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543A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543A
KR20050038543A KR1020040051477A KR20040051477A KR20050038543A KR 20050038543 A KR20050038543 A KR 20050038543A KR 1020040051477 A KR1020040051477 A KR 1020040051477A KR 20040051477 A KR20040051477 A KR 20040051477A KR 20050038543 A KR20050038543 A KR 20050038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ow
angle
fastening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정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희 filed Critical 정병희
Priority to KR1020040051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8543A/ko
Publication of KR2005003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54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6Bows; Guides for bows; Plectra or similar play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하고 활긋기 구간과 활각의 조절이 용이하며 그에 따라 조절된 활긋기 구간과 활각으로 활긋기를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한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긋기 교정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휴대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 활긋기시 특정 구간만을 연습할 수 있도록 구간표식이 구비됨으로써 빠른시간 내에 바른 자세를 습득할 수 있다. 또한, 활의 경사각(=활각)이 조절됨으로써 다운활 및 업활을 효과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 또, 바이올린을 지지하는 스텐드가 구비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바이올린을 올바르게 파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레슨이 끝난 후 가정에서 연주자 스스로 활쓰기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연주시간과 동일한 시간동안 계속적으로 연습할 경우 실제 연주에서는 장시간 연주하더라도 자세가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A}
본 발명은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탈 가능하고 활긋기 구간과 활각의 조절이 용이하며 그에 따라 조절된 활긋기 구간과 활각으로 활긋기를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한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라 함은 현을 발음체로 하여 음을 내는 악기를 말하며, 현악기의 일종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등은 활로 현을 마찰시켜 소리를 낸다.
활로 현을 마찰시켜 소리를 내는 상기와 같은 현악기들은 연주자의 연주습관이나 주법 또는 연습량 등에 의해 그 음색이 달라진다. 따라서 입문하는 순간부터 올바른 자세를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비록 곡을 연주할 정도의 수준이라 하더라도 올바른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자세를 바로잡아 주어야 한다.
예컨대, 레슨과정을 살펴보면 지도교사의 지시나 거울에 비친 모습을 등을 보고 활긋기 등의 자세를 교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교정방식은 지도교사가 계속적으로 지켜봐야 하고, 어느 정도 숙달된 상태, 즉 올바른 자세를 숙지한 상태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초급자의 경우 개인적인 연습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란 극히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착탈 가능하고 활긋기 구간과 활각의 조절이 용이하며 그에 따라 조절된 활긋기 구간과 활각으로 활긋기를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한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이동시 분리하여 휴대하고, 연습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또, 활긋기시 소정구간만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눈금부가 구비된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다운활이나 업활을 연습할 수 있도록 활의 사용각(=활각)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가 구비된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현악기의 몸체 허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그 양단에 조임턱이 구비되고 현과의 간섭이 없도록 그 상면에 한 쌍의 체결돌기가 형성된 체결부재와, 체결부재의 체결돌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그 양단에 다리부가 구비되고 그 상면에 반원형상의 각도판이 형성된 활각 조절부재와, 활각 조절부재의 각도판에 그 일측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면을 따라 활긋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활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체결부재는 그 양단에 조임턱이 힌지 결합되고, 힌지 축상에 조임턱이 내측으로 조여지도록 탄성 스프링이 구비되며, 조임턱에 의한 현악기의 흡집방지를 위해 조임턱 내측에 고무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활각 조절부재는 그 외주면상에 경사각을 달리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활부재는 관통공들에 의해 활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그 면상에 탄성력을 갖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활부재는 파지한 채 그 면을 따라 활긋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가 더 구비되고, 활긋기 구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그 면상에 다수의 표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현악기를 용이하게 견착할 수 있도록 스탠드가 구비되되,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탠드는 슬라이드 봉과, 슬라이드 봉을 죄어 조절된 높이로 고정하기 위한 조절나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활긋기 교장장치 중 체결부재 및 활각 조절부재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중 활각 조절부재 및 활부재의 상세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는 활로 현을 마찰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에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즉,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등에 적용가능하며, 이하에서는 바이올린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는 크게 체결부재(10)와, 활각 조절부재(20)와, 활부재(30), 그리고 높낮이 조절용 스탠드(40)로 구성된다.
체결부재(10)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이하, 활긋기 교정장치라 한다)를 착탈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시 활긋기 교정장치를 분리하여 휴대하고, 연습시 활긋기 교정장치를 바이올린(1)에 조립하여 사용한다. 그 상세한 설명은 첨부도면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활각 조절부재(20)는 다운활과 업활을 연습할 수 있도록 활부재(30)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첨부도면 2 및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활부재(30)는 막대기(bar) 형태로, 고정되며, 활긋기(또는 활쓰기) 연습시 손의 움직임 궤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고, 그 움직임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 상세한 설명은 첨부도면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탠드(40)는 바이올린을 용이하게 견착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단에 바이올린을 지지하기 위한 통상의 지그 또는 견착판이 구비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봉(42)이 구비되며, 슬라이드 봉(42)을 죄어 조절된 높이로 고정하기 위한 조절나사(43) 및 조절공(41)이 구비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자신의 키에 맞추어 스탠드(40)를 조절한 다음 활긋기 연습을 할 수 있게된다. 미설명부호 44는 받침판이다.
