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330B1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4330B1 KR100974330B1 KR1020080035336A KR20080035336A KR100974330B1 KR 100974330 B1 KR100974330 B1 KR 100974330B1 KR 1020080035336 A KR1020080035336 A KR 1020080035336A KR 20080035336 A KR20080035336 A KR 20080035336A KR 100974330 B1 KR100974330 B1 KR 1009743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lide
- support member
- string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6—Bows; Guides for bows; Plectra or similar playing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활긋기 교정장치는 현악기의 지판과 현받침대 사이에서 현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에 결합되어 지지부재를 지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연주자의 활긋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악기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연주자의 활긋기 연습시 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활의 이동 경로를 안정적으로 안내해 줌으로써, 활긋기 자세를 쉽고 바르게 교정할 수 있어 실력향상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연주자로 하여금 흥미를 가지고 연주연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현악기, 활긋기, 지판, 교정장치
Description
본 고안은 현악기의 연주시 연주자의 활긋기 자세를 바르게 유도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는 연주방법에 따라 손가락이나 손톱·피크 등으로 퉁겨서 소리 내는 발현악기, 활로 마찰시켜서 소리를 내는 찰현악기, 채로 쳐서 소리를 내는 타현악기(打絃樂器)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본 발명과 연관있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등의 찰현악기들은 연주자가 활로 현을 마찰시켜서 현악기 고유의 특색있는 음향을 발산한다.
이러한 악기의 연주에 있어서는 연주자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연주 습관이나 주법 및 연습량에 따라 그 음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입문하는 순간부터 올바른 자세를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비록 곡을 연주할 정도의 수준이라 하더라도 올바른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자세를 바로잡아 주어야 한다. 예컨대, 불안전한 자세로 연주를 하는 경우에는 아름다운 음색이 나올 수 없을뿐더러 쉽게 피로가 오는데, 이를 교정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즉, 현악기를 배우는 초심자들에게 있어 현악기를 배울 때의 연주자세는 평생을 좌우하게 되므로 활을 이용해서 장시간 연주를 하는 현악기에서 활을 잡는 자세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초심자는 물론이고 기성 연주가들 가운데도 연주시 자세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앞에 언급한 바와 같이 처음 배울 때 연주자세가 바르게 잡히지 않은 결과이다. 특히, 활긋기는 현악기의 음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연주에 기본이 되는 중요한 동작이다.
현재 현악기의 활을 다루는데 있어서, 활의 자세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은 지도교사의 지적에 의한 방법과, 거울 앞에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자세를 바로잡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지도교사가 계속적으로 지켜봐야 하는 수고를 유발하는 한편 연주 후에 틀린 자세를 바로잡아 주므로 연주시 지속적으로 바른 자세의 유지가 곤란하고, 후자의 방법은 거울에 비친 반대상을 보면서 개인적인 연습을 하는 것이므로 초심자의 경우 자세교정시 착각을 불러일으킬 우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거울을 마주보고 연습하므로 따분하고 답답한 느낌을 주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가 극히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활긋기 구간과 활각의 조절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조절된 활긋기 구간과 활각으로 활긋기를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여 초보자와 숙련자 모두에게 활긋기의 바른 자세를 습득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악기의 지판과 현받침대 사이에서 현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에 결합되어 지지부재를 지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연주자의 활긋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활긋기 교정장치는 현악기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연주자의 활긋기 연습시 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활의 이동 경로를 안정적으로 안내해 줌으로써, 활긋기 자세를 쉽고 바르게 교정할 수 있어 실력향상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연주자로 하여금 흥미를 가지고 연주연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는 활로 현을 마찰하여 소리를 내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등의 찰현악기에 적용 가능하며, 본 실시예의 활긋기 교정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현악기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에 적용된 현악기 중 통상의 바이올린을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이올린은 현(50)을 구비한 소정 형상의 몸통(10)과,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현(50)을 누룰 수 있도록 몸통(10)의 전방에 장착되는 지판(20)과, 지판(20)의 선단에 구비되어 현(50)을 감아서 조현하는 현감개(30) 및 지판(20)과 소정 간격을 두고 몸통(10)에 장착되어 현(50)을 지지하는 현받침대(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된 바이올린은 연주자가 어깨 위에 올려놓은 상태로 활(60)을 이용해 현(50)을 마찰시킴으로써 소리를 내게 되는데, 활(60)의 위치에 따라 소리가 달리 표현된다. 즉, 활(60)을 현받침대(40)에 가깝게 접근시키면 딱딱하고 메마른 소리가 나며, 지판(20) 위에 활(60)을 위치시켜 현(50)을 문지르면 작고 온화한 소리가 난다.
