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96B1 - 끊어진 현을 보정하는 특징을 가지는 전음장치 - Google Patents

끊어진 현을 보정하는 특징을 가지는 전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96B1
KR910008096B1 KR1019890005245A KR890005245A KR910008096B1 KR 910008096 B1 KR910008096 B1 KR 910008096B1 KR 1019890005245 A KR1019890005245 A KR 1019890005245A KR 890005245 A KR890005245 A KR 890005245A KR 910008096 B1 KR910008096 B1 KR 910008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a
base plate
string
sound
st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938A (ko
Inventor
디이. 로우즈 프로이드
Original Assignee
디이. 로우즈 프로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이. 로우즈 프로이드 filed Critical 디이. 로우즈 프로이드
Publication of KR90001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G10D3/147Devices for altering the string tension during playing
    • G10D3/153Tremolo devic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끊어진 현을 보정하는 특징을 가지는 전음장치
제1도는 현악기의 전기키타의 소정위치에 위치하는 본 발명 전음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전음장치의 일부 확대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을 따라 자른 전음장치의 일부 절결 정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어 그 이동의 일단에서 피봇 선회하게 장착된 멈춤부재를 유지하는 멈춤쇠 설비의 일부 절결 상세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을 따라 자른 상세정면도.
제6도는 제3도의 6-6선을 따라 자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음장치 12 : 전기기타
14 : 본체 16 : 목부
17 : 너트부재 18 : 줄감개
20 : 브릿지부재 22 : 전음 베이스 부재
32 : 전음바아 34 : 플랜지
42 : 전방블록부재 46 : 슬롯
52 : 후방블록 부재 64 : 현클램프부
70 : 조율조절나사 80 : 전음아암 부재
90 : 정지부재 96 : 나사부재
98 : 너트부재
본 발명은 현악기용 전음장치(tremolo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현의 하나가 연주하는 동안 끊어지는 경우, 현악기의 끊어지지 않은 현을 즉시 재조율하도록 준비하고 있는 전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악기용 전음장치는 널리 알려져 있고, 악기의 모든 현의 장력을 동시에 충분히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사용되어, 상당한 음폭의 진동을 발생한다. 이러한 전음장치가 본 발명자인 플로이드 로우즈의 미합중국 특허 제 4,497,236호 및 팬더의 미합중국 특허 제 2,741,146호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체, 목부 및 복수의 현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현이 키타의 목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키타 본체의 일부에 걸쳐서 후방쪽으로 뻗는 전기기타에 접속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전응장치는 키타본체에 피봇 선회하게 장착되고, 현의 타단이 고정되는 현부착 수단을 가지는 베이스판을 포함한다. 현은 베이스판의 평면의 레벨위의 평면내의 지점에서 부착수단에 고정되고, 양 평면은 키타본체의 평면에 평행한다. 또한 전음장치는 키타의 본체내의 캐비티로, 베이스판에 대해 아래방향으로 직각으로 뻗은, 베이스판과 일체인 플랜지 부재를 가진다. 또한 일단이 플랜지 부재의 저단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키타본체내의 캐비티의 벽에 접속된 복수의 현을 가진다. 현의 장력과 스프링의 편향력은 현이 조율되어 있고, 전음장치의 베이스판이 중립하는 제1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서로 상쇄되도록 배열된다. 베이스판에 고정된 전음바아는, 현의 장력이 감소하고, 키타의 음폭이 플렛(flat)음 방향으로 전이하는 제2위치 또는 현의 장력이 증가하고, 키타의 음폭이 샤프(shape)음 방향으로 전이하는 제3위치의 어느쪽으로 향하던지, 키타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베이스판을 연주자가 수동으로 피봇 선회할 수 있도록 한다.
