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276Y1 - 양손잡이용 기타 - Google Patents

양손잡이용 기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276Y1
KR200483276Y1 KR2020160001871U KR20160001871U KR200483276Y1 KR 200483276 Y1 KR200483276 Y1 KR 200483276Y1 KR 2020160001871 U KR2020160001871 U KR 2020160001871U KR 20160001871 U KR20160001871 U KR 20160001871U KR 200483276 Y1 KR200483276 Y1 KR 200483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neck
bridge
guitar
h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윤
Original Assignee
안기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윤 filed Critical 안기윤
Priority to KR2020160001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276Y1/ko
Priority to CN201620874840.5U priority patent/CN206210361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2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용과 같이 변화된 자세로 기타를 연주할 수 있도록 조립된 일부의 구성이 갖춰지는 방향을 손쉽게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양손용잡이용 기타에 관한 것으로, 기타의 울림을 위한 바디의 일면에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현이 크기순으로 좌에서 우로 나란히 배열되어 고정되는 한편, 상기 현과 바디 사이에 하현주가 장착되어 상기 현이 상기 하현주에 지지되며 상기 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게 되되, 상기 일면에는 상기 현을 고정시키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하현주가 장착되는 가이드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바디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단면과 하단면이 대칭을 이루는 한편,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현주는 상기 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현을 지지하고, 상기 현이 우에서 좌로 배열되면 상기 가이드판을 반전시킨 후 상기 현의 배치와 대응하게 상기 하현주를 삽입시켜 사용할 수 있는 양손잡이용 기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손잡이용 기타{Ambidextrous guitar}
본 고안은 양손용 기타에 관한 것으로, 일부 방향성을 두고 특이한 목적에 의해 형성되는 상현주 및 하현주 각각의 갖춰지는 방향을 손쉽게 전환하여 양손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양손잡이용 기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guitar)는 현악기의 하나로서, 앞뒤가 편평한 표주박 모양의 공명통에 자루를 달고 여섯 개의 줄을 매어, 왼손 손가락을 줄을 눌러 음정을 고르고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줄을 튕겨 연주하는 악기를 말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악기들은 흔히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가 악기를 다루는데 편리하도록 제작됨을 말하며, 오른손잡이용으로 제작된 악기의 형상이 일반인들의 기억 속에 잠재되어, 심지어 그와 같은 형상이 바른 형상이라 믿고 있다.
종래에는 연주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손은 오른손이어야 하는 보편적 관념이 자리하고 있어서, 극히 일부의 왼손을 주로 사용하는 연주자들이 악기를 다룰 때는 오른손잡이용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결국, 왼손잡이 연주자들은 악기를 조금 더 편리하게 다루기 위해 적응기간이 필요하게 되고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는 연주자보다 더 많은 노력을 들려야 함에 따라, 왼손잡이 연주자들은 이러한 경험이 반복되면서 자연히 자신과 맞지 않은 불편한 상황과 마주하게 되고, 심지어 악기를 배우는 과정에서 중도에 포기하거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었다.
반면에 근래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중으로부터 왼손잡이 연주자들이 소해 되는 인식이 점차 완화되고 긍정적으로 변화된 후, 지금은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는 연주자들마저 의도적으로 노력하여 왼손을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지게 보이고 있다.
그러나 시대적 흐름에도 불구하고 기타와 같은 악기는 아직 왼손잡이용으로 제작된 것이 극히 드물고, 혹여 왼손잡이용으로 제작되더라도 극히 한정된 수량으로 극히 일부의 모델로만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왼손잡이용의 기타는 대량 생산하기 위한 수요가 충족되지 않아 보편적으로 제작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왼손잡이용으로 악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연주자는 오른손잡이용의 기타를 왼손잡이용으로 변화시는 셋팅법을 택함으로써 비용의 절감과 함께 기타의 사용방법을 달리하고 있다.
