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614Y1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5614Y1 KR200405614Y1 KR2020050028330U KR20050028330U KR200405614Y1 KR 200405614 Y1 KR200405614 Y1 KR 200405614Y1 KR 2020050028330 U KR2020050028330 U KR 2020050028330U KR 20050028330 U KR20050028330 U KR 20050028330U KR 200405614 Y1 KR200405614 Y1 KR 2004056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w
- finger
- fixed body
- ring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6—Devices for exercising or strengthening fingers or arms; Devices for holding fingers or arms in a proper position for playing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6—Bows; Guides for bows; Plectra or similar playing mea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교정기구를 활에 견고히 고정하여, 활 잡는 방법을 보다 손쉽게 습득 및 교정할 수 있도록 한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활로 현을 마찰시켜 소리를 내는 방식의 현악기에 있어서, 활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되는 고정바디와; 손가락을 끼워 활을 쥐는 자세를 교정 및 습득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디 외주면에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일체로 다수 형성된 고정링에 다수의 손가락을 끼워 활 잡는 손가락의 자세를 교정 및 습득하므로, 활을 안정감 있고 올바르게 잡을 수 있고, 활 잡는 방법을 보다 손쉽게 습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활을 쥐는 자세의 습득 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잘못된 손가락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시켜, 사용자의 연주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현악기, 활, 손가락, 교정, 고정링.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손가락 교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손가락 교정기를 사용하는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교정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교정기구를 사용하는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바디의 일실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바디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 7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바디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고정바디 11 : 절개부
12 : 돌출부 13 : 결합구멍
14 : 절첩부 15 : 개방홈
20 : 고정링 20a : 엄지고정링
20b : 검지고정링 20c : 약지고정링
30 : 활 30a : 손잡이
본 고안은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교정기구를 활에 견고히 고정하여, 활 잡는 방법을 보다 손쉽게 습득하고 교정할 수 있도록 한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악기란, 현을 발음체로 하여 음을 내는 악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연주방법에 따라 손가락이나 손톱·피크 등으로 퉁겨서 소리내는 발현악기, 활로 마찰시켜서 소리를 내는 찰현악기, 채로 쳐서 소리를 내는 타현악기(打絃樂器)로 나뉘어진다.
이 중에서, 활로 현을 마찰시켜서 소리를 내는 대표적인 현악기로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악기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활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야 하므로, 활을 올바르게 쥐는 자세는 좋은 소리를 내기 위한 근간이 될 뿐만 아니라 현악기를 다루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활을 쥐는 자세는 그 중요성만큼 올바른 파지 방법을 습득하기가 어려워, 정확하고 깨끗한 소리를 내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현악기를 연주하는 것이 미숙한 초보자의 경우에는 활을 쥐는 자세를 습득하는 데에만 수개월의 시간이 소요되기도 하여, 현악기를 배우는 것을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더욱이, 현악기를 기본적으로 다룰 줄 아는 사람이라도, 활을 쥐는 손가락의 자세를 제대로 습득하지 않은 경우에는 연주 실력이 향상되는 것이 더딜 뿐만 아니라, 계속하여 연습을 하게 되더라도 더 이상의 실력 향상이 전무한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 문 제가 있었다.
첨부 도면 도 1과 도 2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313672호)에 대한 것으로, 제1고정구(40)와 제2고정구(50)로 구성된다.
