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745Y1 - 현악기의 활 교정기 - Google Patents
현악기의 활 교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6745Y1 KR200476745Y1 KR2020140005402U KR20140005402U KR200476745Y1 KR 200476745 Y1 KR200476745 Y1 KR 200476745Y1 KR 2020140005402 U KR2020140005402 U KR 2020140005402U KR 20140005402 U KR20140005402 U KR 20140005402U KR 200476745 Y1 KR200476745 Y1 KR 2004767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ger
- thumb
- bow
- main body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6—Bows; Guides for bows; Plectra or similar playing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6—Devices for exercising or strengthening fingers or arms; Devices for holding fingers or arms in a proper position for playing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른 자세로 현악기의 활을 잡을 수 있도록 구현된 현악기의 활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가운데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현악기의 활에 끼우기 위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손가락을 받치기 위한 다수 개의 손가락 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현악기의 활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른 자세로 현악기의 활을 잡을 수 있도록 구현된 현악기의 활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현악기는 현을 발음체로 하여 음을 내는 악기로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등과 같은 대표적인 현악기들이 있는데, 연주자가 활로 현을 마찰시켜 현악기 고유의 특색 있는 음향을 발산할 수 있다. 이러한 현악기의 연주에 있어서, 좋은 음색을 내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현악기의 줄을 누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한 손으로 활을 올바르게 쥐고 연주하는 것도 중요하다. 초보자들이 활을 잡고 긴 활 쓰기, 작은 활 쓰기, 레가토, 스타카토 등의 기법으로 자유롭게 연주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기성 연주가들 가운데서도 새로운 곡을 연주하거나 어려운 곡을 연주할 경우 자세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많다. 불안전한 자세로 연주를 할 경우에는 좋은 음색이 나올 수 없을 뿐더러 쉽게 피로가 오게 된다.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경우에, 특히 엄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의 위치와 힘의 강도가 중요하다. 다른 손가락의 힘도 활을 올릴 때와 내릴 때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다른 손가락은 활을 오르내릴 때에 자연스럽게 움직여지더라도 엄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은 활을 꽉 잡고 그 위치를 벗어나면 안된다는 것이다. 현악기의 종류마다 잡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모두 비슷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46804호(2006.11.09 등록)는 엄지 손가락, 검지 손가락, 약지 손가락을 링에 끼워 활 잡는 방법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활로 현을 마찰시켜 소리를 내는 방식의 현악기에 있어서, 활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되는 고정바디와 손가락을 끼워 활을 쥐는 자세를 교정 및 습득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디 외주면에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3042호(2003.04.29 등록)는 검지 손가락과 소지 손가락의 위치를 잡아 주는 자세교정용 현악기 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활대와 활대에 고정된 활털 및 활털을 활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활털고정쇠와 조임쇠를 구비한 현악기의 활에 있어서, 상기 활대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사용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의 적어도 어느 두개의 안착위치를 지정하여 바르게 안착되게 하는 위치교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는, 링에 손가락을 끼워 교정하는 것으로 사람마다 손가락 크기와 굵기가 다르기 때문에 링에 끼우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자세교정용 현악기 활은 엄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의 위치를 잡아주어 고정시키고 손가락의 힘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검지 손가락의 위치는 잡아주지만, 중지 손가락의 위치는 잡아주지 않아 중지 손가락의 위치가 움직이면서 전체적인 자세가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손가락의 힘을 길러주지 못하고, 현악기의 활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함과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악기의 활에 끼워 손가락 위치를 교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 현악기의 활 교정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가락 받침부에 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현악기의 활 교정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손가락 받침부를 좌우로 슬라이드시켜 주도록 한 현악기의 활 교정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가운데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현악기의 활에 끼우기 위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손가락을 받치기 위한 다수 개의 손가락 받침부를 포함하는 현악기의 활 교정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가락 받침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엄지받침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중지 손가락을 받치기 위한 중지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엄지받침부재는, 엄지 손가락을 위치시키기 위한 스펀지; 상기 스펀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탄력 수단; 및 상기 탄력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지받침부재는, 중지 손가락을 받치기 위한 스펀지; 상기 스펀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탄력 수단; 및 상기 탄력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가락 받침부는, 상기 엄지받침부재의 옆에 고정되고, 상기 엄지받침부재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엄지 손가락을 받쳐 굽혀지게 하고, 그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유지부재는, 엄지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지받침부재의 좌측에 형성되어, 검지 손가락을 받치기 위한 검지받침부재; 상기 중지받침부재의 우측에 형성되어, 약지 손가락을 받치기 위한 약지받침부재; 및 상기 약지받침부재의 우측에 형성되어, 소지 손가락을 받치기 위한 소지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검지받침부재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약지받침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검지받침부재와 상기 약지받침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기 위한 두 개의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검지받침부재와 상기 약지받침부재를 각각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 및 상기 검지받침부재와 상기 약지받침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재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검지받침부재와 상기 약지받침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가락 받침부는,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현악기의 활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이 없을 때에 따로 분리하여 소지하면서 평상시에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손가락의 위치를 잡아주는 부분에 탄력수단을 구비하여, 손가락의 힘과 그 손가락과 연결된 팔 근육을 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손가락 받침부를 좌우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나 길이에 따라 위치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손가락을 링에 끼워 교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의 활 교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엄지받침부재와 중지받침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유지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손가락 받침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의 활 교정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엄지받침부재와 중지받침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유지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손가락 받침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의 활 교정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의 활 교정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의 활 교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악기의 활 교정기(10)는, 본체부(100), 손가락 받침부(2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외측에 다수 개의 손가락 받침부(200)를 형성하며, 가운데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현악기의 활(20)에 끼워진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사용자가 잡고 힘을 주더라도 형태가 변형되지 않으며, 나무에 부착되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현악기의 활(20)에 끼우기 위해 활털걸이에 끼워지는 부분에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현악기의 활(20)의 위로 씌울 수 있도록 하부(현악기의 활(20)에 끼워지는 부분)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는 탄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탄력에 의해 벌려 현악기의 활(20) 장착하면, 탄력에 의해 쪼아주면서 현악기의 활(20)에 고정될 수 있다.