결국, 이와 같은 방법은 최초 제작된 기타로부터 6개의 현(string)과 현의 텐션을 일정하게 잡아주는 상현주(nut)의 설치방향만을 변화시켜 주는 방법이 일반적이어서, 현의 진동이 바디(공명통)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함에 따라 기타의 원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507411호(이하, '인용고안'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인용고안은 공명을 일으키는 바디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의 네크(neck)를 바디(body)에 접철식으로 고정시켜 필요에 따라 접었다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용고안은 울림구멍이 바디의 양면에 형성되어, 현의 울림이 제대로 증폭되지 않아 소리의 음질을 떨어뜨린다는 지적과 함께, 접었다 펼치는 동작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편리성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오히려 바디와 네크의 두께가 더해져 어린이 및 여성 사용자가 악기를 연주하는데 상대적으로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현은 바디에 고정되고 네크의 끝단에 형성되는 헤드의 줄감개(turning machine)로부터 당겨져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절첩식으로 고정된 네크로 인하여 현의 음역이 빠르게 변화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인용고안이 가진 문제점과 더불어, 한번 제작된 기타는 다시금 해체작업을 동반하지 않고는 방향성을 지닌 일부의 부품의 방향을 전환할 수 없어, 종래에 왼손잡이 연주자가 오른손잡이용 기타를 연주하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발생하는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 특히 보편적으로 오른손잡이용으로 제작된 기타를 왼손잡이용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선 전문 기술을 요구함에 따라 기타를 셋팅하기에 전문 기술을 요구한다는 점과 함께 상당한 비용을 요구한다는 점, 더하여 왼손잡이용으로 셋팅 후 기타의 원 성능이 저하되고 외관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현이 배열되는 방향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상현주 및 하현주가 갖춰지는 방향을 손쉽게 전환하여 양손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양손잡이용 기타를 제한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편적이 기타의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연주가가 스스로 상현주 및 하현주가 갖춰지는 방향을 손쉽게 변화시켜 양손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특히 복수개의 현의 배열 순서를 왼손잡이용 또는 오른손잡이용으로 변화시켜 고정하더라도 다수의 현은 방향 전환 전과 같이 상호 일정 간격 및 높이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 바르게 갖춰질 수 있게 되어, 현의 울림이 바디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됨으로써 기타의 음질을 포함한 성능이 방향 전환 전과 비교하여 저하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브릿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현주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현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와 네크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왼손을 주로 사용하거나 양손 모두를 사용하는 연주자들이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는 연주자들에게 편리하게 제작된 기타를 사용함에 있어 더 많은 수고를 들이게 됨에 따라 시간 및 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본 고안은 특정 연주 방법으로 제작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편이(片耳)되지 않고 양방향으로 모두 사용하여 바른 연주자세로 편리하게 연주할 수 있는 양손잡이용 기타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기타의 헤드 또는 바디의 방향을 변경한 상태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굵기가 다른 다수의 현의 배치를 변경하여 바디 또는 네크의 헤드에 고정하는 데 있어서, 누구나 편리하게 상현주 및 하현주가 갖춰지는 방향을 전환 시킬 수 있으면서도 원상태의 기타로부터 현의 배치를 변경하였음에도 기타가 구현할 수 있는 최고의 음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손잡이용 기타를 제안한다.
도 1의 사시도를 참고하여 보면, 본 고안은 공명을 통해 현(string)의 떨림을 증폭시킬 수 있는 입체형태의 내부가 빈 바디(body)와, 상기 바디의 한편에 연주자가 손으로 운지할 수 있는 길쭉한 형태의 네크(neck)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네크(300)의 일단부에는 헤드(head)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에는 상기 현을 감아 당김으로써 현의 팽팽한 정도를 조절하여 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줄감개(turning machine)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200)는 일면에 구멍의 형태로 현의 진동에 의해 공명(共鳴)을 일으키면 상기 공명이 내부에서 모아져 외부로 나올 수 있는 사운드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바디(200)는 상기 현을 팽팽하게 당길 수 있도록 상기 현(100)의 일측부를 고정할 수 있는 브릿지(400)가 형성되어, 상기 현(100)은 상기 브릿지(400)에 고정된 상태로 타측부가 상기 줄감개(500)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져 긴장된 상태가 되며, 상기 바디(20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네크의 일면을 따라 헤드의 줄감개(500)에 감김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상기 브릿지(400)는 상기 바디(200)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로 연주자가 상기 현을 튕기면 현이 진동하며 상기 브릿지(400)를 통해 바디(20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 바디(200)의 내부에서 공명(共鳴)현상이 발생한다. 더욱이 상기 브릿지(400)는 상기 현(100)과 바디(200)의 사이에 하현주(saddle)를 구비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네크(300)는 상기 헤드(320)와의 경계부분에 상현주(nut)가 구비된다.