이하 설명하면, 먼저 제1고정구(40)는 활대(31)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일측에 파지부(44)가 형성되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제1고정부(42)를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42)의 타측에는 연주자의 검지손가락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링 형상의 고정링(46)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고정구(50)는 상기 제1고정구(4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활대(31)에 삽입 고정되도록 일측에 파지부(44)가 형성되는 원형의 고리 형상의 제2고정부(42)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부(42)의 타측에는 연주자의 새끼손가락이 안착되도록 함체 형상의 안착부(56)를 형성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고정링(46)에 검지손가락을 삽입하고 안착부(56)에 새끼손가락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활(30)을 잡고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는 단순히 검지손가락만을 끼울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엄지 및 약지손가락 등의 파지 방법을 쉽게 알 수 없어 실질적으로 초보자가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종래 기술은 검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의 위치 교정을 위한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를 각각 개별적으로 활대에 삽입하는 방식이므로, 초보자는 검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의 간격인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의 적절한 간격을 알 수 없어, 교정기 의 사용이 어려운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손가락이 끼워지는 교정기구를 활에 견고히 고정하여, 활 잡는 방법을 보다 손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한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활을 쥐는 자세를 잘못 습득한 사람들의 손가락 자세를 교정시켜, 사용자의 연주 실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활로 현을 마찰시켜 소리를 내는 방식의 현악기에 있어서, 활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되는 고정바디와; 손가락을 끼워 활을 쥐는 자세를 교정 및 습득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디 외주면에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b는 본 고안의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에 대한 것으로, 고정바디(10)와, 다수의 고정링(20)으로 구성된다.
이하 설명하면, 먼저 고정바디(10)는 활(30)의 손잡이(30a)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고정링(20)이 다수 부착 성형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바디(1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파이프 형태로 일체 성형하여 활(30)의 손잡이(30a) 부분에 끼워지게 되는데, 상기 활(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억지끼움 결합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고정바디(10)는 도 6a, 6b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일측을 개방 및 결합시켜 활을 고정시킬 수도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고정바디(1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1)를 절개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11)와 대칭되는 고정바디(10)의 타측에는 절첩 가능한 절첩부(1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11)와 근접된 고정바디(10) 부분에는 상기 고정바디(10)를 결합 및 개방 가능하게 록킹수단을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한 록킹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상기 절개부(11)와 근접된 고정바디(10) 일부에 돌출부(1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2)에는 결합구멍(13)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구멍(13)에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절개부(11)를 통해 개방되는 고정바디(10)를 결합 가능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록킹수단의 실시예로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고정하는 방식을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와 유사한 결합력을 갖는 다른 록킹수단을 장착하는 구성 또한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바디(10)는 도 7a, 7b와 같이 이완 및 수축작용을 통해 고정바디(10)와 활(30)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고정바디(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절개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11)에는 개방홈(15)을 형성한다.
그리고, 고정바디(10)는 상기 개방홈(15)을 통해 이완 및 수축 작용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바디(10)를 활(30)의 손잡이(30a)에 결합 및 개방 가능하게 형성한다.
한편, 고정링(20)은 손가락에 끼워져 활(30)을 쥐는 연주자의 손가락 자세를 교정 및 습득시키는 것으로, 도 3과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바디(10) 외주면에 일체로 다수 성형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링(20)은 엄지고정링(20a)과 검지고정링(20b)과 약지고정링(20c)이 각각 성형되는데, 상기 엄지고정링(20a)은 엄지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바디(10) 단부 일측에 일체로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 검지고정링(20b)은 검지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엄지고정링(20a)과 대칭되는 고정바디(10) 타측에 일체로 성형한다. 또한, 상기 약지고정링(20c)은 약지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검지고정링(20b)과 수평되는 위치의 고정바디(10) 타단부에 일체로 성형한다.
즉, 상기한 엄지, 검지, 약지고정링(20a)(20b)(20c)은 활(30)을 올바르게 쥔 상태에서의 손가락 자세를 편안하게 교정 및 습득시킬 수 있도록 고정바디(10) 외주면에 각각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체로 성형되는 고정바디(10)와 다수의 고정링(20)은 그 재질로 탄성 재질인 고무재 또는 연질의 PVC재를 사용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연질의 비금속류 또한 적용 가능하며, 이 외에도 동일 및 유사한 탄성계수를 갖는 다른 재질의 것으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를 사용하여 활(30)을 쥐는 손가락의 자세를 교정 및 습득하기 위해서는 고정바디(10)를 활(30)의 손잡이(30a) 부분에 삽입 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디(10)는 도 5와 같은 파이프 형태인 경우 억지끼움 결합하게 되고, 도 6a, 6b와 같이 개방 및 결합이 가능한 형태인 경우에는 록킹수단을 통해 활(30)의 손잡이(30a) 부분에 고정시키게 되며, 도 7a, 7b와 같은 경우에는 고정바디(10)의 탄성을 통한 이완 및 수축작용에 의해 활(30)의 손잡이(30a) 부분에 고정시키게 된다.
