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190Y1 -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190Y1
KR200497190Y1 KR2020210002956U KR20210002956U KR200497190Y1 KR 200497190 Y1 KR200497190 Y1 KR 200497190Y1 KR 2020210002956 U KR2020210002956 U KR 2020210002956U KR 20210002956 U KR20210002956 U KR 20210002956U KR 200497190 Y1 KR200497190 Y1 KR 200497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low
absorbent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691U (ko
Inventor
송헌재
장상득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2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190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6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6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1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키고 태양광으로 인한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과 결합되어 내부에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램프 조립체, 및 상기 램프 조립체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램프 조립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부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버 내부에 수용되는 흡습제, 및 상기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흡습제를 탄성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Dehumidifier of lamp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습기로 인한 배광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시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램프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온도차나 비, 눈 등의 침투로 인하여 습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차량용 램프에 습기가 발생하는 경우 조도가 저하되고 습기에 의한 난반사 등으로 인하여 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단축되게 된다.
따라서, 차량용 램프에 발생하는 습기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배광 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차량의 안전 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57216호 (2003.09.12. 공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램프 조립체 내부의 습기를 흡습제를 통해 제거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램프 조립체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제의 위치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버 내부에 수용되는 흡습제; 및 상기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흡습제를 탄성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중공이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이 상기 중공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일부가 다른 일부와 상기 중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양단의 두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타단이 상기 흡습제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일단에 비하여 타단이 상기 흡습제의 일면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내측단은 일정한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외측단 중 일부는 다른 일부와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하는 움직임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제한부는, 상기 중공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 홈; 및 상기 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리브는, 상기 고정 홈으로부터 상기 흡습제를 향하도록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중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커버로부터 상기 중공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리브와 일면이 서로 맞닿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리브의 일면에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결합 부재의 단부가 통과하여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결합 홈에 결합되도록 하는 통과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램프 조립체 내부의 습기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배광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차량의 안전 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램프 조립체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제의 위치를 고정하는 브라켓이 흡습제의 부피 변화에 따라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가 장착되는 램프 조립체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도시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결합되는 커버가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결합되는 커버가 도시된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결합되는 커버가 도시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습제의 부피 증가로 인하여 탄성 변형되는 탄성 부재가 도시된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100)는 커버(110), 흡습제(120) 및 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100)는 도 5와 같이 램프 하우징(210)과 램프 하우징(210)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렌즈(220)를 포함하는 램프 조립체(200)에 장착되어 램프 조립체(2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가 제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램프 조립체(200)가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램프 조립체(200)는 헤드 램프 뿐만 아니라, 포그 램프, 포지션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용도의 램프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100)가 램프 하우징(2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장착 홀(211)에 후크 결합, 끼움 결합, 나사 결합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정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100)는 램프 조립체(200) 내부에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과 더불어 물, 먼지 등의 이물질이 램프 조립체(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램프 조립체(200)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의 교체를 위하여 램프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커버(110)는 내부에 흡습제(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11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램프 조립체(200)에 장착 시 램프 조립체(200) 내부의 습기가 제거되도록 개구부(110a)가 램프 조립체(200) 내부를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커버(110)는 전술한 후크 결합, 끼움 결합, 나사 결합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램프 하우징(210)의 장착 홀(211)에 장착되어 장착 홀(211)이 차폐되도록 함으로써, 램프 조립체(200) 내부로 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습제(120)는 램프 조립체(200)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여 램프 조립체(20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흡수되는 습기에 따른 포화도에 따라 흡습제(120)의 부피가 달라질 수 있다.