즉, 상기 현(100)은 상기 하현주(420)와 상현주(340)에 의해 상기 바디(200)와 네크(300)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일정 높이 및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상현주(340)는 상기 현을 적절히 잡아줄 수 있게 되어 상기 현이 측면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상기 현이 상기 바디(200)와 이격되는 높이로 적절히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하현주(420)는 상기 상현주(340)와 더불어 상기 현이 설치되는 틀 또는 범위(scale)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현(100)은 굵기가 제각각 다른 다수개가 일 방향으로 굵기순으로 배열되어, 연주자가 상기 현(100)을 튕기면 현의 직경의 굵기에 따라 제각각 음의 높이가 다른 소리를 만들어 내면서 화음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일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현(100)을 상기 바디(200)의 브릿지(400)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정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정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며 보면, 본 고안은 진동이 발생하며 소리를 발생시키는 굵기가 다른 다수의 현(100)이 고정되는 바디(200)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200)의 일면에는 브릿지(400)가 형성되어, 상기 브릿지(400)를 통해 상기 현(100)은 상기 바디(200)에 설치될 수 있는 범위 및 틀이 정해지면서, 상기 바디(200)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200)의 한편에는 일자 형태의 네크(3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네크(300)와 바디(200)가 결합되는 반대측에 형성되는 네크(300)의 단부에는 헤드(320)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320)에는 상기 바디(200)의 브릿지(400)로부터 고정되어 네크(300)의 상단측 일면을 따라 구비되는 상기 현(1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의 줄감개(500)가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현(100)은 상기 브릿지(40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줄감개(500)에 감기어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바디(200) 및 상기 네크(300)의 일면의 상단부에 자리할 수 있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현(100)이 상기 바디(200) 및 상기 네크(300)에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현주(420)와 상현주(340)를 구비하여 상기 현(100)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현주(340)는 상기 바디(200)로부터 이어지는 상기 네크(300)와 상기 네크(300)의 헤드의 경계부분에 자리하여, 상기 현(100)이 상기 줄감개(500)에 고정되어 네크(300)에 접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상기 상현주(340)에 의해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현(100)은 상기 네크(300)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현주(340)는 상기 경계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위치가 한정되지 않고 상기 네크(30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현(10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여 다양한 소리를 만들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200)는 내부가 빈 입체형상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네크(300)가 고정되는 지점을 중심부로 하여 양측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의 연주자가 연주자세를 변경하더라도 안정적이면서도 익숙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네크(300)는 일자의 길쭉한 형태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형상을 한정할 수 없고, 상기 바디(200)에 고정되는 상기 현(100)이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200)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연주자가 한 손으로 운지하여 상기 현을 손가락을 눌러서 진동하는 부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면 충분하다.
도 4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브릿지(400)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면, 상기 브릿지(400)는 상기 현(1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브릿지 고정핀(440)을 포함하여 하현주(4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현주(420)는 상기 현(100)의 일측부가 상기 고정핀(346)에 고정되어 일 방향으로 당겨져 펼쳐진 상태로 일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데, 상기 현이 배치되는 방향인 상기 현(100)과 상기 바디(20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바디(200)에 고정된 상기 브릿지(4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현주(420)가 상기 브릿지(400)에 고정되는 방법에 있어서, 일 실시예로 상기 브릿지(400)는 상기 하현주(4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하현주(420)를 삽입시킬 수 있는 통공(46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브릿지(400)는 일정 폭을 가지는 하현주(420)를 상기 통공(462)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200)로부터 상기 하현주(420)가 삽입되는 정도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공(462)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하현주(420)를 상기 통공(462)에 단순히 끼워 고정 가능함으로써 상기 하현주(420)가 구비되는 방향을 손쉽게 전환시키거나 끼워지는 방향을 바꾸어 뒤집힌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브릿지(400)가 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하현주(420)는 상기 브릿지(400)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상기 