키타 연주가가 연주하는 동안, 키타의 현중 하나가 끊어지면, 끊어지지 않은 현의 장력과 전음장치의 현의 편향력 사이에 지금까지 존재하고 있던 균형이 깨지고, 전음장치의 베이스판은, 나머지 끊어지지 않은 현의 장력이 현의 편향력을 다시 상쇄할때까지 현의 편향력하에서 아래방향으로 피봇 선회한다. 그래서, 나머지 끊어지지 않은 현의 개개의 장력은 증가하고, 현의 음폭은 전부 샤프음 방향으로 전이하여, 연주가가 어느 경우든지 시간을 소비해서 새 기타로 바꾸거나, 키타의 나머지 현을 손으로 다시 조율해야 하므로, 상당한 시간동안 연주를 멈추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연주시 현의 하나가 끊어지는 경우, 현악기의 끊어지지 않은 현을 즉시 다시 조율하도록 속에 준비하고 있는 향상된 전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 3,697,493호에는 키타 전음 제어아암 존속자가 선택된 위치에서 전음제어 아암을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현이 끊어지면, 제어아암은 선택된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것은, 제어아암이 선택된 위치에 일단 유지되면, 전음작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어떠한 연주에서는 제어아암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어아암이 강고하게 유지되는 경우 조차, 전음판은 어느정도의 강성으로는 전음판이 유지되지 않는다.
미합중국 특허 제 4,674,389호에 전음판 체결부재는 전음 베이스판의 후미에서 키타본체에 피봇 선회하게 고착되어, 판과 키타 본체 사이에 끼워진 위치와 전음판의 이동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이러한 장치는 계합된 위치 또는 계합되지 않은 위치내에 체결부재를 유지하는 수단을 제공하지 않는 결점이 있다. 이것은 연주하는 동한 키타를 여러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록 가수에게 특히 불합리하다. 그래서 어떠한 가수는 비계합된 위치에 체결부재를 유지하도록 저음만으로 연주할 수 밖에 없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674,389호의 장치에 대한 대부분의 결점은 체결부재가 키타본체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높은 위치에 있은 것이다. 키타가 조율된 경우, 전음 베이스판은 키타본체에 대해 상대적인 높이를 취한다. 이러한 높이는 키타의 목부의 탄성, 전음의 형태, 조율의 방법들을 가지는 여러 인자에 따른다. 키타가 조율되어 있는 경우, 전음판이 키타본체의 위에 있는 위치에 설정될 수는 없다. 그래서, 미합중국 특허 제 4,674,389호에 판 체결부재가 전음판을 조율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실행되는 것은 전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또한, 현이 끊어진 경우, 키타 목부는 목부의 이완이 충분히 보상되는 지점으로 기타의 정상 조율상태에서의 높이 이상으로 올라갈수 있도록 이완되어서, 나머지 끊어지지 않은 현이 조율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키타의 현이 고착되는 전음 베이스판과, 조율된 위치로부터 키타본체로 향하는 제1방향 및 키타본체에서 떨어진 조율된 위치로부터의 제2방향으로 전음 베이스판을 이동하여 전음 사운드를 발생하는 전음수단과, 전음 베이스판이 상기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키타에 있어서, 상기 키타는, 키타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체결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높이조절 수단은 전음 베이스판이 조율된 상태로 있는 위치로 조절된다. 현이 끊어지는 경우, 높이조절 수단은 베이스판 아래에 위치되어 원래의 조율된 상태로 되돌아 가게한다. 높이조절 수단은 베이스판을 수동으로 조절해서, 끊어지지 않는 현이 조율되어 있는 위치로 되도록 끊어지지 않은 현에 대해 키타를 다시 조율한다. 물론, 현이 하나도 남지 않은 경우에는 목부의 이완의 정도로 그 밖의 경우는 남아있는 특정의 현등에 의해 정확한 조절을 행한다. 그래서, 진정으로 실용적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 명세서는 청구범위에 기재한 것을 권리범위로 하여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1도에 본 발명 전음장치(10), 전기키타(12)의 브릿지부재(20)가 도시된다. 