브라켓(130)은 커버(110)와 결합되어 커버(110)에 수용되는 흡습제(1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흡습제(120)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결합되는 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결합되는 커버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결합되는 커버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브라켓(130)은 중공(131a)이 형성되는 프레임(131) 및 프레임(131)으로부터 중공(131a)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1)은 커버(110)에 결합되어 커버(110) 및 브라켓(13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31)이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131)은 브라켓(130)이 결합되는 커버(110)의 개구부(110a)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31)은 나사 등과 같은 결합 부재(131b)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 홀(131c)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부재(131b)는 통과 홀(131c)을 통과하여 커버(110)에 형성된 결합 홈(111)에 결합되어 커버(110) 및 브라켓(13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흡습제(120)의 부피 변화에 따라 프레임(131)에 움직임이 발생되는 경우 흡습제(120)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흡습제(120)의 부피 변화에 따라 프레임(131)의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브라켓(130)은 프레임(131)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되는 것을 제한하는 움직임 제한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움직임 제한부(133)가 프레임(131)의 움직임을 제한한다는 것은 프레임(131)의 움직임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일정 범위 내에서만 움직임이 발생하도록 움직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움직임 제한부(133)는 프레임(131)의 중공(131a)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C) 방향과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되는 것을 제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움직임 제한부(133)는 프레임(131)의 움직임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움직임 제한부(133)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프레임(131)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하는 고정 홈(133a) 및 중심축(C) 방향으로 프레임(131)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하는 고정 리브(13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 리브(133b)는 고정 홈(133a)으로부터 흡습제(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3c)와 돌출부(133c)의 단부로부터 중심축(C)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33d)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홈(133a)에는 커버(1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112)가 삽입되어 위치하게 되고, 걸림부(133d)는 커버(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112)가 형성되는 돌출 리브(113)의 일면과 서로 맞닿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112)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복수의 고정 돌기(112)를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 돌기(112) 각각이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고정 홈(133a)의 양측에 각각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프레임(131)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112)는 단일로 구성되어 양측이 고정 홈(133a)의 양측에 각각 맞닿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133d)는 돌출 리브(113)에서 흡습제(120)를 향하는 면에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흡습제(120)의 부피 증가로 인하여 프레임(131)이 흡습제(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커버(110)에 형성되는 돌출 리브(113)와 돌출 리브(113)의 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112)를 통해 프레임(131)이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프레임(131)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구조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게 되어 구성이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레임(131)은 일부(A1)가 다른 일부(A2)와 중공(131a)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양단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중공(131a)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내측단은 일정한 반경을 가지게 되고 외측단 중 일부가 다른 일부와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흡습제(120)의 포화도가 증가하여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 후술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프레임(131)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중공(131a)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프레임(131)의 양단 두께가 모두 동일한 경우 상대적으로 프레임(131)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프레임(131)이 변형이 어려운 면이 있고 이로 인해 프레임(131)이 부러지거나 절단되는 것과 같이 프레임(131)의 파손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31)의 일부(A1)가 다른 일부(A2)와 중공(131a)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양단 두께를 서로 다르게 하고,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부위로 인하여 프레임(131)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프레임(131)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는 일단이 중공(131a)의 테두리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공(131a)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동시에 흡습제(120)의 일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흡습제(12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는 흡습제(120)의 포화도에 따라 흡습제(120)의 부피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중공(131a)의 테두리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흡습제(120)의 부피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에도 항상 흡습제(120)의 일면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흡습제(1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흡습제(120)의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가 탄성 변형되어 흡습제(120)에 과도하게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방지하여 흡습제(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는 복수의 연장부(132a, 13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연장부(132a, 132b)를 각각 제1 연장부(132a) 및 제2 연장부(132b)라 칭하기로 한다.
