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585Y1 - 플로팅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로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585Y1
KR200496585Y1 KR2020190002419U KR20190002419U KR200496585Y1 KR 200496585 Y1 KR200496585 Y1 KR 200496585Y1 KR 2020190002419 U KR2020190002419 U KR 2020190002419U KR 20190002419 U KR20190002419 U KR 20190002419U KR 200496585 Y1 KR200496585 Y1 KR 200496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terminal
floating connector
coupling memb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214U (ko
Inventor
춘-웨이 창
조-밍 판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22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5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형 단부, 암형 단부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플로팅 커넥터를 개시한다. 수형 단부에는 제1 단자가 설치되고 연장 부재가 형성된다. 암형 단부는 베이스, 커버체 및 제2 단자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커버체와 결합되어 제2 단자를 설치한다. 커버체의 양측에는 연장 부재에 매칭되는 결합 부재가 각각 형성된다. 결합 부재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돌출 블록이 형성된다. 고정 부재의 일단은 커버체의 표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보드체에 고정된다. 수형 단부가 암형 단부와 결합될 경우, 연장 부재는 결합 부재에 래치되어 수형 단부를 축방향으로 위치 제한하고, 암형 단부는 고정 부재에 의해 평면 방향으로 위치 제한된다.

Description

플로팅 커넥터{FLOATING 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형 단부와 암형 단부를 통해 보드 대 보드 연결이 가능한 플로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로팅 커넥터는 커넥터가 결합된 후, 예를 들면 X축, Y 축 및 Z 축에 약간의 오프셋을 허용하여, 조립된 커넥터가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플로팅 커넥터는 연결이 용이하지만, 조립된 커넥터가 외력의 충격을 받은 후, 오프셋의 오차로 인해 커넥터의 수형 단부가 암형 단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종래의 커넥터에 의한 결함을 해결하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안한다.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보드 대 보드의 연결 방식에 적용될 수 있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플로팅 커넥터에 따르면,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로킹 구조에 의해 수형 단부와 암형 단부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플로팅 커넥터에 따르면,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일회용 로킹 구조를 구비하고, 장착이 용이하도록 축방향 및 평면 방향으로의 오프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플로팅 커넥터에 따르면, 본 고안의 네 번째 목적은, 연장 부재, 결합 부재 및 고정 부재에 의해, 수형 단부 및 암형 단부가 어느 축방향 또는 어느 평면에서 이동하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전술한 플로팅 커넥터에 따르면, 본 고안의 다섯 번째 목적은, 연장 부재와 결합 부재의 범프에 대응되는 경사면 구조에 의해 다중 조립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전술한 플로팅 커넥터에 따르면, 본 고안의 여섯 번째 목적은, 돌출 부재 및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제2 단자를 제공하고, 돌출 부재에 의해 커버체에 연결되며 탄성 부재에 매칭되고, 돌출 부재는 커버체로부터의 외력을 받아 탄성 부재를 변형시켜, 커버체를 평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플로팅 커넥터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일곱 번째 목적은, 암형 단부는 베이스, 커버체 및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여기서 커버체는 베이스에 대하여 플로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제1 보드체와 제2 보드체를 연결시키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하고, 상기 플로팅 커넥터는 수형 단부, 암형 단부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수형 단부는 제1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수형 단부의 양측에는 연장 부재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단자의 일단은 제1 보드체에 연결될 수 있고, 연장 부재의 측면에는 리브체가 형성된다. 암형 단부는 베이스, 커버체 및 제2 단자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커버체와 결합되어 제2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2 단자의 일단은 제2 보드체에 연결된다. 제2 단자의 타단은 상기 제1 단자의 타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커버체의 양측에는 연장 부재에 매칭되도록 결합 부재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결합 부재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돌출 블록이 형성된다. 고정 부재는 암형 단부의 양측에 설치된다. 고정 부재의 일단은 커버체의 표면에 설치되고 고정 부재의 타단은 제2 보드체에 고정된다. 여기서, 수형 단부와 암형 단부가 결합될 경우, 연장 부재의 리브체를 결합 부재의 돌출 블록에 래치시키고, 수형 단부를 축방향으로 위치 제한하며, 암형 단부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축방향과 수직되는 평면 방향으로 위치 제한된다.