전기키타(12)는 본체(14)와 목부(16)로 이루어진다. 목부(16)의 상부근처에는 너트부재(17)가 있고, 그것을 지나서, 그 하나하나가 키타의 현을 위해 제공된 줄감개(18)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키타에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벤죠, 우클렐레(ukeleles), 만도린, 류트(lute), 바이올린, 첼로 및 심지어 피아노등과 같은 기타 현악기에도 사용할 수 있음을 알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키타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키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각각의 현의 하나하나를 조율하는 브릿지 부재의 기능을 내장하는 전음장치와 연관해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브릿지 부재를 내장하지 않고 개개의 현을 조율하는 전음장치와 연관해서 사용될 수 있음도 이해될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다. 제1도와 연관한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키타현의 피치를 순간적으로 충분히 변하도록 브릿지 부재(20)가 키타의 본체(14)에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작용하는 본 발명 전음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전음장치(10)의 브릿지 부재 및 미세한 조율특징이 상술한 미합중국 특어 제 4,497,236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서는 참고로, 그러한 특징의 일반적인 설명만을 기재하였다. 여기서, 전음장치(10)는 전음 베이스 부재(22)를 가지며, 그 주요부는 키타의 상부면에 평행하게 중심이 맞추어진 평평판(24)이다. 평평판(24)은 전방 모서리(23)의 각각에 인접하는 나이프 엣지면(21)을 가진다. 나이프 엣지면은 키타의 본체(14)에 고정된 직립 위치 나사(26)내의 경사홈과 일치한다. 평평판(24)의 후미에서, 플랜지(28)는 본체내에 형성된 캐비티(25) 아래로 뻗는다. 플랜지(28)의 바닥은, 하나이상의 수평 스프링(30)에 의해, 캐비티(25)를 형성하는 하나의 벽(29)에 접속된다.
전음바아(32)는 그 한쪽의 횡모서리(키타의 목부(16)를 향해서 보아,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모서리)근처의 평평판(24)에 고착된다.
전음바아(32)가 키타의 본체(14)를 향해서 움직이는 경우, 전음 베이스 부재(22)는 스프링(30)의 작용에 대해, 두 개의 고정위치 나사(26)주위를 위쪽으로 피봇 선회하거나 경사진다. 이러한 작용은 악기의 원래의 피치조율을 플랫음 방향으로 현저히 변화하고, 악기의 사운드의 범위를 증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원래의 피치조율을 다시 원하는 경우, 전음바아(32)를 해제해서, 스프링(30)이 전음 베이스 부재(22)를 그 원래의 중립위치로 되돌리게 하고, 전음 베이스 부재는 브릿지 부재(20) 및 현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린다. 동시에, 전음바아(32)가 키타의 본체(14)로부터 떨어져서 움직이는 경우, 전음베이스 부재(22)는 두 개의 고정위치 나사(26)에 아래쪽으로 피봇 선회하거나 경사져서, 키타줄내의 장력을 증가한다. 이러한작용은 다시 악기의 원래의 피치조율을 샤프음 방향으로 충분히 변화한다. 전음바아(32)가 다시 해제된 경우, 현내의 증가된 장력은 전음 브릿지부재(20)를 그 원래의 중립위치로 되돌리고, 브릿지 구조 및 현을 그 원래의 상태로 되돌린다.
또한, 전음 베이스 부재(22)는, 평평판(24)의 후미 모서리로부터 위쪽으로 뻗고, 악기의 두 개의 바깥쪽현, 즉 하이 E 및 로우 E현 사이의 거리보다 어느정도 더 큰 폭을 가지는 직립 L형 플랜지(34)를 가져서, 플랜지(34)는 현의 세트보다 약간 더 넓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현은 분리되어 있고, 정교한 조율부재(35), (36), (37), (38), (39) 및 (40)와 대응한다. 정교한 조율부재(35), (40)의 각각은 전방블록 부재(42)와 후방블록 부재(52)를 가진다.
