 및 방향 블록(16a)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벽(22)이 형성될 수 있고, 설치 프레임(WF)의 둘레 면에 기밀 층(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블록(15a) 또는 방향 블록(16a)은 이동 가이드(23)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동 조절 유닛(15) 또는 방향 조절 유닛(16)에 결합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에 적용되는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2 이동 유도 유닛(12a, 12b)은 각각 유도 몸체(31); 유도 몸체(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유도 롤러(311); 및 이동 스트립 또는 방향 스트립(181)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 홀(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유도 유닛(11)은 이동 유도 유닛(12a, 12b)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작동 유도 몸체(32); 작동 유도 몸체(3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작동 롤러(321); 및 작동 유도 몸체(32)의 한쪽에 형성되어 작동 스트링을 유도하는 유도 홀(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 작동 공간에 설치되는 고정 유도 유닛(14)은 설치 프레임의 한쪽 벽을 형성하는 프레임 벽(FW)에 고정될 수 있고, 블라인드의 이동을 유도하는 스트링이 유도되는 유도 부분(141) 및 방향 스트립(181)의 방향을 조절하는 스트링이 고정되는 고정 부분(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향 스트립(181)은 직선 형상을 유지하면서 유도 롤러(311)에 감길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의 블라인드 날개의 한쪽 끝이 결합되는 방향 탭(18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조절 유닛(15) 및 방향 조절 유닛(16)은 각각 결합 몸체(151, 161) 및 자성 유닛(151, 161)을 포함할 수 있고, 이동 조절 유닛(15)은 추가로 이동 롤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조절 유닛(15) 및 방향 조절 유닛(16)은 각각 자성에 의하여 이동 블록(15a) 및 방향 블록(16a)과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조절 유닛(15) 또는 방향 조절 유닛(16)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에 적용되는 밀폐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설치 프레임(WF)의 외부에 형성되는 방습 차폐 블록(41) 및 방습 차폐 블록(41)의 외부에 형성되는 기밀 층(21)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모듈이 설치 프레임(WF)의 아래쪽에 설치되면 외부로부터 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설치 프레임(WF)의 둘레 면에 방습 차폐 블록(41)이 형성되고, 방습 차폐 블록(41)의 둘레 면에 기밀 층(21)이 형성될 수 있다. 방수 차폐 블록(41)은 예를 들어 방습제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또는 이와 유사한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기밀 층(21)은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부 작동 공간의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압 배출 탭(43)이 형성될 수 있고, 가압 배출 탭(43)에 예를 들어 압력 펌프와 같은 배출 수단이 연결되어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블라인드(B)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각각의 블라인드 날개(B_1 내지 B_N)은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이 되거나, 아래쪽으로 볼록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블라인드 날개(B_1 내지 B_N)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 부재(42)가 설치될 수 있고, 형상 부재(42)는 블라인드(B)와 함께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형상 부재(42)는 각각의 블라인드 날개(B_1 내지 B_N)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이동되는 블라인드(B)가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
블라인드 장치는 두 개의 윈도우(W1, W2)의 사이에 설치되는 밀폐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창호 시스템 또는 도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는 다양한 창호 시스템 또는 도어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저층에 설치된 창문에 블라인드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층에 설치되어 블라인드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이동되어 아래쪽 부분을 차단하여 실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는 건물의 다양한 위치의 창호 시스템에 설치되어 노출 영역이 아래쪽으로부터 조절되도록 하여 블라인드 기능의 효용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는 이중 창호를 비롯한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창호 시스템 또는 도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작동 유도 유닛 12a, 12b: 이동 유도 유닛
13: 유도 블록 14: 고정 유도 유닛
15: 이동 조절 유닛 16: 방향 조절 유닛
21: 기밀 층 22: 가이드 벽
23: 이동 가이드 31: 유도 몸체
32: 작동 유도 몸체 41: 방습 차폐 블록
42: 형상 부재 43: 가압 배출 탭
121: 선형 유도 부재 151: 방향 전환 유닛
171, 172: 조절 스트립 181, 182: 방향 스트립
191, 192: 위치 고정 유닛

Claims (2)