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플로팅 커넥터는, 수형 단부와 암형 단부의 조립 과정에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고, 또한 수형 단부와 암형 단부가 외력에 의해 연결 상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플로팅 커넥터의 암형 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2의 (b)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플로팅 커넥터의 수형 단부와 암형 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2의 (c)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플로팅 커넥터의 수형 단부와 암형 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플로팅 커넥터의 제2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의 (b)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플로팅 커넥터의 제2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플로팅 커넥터의 수형 단부와 암형 단부의 단면 모식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일” 또는 "하나”는 본 고안에 기술된 유닛, 소자 및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일 뿐, 본 고안의 범주에는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한다. 따라서,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은 한, 이러한 설명은 하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단수는 복수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용어 "포함”, "포괄”, "구비”, "함유” 또는 다른 임의의 유사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구조, 제품 또는 장치는 본 고안에 열거된 이러한 구성 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았으나 상기 어셈블리, 구조, 제품 또는 장치가 통상적으로 구비하는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명백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한, 용어 “또는”은 배타적인 "또는”이 아닌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에서, 플로팅 커넥터(10)는 외부의 제1 보드체(미도시)와 제2 보드체(미도시)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드체 및 제2 보드체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플로팅 커넥터(10)는 수형 단부(12), 암형 단부(14) 및 고정 부재(1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보드체는 수형 단부(12)에 연결되고 제2 보드체는 암형 단부(14)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형 단부(12)는 긴 직사각형 연결 단자로 예시되고 그 재료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수형 단부(12)는 제1 단자(124)를 설치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FSP)(도 4를 함께 참조할 수 있음)을 내부에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수용 공간(FSP)은 제1 단자(124)를 고정하는 트렌치(미도시)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형 단부(12)의 양측에는 연장 부재(122)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장 부재(122)의 구조 형상은 영어 알파벳 "L"형을 예시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1 단자(124)의 일단(제1 보드체에 접촉되는 일단)은 제1 보드체에 연결되어, 제1 보드체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부재(122)의 측면에는 리브체(126)가 형성되는데 이는 도 2의 (b)를 함께 참조할 수 있다.
암형 단부(14)는 베이스(141), 커버체(143) 및 제2 단자(144)를 포함한다.
베이스(141)는 커버체(143)와 결합되어 제2 단자(144)를 설치하기 위한 제2 수용 공간(SSP)(도 4를 함께 참조할 수 있음)을 형성한다.
커버체(143)의 양측에는 연장 부재(122)에 매칭되도록 결합 부재(142)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결합 부재(142)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돌출 블록(1426)이 형성되는데, 이는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 블록(1426)은 결합 부재(142)의 내부 가장자리의 일 영역을 형성하고, 그 영역의 높이에 의해 수형 단부(12)가 암형 단부(14)의 축방향(예를 들면 본 도면의 Z축방향)에서 위치 제한되는 이동량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b)에서, 수형 단부(12)가 암형 단부(14)에 결합될 경우, 연장 부재(122)의 리브체(126)를 결합 부재(142)의 돌출 블록(1426)에 래치시키고, 수형 단부(12)를 축방향으로 위치 제한하며, 암형 단부(14)는 고정 부재(16)에 의해 평면 방향으로 위치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서, 축방향은 평면 방향에 수직된다. 수형 단부(12)와 암형 단부(14)가 결합된 단면도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이 밖에, 결합 부재(142)의 노치의 형상은 영어 알파벳 "L"형을 예시로 설명하나, 다른 실시예에서 노치의 형상은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이 밖에, 결합 부재(142)는 결합 부재(142)와 연장 부재(122)가 연결된 일측에 형성되어 연장 부재(122)를 결합 부재(142) 에 슬라이딩시키는 경사면(1422)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형 단부(14)는 제1 단자(124)와 제2 단자(144)를 연결시키는 단자 슬롯(1430)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142)는, 탄성 아암이 이동 가능성을 구비하는 것처럼 노치를 연통시켜 결합 부재(142)가 탄성을 구비하도록 요홈(1424)을 형성한다.