전방블록 부재(42)는 그 내부에 슬롯(46)을 가지고, 그 프론트 엣지(48)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그 폭의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프론트판부(43)를 가진다. 슬롯(46)은, 평평판(24)에 나사결합되고, 판(24)에 대해 전방블록 부재(42)를 클램프하는 장치 나사(44)를 충분히 조절할 수 있을 정도로 넓다. 장치나사(44)를 풀면, 현의 조율을 위해, 전방블록 부재(42), 후방블록 부재(52) 및 관련부분의 세로방향 운동을 하게된다.
전방블록 부재(42)의 후미부는 프론트판부(43) 위로 뻗지만. U형으로 절결되어, 위에서 본 경우, 후미방향으로 개방한다. 그래서 후미부는 중간부(51)에 의해 전방단부에 결합된 두 개의 엣지부(45), (47)로 이루어진다. 중간부(51)의 상부엣지(50)는 약간 풀린다.
각각의 미세한 조율부재(35)-(40)의 후방블록 부재(52)는 평면 및 정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이고, 그 정면에서 뻗은 반원형 수직이어부(ear portion)(54)가 제공된다. 이어부(54)는 전방블록 부재(42)의 후미부의 두 개의 엣지부(45)(47)사이의 거리와 같은 폭을 가지는 반면, 후방블록 부재(52)의 전체폭을 엣지부(45),(47)의 외부면 사이의 거리와 대략 같다.
중심이 맞추어진 원형 개구부는 두 개의 엣지부(45), (47)를 개재해서 제공될 뿐 아니라 후방블록 부재(52)의 이어부(54)를 개재해서 제공된다. 핀(56)은 개구에 위치되고, 후방블록 부재(52) 및 전방블록 부재(42)의 전면 및 후미면의 각각은, 후방블록 부재(52)가 전방블록 부재(42)에 대해 상대적으로 핀(56)둘레를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후방블록 부재(52)는 또한 부재(52)의 상부면과 바닥면으로 개방하는 중앙 개구부(55)를 가진다. 중앙 개구부(55)의 앞 또는 전방형태를 형성하는 내부면은 반원형 이어부(54)의 곡선이 개구부로 주어진 거리만큼 이어지는 식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 하방으로 중심이 맞추어진 경우 평평하게 되어도 좋다.
제3도는 핀(56)둘레의 회전축에 상대적인, 이어부(54)의 곡선으로된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중심이 맞추어진 비교적 평평한 면(57)을 도시한다. 면(57)은 회전축의 후방으로 짧은 거리 뻗어, 후방블록 부재(52)의 저단면에 아래쪽으로 뻗은 수직 평평면(60)내에 끝난다. 이어부(54), 면(57) 및 평평면(60)은 현 접촉면으로서 현 접촉과 관련된다. 면(57)은 일부 또는 전부는 마찬가지로 곡선을 이루고 있다. 현은 상부 데드중심점(59)에서 초기 접점을 만든다. 중심점(59)의 정면 및 후미에 대한 현 접촉면은 소망의 정교한 조율범위가 되도록 임계적인 거리로서 충분한 곡선으로 되어서, 현은 항상 현 접촉면의 곡선부상에 있게 된다. 평평면(57)또는 임계 거리부의 후미에 대해 반경부를 증가하는 것은 핀(56)과 면(60)사이의 두께를 후미방향으로 증가하게 한다. 이와 같은 증가된 두께는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은 클램핑 작용를 견디는 조율부재에 유용하다. 면(57)에 완만한 곡선으로 되어 있다면, 현의 수명은 길어질 것이다. 개구(55)를 형성하는 키타 내부면은,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그 형태가 특별히 중요하지 않을지라도, 수직이고 평평하다. 후방블록 부재(52)는 판(24)의 후미에서의 L형 플랜지(34)로부터 비교적 짧은 거리를 한정한다.
