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984Y1 -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984Y1
KR200491984Y1 KR2020180005657U KR20180005657U KR200491984Y1 KR 200491984 Y1 KR200491984 Y1 KR 200491984Y1 KR 2020180005657 U KR2020180005657 U KR 2020180005657U KR 20180005657 U KR20180005657 U KR 20180005657U KR 200491984 Y1 KR200491984 Y1 KR 200491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ying agent
dehumidifier
dehumidifying
lamp housin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273U (ko
Inventor
이태훈
전찬화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5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98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2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9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1Mechanical transmissions for actuators
    • B60Y2400/412Screw-nut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광원을 수용하는 램프 하우징;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제; 상기 램프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습제를 수용하는 제습제 수용부; 및 상기 램프 하우징의 외부면 쪽에서 상기 제습제 수용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습제가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습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습제 수용부는, 상기 제습제가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램프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습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습제 고정면; 및 일단은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 부근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습제 고정면의 테두리 부근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함으로써, 제습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며, 제습장치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APPARATUS OF DEHUMIDIFYING IN THE LAMP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제 수용부를 램프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브라켓(braket) 없이도 제습제를 수용할 수 있는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운전자의 안전 운행을 위하여, 차량의 전면 및 후면에는 헤드램프(head lamp)와 리어램프(rear lamp) 등 차량 램프가 구비된다.
램프 하우징은 내부에 광원, 반사 장치, 제어장치, 전력 공급 장치 등을 수용하고,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은 램프 하우징에 구비된 투과부를 통해 차량 외부로 방출된다. 차량 램프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 날씨의 변동 등, 주행 환경의 변화 등 다양한 이유로 램프 하우징 내부에 습기가 유입되면, 차량 램프의 시계확보 효과가 저하되고, 이는 차량 주행시 안전 확보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 하우징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습제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램프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제습제를 설치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램프 하우징 내부에 제습제를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은, 램프 하우징의 내측면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제습제를 고정시키고, 제습제와 대향하는 브라켓(bracket)의 일면에 통공을 형성하여 제습제가 램프 하우징 내의 공기와 접촉하게 한다. 반면에, 램프 하우징 외부에 제습재를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은, 램프 하우징의 외부면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제습제를 고정시키고, 제습제와 브라켓을 덮어씌워 제습제가 램프 하우징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설치하고, 제습제와 대면하는 램프 하우징의 일면에 통공을 형성하여 제습제가 램프 하우징 내부의 공기와만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제습제의 고정을 위해 브라켓의 설치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작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흡습제 포화시 혹은 제습장치의 파손시 브라켓의 탈거 과정도 필요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 작업의 난이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특허공보 제 10-0836307호(2008.06.02. 등록)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제습제 수용부와 제습제 커버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설치 및 해체의 용이성이 확보되고, 포화된 제습제의 교환 및 파손시 수리가 용이한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다양한 용량 및 크기의 제습제를 수용할 수 있는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는 내부에 광원을 수용하는 램프 하우징;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제; 상기 램프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습제를 수용하는 제습제 수용부; 및 상기 램프 하우징의 외부면 쪽에서 상기 제습제 수용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습제가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습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습제 수용부는, 상기 제습제가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램프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습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습제 고정면; 및 일단은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 부근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습제 고정면의 테두리 부근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제 고정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습제 고정면은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제는 판상 형상을 가지며, 장착시 원기둥 형상으로 말아서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습제 수용부와 상기 제습제 커버 사이의 결합은 볼팅결합, 회전결합, 스냅핏 결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램프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제습제 수용부와 제습제 커버가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브라켓을 구비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램프 하우징의 외부면에서 제습제 수용부와 제습제 커버를 결합시키거나 분리함으로써, 제습제의 설치 및 해체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화된 제습제를 교체하거나 제습장치의 파손시 수리하는 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제습제 커버 또는 제습제 수용부의 깊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용량 및 크기를 가진 제습제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주행환경의 변화시 제습습장치의 제습력을 손쉽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 커버와 결합한 제습제 수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와 제습제 