도 3의 (a) 및 도 3의 (b)를 함께 참조하면, 이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플로팅 커넥터의 제2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 모식도이다. 제2 단자(144)의 일단(1448)은 제2 보드체에 연결(예를 들면, 본딩)된다. 제2 단자(144)의 타단(1442)은 제1 단자(124)의 타단(제1 보드체의 일단과 접촉되지 않음)에 연결(예를 들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단자(144)는 돌출 부재(1444) 및 탄성 부재(1446)를 더 포함한다. 돌출 부재(1444)는 탄성 부재(1446)의 일측 단과 제2 단자(144)의 타단(1442) 사이에 형성된다. 돌출 부재(1444)는 커버체(143)에 연결(예를 들면 삽입)되고, 예를 들면 커버체(143)는 제2 수용 공간(SSP)에 슬롯(미도시)을 형성하여 돌출 부재(1444)를 삽입시킴으로써 제2 단자(144)와 커버체(143)를 결합시킨다. 탄성 부재(1446)의 타측 단은 제2 단자(144)의 타단(1448)에 연결된다. 여기서, 돌출 부재(1444)는 커버체(143)로부터의 외력(예를 들면, 조립 시 발생되는 힘 또는 이동 시 플로팅 커넥터에 작용되는 응력 등)을 받아 탄성 부재(1446)를 변형시켜 커버체(143)를 평면 방향(예를 들면 본 도면의 X축과 Y축에 의해 형성된 평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도 3의 (a)의 제2 단자(144)와 도 3의 (b)의 제2 단자(144')의 차이점은 하기와 같다. 도 3의 (a)의 제2 단자(144)의 탄성 부재(1446)는 X축과 Y축에 의해 형성된 평면 방향에 수직되고, 도 3의 (b)의 제2 단자(144')의 탄성 부재(1446')는 X축과 Y축에 의해 형성된 평면 방향에 평행된다.
고정 부재(16)는 암형 단부(14)의 양측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부재(16)의 재질은 금속 부재일 수 있다. 고정 부재(16)의 일단은 커버체(143)의 표면에 비고정적으로 설치되고 고정 부재(16)의 타단은 고정 부재(16)가 이동할 수 없도록 제2 보드체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 부재(16)는 커버체(143)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거리는 암형 단부(14)의 축방향 또는 평면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의 (c)를 함께 참조하면, 연장 부재(122)는 연장 경사면(128)을 형성하고, 돌출 블록(1426)은 범프 경사면(1428)을 형성한다. 연장 경사면(128)은 범프 경사면(1428)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연장 부재(122)가 결합 부재(142)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며, 즉 반복적으로 삽입 및 인출되는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로 개시되었으나,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으로 해석하여서는 안됨을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해할 것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실시예와 동등한 변화 및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특허 출원 범위의 정의를 기준으로 한다.
10: 플로팅 커넥터 12: 수형 단부 122: 연장 부재
1222: 리브체 124: 제1 단자 126: 리브체
128: 연장 경사면 14: 암형 단부 141: 베이스
142: 결합 부재 1422: 경사면 1424: 요홈
1426: 돌출 블록 1428: 범프 경사면 1430: 단자 슬롯
143: 커버체 144, 144': 제2 단자 1442: 타단
1448: 일단
1444: 돌출 부재 1446, 1446': 탄성 부재 16: 고정 부재
FSP: 제1 수용 공간 SSP: 제2 수용 공간

Claims (10)

  1. 제1 보드체와 제2 보드체를 연결시키는 플로팅 커넥터(10)로서,
    제1 단자(124)를 설치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FSP)을 형성하고, 양측에 연장 부재(12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자(124)의 일단은 상기 제1 보드체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 부재(122)의 측면에는 리브체(1222)가 형성된 수형 단부(12);
    베이스(141), 커버체(143) 및 제2 단자(144, 144')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41)는 상기 커버체(143)와 결합되어 제2 단자(144, 144')를 설치하기 위한 제2 수용 공간(SSP)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단자(144, 144')의 일단은 상기 제2 보드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144, 144')의 타단은 상기 제1 단자(124)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커버체(143)의 양측에는 상기 연장 부재(122)에 매칭되도록 결합 부재(14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142)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돌출 블록(1426)이 형성되는 암형 단부(14); 및
    상기 암형 단부(14)의 양측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커버체(143)의 표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보드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16)를 포함하며,
    상기 수형 단부(12)는 상기 암형 단부(14)와 결합되어 상기 리브체(1222)를 상기 돌출 블록(1426)에 래치시키고, 상기 수형 단부(12)를 축방향으로 위치 제한하며, 상기 암형 단부(14)는 상기 고정 부재(16)에 의해 상기 축방향과 수직되는 평면 방향으로 위치 제한되고,
    상기 제2 단자(144, 144')는 돌출 부재(1444) 및 탄성부재(1446, 144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재(1444)는 탄성 부재(1446, 1446')의 일측 단과 상기 제2 단자(144, 144')의 타단(144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 부재(1444)는 상기 커버체(143)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1446, 1446')의 타단은 상기 제2 단자(144, 144')의 상기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돌출 부재(1444)는 상기 커버체(143)로부터의 외력을 받아 상기 탄성부재(1446, 1446')를 변형시켜 상기 커버체(143)를 상기 평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로팅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122)의 구조 형상은 영어 알파벳 "L"형이고, 상기 결합 부재(142)의 노치의 형상은 영어 알파벳 "L"형인 플로팅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142)는, 상기 결합 부재(142)와 상기 연장 부재(122)가 연결된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부재(122)를 