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360Y1 -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 Google Patents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360Y1
KR200199360Y1 KR2020000013135U KR20000013135U KR200199360Y1 KR 200199360 Y1 KR200199360 Y1 KR 200199360Y1 KR 2020000013135 U KR2020000013135 U KR 2020000013135U KR 20000013135 U KR20000013135 U KR 20000013135U KR 200199360 Y1 KR200199360 Y1 KR 200199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spherical
head
height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호
Original Assignee
배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427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53906A/ko
Application filed by 배진호 filed Critical 배진호
Priority to KR2020000013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3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3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미세하게 현의 높이와 구면을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32)와 넥(33) 및 바디(34)로 크게 구성되고; 상기 바디(34)에 장착된 테일피스(38)를 통하여 넥(33)을 경유하여 헤드(32)부분의 폴(37)에 현(35)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34)와 헤드(32) 상간에 연결된 현(35)이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딩 할 수 있도록 헤드(32)와 넥(33)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상현주(50)를 가지는 현악기(100)에 있어서;상기 상현주(50)를 헤드(32)와 넥(33)상간에 형성되는 단차(51)상에 안치되는 바디(52)와 상기 바디(52)의 전방에 결합되어 현(35)의 높이와 구면을 조절하는 구면조절판(53)으로 구성하고; 상기 바디(52)의 전방에는 구면조절판(53)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시켜 형성하는 조절판고정구(54)와; 상기 바디(52)의 후미하방에는 현(35)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현안내홈(55)과; 상기 바디(52)의 후미상방에 구비되어 바디(52)를 단차(5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A free- adjustable nut device and method in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본 고안은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하게 현의 높이와 구면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상현주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현악기는 기타, 첼로, 바이올린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으며 이러한 현악기중 대표적인 전기기타를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그 구성은 크게 헤드(32)와 넥(33) 및 바디(34)로 구성된다.
이러한 현악기(100)의 현(35)은 헤드(32)에서 바디(34)까지 연결되어져 음높이에 맞게 조율하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현악기(100)의 현(35)은 헤드(32)부분과 바디(34)부분에서 그 장력이 조절되는 것으로서, 현(35)의 연결은 바디(34)에 장착된 테일피스(38)를 통하여 넥(33)을 경유하여 헤드(32)부분의 폴(37)에 연결되어지고, 폴(37)과 연결된 페그(36)에 의하여 조율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고 조현된 현(35)이 헤드(32)의 페그(36)부분에서 풀려지는 현상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32)와 넥(33)의 경계지점에 고정하는 것이 상현주(50)이다.
종래에도 조현된 현이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목적으로 이러한 상현주가 사용되고 있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상현주(1)는 넥(2)의 시작단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상현주(1)는 넥(2)이 가지는 구면과 동일한 구면을 가지고 현(3)이 삽입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현안내홈(4)을 가지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현주는 단순히 바디에서 시작하여 넥을 경유하여 헤드방향으로 지나는 현을 안내하는 역할만 수행할 뿐 여타의 기능은 없는 실정이다.
즉, 조현이 완료된 현이 자기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외에 현의 높이와 넥이 가지는 구면에 맞게 조절되는 등의 기능이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현주는 장기간의 연주로 프렛이 마모되거나 상현주 자체가 마모되어 상현주와 프렛을 교환할 경우 정확한 구면을 유지할 수 없게됨은 물론, 프렛과 현의 높이를 정확하게 셋팅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사용자에 의하여 다른 종류(굵기가)현을 교환할 경우 원래의 현보다 가는현을 연결할 경우에는 상현주에 형성되는 현안내홈에 삽입되는 것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프렛과 현의 높이가 달라지는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원래의 현보다 굵은 현을 사용할 경우에는 현안내홈을 절삭하여 현을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 역시 프렛과 현의 높이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없게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개선된 상현주를 제공하여 현을 안정된 상태로 가이딩하는 기본적인 역할의 수행은 물론, 현의 높이와 구면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과, 장기간의 사용으로 마모된 프렛의 교체시에는 기존의 프렛과는 다른 높이의 프렛으로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현악기 사용자와 제조자의 편익향상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현악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상현주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상현주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현악기용 상현주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현악기용 상현주가 적용된 상태를 발췌한 단면도.