커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와 결합한 제습제 커버와 제습제 수용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 커버가 제습제 수용부에 회전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6의 A-A선을 따라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 차량 램프는 헤드램프, 주간주행등, 안개등, 후미등 등 차량에 구비된 모든 종류의 램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습제 커버와 결합한 제습제 수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제습제 커버와 제습제 수용부의 결합을 명확히 도시하기 위하여, 제습제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는 내부에 광원을 수용하는 램프 하우징(100), 상기 램프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제(300), 상기 램프 하우징(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습제(300)를 수용하는 제습제 수용부(110) 및 상기 램프 하우징(100)의 외부면 쪽에서 상기 제습제 수용부(110)와 결합하여 제습제가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습제 커버(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습제 수용부(110)는, 상기 제습제(300)가 상기 램프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램프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램프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습제(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습제 고정면(111) 및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의 일부분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습제 고정면(111)의 테두리 상의 일부분과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 하우징(100)의 내측 공간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제습제 수용부(110)의 내부에 제습제 커버(200)에 거치된 제습제(300)를 수용하고, 램프 하우징(100)의 외부면에서 제습제 수용부(110)와 제습제 커버(200)를 결합시킴으로써 램프 하우징(10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습제 수용부(110)는 램프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는 별도의 브라켓(bracket)을 구비하여 제습제를 램프 하우징(100)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램프 하우징(100)의 일면에 통공을 형성하고, 통공 형성부의 외부면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제습제를 고정시킨 후, 램프 하우징(100)의 외부면에 제습제 및 브라켓을 덮어 씌우는 커버를 설치하거나 하우징의 내측면에 개방구가 형성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제습제를 고정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브라켓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브라켓으로 제습제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이에 비해,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는 제습제 수용부(110)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별도의 브라켓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제습제(300)를 제습제 수용부(110) 내부에 수납시키는 것으로 브라켓을 이용한 설치 작업을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는 브라켓 설치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제조 작업을 단순화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래의 방식은 제습장치의 파손시 브라켓의 해체작업이 요구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 자체를 분리하여야만 제습장치에 접근할 수 있다는 한계도 있다. 반면에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에 따르면, 제습제 커버(200)를 램프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쉽게 제습제(300)를 비롯한 제습장치의 내부 구조에 접근할 수 있어, 제습장치의 파손시 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습제(300) 포화시 교체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램프 하우징(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습제 수용부(110)는, 램프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 제습제(300)가 제습제 수용부(110)에서 이탈하여 램프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제습제 고정면(111), 관통공과 제습제 고정면(111)을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제 수용부(110)의 관통공은 제습제가 램프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램프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습제(300)의 출입구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관통공의 모양은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할 것은 아니고,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램프 하우징(100)의 외부면에는 제습제 수용구와 제습제 커버(200)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관통공의 내주면이나, 관통공의 둘레에서 하우징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격벽 등 제습제 커버(200)가 결합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습제 수용부(110)의 제습제 고정면(111)은 제습제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제습제의 일면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차량 운행시 제습제(300)가 램프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습제 수용부(110) 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제습제 고정면(111)의 모양은 원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할 것은 아니고, 제습제(300) 고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습제 고정면(111)은 대향하는 제습제(300)의 일면과 대응하도록 평면, 곡면, 요철면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습제 고정면(111)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통기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112)는 제습제 고정면(111)과 대향하는 제습제(300)의 일면이 공기에 노출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입로 역할을 한다. 제습제 고정면(111)에 통기구(112)를 형성함으로써 제습제(300)와 공기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제습제(300)의 제습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싱기 통기구(112)는 제습력 향상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양한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제습제 수용부(110)의 지지대(113)는 하우징의 내측면과 제습제 고정면(111)을 연결하며, 구체적으로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의 가장자리의 일부분과 제습제 고정면(111)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을 연결한다. 제습제 고정면(111)이 하우징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제습제가 제습제 수용부(1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습제 수용부(11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대(113)를 이용하여 제습제 고정면(111)과 하우징을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3)는 세 개 이상의 수로 구비됨으로써, 차량 이동시 제습제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습제 수용구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도 있다.
