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912Y1 - 칼림바 - Google Patents

칼림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12Y1
KR200496912Y1 KR2020210002522U KR20210002522U KR200496912Y1 KR 200496912 Y1 KR200496912 Y1 KR 200496912Y1 KR 2020210002522 U KR2020210002522 U KR 2020210002522U KR 20210002522 U KR20210002522 U KR 20210002522U KR 200496912 Y1 KR200496912 Y1 KR 200496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pport
holder
kalimba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373U (ko
Inventor
박은정
Original Assignee
박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정 filed Critical 박은정
Priority to KR2020210002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12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3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3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8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는 상측지지대 및 상기 상측지지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는 하측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하측지지대에 고정되는 받침봉; 상기 상측지지대와 하측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고정되면서 상기 상측지지대 및 받침봉에 공동으로 지지되는 복수개의 진동바; 및 상기 홀더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칼림바{KALIMBA}
본 고안은 칼림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칼림바의 구성품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현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진동바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칼림바에 관한 것이다.
칼림바는 공명 상자에 붙어 있는 금속이나 대나무 등의 가느다란 판을 퉁겨서 음을 내는 아프리카의 악기로써, 원래 공명 상자 몸체로는 반으로 자른 표주박, 거북이 등 껍질 등이 사용되었다.
칼림바는 금속으로 형성된 진동바를 복수 개로 나열하여 설치하고 진동바의 단부를 사람의 손가락으로 튕겨 소리를 내도록 한 악기이며, 맑고 청아한 소리를 낸다.
칼림바는 사각 형상의 몸체의 상부에 상측 지지대와 하측 지지대를 고정하고, 상측 지지대와 하측 지지대 사이에 가압부재를 설치한 후, 복수 개의 진동바를 상측 지지대, 가압부재, 및 하측 지지대 사이에 탄성으로 끼워서 제조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칼림바는 하측 지지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음계에 대응하는 진동주파수를 만들어낸다.
통상 칼림바는 15~20개의 진동바가 단층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보다 더 많은 음을 내기 위하여는 칼림바의 몸체의 폭을 넓게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52821호
본 고안은, 칼림바의 구성품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현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진동바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칼림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는 상측지지대 및 상기 상측지지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는 하측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하측지지대에 고정되는 받침봉; 상기 상측지지대와 하측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홀더; 상기 홀더에 고정되면서 상기 상측지지대 및 받침봉에 공동으로 지지되는 복수개의 진동바; 및 상기 홀더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베이스의 이면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의 관통홀 및 홀더의 관통홀을 공동으로 관통하여 돌출되는 관통부;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홀더를 상기 베이스에 가압고정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관통부는 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너트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바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상측지지대에 지지되는 일측 영역, 일측 영역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일부분이 홀더에 고정되는 중간 영역, 중간 영역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타측 영역 및 타측 영역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연주 영역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는, 칼림바의 구성품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현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진동바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에 적용된 베이스와, 지지부 및 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를 도시한 후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에 적용된 진동바를 도시한 측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칼림바(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에 적용된 베이스와, 지지부 및 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를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칼림바에 적용된 진동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칼림바(1)는, 베이스(10)와 지지부(20)와 받침봉(30)과 홀더(40)와 진동바(50) 및 착탈부(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지지부(20)와 받침봉(30)과 홀더(40)와 진동바(50) 및 착탈부(60)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베이스(10)는 다각형, 곡선형,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베이스(10)가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베이스(10)는 목재, 플라스틱, 합성수지,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공간에서 소리의 울림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측 또는 후측에 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베이스(10)에는 후술되는 착탈부(60)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지지부(20)는 베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상측지지대(21) 및 상측지지대(21)의 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베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되는 하측지지대(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측지지대(22)의 상면에는 받침봉(30)이 수용되는 수용홈(22a)이 형성된다.
받침봉(30)은 높이 방향 중 대략 중앙부분 또는 그 아래나 윗 부분의 일정 영역이 수용홈(22a)에 수용되고, 나머지 부분은 하측지지대(2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받침봉(30)은 그 상단이 진동바(50)들의 저면을 공동으로 지지하여, 진동부의 진동을 향상시킨다.
홀더(40)는 진동바(50)들을 일률적으로 고정하는 구성이다.
홀더(40)는 상측지지대(21)와 하측지지대(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홀더(40)가 상측지지대(21)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홀더(40)는 베이스(10)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1 부재(41), 제1 부재(41)의 끝단에서 직각 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부재(42) 및 제2 부재(42)의 끝단에서 하측지지부(20)재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는 제3 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41)에는 베이스(10)의 관통홀과 각각 대향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부재(41)와 제2 부재(42) 및 제3 부재(43)는 모두 납작한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재(42)에는 진동바(50)를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이 수평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진동바(50)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일측 영역(a), 중간 영역(b), 타측 영역(c) 및 단부 영역)(d), 연주 영역(e)으로 나뉘어진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영역(a)은 수평 형태를 유지하고, 타측 영역(c) 및 단부 영역(d)은 경사진 형태를 유지하며, 연주 영역(e)은 단부 영역(d)의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수평 형태를 유지한다.
진동바(50)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홀더(40)에 고정되되, 일측 영역(a)의 저면은 상측지지대(21)의 상면과 접촉되고, 중간 영역(b)은 홀더(40)의 통공을 관통하며, 타측 영역(c)의 저면은 받침봉(30)의 상면에 안착되고, 단부 영역(d) 및 연주 영역(e)은 사용자가 제어하도록 베이스(10)의 후면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이때, 받침봉(30)의 높이가 상측지지대(21)의 높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됨으로, 받침봉(30)에 지지되는 타측 영역(c) 및 타측 영역(c)과 연결되는 단부 영역(d)은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형상을 이룬다.
진동바(50)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각기 다른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진동바(50)에 마련된 연주 영역(e)을 손가락으로 튕기는 방식으로 음을 발생시켜 연주하면 된다.
이때, 연주 영역(e)은 수평을 이뤄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칼림바(1)를 연주하도록 할 수 있다.
착탈부(60)는 홀더(40)를 베이스(1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착탈부(60)는 관통부(61) 및 가압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61)는 볼트로 형성되고 가압부(62)는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61)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몸체 및 몸체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십자홈이 형성된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61)는 몸체가 베이스(10)의 이면 방향에서 베이스(10)의 관통홀 및 제1 부재(41)의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몸체는 일정영역이 제1 부재(41)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가압부(62)는 제1 부재(41)의 상측으로 돌출된 몸체에 체결되면서 제1 부재(41)를 베이스(10)의 일면에 가압고정시킨다.
이러한 착탈부(60)를 통해 홀더(40)를 베이스(10)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 지지부(29), 받침봉(30), 홀더(40) 및 진동바(5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해당 구성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림바(1)는, 관통부(61)의 몸체가 베이스(10)의 이면에서 베이스(10) 및 제1 부재(41)를 관통하고, 몸체부의 일정영역이 베이스(10)의 일면방향으로 돌출되며, 이 돌출된 부분에 가압부(62)를 체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래 베이스(10)의 일면에서 홀더(40)를 볼트로 고정하는 방식에 비해 홀더(40)에 진동바(50)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칼림바(1) 제조에 숙달된 전문가가 아닌 일반 어린이나 성인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림바(1)를 간편하고 쉽게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칼림바 10 : 베이스
20 : 지지부 21 : 상측지지대
22 : 하측지지대 22a : 수용홈
30 : 받침봉 40 : 홀더
41 : 제1 부재 42 : 제2 부재
43 : 제3 부재 50 : 진동바
51 : 일측 영역 52 : 중간 영역
53 : 타측 영역 54 : 단부 영역
55 : 연주 영역 60 : 착탈부
61 : 관통부 62 : 가압부