다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10)는 바이올린의 오목한 부분 즉, 공명을 위한 에프(f)자 구멍이 위치한 바이올린 몸체의 허리부(도 1참조 ; 2)에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체결부재(10)는 기판(11)과, 기판(11)을 바이올린 허리부(2)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기판(11)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12)에 의해 내측으로 조여지는 조임턱(13) 및, 조임턱(13)에 의한 바이올린 허리부(2)의 흠집을 방지하거나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임턱(13) 내측에 부착된 고무편(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판(11)과 조임턱(13)은 힌지(15)결합되며, 조임턱(13)이 내측으로 조여지도록 힌지 축상에 비틀림 스프링(12)이 장착된다. 따라서, 연주자가 기판(11)을 현(3) 밑으로 끼운 다음 기판(11)의 양단에 위치한 조임턱(13)을 외측으로 벌리고, 이를 몸체의 허리부(2)에 끼운 뒤 손을 떼면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조임턱(13)이 허리부(2)를 조이게 된다. 그 결과, 기판(11)은 허리부(2)에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기판(11)상에는 활각 조절부재(20)를 장착하기 위한 한쌍의 체결돌기(16)가 구비된다.
한쌍의 체결돌기(16)는 현(3)의 폭보다 넓게 위치하며, 기판(11)으로부터 소정높이 형성되고 그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즉, 한쌍의 체결돌기(16)는 그 상단이 절곡된 채 마주보고 있다. 따라서 이 체결돌기(16) 사이에 활각 조절부재의 다리부(21)가 끼움 결합되면, 기판(11)상에 활각 조절부재(20)가 견고히 장착되게 된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각 조절부재(20)는 전술한 체결부재(10)의 기판(11)상에 견고히 장착되며, 다운활과 업활을 연습할 수 있도록 활부재(30)가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활각 조절부재(20)는 현(3)을 그 내측에 수용하며 측면으로부터 기판(11)상에 형성된 체결돌기(16)에 끼움 결합되는 한쌍의 다리부(21)와, 다리부(21)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그 내측에 회동축(22)이 구비된 한쌍의 각도판(23)와, 각도판(23)의 내측에 위치되며 회동축(22)에 의해 결속되는 활부재(30)가 구비된다.
한쌍의 다리부(21)는 그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11)상에 위치시킨 후 측면에서 밀어 넣게되면 그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체결돌기(16) 내에 끼움 결합되게 된다.
각도판(23)은 대략 반원형으로, 그 외측 면상에 회동축(22)을 중심으로 경사각을 표시하는 표식이 구비된다. 또한, 그 표식에 대응하여 조절공(24)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각도판(23)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활부재(30)는 각도판(23)과 접하는 면상에 탄성력에 의해 돌출된 스토퍼(도 3참조; 32)가 구비된다. 따라서 활부재(30)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스토퍼가 어느 하나의 조절공(24)에 위치되도록 하면, 활부재(30)는 해당 조절공(24)이 갖는 경사각으로 고정된다. 결국, 사용자가 활부재(30)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해당 조절공(24)에 스토퍼를 위치시킴으로써 활부재(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여기서 스토퍼(32)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일부분만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쇠구슬의 구성으로부터 양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부재(30)는 활각 조절부재의 각도판(23)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그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판(23)과 접하는 면상에 회동축(31)과 스토퍼(32)이 구비되고, 활의 특정 구간만을 사용하기 위한 연습을 위해 그 면상에 구간표식(33)이 구비된다.
즉, 바이올린 연주시 빠른 템포나 작은 소리를 내기 위해 활의 특정 구간만을 사용하는 바, 이와 같은 특정 구간만의 활긋기를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균등된 구간표식(33)이 활부재(30)에 구비된다.
구간표식(33)은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활부재(30)에 서로 다른 균등된 색상을 도색하거나, 눈금 등을 그어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활부재(30)와 수평상태를 이루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보조활(미도시)을 구비시켜, 그 보조활에 서로 다른 균등된 색상을 도색하거나 눈금 등을 그어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활부재(30)에 손을 가볍게 얹고 활긋기를 연습할 수도 있으나, 장시간 연습할 경우 활부재(30)와의 마찰력에 의해 손이 피로하게된다. 이에 따라, 손으로 가볍게 쥐고 활긋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활부재(30)상에 슬라이드부재(34)가 구비된다.