상술한 복수개의 지지대(113)는 램프 하우징(100)에 형성된 관통공의 가장자리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지지대(113) 사이사이로 램프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가 들어가 제습제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13)는, 제습제 고정면(111)의 지지 효과 및 제습제의 이탈 방지 효과를 유지하면서 본 고안의 제습장치의 제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너비 및 이격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지지대(113)는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판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습제 고정면(111)을 지지하고 제습제(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대(113)는 하나 이상의 만곡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만곡부는 지지대(113)에 탄력성을 부여하여 차량 이동시 제습제 수용부(110)에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지지대(113)의 파손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습제 커버(200)는 내부에 제습제(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습제 커버(200)에 제습제(300)가 인입되는 개방구의 측벽에는 램프 하우징(100)의 외부면에 형성된 결합부와 회전결합을 하기 위한 나사산, 스냅핏 결합을 하기 위한 후크 등 결합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습제 커버(200)는 램프 하우징(100)의 외부면에서 제습제 수용부(110)와 결합함으로써 제습제(300)가 램프 하우징(100)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는 램프 하우징(10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이므로, 외기를 차단하는 것은 장치의 효율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따라서 제습제 커버(200)와 제습제 수용부(110)가 이격 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습제 커버(200) 특히, 개방구의 측벽은 하우징 외부면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제습제 수용부, 제습제, 제습제 커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제습제 커버가 제습제 수용부에 회전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제습제 커버와 제습제 수용부의 결합을 명확히 도시하기 위하여, 제습제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는 제습제(300)를 제습제 커버(200)의 내부에 거치시킨 후, 제습제가 거치된 제습제 커버(200)를 제습제 수용부(110)와 결합시킴으로써 제습제를 제습제 수용부(110)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제습제 수용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습제(300)는 데시팩(Desi Pak), 실리카 겔(Silica Gel), 고흡습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등 제습제 수용부(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습제 수용부(110)의 외부 공간으로 이탈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제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습제(300)는 판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제습제(300)를 원기둥 형상으로 말아서 제습제 수용부(110)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종래의 차량 램프의 제습장치는 판상의 제습제를 형상의 변형 없이 그대로 거치함으로써 제습제의 일면만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제습제(300)는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말아서 제습제 수용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판상 형 제습제의 전면 및 후면이 모두 공기와 접촉하여 제습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램프 하우징(100)은 광원부, 전력공급장치, 제어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부품들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제습제(300)를 판상 형상을 그대로 램프 하우징(100) 표면에 거치시키는 경우 램프 하우징(100)의 표면적 중 상당 부분이 제습제 거치부로 활용되어야 하므로,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저해될 수 있다. 반면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는 제습제(300) 본래의 판상 형상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는 관통공을 하우징 상에 형성하고, 제습제(300)를 말아 원기둥 형상으로 변형시킨 후, 상기 원기둥을 관통공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제습제 수용부(110)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의 제습장치는 인접 부품들의 설치를 방해하지 않고 램프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상 형상을 갖는 제습제(300)를 원기둥 형상으로 감아 제습제 수용부(110) 내부에 구비시키는 방법 및 제습제 수용부(110)와 제습제 커버(200)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제습제 커버(200)는 제습제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기둥형상을 가진다. 제습제 커버(200)의 내측 공간의 바닥면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제습제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거치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기둥 형상의 수직벽이나 요홈 등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기둥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든 구조를 포함한다.