Claims (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는 상측지지대 및 상기 상측지지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는 하측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하측지지대에 고정되는 받침봉;
    상기 상측지지대와 하측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홀더;
    상기 홀더에 고정되면서 상기 상측지지대 및 받침봉에 공동으로 지지되는 복수개의 진동바; 및
    상기 홀더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베이스의 이면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의 관통홀 및 홀더의 관통홀을 공동으로 관통하여 돌출되는 관통부;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홀더를 상기 베이스에 가압고정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칼림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너트로 형성되는 칼림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바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상측지지대에 지지되는 일측 영역, 일측 영역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일부분이 홀더에 고정되는 중간 영역, 중간 영역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타측 영역 및 타측 영역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연주 영역을 포함하는 칼림바.
KR2020210002522U 2021-08-12 2021-08-12 칼림바 KR200496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522U KR200496912Y1 (ko) 2021-08-12 2021-08-12 칼림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522U KR200496912Y1 (ko) 2021-08-12 2021-08-12 칼림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373U KR20230000373U (ko) 2023-02-21
KR200496912Y1 true KR200496912Y1 (ko) 2023-06-01

Family

ID=8532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522U KR200496912Y1 (ko) 2021-08-12 2021-08-12 칼림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1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1130A (zh) * 2018-12-02 2020-06-09 罗锦铠 独立安装调节双层琴键拇指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821B1 (ko) 2011-12-10 2013-04-12 조상원 음정조절이 용이한 칼림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1130A (zh) * 2018-12-02 2020-06-09 罗锦铠 独立安装调节双层琴键拇指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373U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1017B1 (en) Musical instrument with textured applications
US8933311B2 (en) Snare drum
US7485790B2 (en) Cajon
US4269105A (en) Musical percussion instrument
KR102063190B1 (ko) 악기의 대향 측면 상의 2개의 음향 보드로부터 음향을 생성하기 위한 현악기 및 제작 방법
US20210035538A1 (en) Endpin
US20160140940A1 (en) Percussion, wind and rattling instrument and musical-instrument arrangement
KR200496912Y1 (ko) 칼림바
KR101252821B1 (ko) 음정조절이 용이한 칼림바
JP6179536B2 (ja) 楽器用音板
EP3159886B1 (en) Internal bracing for a guitar
JP5140786B1 (ja) 弦張力支持構造
JP6628356B2 (ja) 電子ピアノの響板スピーカ
KR200497219Y1 (ko) 공명형 칼림바
US5198602A (en) Sound bar for percussive musical instrument
KR102233668B1 (ko) 칼림바
TWM592150U (zh) 具半音鍵的雙層拇指琴
US1210950A (en)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CN213424563U (zh) 一种采用圆棒连接不同长度钢片发生的声音结构
US776933A (en) Musical instrument.
JPH0224146Y2 (ko)
JP5231602B2 (ja) ピアノ音質変更方法とピアノの音質調整部材、並びにピアノ
KR200483276Y1 (ko) 양손잡이용 기타
JP6809143B2 (ja) 鍵盤楽器
JP3136004U (ja) ヘッドにサポートを設けた弦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