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943Y1 - 버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버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43Y1
KR200496943Y1 KR2020190005259U KR20190005259U KR200496943Y1 KR 200496943 Y1 KR200496943 Y1 KR 200496943Y1 KR 2020190005259 U KR2020190005259 U KR 2020190005259U KR 20190005259 U KR20190005259 U KR 20190005259U KR 200496943 Y1 KR200496943 Y1 KR 200496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inclined surface
terminals
head en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58U (ko
Inventor
시엔 창 린
춘-웨이 창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2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보드와 서브보드를 연결하는 버클 커넥터를 공개한다. 버클 커넥터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주로 제1 결합 부재를 제공하고 제2 연결부는 주로 제2 결합 부재를 제공한다. 제1 연결부가 일 방향에 따라 제2 연결부로 이동될 경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를 커플링시킴으로써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버클 커넥터{BUCKLE 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드 대 보드로 연결될 수 있는 버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있어서, 2개의 인쇄 회로 기판은 그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비록, 커넥터는 2개의 인쇄 회로 기판을 간편하게 연결하지만, 조립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탈락될 수 있거나 또한 조립 과정에서, 커넥터의 단자를 쉽게 정렬시키지 못하므로 단자를 파괴하며 따라서 커넥터의 전기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조립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 적응하기 위해, 커넥터의 크기를 축소해야 하나, 커넥터를 축소화하는 조립 과정에서, 전술한 탈락 또는 단자가 파괴되는 문제가 더 쉽게 발생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고안은 기존의 커넥터가 초래하는 결실을 해결하기 위해 버클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제1 연결부의 수단(또는 암단) 형태 및 제2 연결부의 암단(또는 수단) 형태를 통해 연결되어 보드 대 보드의 연결 목적에 달성할 수 있는 버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전술한 버클 커넥터에 따라, 제1 연결부의 제1 결합 부재를 제2 연결부의 제2 결합 부재에 연결시켜 제1 연결부가 제2 연결부에 버클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전술한 버클 커넥터에 따라,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가 각각 경사면을 제공하여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조립 시 제1 결합 부재에 의해 제2 결합 부재에 슬라이딩되어(위치 결정 및 유도 기능을 가짐) 쉽게 조립하는 목적에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전술한 버클 커넥터에 따라,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수직되거나 일정한 각도로 결합되어 쉽게 조립하는 목적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5 목적은 전술한 버클 커넥터에 따라, 제2 결합 부재의 패스닝 부재에 의해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또한 제1 결합 부재의 오목홈과 배합하여 제1 결합 부재를 제2 결합 부재에 버클링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6 목적은 전술한 버클 커넥터에 따라, 제2 결합 부재가 제2 하우징의 제1 연결부의 제1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어느 2개의 골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7 목적은 전술한 버클 커넥터에 따라,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조립 시 제1 단자가 쉽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골이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8 목적은 전술한 버클 커넥터에 따라, 제1 연결부에 제2 연결부를 연결한 이후 제1 결합 부재가 제2 결합 부재에 위치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에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메인보드와 서브보드를 연결하는 버클 커넥터를 제공한다. 버클 커넥터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제1 하우징과 복수의 제1 단자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제1 단자의 일단은 서브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하우징은 제1 결합 부재를 형성한다. 제1 결합 부재는 제1 하우징의 일측에서 돌출된다. 여기서, 제1 결합 부재는 오목홈을 형성한다. 제2 연결부는 제2 하우징, 복수의 제2 단자 및 패스닝 부재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골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제2 단자의 일단은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자의 타단은 상기 복수의 제1 단자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하우징은 어느 2개의 상기 복수의 골 사이에 제2 결합 부재를 형성한다. 패스닝 부재는 제2 결합 부재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연결부는 일 방향에 따라 제2 연결부로 이동되어 오목홈이 패스닝 부재에 당접되어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를 커플링시킴으로써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도록 하며, 나아가 상기 복수의 제1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종래의 기술에 비해,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버클 커넥터는 수단부 및 암단부의 조립 과정에서 쉽게 장착될 수 있으며, 수단부와 암단부 사이가 외부 충격에 의해 연결 상태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수단부(또는 암단부)는 수직되거나 일정한 각도로 암단부(또는 수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버클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제1 연결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제2 연결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제1 연결부에 제2 연결부를 결합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5(a), 도 5(b) 또는 도 5(c)는 도 1에 따른 제1 연결부에 제2 연결부를 결합한 구조 모식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기능을 충분히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고안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하나” 또는 “한 개”를 사용하여 본문에서의 유닛, 소자 및 부품을 설명한다.