브릿지(400)의 상단에 일부 노출된 상태로 상기 바디(200)에 상기 현(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릿지 고정핀(440)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현(100)이 상기 바디(200)에 접하지 않고 일정 높이를 상기 하현주(420)에 거치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브릿지(400)는 조정의 높이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얇은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공(462)은 상기 바디(200)와 얇은 판 형태의 브릿지(400)를 관통하거나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일정 높이를 가진 상기 하현주(420)를 상기 바디(200)의 내부에 삽입시켜 상기 브릿지(400)에 의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4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형태로 한정될 수 없고, 상기 현(100)의 견고히 고정하여 현의 진동을 상기 브릿지(400)를 통해 바디(200)에 온전히 전달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상기 하현주(420)가 구비되는 위치를 온전히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도 5를 참고하여 보면, 상기 하현주(420)는 상기 현(100)과 접하는 상부와 상기 통공(462)에 삽입되는 하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현주(420)는 상부 또는 하부의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통공(462)에 삽입할 수 있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현(100)에 접하는 면을 상부 방향이 되도록 하거나 하부 방향으로 변경하여 상기 현(100)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현(100)은 굵기에 따라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하현주(420)에 거치됨에 따라, 상기 현(100)의 고정되는 배열방향이 타 방향으로 변경될 경우, 굵기가 다른 다수의 현(100)이 굵기에 따라 상기 하현주(420)에 거치되어 일정 높이로 유지되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 현(100)의 배열 방향의 변경 전후의 상태가 동일할 수 있도록 상기 하현주(420)의 상부와 하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디(200)에 구비될 수 있는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현(100)이 상기 바디(200)에 고정되는 배열방향과 상관없이 동일한 음질의 소리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하현주(420)는 각각의 굵기가 다른 다수의 현(100)이 바르게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현(100)이 접하는 면에 거치홈(422)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422)에 상기 현(100)이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홈(422)은 상기 다수의 현(100)이 굵기순으로 좌에서 우로 배열될 경우, 상기 현(100)의 굵기와 상응하는 크기로 상기 현(100)과 접하는 면에 좌에서 우로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연주자가 상기 현(100)을 튕겨 연주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100)이 상기 하현주(420)의 올바른 위치에 거치된 상태로 미끄러짐 없이 고정되어 상기 현(100)의 진동을 상기 바디(20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홈(422)은 상기 하현주(4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의 상기 현(100)이 거치되는 면(이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라 함)이 대칭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하부면에도 상기 거치홈(4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현주(42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거치홈(422)은 도 5 (a)를 참고해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상부면에 형성되는 거치홈(422)과 상하 대칭하여 같은 세로축 선상에 같은 크기의 거치홈(422)이 상기 하부면에 형성되거나, 도 5 (b)를 참고해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상부면의 거치홈(422)이 좌우반전된 후 상하 대칭되는 형상으로 세로축 선상에 상호 대비되어 크기가 다른 거치홈(422)이 상기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현주(420)는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사이에 삽입방지턱(424)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462)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하현주(420)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삽입방지턱(424)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즉, 삽입되는 정도가 상기 통공(462)의 바닥에 접하지 않고도 상기 브릿지(400)로부터 노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하현주(420)에 거치되는 현(100)은 게이지(현의 굵기에 대한 기준을 포함)가 세부적으로 나누어져 종류에 따라 제각각 장력이 틀리고, 현의 성분 또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현(100)을 바르게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하현주(420)가 제작되는 형태 또한 다양한 형상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하현주(420)는 상기 삽입방지턱(424)으로부터 상부와 하부의 높이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하부 전체의 형상은 상기 상부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현(100)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상의 하현주(420)로 변경하여 상기 현(100)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고하여 보면, 상기 하현주(420)는 상부 및 하부가 대칭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현(100)의 굵기 또는 재질의 성질에 의하거나 연주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바디(200)에 셋팅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4를 참고하여 보면, 상기 브릿지(400)는 상기 