제습제(300)가 형성하는 원기둥의 하부가 상기 거치부에 끼워짐으로써 제습제가 제습제 커버(200)의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습제(300)가 형성하는 원기둥의 하면은 제습제 커버(200) 내부의 바닥면과 맞닿을 때까지 거치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습제(300)가 거치된 제습제 커버(200)를 램프 하우징(100)의 외부면에서 제습제 수용부(110)와 결합시킴으로써 제습제(300)를 제습제 수용부(110) 내부에 인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습제 커버(200)와 제습제 수용부(110)의 결합은 볼팅 결합, 회전 결합, 스냅핏 결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볼팅 결합은 제습제 커버(200)와 제습제 수용부(110)의 결합부에 서로 대응되는 복수의 나사구를 형성하여 볼트의 조임에 의해 결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회전 결합은 램프 하우징(100)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에 대응하는 제습제 커버(200)의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의 체결에 의해 제습제 커버(200)와 제습제 수용부(110)가 결합하는 방법이나, 제습제 커버(200)에 형성된 걸림부가 제습제 수용부(110)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된 후 제습제 커버(200)를 회전시킴으로써 걸림부가 제습제 수용부(110)에 결합하는 방법 등 결합을 위해 제습제 커버(200)를 회전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을 포괄할 수 있다.
또한, 스냅핏 결합은 제습제 커버(200)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후크부가 제습제 수용부(110)의 일면에 형성된 요홈부에 삽입된 후 걸림으로써 제습제 커버(200)와 제습제 수용부(110)가 결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스냅핏 결합은 제습제 커버(200)의 일면에 요홈부가, 제습제 수용부(110)에 후크부가 형성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습제 커버(200)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지구는 제습제 커버(200)의 외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인입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지구는 제습제 커버(200)를 제습제 수용부(110)에 결합시킬 때, 작업자가 제습제 커버(2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술한 회전 결합의 경우 작업자가 제습제 커버(200)를 움켜잡고 회전시킬 때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지구는 인체의 손가락에 대응되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움켜쥐는 손 모양에 대응되는 하나의 오목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제습제를 제습제 커버(200)에 거치시킨 후 제습제 커버(200)와 제습제 수용부(110)를 결합시키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지만, 제습제 수용부(110)에 먼저 제습제(300)를 거치시킨 후 제습제 수용부(110)를 제습제 커버(200)와 결합시키는 방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제습제 커버(200)와 제습제 수용부(110)가 결합되면 원기둥 형상으로 변형된 제습제(300)의 상면은 제습제 고정면(111)과 마주보게 된다. 판상 형상의 제습제(300)를 여러 번 말아 제습제(300)가 원기둥 형상을 형성할 때 원기둥의 상면 및 하면은 나선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습제 고정면(111)과 마주보는 원기둥의 상면은, 제습제 고정면(111)에 형성된 통기구(112)를 통하여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통기구(11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원기둥 상면의 나선형 단면의 사이 사이로 들어감으로써, 판상형 제습제(300)의 전면 및 후면, 즉 양면이 모두 공기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는 제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의 제습제 고정면(111)은 램프 하우징(100)에 형성된 관통공의 횡단면 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 및 제습제 고정면(111)이 모두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라면, 관통공의 반경보다 제습제 고정면(111)의 반경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습제 고정면(111)이 관통공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습제(300)가 더 많은 공기에 노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습제 고정면(111)이 대향하는 제습제(300)의 일면과 유사한 형상 및 근사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면, 제습제 고정면(111)의 고정 효과는 유지하면서 제습제(300)의 제습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는 제습제 커버(200)의 저면부터 제습제 수용부(110)의 제습제 고정면(111)까지의 길이(L)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용량의 제습제(300)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주행 환경의 변화로 대용량 제습제(300)의 사용이 요구되는 경우, 더 깊은 깊이를 가지는 제습제 커버(200)로 교체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용량 제습제(300)를 수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는 제습제 커버(200)의 내부에 제습제를 수용하는데, 이때 제습제가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할 경우를 대비하여 제습제 설치시에 미리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습제 커버(200)의 측벽과 제습제(300) 사이에 이격이 존재한다. 만약 상기 이격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습제(300)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하여 제습제(300)가 팽창하는 경우 제습제(300), 제습제 수용부(110) 또는 제습제 커버(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손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는 제습제 커버(200)의 내측 단면적을 제습제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램프 하우징
110: 제습제 수용부
111: 제습제 고정면
112: 통기구
113: 지지대