손가락 받침부(200)는, 본체부(100)의 외측에 다수 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잡아주고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손가락 받침부(200)는, 본체부(100)의 외측 표면보다 기 설정된 높이만큼 더 높게 돌출 형성되어, 각 손가락을 위치시키기 편리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손가락 받침부(200)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가락 받침부(200)는, 사용자가 잡을 때에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미끄럼방지부재는, 돌기, 고무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가락 받침부(200)는, 본체부(100)에 바로 고정 설치되지 않고 가운데에 스프링 등이 형성되어,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해 누르면서 손가락의 힘을 기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가락 받침부(200)는, 엄지받침부재(210), 검지받침부재(240), 중지받침부재(220), 약지받침부재(250), 소지받침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엄지받침부재(210)는, 본체부(10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엄지받침부재(210)는, 활(20)을 잡을 때 엄지 손가락이 움직이면 안되기 때문에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 형성할 수 있다.
검지받침부재(240)는, 본체부(100)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된 중지받침부재(220)의 좌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을 위치시켜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검지받침부재(240)는,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나 길이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시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지받침부재(220)는, 엄지받침부재(21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본체부(100)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중지 손가락을 위치시켜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중지받침부재(220)는, 엄지받침부재(210)와 마찬가지로 움직이면 안되기 때문에 고정 형성할 수 있다.
약지받침부재(250)는, 본체부(100)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된 중지받침부재(220)의 우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약지 손가락을 위치시켜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약지받침부재(250)는,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나 길이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시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소지받침부재(260)는, 약지받침부재(250)의 우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소지 손가락을 위치시켜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소지받침부재(260)는,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나 길이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시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지받침부재(260)는, 상부에 홈(110)을 길게 형성하여, 슬라이드 시키지 않더라도 홈(110) 위에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받침부재(엄지받침부재(210), 검지받침부재(240), 중지받침부재(220), 약지받침부재(250), 소지받침부재(260))는, 상부에 형성된 홈(110)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홈(110)은, 각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도록 손가락 모양에 따라 둥글게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홈(110)은, 다수 개의 손가락 받침부(200) 중 1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현악기의 활 교정기(10)는, 본체부(100)의 가운데 부분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현악기의 활(20)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이 없을 때에 따로 분리하여 소지하면서 평상시에 연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엄지받침부재와 중지받침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엄지받침부재(210)는, 스펀지(211), 탄력 수단(212), 고정 수단(213)을 포함한다.
스펀지(211)는, 탄력 수단(212)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엄지 손가락을 위치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펀지(211)는, 오래 쥐고 있어도 아프지 않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때에 손가락 끝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쿠션감이 있는 재질(예를 들어, 스펀지, 고무 등)로 형성될 수 있다.
탄력 수단(212)은, 스펀지(211)와 본체부(100) 사이에 형성되어 탄력을 제공하며, 고정 수단(213)을 통해 본체부(100)에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 수단(212)은, 사용자의 힘 또는 실력에 맞게 개수나 높이를 조절하여 탄력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손가락의 힘을 기르고 바른 자세를 연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 수단(212)은, 스프링 등 탄력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서, 탄력 수단(212)은, 검지받침부재(240), 약지받침부재(250), 소지받침부재(260)의 각 하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수단(213)은, 탄력 수단(212)의 다른 일 말단에 형성되어, 탄력 수단(212)을 본체부(100)에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수단(213)은, 글루건, 접착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지받침부재(220)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펀지(214), 탄력수단(215), 고정수단(21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는 엄지받침부재(210)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현악기의 활 교정기(10)는, 손가락 받침부(200)에 탄력 수단(212)을 구비하여, 손가락의 힘과 그 손가락과 연결된 팔 근육을 기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유지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손가락 받침부(200)는, 유지부재(230)를 더 포함한다.