개구(55)내에 위치되는 것은 현 클램프부(64)(제3도)의 프론트 판(62)이다. 악기의 현은 면(60)과 프론트(62) 사이에서, 개구(55)를 통해 아래로 위치된다. 현과 후방블록 부재(52) 사이의 임계 접촉점은 회전축의 상부 데드중심점(59)에 인접하게 발생한다. (제3도) 정교한 조율부재는 또한 현에 대한 브릿지로서 작용한다.
나사생크(66)의 전방단부는 르론트판(62)에 대향해서 지탱한다. 나사생크(66)는 후방블록 부재(52)의 후미벽(65)을 통해서 나사 결합되고, L형 플랜지(34)내의 수직슬롯(67)을 통해서 뻗는다. 나사생크(66)는 헤드(68)로 한정되어서, 현을 클램핑하거나 하지않는 프론트판(62)에 대한 압력을 변화하도록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알랜 랜치(Allen wrench)에 의해 선회되는 것이 좋다. 정교한 조율 조절나사(70)는 L형 플랜지(34)의 수평부(72)를 통해 나사 결합되게 위치되어서, 나사생크(66)와 접한다. 나사생크(66) 및 후방블록부재(52)는 L형 플랜지(34)의 수직슬롯(67)내에서 수직으로 짧은 거리를 움직일수 있게 되어 있다. 나사생크(66)는 현악기 자체내의 장력에 의해, 조율 조절나사(70)의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편향된다. 조율 조절나사(70)는 손이나 스크류 드라이버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나사(70)를 아래쪽으로 나사결합해서 생크를 아래쪽으로 밀어, 후방블록 부재(5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제3도)
주어진 현의 장력을 변하고자 하면, 즉, 현을 정교하게 조율하고자 하면, 조절나사(70)를 시계방향으로 움직여서(아래쪽으로), 현장력 및 현 피치를 증가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여서(위쪽으로), 현장력 및 현피치를 감소한다. 후방블록 부재(52)가 핀(56) 주위를 회전할 때, 현의 브릿지 접점의 임계점은 후방블록 부재(52) 및 이어부(54)의 반경으로된 상부때문에, 중심점(59)에서 유지한다. 그러므로, 키타의 헤드단부에서 브릿지 임계 접촉점과 너트부재(17)사이의 거리는 현의 정교한 조율동안 마찬가지로 유지하는 반면, 현은 클램프된 현의 조율을 유지한다.
이상과 같은 전음장치용 정교한 조율의 설명은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497,236호의 요지이므로,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아니며,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키타가 줄감개(18) 및 정교한 조율부재(350,(40)에 의해 적절히 정교하게 조율되어, 키타가 그 현의 하나가 끊어져서 사용하고 있다면, 현의 감소된 누적장력은, 제3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30)이 나이프 엣지면(21)과 위치나사(26)둘레의 베이스부재(22)를 시계방향으로 약간 피봇 선회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음장치(10)는 볼트(82), (84)에 의해 전음 베이스 부재(22)의 상단면에 볼프 결합된 전음아암부재(80)를 가진다. 전음아암 부재(80)는 그 위에 후미부(86)을 가진다. 전음아암 부재(80)는 베이스 부재(22)의 저단면의 평면에 평행하거나 공통의 평면내에 뻗는다. 따라서, 키타줄이 끊어져서 베이스 부재(22)가 약간 아래쪽으로 피봇 선회하는 경우, 전음아암 부재(80)는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약간 아래쪽으로 움직여서, 새로운 위치에서 새로운 균형이 키타줄의 누적장력과 스프링(30)의 편향력 사이에 발생한다.