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고안의 범주에 대해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한다. 따라서,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이러한 설명은 하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단수 형태가 복수 형태도 함께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용어 “포함”, “포함하다”, “가지다”, “함유” 또는 다른 임의의 유사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물을 포함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부품을 포함한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는 본문에 열거된 상기 복수의 부품에 한정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지만 상기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에 통상적으로 고유된 기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반대된 명확한 설명이 없는 한, 용어 “또는”은 포괄적인 “또는”을 지칭하고 배타적인 “또는”을 지칭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버클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에서, 버클 커넥터(10)는 서브보드(2)와 메인보드(4)를 연결하며, 서브보드(2)와 메인보드(4)는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클 커넥터(10)는 하나의 서브보드(2)를 연결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 버클 커넥터(10)는 2개 이상의 서브보드(2)를 연결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버클 커넥터(10)는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12)는 수단 형태로, 제2 연결부(14)는 암단 형태로 예를 들어 설명되며,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가 연결될 수만 있다면 본 고안의 서술된 범주에 속한다.
도 2(a) 및 도 2(b)를 동시에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제1 연결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제1 연결부(12)는 제1 하우징(122)과 복수의 제1 단자(124)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122)은 상기 복수의 제1 단자(124)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FSP)을 형성하며, 여기서 제1 하우징(122)은 사각형을 예로 설명되고, 제1 하우징(122)은 서브보드(2)에 잠금 고정된다. 이밖에, 제1 하우징(122)은 제1 결합 부재(126)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결합 부재(126)는 제1 하우징(122)의 일측에서 돌출된다. 또한, 제1 결합 부재(126)의 전단도 오목홈(1262)을 형성하며, 여기서 오목홈(1262)의 측면 형상은 L형이다. 또한, 제1 결합 부재(126)는 제1 경사면(1264)을 추가로 형성하며, 여기서 제1 경사면(1264)은 오목홈(1262)의 타측을 둘러싼다.
상기 복수의 제1 단자(124)의 일단은 서브보드(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단자(124)의 타단은 제2 단자(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4)는 제2 하우징(142), 복수의 제2 단자(144) 및 패스닝 부재(146)를 포함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동시에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제2 연결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제2 하우징(142)은 상기 복수의 제2 단자(144)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골(148)을 형성하며, 여기서 제2 하우징(142)은 사각형을 예로 설명되고, 제2 하우징(142)은 메인보드(4)에 잠금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제2 단자(144)의 일단은 메인보드(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자(144)의 타단은 상기 복수의 제1 단자(124)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42)은 어느 2개의 상기 복수의 골(148) 사이에 제2 결합 부재(1410)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골(148)의 개수는 4개 짝수를 예로, 즉 제2 결합 부재(1410)의 좌우 양쪽에 각각 2개의 골(148)이 있는 것으로 설명되고,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골(148)의 개수는 홀수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1 단자(124)가 상기 복수의 제2 단자(144)에 슬라이딩되어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의 골(148)의 내부 가장자리는 제4 경사면(1482)을 형성한다. 본 고안에서, 제2 결합 부재(1410)가 임의의 2개의 골(148) 사이에 있는 것은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제2 결합 부재(1410)는 헤드 엔드 개구(14102)와 경부 개구(14104)를 제공하며, 헤드 엔드 개구(14102)와 경부 개구(14104)는 연통되고, 제1 결합 부재(126)가 헤드 엔드(1266)와 경부(1268)로 이루어진 T형체일 경우, 헤드 엔드(1266)는 헤드 엔드 개구(14102)에 설치(또는 삽입)되고, 경부(1268)는 경부 개구(14104)에 설치되어 버클링 동작을 완성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헤드 엔드 개구(14102)의 크기는 헤드 엔드(1266)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고, 헤드 엔드(1266)가 헤드 엔드 개구(14102)에 오프셋 설치되도록 제공한다. 여기서, 제2 결합 부재(1410)는 제2 경사면(1412)을 형성하고, 예를 들어 제2 경사면(1412)은 제2 결합 부재(1410)의 내부 가장자리(또는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제2 경사면(1412)은 평면일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126)의 제1 경사면(1264)이 제2 결합 부재(1410)에 접촉될 경우, 제1 결합 부재(126)는 제1 경사면(1264)과 제2 경사면(1412)에 의해 제2 결합 부재(1410)에 슬라이딩된다.