도 6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상현주의 발췌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5; 현
50; 상현주
52; 바디
53; 구면조절판
57; 상,하조절볼트
58; 곡면유지볼트
100; 현악기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현악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상현주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상현주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현악기용 상현주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현악기용 상현주가 적용된 상태를 발췌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현악기(100)는 헤드(32)와 넥(33) 및 바디(34)로 크게 구성되고, 이러한 현악기(100)의 현(35)은 헤드(32)에서 바디(34)까지 연결되어져 음높이에 맞게 조율하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현악기(100)의 현(35)은 헤드(32)부분과 바디(34)부분에서 그 장력이 조절되는 것으로서, 현(35)의 연결은 바디(34)에 장착된 테일피스(38)를 통하여 넥(33)을 경유하여 헤드(32)부분의 폴(37)에 연결되어지고, 폴(37)과 연결된 페그(36)에 의하여 조율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고 조현된 현(35)이 헤드(32)의 페그(36)부분에서 풀려지는 현상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32)와 넥(33)의 경계지점에 고정하는 것이 상현주(50)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상현주(50)를 개선하여 현(35)의 이탈현상을 근원적으로 배제하면서도 현의 높이와 구면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상현주(50)는;
헤드(32)와 넥(33)상간에 형성되는 단차(51)상에 안치되는 바디(52)와 상기 바디(52)의 전방에 결합되어 현(35)의 높이와 구면을 조절하는 구면조절판(5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52)의 전방에는 구면조절판(53)을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절판고정구(54)를 돌출시키고, 후방에는 헤드(32)에서 바디(34)방향으로 지나가는 현(35)을 안내하고 트레몰로유니트(38)의 다운시 현(3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현안내홈(55)을 형성한다.
상기 현안내홈(55)은 현(35)의 수와 각 현(35)의 간격과 동일한 수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며, 상기 바디(52)의 후미상방에는 바디(52)를 단차(5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56)를 구비한다.
상기 조절판고정구(54)의 하방에 위치하는 구면조절판(53)은 현(35)의 높이와 구면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이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구면조절판(53)은 조절판고정구(54)의 상방 중앙에 구비되는 상,하조절볼트(57)에 의하여 관통된 상태로 나사결합되어 전체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상,하조절볼트(57)의 측방 조절판고정구(54)상에는 조절판고정구(54)와 나사결합되어 하단면이 구면조절판(53)의 상면과 연접되도록 한 곡면유지볼트(58)을 구비하여 구면조절판(53)의 구면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상현주(50)는;
헤드(32)와 넥(33)상간에 형성되는 단차(51)상에 바디(52)의 후방이 헤드(32)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후 고정볼트(56)를 이용하여 바디(52)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바디(52)의 고정이 끝나면 현(35)을 바디(34)에 장착된 테일피스(38)를 통하여 넥(33)을 경유하여 상현주(50)의 바디(52)에 형성되는 현안내홈(55)을 경유하여 구면조절판(53)의 상측을 지나도록 하여 헤드(32)부분의 폴(37)에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현(35)의 연결이 완료되면 구면조절판(53)을 상,하조절볼트(57)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높,낮이를 결정한다.