먼저, 상기 록킹수단을 이용한 고정바디(10)의 개방 및 결합 작용을 설명하면, 도 6b와 같이 고정바디(10)의 절개부(11)를 통해 상기 고정바디(1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활(30)의 손잡이(30a) 부분을 위치시킨다.
이 후에, 도 6a와 같이 상기 절첩부(14)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바디(10)를 오므린 후, 돌출부(12)에 형성된 결합구멍(13)에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고정바디(10)를 활(30)의 손잡이(30a) 부분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고정바디(10)의 탄성을 이용한 개방 및 결합 작용을 설명하면, 도 7b와 같이 고정바디(10)의 개방홈(15)에 손가락을 끼운 후에 힘을 가하여 상기 고정바디(10)를 양측으로 벌리게 되면, 상기 고정바디(1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이완되어 전체적으로 둥글게 벌어지게 된다.
이 후에, 상기 고정바디(10) 내측에 활(30)의 손잡이(30a) 부분을 위치시킨 후, 개방홈(15)을 가압하던 손가락의 힘을 풀게 되면, 상기 고정바디(1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이완되어 있던 고정바디(10)가 수축되는 동시에 활(30)의 손잡이(30a) 부분을 강하게 조이게 되고, 이에 따라 도 7b와 같이 상기 고정바디(10)를 활(30)의 손잡이(30a) 부분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활(30)의 손잡이(30a) 부분에 고정바디(10)를 고정시킨 후에,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과 약지손가락을 엄지고정링(20a), 검지고정링(20b), 약지고정링(20c)에 각각 끼우고 활(30)을 잡게 됨으로써, 활(30)을 보다 안정감 있고, 올바르게 잡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의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는 악기를 다루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들이 활(30)을 잡는 것이 익숙해질 때까지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초보자들로 하여금 활(30)을 자연스럽고 올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교습서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활(30)을 쥐는 자세의 습득 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는 활(30)을 쥐는 손가락의 자세를 잘못 습득한 사람들에게 사용됨으로써, 잘못된 손가락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주자의 실력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는 종래의 손가락 교정기와 달리 각각의 고정링(20)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고정링(20)이 다수 형성되므로, 손가락을 올바르게 위치시키는 것이 매우 간편하고 이에 따라 활(30)을 처음 잡는 사람들도 활(30) 잡는 방법을 보다 손쉽게 익힐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일체로 다수 형성된 고정링에 손가락을 끼워 활 잡는 손가락의 자세를 교정 및 유지하므로, 활을 보다 안정감 있고 올바르게 잡을 수 있음은 물론, 활을 처음 잡는 사람들도 활 잡는 방법을 보다 손쉽게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악기를 다루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들이 활을 잡는 것이 익숙해질 때까지 사용함으로써, 활을 자연스럽고 올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교습서 역할을 하여 활을 쥐는 자세의 습득 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활을 쥐는 손가락의 자세를 잘못 습득한 사람들에게 사용함으로써, 잘못된 손가락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시켜, 사용자의 연주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6)
- 활로 현을 마찰시켜 소리를 내는 방식의 현악기에 있어서,활(30)의 손잡이(30a) 부분에 구비되는 고정바디(10)와;손가락을 끼워 활(30)을 쥐는 자세를 교정 및 습득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디(10) 외주면에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고정링(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10)는 파이프 형태로 일체 성형하여 활(30)의 손잡이(30a) 부분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10)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절개부(11)와 절첩부(14)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절개부(11) 부분에는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고정바디(10)를 손잡이(30a)에 결합 및 개방 가능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절개부(11)에 의해 개방되는 고정바디(10) 부분에 결합구멍(13)이 형성된 돌출부(1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멍(13)에는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고정바디(10)를 손잡이(30a)에 결합 및 개방이 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10)는 길이방향으로 개방홈(15)을 갖는 절개부(11)를 