상기 결합 부재(142)에 슬라이딩시키는 경사면(1422)을 구비하는 플로팅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142)는 상기 노치를 연통시켜 상기 결합 부재(142)가 탄성을 구비하도록 요홈(1424)을 형성하는 플로팅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블록(1426)은 상기 결합 부재(142)의 내부 가장자리의 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영역 상기 내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높이에 의해 상기 수형 단부(12)가 상기 암형 단부(14)의 축방향에서 위치 제한되는 이동량이 결정되는 플로팅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6)는 상기 커버체(143)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거리에 의해 상기 암형 단부(14)가 축방향 또는 평면 방향으로의 이동량이 결정되는 플로팅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6)는 상기 베이스(141)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141)가 상기 평면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생성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플로팅 커넥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143)는 상기 제2 수용 공간(SSP)에 슬롯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 부재(1444)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 플로팅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122)는 연장 경사면(128)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 블록(1426)은 범프 경사면(1428)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 경사면(128)은 상기 범프 경사면(1428)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장 부재(122)가 상기 결합 부재(142)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플로팅 커넥터.
KR2020190002419U 2019-03-27 2019-06-14 플로팅 커넥터 KR20049658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203854U TWM584038U (zh) 2019-03-27 2019-03-27 浮動連接器
TW108203854 2019-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14U KR20200002214U (ko) 2020-10-08
KR200496585Y1 true KR200496585Y1 (ko) 2023-03-07

Family

ID=6766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419U KR200496585Y1 (ko) 2019-03-27 2019-06-14 플로팅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22722U (ko)
KR (1) KR200496585Y1 (ko)
CN (1) CN210074209U (ko)
TW (1) TWM58403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4648B (zh) * 2019-03-27 2020-05-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浮動連接器
TWI728724B (zh) * 2020-02-24 2021-05-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浮動連接器
TWI731668B (zh) * 2020-04-30 2021-06-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浮動連接器
TWI753658B (zh) * 2020-11-16 2022-0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電源電極結構之浮動連接器
TWM622361U (zh) * 2021-04-27 2022-0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浮動連接器
KR20230095619A (ko) 2021-12-22 2023-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CN114563846A (zh) * 2022-02-23 2022-05-3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弹性浮动结构及光纤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8488A (ja) * 2009-07-07 2011-01-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8488A (ja) * 2009-07-07 2011-01-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14U (ko) 2020-10-08
CN210074209U (zh) 2020-02-14
TWM584038U (zh) 2019-09-21
JP3222722U (ja)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585Y1 (ko) 플로팅 커넥터
US10320102B2 (en) Receptacle connector with contact assembly
US9859657B2 (en) Connector apparatus with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nd including two latching mechanisms that enable detection of an unengaged state
US727338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731520B1 (en) Blade and receptacle power connector
US9270044B2 (en) Substrate connector
US9742113B1 (en) Electrical interface
CN212323275U (zh) 浮动连接器
TW201824659A (zh) 連接器裝置
TWI694648B (zh) 浮動連接器
CN102629721A (zh) 浮动型连接器
KR20170072945A (ko) 암수동체 전기 커넥터
CN114514657A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1027696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lignment plate and seal
JP2022186850A (ja) 可動コネクタ
JP3989696B2 (ja) コネクタ
US6244883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floating movement between connectors
CN210692815U (zh) 卡扣式连接器
CN116231348A (zh) 浮动式多端子连接器
CN115733009A (zh) 板对板连接器组件
CN111952746B (zh) 卡扣式连接器
KR20050003925A (ko) 핀 커넥터 구조
WO2004093251A2 (ja) 電気コネクタ
CN220291123U (zh) 浮动式连接器组件
US1127134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alignment and protection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