이처럼, 활(60)의 위치에 따라 소리가 달리 표현되므로, 원하는 소리를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서는 활긋는 위치를 올바로 유지하는 연주자세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초보자의 경우 처음 배울 때의 연주자세가 평생의 기준이 되므로 올바른 연주자세를 배우는 것이 중요하며, 기성 연주자들 가운데도 연주시 자세가 흩트리지 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자세가 올바르지 않은 연주자라면 자세를 교정하는데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긋기 교정장치(C)가 지판(20)과 현받침대(40) 사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활긋기 교정장치(C)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안내부재(300)가 장착되는 지지부재(100), 이 지지부재(100)의 일단에 결합되어 활긋기 교정장치를 현악기의 지판(20)에 고정해 주는 고정부재(200), 지지부재(100)에 결합되어 연주자의 활긋기를 실질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30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00)는 원통형의 중공체로서 "┗┛"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현악기의 지판(20)과 현받침대(40)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00)는 소정 직경의 제1 지지대(110)와 제2 지지대(120)로 구분된다. 제1 지지대(110)는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 지지대(120)는 "┛"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지지대(120)는 제1 지지대(1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으며, 이에 따라 제2 지지대(120)는 제1 지지대(110)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제1 지지대(110)의 내주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안착홈(11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2 지지대(120)의 외주면에는 안착돌기(122)가 형성된다. 더불어, 제2 지지대(120)의 끝단에는 적당한 탄성력을 보유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1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지지대(110)와 제2 지지대(120) 간의 결합 위치를 조 정함으로써 지판(20)의 다양한 폭 넓이에 대응하여 지지부재(100) 전체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재(200)는 지지부재(100)의 양단에 결합되어 지판(20)의 양측을 각각 탄력적으로 파지하는 클립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200)는 지판(20)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210)와, 각 파지부(210)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한 쌍의 손잡이부(220)를 구비한다. 그리고 한 쌍의 손잡이부(220)의 사이에는 지지부재(1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중공 보스(230)가 구비된다. 이때, 각 손잡이부(220)와 중공 보스(23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연결편(24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지지부재(100)가 중공 보스(230)에 삽입되면, 지지부재(100)를 회전축으로 삼아 손잡이부(220)를 내측으로 가압하면 파지부(210)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이를 지판(20)에 장착함으로써 손쉽게 활긋기 교정장치(C)를 현악기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판(20)을 파지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각 파지부(210)의 선단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 즉, 외측으로 벌어지게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부재(300)는 지지부재(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활(60)이 현(5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활(60)이 현(50)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활긋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안내부재(30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긋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바(310)와, 이 가이드바(310)를 지지부재(100)에 고정시켜 주는 회전체(320)를 포함한다.
가이드바(310)는 활긋기를 실시할 때 활과의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체(320)는 지지부재(100)가 삽입 관통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체(320)의 일측에는 가이드바(310)가 압입되도록 체결부(32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체(320)에는 체결부(321)가 형성된 반대측에 개구부(322)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322)에는 잠금편(330)의 일측이 힌지 결합된다. 잠금편(330)의 내측면에는 회전체(320)에 지지부재(100)가 삽입된 후 잠금편(330)이 체결되었을 때 회전체(3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340)가 부착된다. 스토퍼(340)는 잠금편(330) 및 지지부재(10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적당한 완충력과 마찰력을 가진 고무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재는 도 7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안내부재(400)가 가이드바(410)와 회전체(420)를 포함하는 것은 본 발명의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회전체(420) 내부에는 지지부재(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체(430)가 구비된다. 즉, 회전체(420)의 내부는 격막(421)에 의해 제1 격실(422)과 제2 격실(423)로 구분되며, 제1 격실(422)에는 지지부재(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이 개방된 중공형의 고정체(430)가 배치되고, 제2 격실(423)에는 고정체(430)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431)가 배치된다. 돌출부(431)는 제2 격실(423)을 통해 회전체(420)의 외부로 노출되어 누름버튼의 역할을 한다. 이때, 돌출부(431)의 외주면에는 스프링지지대(432)가 돌출되고, 격막(421)과 스프링지지대(432)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돌출부(431)의 외측에는 코일스프링(440)이 결합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7의 왼쪽 도면과 같이 코일스프링(440)에 의해 고정체(430)가 위치되어 지지부재(100)에 안내부재(400)를 고정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도 7의 오른쪽 도면과 같이 돌출부(431)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고정체(430)는 코일스프링(440)의 복원력을 극복하게 되어 제1 격실(422)의 상측으로 밀려 올라감으로써 안내부재(400)를 회전시키거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재는 도 8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내부재(500)는 가이드바(510)와 회전체(520)를 포함하며, 이는 본 발명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지지부재(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소정의 만곡홈(101)을 갖는다. 그리고 회전체(520)의 체결부(521) 내부에는 격막(522)이 구비되고, 격막(522)의 하측에는 플런저(530)가 설치된다. 