상,하조절볼트(57)에 의하여 구면조절판(53)의 전체적인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상,하조절볼트(57)의 양측에 구비되는 곡면유지볼트(58)를 이용하여 구면조절판(53)의 구면을 미세하게 조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상현주(50)는 고정볼트(56)에 의하여 상현주(50)전체가 헤드(32)와 넥(33)상간에 형성된 단차(51)에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현주(50)의 바디(52)에 형성되는 현안내홈(55)에 각각의 현(35)이 삽입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현(35)이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현(35)이 바디(34)에 장착된 테일피스(38)를 통하여 넥(33)을 경유하여 헤드(32)로 연결되기 때문에 구면조절판(53)의 높,낮이와 구면이 상,하조절볼트(57)와 곡면유지볼트(58)에 의하여 미세한 상태로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고안의 상현주(50)는 장기간의 연주로 프렛이 마모되어 프렛을 교환할 경우에도 넥(33)이 가지는 구면과 동일한 구면을 유지할 수 있게되고, 교환된 프렛과 현(35)의 높이를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하여 다른 종류(굵기가)현(35)을 교환할 경우에도 현(35)의 굵기에 관계없이 상현주(50)를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서도 안정된 상태로 현(35)을 가이딩할 수 있고, 현(35)의 굵기에 의하여 프렛과 현(35)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상현주(50)자체에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현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미세하게 현의 높이와 구면을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3)

  1. 헤드(32)와 넥(33) 및 바디(34)로 크게 구성되고;
    상기 바디(34)에 장착된 테일피스(38)를 통하여 넥(33)을 경유하여 헤드(32)부분의 폴(37)에 현(35)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34)와 헤드(32) 상간에 연결된 현(35)이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딩 할 수 있도록 헤드(32)와 넥(33)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상현주(50)를 가지는 현악기(100)에 있어서;
    상기 상현주(50)를 헤드(32)와 넥(33)상간에 형성되는 단차(51)상에 안치되는 바디(52)와 상기 바디(52)의 전방에 결합되어 현(35)의 높이와 구면을 조절하는 구면조절판(53)으로 구성하고;
    상기 바디(52)의 전방에는 구면조절판(53)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시켜 형성하는 조절판고정구(54)와;
    상기 바디(52)의 후미하방에는 현(35)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현안내홈(55)과;
    상기 바디(52)의 후미상방에 구비되어 바디(52)를 단차(5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조절판(53)은 조절판고정구(54)의 상방 중앙에 구비되는 상,하조절볼트(57)에 의하여 관통된 상태로 나사결합되어 전체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상,하조절볼트(57)의 측방에는 조절판고정구(54)와 나사결합되어 하단면이 구면조절판(53)의 상면과 연접되어 구면조절판(53)의 구면이 미세하게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조절판(53)은 현(35)의 높이와 구면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KR2020000013135U 2000-05-08 2000-05-09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KR200199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135U KR200199360Y1 (ko) 2000-05-08 2000-05-09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275A KR20000053906A (ko) 2000-05-08 2000-05-08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KR2020000013135U KR200199360Y1 (ko) 2000-05-08 2000-05-09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275A Division KR20000053906A (ko) 2000-05-08 2000-05-08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360Y1 true KR200199360Y1 (ko) 2000-10-02

Family

ID=2663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135U KR200199360Y1 (ko) 2000-05-08 2000-05-09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3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276Y1 (ko) * 2016-04-06 2017-04-21 안기윤 양손잡이용 기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276Y1 (ko) * 2016-04-06 2017-04-21 안기윤 양손잡이용 기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096B1 (ko) 끊어진 현을 보정하는 특징을 가지는 전음장치
US4453443A (en) Pitch stabilized string suspension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US54047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y adjusting and intonating an acoustic guitar
US6870083B2 (en) Variable configuration guitar bridge
US7638697B2 (en) Apparatus for coupling strings to the body of a stringed instrument and related methods
US5986192A (en) Locking device for tremolo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4361068A (en) Bridge device for stringed instrument
US10586517B2 (en) Intonation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s
US6034311A (en) Height adjustable point retention bar assembly
US4541320A (en) Stringed instrument saddle lock
US4549460A (en) Electric bass guitar incorporating fine-tuning and string length-adjusting means
US7459618B2 (en) Locking tailpiece
US7157634B1 (en) String instrument
US4953435A (en) Rear-access trussed neck construction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20200043448A1 (en) Stringed instrument vibrato tailpiece device and method
CA2667874C (en) Chin-rest for a violin
US6462259B1 (en) Nut assembly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9520109B1 (en) Modular adjustable fretboard apparatus
US4823669A (en) Tremolo device for an electric guitar
US10607580B2 (en) Intonation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s
US4932302A (en) Tremolo device for a guitar
KR200199360Y1 (ko) 구면과 현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현악기용 상현주
US8404956B2 (en) Fingerboard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5753838A (en) Guitar string holder
US9899008B1 (en) Bridge and bridge assembly for stringed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