제1 연장부(132a) 및 제2 연장부(132b)는 일단이 중공(131a)의 테두리의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되고, 중공(131a)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타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연장부(132a) 및 제2 연장부(132b)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부(132a) 및 제2 연장부(132b)는 일단이 중공(131a)의 테두리의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되기 때문에 제1 연장부(132a) 및 제2 연장부(132b) 사이에는 이격 공간(132c)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이격 공간(132c)은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여 흡습제(120)의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 흡습제(120)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가 두 개의 연장부(132a, 132b)를 포함하며, 두 개의 연장부(132a, 132b) 사이의 이격 거리가 중공(131a)의 중심으로 갈수록 짧아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가 세 개 이상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가 세 개 이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경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두 연장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중공(131a)의 중심으로 갈수록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는 타단이 중공(131a)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동시에 흡습제(120)의 일면을 향하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흡습제(120)의 포화도가 낮아 흡습제(120)의 부피가 작은 경우에는 전술한 도 4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의 타단은 중공(131a)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흡습제(120)의 일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흡습제(120)에 의해 흡수되는 습기가 증가하여 포화도가 증가하는 경우, 흡습제(120)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는 도 11과 같이 타단이 흡습제(120)에 의해 압력을 받아 중공(131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의 타단은 흡습제(120)와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흡습제(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동시에 흡습제(120)로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흡습제(120)의 유동 발생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의 타단은 흡습제(120)로 흡수되는 습기에 따라 흡습제(120)의 부피가 달라지더라도 중공(131a)과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도록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흡습제(120)의 유동 발생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11에서 점선은 흡습제(120)의 부피가 증가하기 이전의 흡습제(120)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흡습제(120)의 부피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2)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100)는 프레임(131)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부위로 인하여 프레임(131)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움직임 제한부(133)에 의해 프레임(131)이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습 장치
110: 커버
111: 결합 홈
112: 고정 돌기
113: 돌출 리브
120: 흡습제
130: 브라켓
131: 프레임
131a: 중공
132: 탄성 부재
132a, 132b: 연장부
133: 움직임 제한부
133a: 고정 홈
133b: 고정 리브
133c: 돌출부
133d: 걸림부
200: 램프 조립체
210: 램프 하우징
211: 장착 홀
220: 커버 렌즈

Claims (9)

  1.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버 내부에 수용되는 흡습제; 및
    상기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흡습제를 탄성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중공이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이 상기 중공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일부가 다른 일부와 상기 중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양단의 두께가 서로 다르며,
    상기 브라켓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하는 움직임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제한부는,
    상기 중공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 홈; 및
    상기 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리브는,
    상기 고정 홈으로부터 상기 흡습제를 향하도록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중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커버로부터 상기 중공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리브와 일면이 서로 맞닿도록 위치되는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타단이 상기 흡습제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일단에 비하여 타단이 상기 흡습제의 일면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내측단은 일정한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외측단 중 일부는 다른 일부와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의 일면에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결합 부재의 단부가 통과하여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결합 홈에 결합되도록 하는 통과 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9. 삭제
KR2020210002956U 2021-09-29 2021-09-29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KR200497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956U KR200497190Y1 (ko) 2021-09-29 2021-09-29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956U KR200497190Y1 (ko) 2021-09-29 2021-09-29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691U KR20230000691U (ko) 2023-04-05
KR200497190Y1 true KR200497190Y1 (ko) 2023-08-28

Family

ID=8588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956U KR200497190Y1 (ko) 2021-09-29 2021-09-29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19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99Y1 (ko) * 2014-06-13 2014-11-13 주식회사 광성전자 힘살 주름이 형성된 형광등형 led 조명체
KR101567242B1 (ko) 2014-10-14 2015-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용 습기제거 장치
KR101626774B1 (ko) 2015-05-21 2016-06-02 박용국 차량 램프 제습장치
KR101937971B1 (ko) * 2017-07-04 2019-01-1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7216A (ja) 2002-03-01 2003-09-12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外装ランプ
KR20120018995A (ko) * 2010-08-24 2012-03-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용 흡습제 장착 구조
KR200491984Y1 (ko) * 2018-12-07 2020-07-1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99Y1 (ko) * 2014-06-13 2014-11-13 주식회사 광성전자 힘살 주름이 형성된 형광등형 led 조명체
KR101567242B1 (ko) 2014-10-14 2015-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용 습기제거 장치
KR101626774B1 (ko) 2015-05-21 2016-06-02 박용국 차량 램프 제습장치
KR101937971B1 (ko) * 2017-07-04 2019-01-1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691U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971B1 (ko) 차량용 램프
KR200497190Y1 (ko)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KR200487032Y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98980A (ko) 차량용 램프
KR200493836Y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56952A (ko) 차량용 램프
CN210337730U (zh) 一种前车灯总成及汽车
KR200494307Y1 (ko) 차량용 램프
KR102132870B1 (ko) 차량용 램프
CN218720990U (zh) 一种汽车前大灯
CN215570254U (zh) 一种前照灯组装单元
KR970005195Y1 (ko) 차량의 안개등
KR20140039883A (ko) 렌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0154418B1 (ko) 자동차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분실방지 구조
JP2890290B2 (ja) ストーンガード付自動車用前照灯
JP2632091B2 (ja) 自動二輪車用警告灯における取付構造
JPH0896605A (ja) 車輌用前照灯
KR200142246Y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벌브 고정 캡
KR20190062931A (ko) 차량용 램프
KR0129685Y1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방습구조
KR0140279Y1 (ko) 자동차 후방의 라이선스 플레이트 램프 고정구조
KR20190002886A (ko) 차량용 램프
KR0123030Y1 (ko) 대형 트럭의 스피드 인디케이터 램프
KR20230095374A (ko) 차량용 램프
KR200198251Y1 (ko) 자동차의 프론트 필라트림의 변형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