유지부재(230)는, 엄지받침부재(210)의 옆에 해당하는 본체부(100)에 고정 설치되고, 엄지받침부재(210)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엄지 손가락을 받쳐 굽혀지게 하고, 그 상태를 유지시켜 엄지 손가락이 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지부재(230)는,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ㄴ'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지부재(230)는, 일 말단이 각진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 모서리에 긁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곡선으로 형성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지부재(230)는, 글루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시키거나, 나사를 통해 본체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지부재(230)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의 크기 또는 모양에 따라 알맞게 휘게 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휘어진 후 그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지부재(230)는, 보호패드(231)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패드(231)는, 유지부재(23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유지부재(230)에 엄지 손가락이 눌려 압박감을 느끼거나 피부가 벗겨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패드(231)는, 부드럽고 쿠션감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손가락 받침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손가락 받침부(200)는, 슬라이드부(300, 400)를 더 포함한다.
슬라이드부(300, 400)는, 본체부(100)와 검지받침부재(240) 및 본체부(100)와 약지받침부재(250)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의 크기나 길이에 따라 검지받침부재(240)와 약지받침부재(25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부(300, 400)는, 안내부재(310, 410), 슬라이드부재(32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재(310, 41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어, 검지받침부재(240)와 약지받침부재(250)를 각각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슬라이드부재(320, 420)는, 검지받침부재(240)와 약지받침부재(250)의 하부에 형성되며, 안내부재(310, 410)에 각각 삽입되어, 검지받침부재(240)와 약지받침부재(25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슬라이드부(300, 400)는, 패턴부재(330, 430), 슬라이드 고정부재(340, 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재(330, 430)는, 슬라이드부재(320, 420)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요철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패턴부재(330, 430)는, 슬라이드 고정부재(340, 440)가 볼록한 부분에 위치하면 슬라이드 되고, 슬라이드부재(320, 420)가 정지하였을 때 슬라이드 고정부재(340, 440)가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고정부재(340, 440)는, 슬라이드부재(320, 420)에 형성되며, 패턴부재(330, 430)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부재(320, 420)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고정부재(340, 440)는, 스프링, 구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이 슬라이드부재(320, 420)의 내측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일 말단은 슬라이드부재(320, 420)와 체결하고, 스프링의 다른 일 말단은 구슬과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320, 420)가 안내부재(310, 4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패턴부재(330, 430)의 볼록한 부분에 의해 구슬이 눌려 스프링이 탄성 압축되며, 볼록한 부분을 지나 오목한 부분에 배치되면 구슬이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부재(320, 4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고정부재(340, 440)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현악기의 활 교정기(10)는, 손가락 받침부(200)를 슬라이드부(300, 400)를 통해 좌우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나 길이에 따라 위치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의 활 교정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현악기의 활 교정기(10)는 본체부(100)의 가운데가 관통된 부분을 이용하여 현악기의 활(20)에 끼워 장착하며, 이때, 엄지받침부재(210)가 아래로 가도록 장착한다. 현악기의 활 교정기(10)를 활(20)에 장착 후, 다수 개로 형성된 손가락 받침부(200)의 위치에 알맞은 손가락을 각각 위치하여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다수 개의 손가락 받침부(200)는 일렬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활 잡는 방법에 맞는 위치에 따라 자연스럽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그 위로 손가락을 각각 위치시킨다. 유지부재(230)는, 엄지받침부재(210)에 엄지 손가락을 위치하고 굽혀진 상태에 맞게 조절하여, 엄지 손가락의 아래에서 받쳐주면서 펴지지 않도록 그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따라서 손가락의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올바른 자세로 활(20)을 잡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현악기의 활 교정기
20 : 활
100 : 본체부
110 : 홈
200 : 손가락 받침부
210 : 엄지받침부재
211, 214 : 스펀지
212, 215 : 탄력 수단
213, 216 : 고정 수단
220 : 중지받침부재
230 : 유지부재
231 : 보호 패드
240 : 검지받침부재
250 : 약지받침부재
260 : 소지받침부재
300, 400 : 슬라이드부
310, 410 : 안내부재
320, 420 : 슬라이드부재
330, 430 : 패턴부재
340, 440 : 슬라이드 고정부재
20 : 활
100 : 본체부
110 : 홈
200 : 손가락 받침부
210 : 엄지받침부재
211, 214 : 스펀지
212, 215 : 탄력 수단
213, 216 : 고정 수단
220 : 중지받침부재
230 : 유지부재
231 : 보호 패드
240 : 검지받침부재
250 : 약지받침부재
260 : 소지받침부재
300, 400 : 슬라이드부
310, 410 : 안내부재
320, 420 : 슬라이드부재
330, 430 : 패턴부재
340, 440 : 슬라이드 고정부재
Claims (10)