슬라이드부재(34)는 개방된 일측면이 내측으로 절곡되고, 이 절곡면이 활부재(30) 측면상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도 2참조 ; 35)에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활긋기 연습시 슬라이드부재(34)가 활부재(30)의 측면상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35)에 의해 안내되어 진퇴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활긋기 못지않게 활을 쥔 손가락의 자세 또한 중요한 바, 슬라이드부재(34)는 활을 바르게 쥘 수 있도록 손가락 파지공(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36과 37은 회동축(22)을 구성하기 위한 체결용 볼트와 너트이고, 38은 체결용 볼트(36)가 끼움결합되는 관통공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활긋기 교정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휴대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효과가 있다.
또, 활긋기시 특정 구간만을 연습할 수 있도록 구간표식이 구비됨으로써 빠른시간 내에 바른 자세를 습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활의 경사각이 조절됨으로써 다운활 및 업활을 효과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바이올린을 지지하는 스텐드가 구비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바이올린을 바르게 파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레슨이 끝난 후 가정에서 연주자 스스로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연주시간과 동일한 시간동안 계속적으로 연습할 경우 실제 연주에서는 장시간 연주하더라도 자세가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활긋기 교장장치 중 체결부재 및 조절부재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중 조절부재 및 활부재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이올린 2 : 허리부
3 : 현 10 : 체결부재
20: 활각 조절부재 30 : 활부재
40 : 스탠드 41 : 슬라이드 봉
42 : 조절공 43 : 조절나사
44 : 받침대

Claims (5)

  1. 현악기의 몸체 허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그 양단에 조임턱이 구비되고 현과의 간섭이 없도록 그 상면에 한 쌍의 체결돌기가 형성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돌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그 양단에 다리부가 구비되고 그 상면에 반원형상의 각도판이 형성된 활각 조절부재와,
    상기 활각 조절부재의 각도판에 그 일측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면을 따라 활긋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활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그 양단에 조임턱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 축상에 상기 조임턱이 내측으로 조여지도록 탄성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조임턱에 의한 상기 현악기의 흡집방지를 위해 상기 조임턱 내측에 고무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각 조절부재는 그 외주면상에 경사각을 달리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활부재는 상기 관통공들에 의해 활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그 면상에 탄성력을 갖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부재는 파지한 채 그 면을 따라 활긋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가 더 구비되고, 활긋기 구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그 면상에 다수의 표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를 용이하게 견착할 수 있도록 스탠드가 구비되되,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스탠드는 슬라이드 봉과, 상기 슬라이드 봉을 죄어 조절된 높이로 고정하기 위한 조절나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KR1020040051477A 2004-07-02 2004-07-02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KR20050038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477A KR20050038543A (ko) 2004-07-02 2004-07-02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477A KR20050038543A (ko) 2004-07-02 2004-07-02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922U Division KR200338087Y1 (ko) 2003-10-21 2003-10-21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543A true KR20050038543A (ko) 2005-04-27

Family

ID=3724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477A KR20050038543A (ko) 2004-07-02 2004-07-02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85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153B1 (ko) * 2006-01-26 2007-08-03 류종배 소화기 고정 장치
KR20200012353A (ko) * 2018-07-27 2020-02-05 김준구 직선왕복운동을 이용한 현악기 에이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153B1 (ko) * 2006-01-26 2007-08-03 류종배 소화기 고정 장치
KR20200012353A (ko) * 2018-07-27 2020-02-05 김준구 직선왕복운동을 이용한 현악기 에이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2862C (en) Bow hold training device
US7531727B2 (en) Chin rest for musical instrument
US4104947A (en) Capo
US20090211432A1 (en) Kinesthetic musical instrument position trainer, corrector, and up-motion muscle strengthener for fingers, hands, wrists, and arms, and practice device simulator
US9576562B1 (en) Guitar hand placement guide and support bar
US5670727A (en) Stringed instrument practice bow guide
JPH03505927A (ja) 弦楽器用弓ガイド
US20160086507A1 (en) Interactive training device for bowed string instruments
US6777600B2 (en) Bowed string instrument teaching device
GB2507590A (en) A playing aid for a stringed instruments
US9928812B2 (en) Cantilevered guitar hand placement guide and support bar
US10957289B2 (en) Holder for musical instrument
US5355757A (en) String instrument bowing practice device
KR200338087Y1 (ko)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US5301589A (en) Violin bow guide
KR20050038543A (ko)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KR200405614Y1 (ko)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US7968777B1 (en) Guide for stringed instrument and method
US4554859A (en) Bow stroke simulator
WO2007056809A1 (en) Exerciser device
JP3504597B2 (ja) 弦楽器のボーイング練習器
KR100974330B1 (ko)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CN220041378U (zh) 一种led灯教学小提琴
KR200313020Y1 (ko)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KR200216471Y1 (ko) 현악기 활긋기 교정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