플런저(530)는 만곡홈(101)을 갖는 지지부재(100')에 대응되도록 그 일단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플런저(530)의 타단과 격막(522) 사이에는 스프링(540)이 배치되어 회전체(520)의 회동시 플런저(53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8의 왼쪽 도면과 같이 스프링(540)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530)가 지지부재(100')의 만곡홈(101)에 안착되어 안내부재(500)를 지지부재(100')에 고정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도 7의 오른쪽 도면과 같이 안내부재(500)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플런저(530)는 스프링(540)의 복원력을 극복하면서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어 또 다른 만곡홈에 위치됨으로써 결국 안내부재(50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연주자가 원하는 대로 활긋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부재(5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긋기 교정장치가 장착된 현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활긋기 교정장치가 장착된 현악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긋기 교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활긋기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활긋기 교정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따른 안내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내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내부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지부재 110 ; 제1 지지대
111 ; 안착홈 120 ; 제2 지지대
121 ; 절개홈 122 ; 안착돌기
200 ; 고정부재 210 ; 파지부
220 ; 손잡이부 230 ; 중공 보스
300 ; 안내부재 310 ; 가이드바
320 ; 회전체 321 ; 체결부
322 ; 개구부 330 ; 잠금편
340 ; 스토퍼
Claims (9)
- 현악기의 지판과 현받침대 사이에서 현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부재;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에 결합되어 지지부재를 지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주자의 활긋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재는 "┗" 형상의 제1 지지대와 "┛" 형상의 제2 지지대가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제1 지지대의 내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2 지지대의 외주면에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재는 지지부재의 양단에 결합되어 지판의 양측을 각각 탄력적으로 파지하는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안내부재는 활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가 결합되며, 지지부재가 삽입 관통되도록 양측이 개방되어 지지부재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체를 지지부재에 고정하는 잠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잠금편의 내측면에는 회전체에 지지부재가 삽입될 때 회전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안내부재는 활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가 결합되며, 격막에 의해 제1 격실과 제2 격실로 구분된 회전체; 상기 제1 격실에 설치되며, 지지부재가 삽입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고정체;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어 제2 격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어 고정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은 일정 간격으로 만곡홈이 형성되며,상기 안내부재는 회전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막; 상기 격막의 하측에 설치되어 만곡홈에 안착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타단과 격막 사이에 배치되어 플런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5336A KR100974330B1 (ko) | 2008-04-16 | 2008-04-16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5336A KR100974330B1 (ko) | 2008-04-16 | 2008-04-16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9889A KR20090109889A (ko) | 2009-10-21 |
KR100974330B1 true KR100974330B1 (ko) | 2010-08-05 |
Family
ID=4153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5336A KR100974330B1 (ko) | 2008-04-16 | 2008-04-16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433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2658Y1 (ko) * | 2018-04-19 | 2020-11-18 | 강응태 | 현악기 운지용 보조기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3260A (ko) * | 2003-09-30 | 2004-08-19 | 김동수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
2008
- 2008-04-16 KR KR1020080035336A patent/KR10097433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3260A (ko) * | 2003-09-30 | 2004-08-19 | 김동수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9889A (ko) | 2009-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671723B1 (en) | Bow hold training device | |
US8269084B2 (en) | Finger sleeve with raised flexible bar for playing barre chords | |
US10229659B2 (en) | Low-friction bridge for stringed instrument | |
US8766069B2 (en) | Device for facilitating stringing of a musical instrument | |
US20070256539A1 (en) | Finger alignment training device | |
US8466360B2 (en) | Device for facilitating stringing of a musical instrument | |
US4503747A (en) | Capo | |
BE1016788A6 (nl) | Snaarinstrument. | |
US6777600B2 (en) | Bowed string instrument teaching device | |
EP2917905B1 (en) | A playing aid for stringed instruments | |
US9153213B2 (en) | Adjustable plectrum | |
KR100974330B1 (ko)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
JP7295533B2 (ja) | 運弓補助具 | |
US8962957B2 (en) | Guitar training aid | |
US7968777B1 (en) | Guide for stringed instrument and method | |
WO2007040299A1 (en) | Device for learning to grip a bow of stringed instrument | |
US8969691B1 (en) | Extension block for a stringed instrument | |
JP2006293055A (ja) | 弦楽器 | |
KR200313672Y1 (ko)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 | |
KR200498177Y1 (ko) | 현악기 활의 손가락 교정기 | |
JP5802640B2 (ja) | 弦楽器練習具 | |
KR200216471Y1 (ko) | 현악기 활긋기 교정용 장치 | |
KR200313020Y1 (ko)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
KR200476745Y1 (ko) | 현악기의 활 교정기 | |
KR20050038543A (ko)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