형성하되 탄성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개방홈(15)을 통한 고정바디(10)의 이완 및 수축작용에 의해 상기 고정바디(10)를 손잡이(30a)에 결합 및 개방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20)은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엄지고정링(20a)과;검지손가락이 끼워지는 검지고정링(20b)과;약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약지고정링(20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8330U KR200405614Y1 (ko) | 2005-10-04 | 2005-10-04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8330U KR200405614Y1 (ko) | 2005-10-04 | 2005-10-04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2985A Division KR100646804B1 (ko) | 2005-10-04 | 2005-10-04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5614Y1 true KR200405614Y1 (ko) | 2006-01-11 |
Family
ID=4175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8330U KR200405614Y1 (ko) | 2005-10-04 | 2005-10-04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5614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745Y1 (ko) * | 2014-07-18 | 2015-03-27 | 박수진 | 현악기의 활 교정기 |
KR101567513B1 (ko) | 2013-12-26 | 2015-11-10 | 박준엽 | 현악기 연습용 손가락 보조기구 |
WO2019093587A1 (ko) * | 2017-11-13 | 2019-05-16 | 박준엽 | 현악기 연습용 손가락 보조기구 |
CN115188245A (zh) * | 2022-07-08 | 2022-10-14 | 邵华 | 一种小提琴握弓辅助练习器 |
KR20230002302U (ko) | 2022-05-26 | 2023-12-05 | 김동수 | 현악기 활의 손가락 교정기 |
-
2005
- 2005-10-04 KR KR2020050028330U patent/KR20040561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7513B1 (ko) | 2013-12-26 | 2015-11-10 | 박준엽 | 현악기 연습용 손가락 보조기구 |
KR200476745Y1 (ko) * | 2014-07-18 | 2015-03-27 | 박수진 | 현악기의 활 교정기 |
WO2019093587A1 (ko) * | 2017-11-13 | 2019-05-16 | 박준엽 | 현악기 연습용 손가락 보조기구 |
KR20230002302U (ko) | 2022-05-26 | 2023-12-05 | 김동수 | 현악기 활의 손가락 교정기 |
CN115188245A (zh) * | 2022-07-08 | 2022-10-14 | 邵华 | 一种小提琴握弓辅助练习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73836B2 (en) | Practice aid device for percussionists | |
EP2277168B1 (en) | Bow hold training device | |
KR200405614Y1 (ko)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
KR100646804B1 (ko)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
US2008027158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the playing of a stringed instrument | |
US20070256539A1 (en) | Finger alignment training device | |
US6777600B2 (en) | Bowed string instrument teaching device | |
US20160086507A1 (en) | Interactive training device for bowed string instruments | |
US4763556A (en) | Flute instrument digit rest and spacer | |
US5355757A (en) | String instrument bowing practice device | |
KR101567513B1 (ko) | 현악기 연습용 손가락 보조기구 | |
JPS6226784Y2 (ko) | ||
US20150339945A1 (en) | Teaching aid providing tactile feedback associated with large stringed instruments | |
WO2000077761A1 (fr) | Accessoire pour la pratique d'un instrument de musique | |
US3141369A (en) | Hand support for a horn | |
US4794839A (en) | Musical instrument pick for simultaneous two person use | |
KR200313672Y1 (ko)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 | |
KR100974330B1 (ko)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
KR200313042Y1 (ko) | 자세교정용 현악기 활 | |
US20180108333A1 (en) | Drumstick | |
KR200216471Y1 (ko) | 현악기 활긋기 교정용 장치 | |
KR200498177Y1 (ko) | 현악기 활의 손가락 교정기 | |
KR20050037282A (ko) | 연주하기 용이한 기타 | |
KR200338087Y1 (ko)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
KR101053073B1 (ko) | 줄 간격 교정용 필기보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