- 가운데가 관통되거나, 현악기의 활(20)의 위로 씌울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현악기의 활(20)에 끼우기 위한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손가락을 받치기 위한 다수 개의 손가락 받침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받침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엄지받침부재(210);
상기 본체부(100)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중지 손가락을 받치기 위한 중지받침부재(220); 및
상기 엄지받침부재(210)의 옆에 고정되고, 상기 엄지받침부재(210)의 하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엄지 손가락을 받쳐 굽혀지게 하고, 그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유지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부재(230)는, 엄지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패드(2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활 교정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받침부재(210)는,
엄지 손가락을 위치시키기 위한 스펀지(211);
상기 스펀지(211)와 상기 본체부(100) 사이에 형성되는 탄력 수단(212); 및
상기 탄력수단(212)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활 교정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지받침부재(220)의 좌측에 형성되어, 검지 손가락을 받치기 위한 검지받침부재(240);
상기 중지받침부재(220)의 우측에 형성되어, 약지 손가락을 받치기 위한 약지받침부재(250); 및
상기 약지받침부재(250)의 우측에 형성되어, 소지 손가락을 받치기 위한 소지받침부재(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활 교정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검지받침부재(240) 및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약지받침부재(25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검지받침부재(240)와 상기 약지받침부재(25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기 위한 두 개의 슬라이드부(300, 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활 교정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300, 400)는,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되어, 상기 검지받침부재(240)와 상기 약지받침부재(250)를 각각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310, 410); 및
상기 검지받침부재(240)와 상기 약지받침부재(25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재(310, 410)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검지받침부재(240)와 상기 약지받침부재(25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320, 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활 교정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5402U KR200476745Y1 (ko) | 2014-07-18 | 2014-07-18 | 현악기의 활 교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5402U KR200476745Y1 (ko) | 2014-07-18 | 2014-07-18 | 현악기의 활 교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6745Y1 true KR200476745Y1 (ko) | 2015-03-27 |
Family
ID=5304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5402U KR200476745Y1 (ko) | 2014-07-18 | 2014-07-18 | 현악기의 활 교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6745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3042Y1 (ko) * | 2003-02-18 | 2003-05-16 | 김문겸 | 자세교정용 현악기 활 |
KR200405614Y1 (ko) * | 2005-10-04 | 2006-01-11 | 김혜용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KR20120079776A (ko) * | 2011-01-05 | 2012-07-13 | 김혜령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 |
-
2014
- 2014-07-18 KR KR2020140005402U patent/KR20047674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3042Y1 (ko) * | 2003-02-18 | 2003-05-16 | 김문겸 | 자세교정용 현악기 활 |
KR200405614Y1 (ko) * | 2005-10-04 | 2006-01-11 | 김혜용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구 |
KR20120079776A (ko) * | 2011-01-05 | 2012-07-13 | 김혜령 |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671723B1 (en) | Bow hold training device | |
US8269084B2 (en) | Finger sleeve with raised flexible bar for playing barre chords | |
US9240167B2 (en) | Pick-rite guitar aid | |
KR20100125323A (ko) | 현악기용 어깨 받침대 | |
KR102188849B1 (ko) | 악기의 패드를 올리기 위한 시스템들 | |
JP2016502135A (ja) | 弦楽器用演奏補助具 | |
US4763556A (en) | Flute instrument digit rest and spacer | |
KR200476745Y1 (ko) | 현악기의 활 교정기 | |
US2782670A (en) | Training attachments for stringed instruments | |
JP3240807U (ja) | 装着具 | |
US6037533A (en) | Saxophone thumb rest and octave key attachments | |
US7615698B2 (en) | Vibarato trainer | |
US8962957B2 (en) | Guitar training aid | |
US8969691B1 (en) | Extension block for a stringed instrument | |
US9489930B1 (en) | Wrist alignment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
JP2008040439A (ja) | バイオリン及びビオラの演奏の左手のトレーニング器 | |
GB2493384A (en) | Finger mounted plectrum | |
KR200498177Y1 (ko) | 현악기 활의 손가락 교정기 | |
KR100974330B1 (ko)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
JP5695262B1 (ja) | バイオリンのネック部における左手保型用補助具 | |
KR200313020Y1 (ko) | 현악기용 활긋기 교정장치 | |
TWM595309U (zh) | 小提琴運弓矯正暨弱聲裝置 | |
JP2014092638A (ja) | 弦楽器練習具 | |
RU173367U1 (ru) | Щипковый 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 |
US20170365240A1 (en) | Thumb Guard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