200: 제습제 커버
300: 제습제

Claims (7)

  1. 내부에 광원을 수용하는 램프 하우징;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제;
    상기 램프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습제를 수용하는 제습제 수용부; 및
    상기 램프 하우징의 외부면 쪽에서 상기 제습제 수용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습제가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제습제를 내부에 거치하는 제습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습제 수용부는,
    상기 제습제가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램프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램프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습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습제 고정면; 및
    일단은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 부근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습제 고정면의 테두리 부근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 하우징의 외부면 쪽에서 상기 제습제 수용부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습제 커버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구가 구비되는,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 고정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 고정면은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는 판상 형상을 가지며, 장착시 원기둥 형상으로 말아서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 수용부와 상기 제습제 커버 사이의 결합은 볼팅결합, 회전결합, 스냅핏 결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7. 삭제
KR2020180005657U 2018-12-07 2018-12-07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KR200491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657U KR200491984Y1 (ko) 2018-12-07 2018-12-07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657U KR200491984Y1 (ko) 2018-12-07 2018-12-07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73U KR20200001273U (ko) 2020-06-17
KR200491984Y1 true KR200491984Y1 (ko) 2020-07-13

Family

ID=7112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657U KR200491984Y1 (ko) 2018-12-07 2018-12-07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9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190Y1 (ko) * 2021-09-29 2023-08-2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제습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2283A (ja) * 2015-12-17 2017-06-22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調湿ユニットおよび機器
KR101827761B1 (ko) * 2016-07-29 2018-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238U (ja) * 1983-07-18 1985-02-12 エステ−化学株式会社 保持具
KR100836307B1 (ko) 2006-12-11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벤토나이토 천연 점토 팩을 이용한 차량용 헤드 램프의 제습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2283A (ja) * 2015-12-17 2017-06-22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調湿ユニットおよび機器
KR101827761B1 (ko) * 2016-07-29 2018-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73U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984Y1 (ko) 차량 램프용 제습장치
US5422795A (en) Lighting fixture with air cleaning and ventilating means
US9200784B2 (en) Downward illumination assembly
US7600883B2 (en) Exhaust system with light source
ES2666906T3 (es) Dispositivo de freno de tambor adaptable para incluir un freno de estacionamiento tradicional o que funcione en modo duo servo
US20160229240A1 (en) Anti-skid device for tire
KR101937971B1 (ko) 차량용 램프
BRPI0810945B1 (pt) "sistema de fixação de uma borda de um farol em um alojamento do farol de um veículo e método de montagem de uma borda de um farol em um alojamento do farol do veículo através do sistema de fixação"
US5725303A (en) Lampshade and guard netting arrangement of a halogen lamp
US20120182751A1 (en) Fixing base structure of vehicular lamp adjustment mechanism
CN219689065U (zh) 一种电梯轿厢吊顶
CN107117387A (zh) 一种客车灯罩承载工装
CN108644738A (zh) 一种汽车照明用车灯组件
KR101284372B1 (ko) 볼트 고정 클립
CN202469549U (zh) 灯罩安装结构简单的灯具
US20220214029A1 (en) Protective theft preventative exterior shade for light fixtures
CN217584212U (zh) 轨道安装结构及轨道灯
ES2369368T3 (es) Mejoras en secadores de aire.
CN215411618U (zh) 具有除湿功能的路灯模组
CN214755819U (zh) 一种具有横向调节尾座的管状电机
CN220303489U (zh) 一种防水密封的车灯
CN109253433A (zh) 一种无人驾驶汽车用转向灯
RU4099U1 (ru) Колпак коле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447461Y1 (ko) 램프와 안정기를 공간적으로 구획한 조명등기구
KR20140039883A (ko) 렌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