  1. 사각형 테두리 형상의 설치 프레임(WF)의 아래쪽에 설치된 하부 작동 공간(OS1)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작동 공간(OS2);
    하부 작동 공간(OS1)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유도 모듈; 및
    측면 작동 공간(OS2)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블라인드(B)는 하부 작동 공간(OS1)에 배치된 블라인드 유도 모듈에 의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이동되고,
    블라인드 유도 모듈은 하부 작동 공간(OS1)과 측면 작동 공간(OS2)을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작동 유도 유닛(11); 하부 작동 공간(OS1)에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제1, 2 이동 유도 유닛(12a, 12b); 및 작동 유도 유닛(11)과 제1, 2 이동 유도 유닛(12a, 12b)을 연결하고 하부 작동 공간(OS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선형 유도 부재(121)를 포함하고,
    블라인드(B)를 설치 프레임(WF)의 내부에 형성된 경계 벽(BG1, BG2)을 따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시켜 아래쪽 부분을 차단하도록 다수 개의 블라인드 날개에 연결되고 제1, 2 이동 유도 유닛(12a, 12b)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조절 스트립(171, 172); 제1, 2 이동 유도 유닛(12a, 12b)에 각각 결합되어 블라인드(B)의 방향을 조절하는 한 쌍의 방향 스트립(181, 182); 및 블라인드(B)의 위쪽 끝 부분에 배치된 블라인드 날개의 양쪽 끝 부분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 고정 유닛(191, 192)을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제1, 2 이동 유도 유닛(12a, 12b)은 각각 유도 몸체(31); 유도 몸체(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유도 롤러(311); 및 방향 스트립(181)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 홀(3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치 프레임(WF)의 외부에 형성되는 방습 차폐 블록(41) 및 방습 차폐 블록(41)의 외부에 형성되는 기밀 층(21)을 더 포함하는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
KR2020200003569U 2019-07-31 2020-10-05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 KR200497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569U KR200497293Y1 (ko) 2019-07-31 2020-10-05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87 2019-07-31
KR2020200003569U KR200497293Y1 (ko) 2019-07-31 2020-10-05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187 Division 2019-07-31 2019-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35U KR20210000335U (ko) 2021-02-10
KR200497293Y1 true KR200497293Y1 (ko) 2023-09-22

Family

ID=7456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569U KR200497293Y1 (ko) 2019-07-31 2020-10-05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9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793A (ja) * 2002-03-28 2003-10-10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
KR101931718B1 (ko) * 2017-10-24 2018-12-21 오정현 이중유리 내부에 설치되는 주름 스크린식 블라인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591B1 (ko) 2010-11-18 2013-01-16 현대엠코 주식회사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창호 시스템
KR101762067B1 (ko) 2016-04-01 2017-08-04 이선중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창호.
KR101871459B1 (ko) * 2016-08-23 2018-08-02 이지영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793A (ja) * 2002-03-28 2003-10-10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
KR101931718B1 (ko) * 2017-10-24 2018-12-21 오정현 이중유리 내부에 설치되는 주름 스크린식 블라인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35U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2921A (en) Roller screen assembly for an aperture
US20200048960A1 (en) Coil brush curtain assembly
USRE35926E (en) Venetian- or pleated blinds, particularly for multiple pane insulating glass window
KR100859269B1 (ko) 브라인더형 커텐장치
KR200497293Y1 (ko) 노출 차단 영역 조절 구조의 블라인드 장치
KR20090088664A (ko) 이동 차양막판을 구비한 케노피 구조물
KR101896736B1 (ko) 결로방지 롤 블라인드 창호 시스템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US3097688A (en) Bay closure device with built-in blind
CN107701070B (zh) 薄型活动中置遮阳装置
CN211692012U (zh) 一种带隐蔽开启扇的玻璃幕墙
IT201800004685A1 (it) Dispositivo frangisole per la schermatura di radiazione luminosa
KR102129388B1 (ko) 채광루버형 일사조절장치
KR102525793B1 (ko) 세이프 도어용 커버 조립식 프레임 구조
EP4006253A1 (en) Roof window comprising sash with hinged outer weather shield
EP3859120B1 (en) A screening arrangement for a skylight window, a skylight window comprising such a screening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screening arrangement in a skylight window
JPH031987Y2 (ko)
KR101502471B1 (ko) 내충격성 플렉시블 소재를 이용한 칸막이 시스템
JP4109691B2 (ja) 窓装置
EP4177437A1 (en) Screening arrangement comprising a light-proofing element
JPS623520Y2 (ko)
JP2008038477A (ja) 窓装置
JP2660903B2 (ja) スライデイングサッシ
JPS60184184A (ja) ブラインド内蔵二重ガラス窓
KR200423532Y1 (ko) 계단식 유리지붕 건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