하현주(420)를 삽입할 수 있는 통공(462)이 형성되되, 상기 브릿지 고정핀(440)과 분리되고, 상기 통공(462)이 형성된 가이드판(460)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판(460)을 상기 바디(200)로부터 탈착하며 회전시켜 상기 통공(462)이 형성되는 방향을 상하좌우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판(460)은 상기 브릿지(400)의 일부분이 분리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브릿지(400) 또는 상기 바디(200)에 탈착하여, 상하좌우 회전 또는 반전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통공(462)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460)은 구성 방법 및 형태를 한정하지 않고,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하현주(420)가 위치할 수 있는 지점에 상기 하현주(4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통공(462)을 형성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460)은 상기 통공(46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현주(420)가 상기 바디(20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져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460)은 상기 통공(462)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200)에 접하게 되는 상단면 또는 하단면이 평탄한 형상으로 대칭하여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판(460)을 뒤집어 상기 브릿지(400) 또는 상기 바디(200)에 고정하더라도 상하 반전되어 형상이 변형된 통공(462)에 상기 하현주(420)을 삽입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통공(462)은 상기 하현주(420)의 형상 및 기능에 따라 상기 하현주(420)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현주(420)는 상기 현(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현(100)이 굵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좌에서 우로 배열되어 상기 브릿지 고정핀(440)에 고정될 경우, 상기 하현주(420)는 상기 브릿지 고정핀(440)의 전방에 구비되고,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현(100)을 거치할 수 있도록 길이가 길게 형성되되, 상기 하현주(42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현(100)이 당겨진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고 소정의 각을 이루며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4 (a)를 참고하여 보면, 상기 현의 굵기가 큰 순서로 좌에서 우로 배열될 경우, 상기 현을 고정할 수 있는 브릿지 고정핀(440)이 구비되고, 상기 브릿지 고정핀(440)의 전방에 상기 현을 거치할 수 있는 하현주(420)를 삽입하기 위한 통공(462)이 형성된 가이드판(46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통공(462)은 굵기가 가장 큰 현이 거치되는 좌측은 상기 브릿지 고정핀(440)과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우측은 상기 브릿지 고정핀(44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현(100)이 굵기순으로 좌에서 우로 배열되어 상기 통공(462)에 삽입되고, 소정의 각을 이루며 기울어지도록 구비되는 상기 하현주(420)에 의해 상기 현(100)의 거치되는 지점이 상이할 경우에, 상기 현(100)의 배열이 우에서 좌로 변경되더라도 상기 가이드판(460)이 고정되는 방향을 상하 변경하여, 상기 현의 배열방향의 변경 전과 같이 상기 현(100)의 굵기에 따라 상기 현(100)이 상이하게 거치되는 것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현주(420)는 도 4 (c)를 참고해 보는 것과 같이, 상기 현의 굵기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측의 폭이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가이드판(460)을 좌우 변경하여 상기 양 단부측의 폭이 상이한 하현주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통공(462)의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하현주(420)가 상기 현(100)의 배열에 따라 변경 전후 동일하게 상기 현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다르게 상기 바디(200)에 상기 브릿지(400)의 전체 구성이 고정되는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하현주(420)가 형성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4 (d)를 참고하여 보면, 상기 브릿지(400)는 상기 브릿지 고정핀(440) 및 하현주(420)가 일체로 형성되고, 더욱이 전체의 형상이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200)는 상기 브릿지(400)와 상기 하현주(420)의 돌출부위를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400)의 결합되는 부위에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브릿지(400)의 돌출되는 부위를 상기 바디(200)의 구멍에 삽입시키고, 나머지 돌출부위의 주변 부위를 통해 상기 구멍을 막아 상기 바디(20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보면, 상기 네크(300)의 일면에는 상기 현을 지지할 수 있는 상현주(340)가 구비되어, 상기 바디(200)에 고정되어 팽팽하게 잡아 당겨진 상기 현을 지지하여 팽팽한 정도를 유지할 수 게 되며, 상기 다수의 현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네크(300)의 일면에 자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현주(340)는 상기 현(100)과 접하는 면에 상기 현의 굵기와 상응하는 크기로 다수의 안착홈(342)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342)에 상기 현(100)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현(100)은 상기 네크(300)의 헤드(320)부분에 형성된 줄감개(500)에 의해 감겨지게 되는데, 상기 줄감개(500) 는 상기 네크(300)의 헤드(320)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줄감개(500)에 의해 상기 현(100)은 상기 네크(300) 상에서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다수의 방향으로 당겨지며 흩어지는 이와 같은 다수의 현(100)은 상기 안착홈(342)에 의해 안착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상현주(340)는 상기 바디(200)로부터 연이어 형성된 네크(300)와 상기 네크(300)의 헤드(320)의 