도 4(a) 및 도 4(b)를 동시에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제1 연결부(12)에 제2 연결부(14)를 결합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4(a)는 주요하게, 이 예시에서 주요하게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가 결합될 경우, 10도보다 작거나 같은 각도(θ)로 경사지지만, 제1 결합 부재(126)는 여전히 제1 경사면(1264)과 제2 경사면(1412)에 의해 제2 결합 부재(1410)에 슬라이딩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또한, 도 4(b)는 주요하게 제1 경사면(1264)과 제2 경사면(1412)의 결합을 설명하고, 결합 과정에서 제1 결합 부재(126)는 제1 경사면(1264)과 제2 경사면(1412) 사이에 오프셋 변위(d)가 존재할 지라도 제1 경사면(1264)에서 제2 경사면(1412)의 유도를 받아 제2 결합 부재(1410)에 진입한다.
도 3(c)를 다시 참조하면, 패스닝 부재(146)는 제2 결합 부재(1410)에 설치되며, 제3 경사면(1462)을 가지고, 제1 경사면(1264)이 제2 결합 부재(1410)에 접촉될 경우, 제1 결합 부재(126)는 제1 경사면(1264), 제2 경사면(1412) 및 제3 경사면(1462)에 의해 제2 결합 부재(1410)에 슬라이딩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스닝 부재(146)는 U형체이거나 S형체일 수 있고, 패스닝 부재(146)의 일단은 헤드 엔드 개구(14102)에서 돌출되어 패스닝 부재(146)가 오목홈(1262)에 당접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하며, 제1 결합 부재(126)를 제2 결합 부재(1410)에 버클링시킨다.
제1 연결부(12)는 방향(X)에 따라 제2 연결부(14)로 이동되어(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를 동시에 참조할 수 있음), 오목홈(1262)이 패스닝 부재(146)에 당접되어 제1 결합 부재(126)와 제2 결합 부재(1410)를 커플링시킴으로써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가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도록 하며(동시에 도 5(c)에 도시된 바를 참조할 수 있음),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제1 단자(124)는 상기 복수의 제2 단자(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도 5(a)에서, 제1 연결부(12)는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20도보다 작거나 같음)의 방향으로 제2 연결부(14)에 삽입된다. 도 5(b)에서, 제1 연결부(12)는 수직 방향으로 제2 연결부(14)에 삽입된다.