경계지점에 구비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바디(200)에 설치되거나, 상기 네크(300)의 일면 상에서 상기 바디(200)와 가까운 지점에 구비하여 상기 현(10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네크(300)는 상기 현이 충분이 길이로 구비될 수 있도록 공명을 형성하는 바디(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네크가 짧게 형성하여 상기 현의 일 측을 고정시키는 경우와 같이, 다양한 경우에 따라 여러 위치에 구비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위치헤 한정하지 않고, 상기 현이 상기 브릿지 고정핀(44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면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는 지점에 구비되면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상현주(340)는 상기 네크(300)에 구비되어, 상기 현의 튕김에도 상기 네크(3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기 현(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현주(340)가 상기 네크(300)에 고정되는 방법에 있어서, 일 실시예로 상기 네크(300)는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34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344)을 통과하여 상기 상현주(340)에 결합되는 고정핀(346)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상현주(340)는 안착홈(342)이 형성되되, 굵기에 따라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상기 현(100)의 배열방향이 변경될 경우, 상기 안착홈(342)이 바르게 배열되도록 하여 상기 현(1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네크(300)에 구비되는 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핀(346)을 감싸는 탄성부재(348)가 상기 고정홀(344)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현주(340)는 상기 네크(300)로부터 잡아당겨 상기 네크(300)와 이격되도록 한 후 방향을 바꾸어 다시 상기 네크(300)에 놓음으로써 상기 탄성부재(348)의 탄성력에 의해 손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구비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탄성력에 의해 고정된 상기 상현주(340)가 상기 네크(300)의 일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346)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상현주(340)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네크(300)의 일면에 상기 상현주(340)가 안착될 수 있는 상기 네크(300)의 표면보다 낮은 단차가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단차의 높이에 의해 상기 상현주(340)가 상기 네크(300)에 삽입된 것과 같이 구비되어, 상기 단차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하현주(420)가 구비되는 상기 네크(300)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상기 상현주(340)의 양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기에 의해 하현주(4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상기 네크(300)는 상기 현(100)을 충분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200)의 한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네크(300)는 상기 바디(200)의 일 측면 또는 상단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네크(300)는 상기 바디(200)의 일측 단부 상단에 볼트와 같은 고정용부재(700)를 사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네크(30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네크(300)를 지지하는 지지대(600)가 상기 네크(300)의 하단부에 더 구비되어, 상기 네크(300)의 휨을 방지하고 상기 바디(2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대(600)는 상기 바디(200)의 일측면과 상기 네크(300)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바디(200)와 상기 네크(300)에 고정용부재(700)를 통해 동시에 결합된다.
따라서, 네크(300)는 상기 바디(2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네크(300)가 손쉽게 상기 바디(200)로부터 교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네크(300)가 상기 바디(200)로부터 고정 정도가 풀리게 됨에 따라 상기 현(100)의 텐션이 변하여 음질이 저하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고안은 상기 보편적이 기타의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편리하게 양손잡이용으로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기타의 상현주와 하현주의 방향을 전환하여 원래의 상태와 반대로 체결한 후 다수의 현을 반대 방향으로 조립하게 되면 오른손잡이용(왼손잡이용)이었던 기타가 왼소잡이용(오른손잡이용)으로 손쉽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타를 다루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특히 다수개의 현(100)의 배열 순서를 왼손잡이용 또는 오른손잡이용으로 변화시켜 상기 현(100)을 셋팅 하더라도, 상현주 및 하현주가 갖춰지는 방향을 적절하게 전환하여 손쉽게 고정 가능함으로써 다수의 현(100)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변경 전 후 같은 높이로 바람직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어 현의 울림이 바디(200)에 바르게 전달될 수 있게 됨에 따라 기타의 음질을 포함한 기타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100 : 현 200 : 바디
220 : 사운드홀 300 : 네크
320 : 헤드 340 : 상현주
342 : 안착홈 344 : 고정홀
346 : 고정핀 348 : 탄성부재
400 : 브릿지 420 : 하현주
422 : 거치홈 424 : 삽입방지턱
440 : 브릿지 고정핀 460 : 가이드판
462 : 통공 480 : 결합용부재
500 : 줄감개 600 : 지지대
700 : 고정용부재

Claims (10)

  1. 기타의 울림을 위한 바디(200)의 일면에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현(100)이 크기순으로 좌에서 우로 나란히 배열되어 고정되는 한편, 상기 현(100)과 바디(200) 사이에 하현주(420)가 장착되어 상기 현(100)이 상기 하현주(420)에 지지되며 상기 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게 되되,