본 고안은 이미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실시예와 등가적인 변화와 치환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2: 서브보드 4: 메인보드 10: 버클 커넥터
12: 제1 연결부 122: 제1 하우징 124: 제1 단자
126: 제1 결합 부재 1262: 오목홈 1264: 제1 경사면
1266: 헤드 엔드 1268: 경부 14: 제2 연결부
142: 제2 하우징 144: 제2 단자 146: 패스닝 부재
148: 골 14102: 헤드 엔드 개구
14104: 경부 개구 1482: 제4 경사면 1410: 제2 결합 부재
1412: 제2 경사면 θ: 각도 d: 오프셋 변위
FSP: 제1 수용 공간 SSP: 제2 수용 공간

Claims (11)

  1. 메인보드와 서브보드를 연결하는 버클 커넥터로서,
    제1 하우징과 복수의 제1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일단이 상기 서브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오목홈을 형성하는 제1 결합 부재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 및
    제2 하우징, 복수의 제2 단자 및 패스닝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일단이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제1 단자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골과, 어느 2개의 상기 복수의 골 사이에 상기 패스닝 부재가 설치된 제2 결합 부재를 형성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일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연결부로 이동되어 상기 오목홈이 상기 패스닝 부재에 당접되어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결합 부재를 커플링시킴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도록 하며, 나아가 상기 복수의 제1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헤드 엔드 개구와 경부 개구를 제공하고, 상기 헤드 엔드 개구와 상기 경부 개구는 연통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헤드 엔드와 경부로 이루어진 T형체이며,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제2 결합 부재와 결합될 경우, 상기 헤드 엔드는 상기 헤드 엔드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경부는 상기 경부 개구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제1 경사면을 추가로 형성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접촉될 경우,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에 의해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슬라이딩되고,
    상기 패스닝 부재는 제3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접촉될 경우,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3 경사면에 의해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슬라이딩되도록 하며,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 엔드 개구의 크기는 상기 헤드 엔드의 크기보다 작지 않으며, 상기 헤드 엔드가 상기 헤드 엔드 개구에 오프셋으로 설치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패스닝 부재가 상기 오목홈에 당접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패스닝 부재의 일단은 상기 헤드 엔드 개구에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단자가 상기 복수의 제2 단자에 슬라이딩되어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의 골의 내부 가장자리는 제4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일정한 각도로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에 의해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슬라이딩되며, 상기 각도는 20도보다 크지 않은 버클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20190005259U 2019-04-30 2019-12-26 버클 커넥터 KR2004969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205454 2019-04-30
TW108205454U TWM584041U (zh) 2019-04-30 2019-04-30 卡扣式連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58U KR20200002458U (ko) 2020-11-10
KR200496943Y1 true KR200496943Y1 (ko) 2023-06-13

Family

ID=6862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259U KR200496943Y1 (ko) 2019-04-30 2019-12-26 버클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26008U (ko)
KR (1) KR200496943Y1 (ko)
CN (1) CN210692815U (ko)
TW (1) TWM584041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3425A (ja) 2010-05-18 2011-12-01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WO2016208328A1 (ja) 2015-06-26 2016-12-29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搭載基板、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CN105098478B (zh) 2014-04-30 2018-04-13 泰科资讯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结合固定和解除固定的方法
CN109560422A (zh) * 2018-12-21 2019-04-02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9305B1 (ja) * 2010-08-27 2011-07-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3425A (ja) 2010-05-18 2011-12-01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CN105098478B (zh) 2014-04-30 2018-04-13 泰科资讯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结合固定和解除固定的方法
WO2016208328A1 (ja) 2015-06-26 2016-12-29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搭載基板、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CN109560422A (zh) * 2018-12-21 2019-04-02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26008U (ja) 2020-04-23
KR20200002458U (ko) 2020-11-10
TWM584041U (zh) 2019-09-21
CN210692815U (zh)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0102B2 (en) Receptacle connector with contact assembly
US11996656B2 (en) Signal connector and terminal device
US872135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496585Y1 (ko) 플로팅 커넥터
EP3467950B1 (en) Connector
CN109565123B (zh) 连接器
EP2945470B1 (en)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architecture
CN107210561A (zh) 紧凑型高速连接器
US11177589B2 (en)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JP2016146255A (ja) ソケット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CN212323275U (zh) 浮动连接器
US9502844B2 (en) Battery connector and terminal thereof
US20150064982A1 (en) Expansion card connector for computer chassis
KR200496943Y1 (ko) 버클 커넥터
TWI694648B (zh) 浮動連接器
TWI692154B (zh) 端子台
TWI694644B (zh) 卡扣式連接器
CN111952746B (zh) 卡扣式连接器
JP2021064470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7713069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US20230178932A1 (en) Floating multi-terminal connector
US11742604B2 (en) Easy lock connector with unlock structure
CN111834770B (zh) 连结器
US9525224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system
KR20220033113A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