    상기 일면에는 상기 현(100)을 고정시키는 브릿지(400); 및
    상기 브릿지(4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하현주(420)가 장착되는 가이드판(46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460)은 상기 바디(20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단면과 하단면이 대칭을 이루는 한편, 상기 가이드판(460)은 상기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는 통공(462)이 형성되어,
    상기 하현주(420)는 상기 통공(462)에 삽입되어 상기 현(100)을 지지하고, 상기 현(100)이 우에서 좌로 배열되면 상기 가이드판(460)을 반전시킨 후 상기 현(100)의 배치와 대응하게 상기 하현주(420)를 삽입시켜 사용할 수 있는
    양손잡이용 기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현주(420)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의 두께가 상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공(462)은 상기 하현주(420)의 폭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현주(420)가 삽입될 수 있는
    양손잡이용 기타.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현주(420)는 상부와 하부 사이에 삽입방지턱(424)이 형성되어
    상기 하현주(420)가 상기 통공(462)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양손잡이용 기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00)의 한편에 결합되는 네크(3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네크(300)는 상기 바디의 반대 측 단부에 상기 현(100)의 타측부를 고정할 수 있게 되되,
    상기 네크(300)의 일면에 상기 현(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안착홈(342)이 형성된 상현주(340)가 구비되는
    양손잡이용 기타.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현주(340)는 상기 네크(300)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현(100)의 배열방향에 따라 고정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현(100)을 지지할 수 있는
    양손잡이용 기타.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300)는 상기 바디(200)와 고정용부재(700)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양손잡이용 기타.
KR2020160001871U 2016-04-06 2016-04-06 양손잡이용 기타 KR200483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71U KR200483276Y1 (ko) 2016-04-06 2016-04-06 양손잡이용 기타
CN201620874840.5U CN206210361U (zh) 2016-04-06 2016-08-12 双手通用型吉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71U KR200483276Y1 (ko) 2016-04-06 2016-04-06 양손잡이용 기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276Y1 true KR200483276Y1 (ko) 2017-04-21

Family

ID=5866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871U KR200483276Y1 (ko) 2016-04-06 2016-04-06 양손잡이용 기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3276Y1 (ko)
CN (1) CN206210361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360Y1 (ko) * 2000-05-08 2000-10-02 배진호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KR200306064Y1 (ko) * 2002-12-12 2003-03-03 주식회사 성음악기 기타용 브릿지
KR101255525B1 (ko) * 2012-12-27 2013-04-23 오관식 통기타의 넥과 바디 결합구조
KR20130082492A (ko) * 2013-07-04 2013-07-19 신우석 현악기용 조율수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360Y1 (ko) * 2000-05-08 2000-10-02 배진호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KR200306064Y1 (ko) * 2002-12-12 2003-03-03 주식회사 성음악기 기타용 브릿지
KR101255525B1 (ko) * 2012-12-27 2013-04-23 오관식 통기타의 넥과 바디 결합구조
KR20130082492A (ko) * 2013-07-04 2013-07-19 신우석 현악기용 조율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210361U (zh)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2862C (en) Bow hold training device
JP5789584B2 (ja) 楽器のネック接合部
KR101369218B1 (ko) 어뎁터
US3413883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7659464B1 (en) Neck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EP3267436B1 (en) Endpin holder
KR200483276Y1 (ko) 양손잡이용 기타
CA2945755C (en) Internal bracing for a guitar
US8686267B2 (en) Brass instrument practice device
TWI514338B (zh) 提琴練習裝置及其製造方法
KR200432299Y1 (ko) 어깨걸이가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JP5802640B2 (ja) 弦楽器練習具
KR101902339B1 (ko) 타악기
US4238986A (en) Method for altering tonal characteristics of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KR102471827B1 (ko) 교육용 가야금
JP3193363U (ja) リガチャー
US8969690B1 (en) Knee-rest for use with Indian classical violin
JP6651170B2 (ja) 弦楽器用肩当て
KR100974330B1 (ko)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JP3211420U (ja) 弦楽器の駒
GB1604540A (en) Method for altering tonal characteristics of a stringed instrument
JP3093634U (ja) 音叉構造体
KR200313020Y1 (ko)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JP2019197087A (ja) 弦楽器用の撥
JP2018146737A (ja) シンバル用ミュー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