제2도, 제3도 및 제6도에 있어서, 키타의 끊어지지 않은 현에 적절한 장력을 재설정하기 위하여, 경사진 선단부(91)를 가지는 정지부재 또는 아암(90)이 제공된다. 정지부재(90)는 나사부재(96)에 고정된 칼라 (92),(94) 사이에 피봇 선회하게 장착된다. 나사부재(96)는 키타본체(14)내에 매립되거나 체결된 삽입 또는너트부재(98)를 나사 계합한다. 키타본체(14)의 상단면과 정지부재(90)사이의 공간은 손잡이 금붙이 머리(knurlde head)(100)를 통해 나사부재(96)를 회전함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할 수있다. 따라서, 칼라(92), (94) 및 나사부재(96) 및 너트부재(98) 모두는, 키타본체(14)에 상대적인 정지부재(90)의 정면을 조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전에 서술한 바와 같이, 정지부재(90)는 나사부재(96)에 상대적으로 피봇 선회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2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비활성 위치와, 제2도 및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활성 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키타를 사용하는 동안, 줄이 끊어지지 않는 경우, 정지부재(90)는 비활성 위치(제2도에 도시된 파선위치)로 회전하고, 본 발명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타본체(14)의 상단면에 체결되거나 상단부내에 매립된 자석으로 이루어진 유지수단(102)에 의해 유지된다. 연주하는 동안 줄이 끊어지는 경우, 연주자는 단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실시위치인 활성위치로 정지부재(90)를 피봇 선회하는 것만 필요하다. 이러한 피봇 선회운동 동안, 정지부재(90)의 경사진 선단부(91)는 파선위치로부터 실선위치로 전음아암 부재(80)를 계합하고 상승하여, 나머지 끊어지지 않은 현을 다시 조율한다. 물론, 정지부재(90)는 악기의 조율과 연관해서, 연주의 시작전에 나사부재(96)에 의해 정확한 높이로 올려지는 것이다.
또한, 키타본체(14)의 상단면에 체결되거나 매립된 자석으로 이루어진 제2유지수단(104)은 활성 위치내에 정지부재(90)를 유지하도록 정지부재(90)의 운동통로에 인접하게 제공되어서, 전음바아가 계속되는 연주동안 눌려있는 경우, 정지부재(90)는, 전음바아(90)는, 전음바아(32)가 눌려있는 경우 전음아암 부재(80)의 후미부(86)와 더 이상 계속해서 접하지 않는 것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활성위치로부터 회전하지 않는다.
제2도와 연관한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정지부재(90)의 이동통로의 대향단에 인접하게 위치된 자석 유지수단(102), (104)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멈춤쇠형 유지수단(106)으로 대응해서 바꾸어도 좋다. 그래서 , 제4도 및 제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지부재(90)는 키타본체(14)에 매립되거나 그와 달리 체결된 포스트(114)내에 형성된 함몰부(112)를 계합하고, 그 위에 돌출부(110)를 가지는 단부(108)가 제공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정지부재(90)가 이동통로의 일단으로 회전되는 경우, 돌출부(110)와 계합해서 이동통로의 단부에 인접하는 포스트(114)내의 함몰부(112)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된다. 정지부재(90)의 이동통로의 타단에 인접한 유사한 구조는 이동통로의 타단에서 아암(90)을 유지하도록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주하는 동안 현의 하나가 끊어지는 경우 현악기의 끊어지지 않는 줄을 즉시 재조율하도록 속에 저장하는 향상된 전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전음 베이스판을 되돌려서, 현이 끊어지기전에 원래 있었던 중립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고, 연주가의 연주가 일시적인 차단만으로 계속되도록 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현이 끊어지는 것에 의해서 원래의 중립위치로 되돌아온 후, 본 발명은 전음장치의 베이스판을 중립위치로부터 위쪽으로 계속해서 전이되도록 하고, 나머지 끊어진 현들을 플랫음 방향으로 전이되도록 해서 계속적인 전음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작용 효과외에도, 본 발명은 키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새로운 현을 연주가가 용이하게 조율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전음 베이스판(22)을 원래의 중립위치내에 유지하고, 모든 끊어지지 않은 현이 조율상태로 있는 활성위치로 정지부재(90)를 이동함에 의해 행해진다. 이것은 설치되어 있는 새로운 현을 연주자가 빠르게 조율하도록 한다. 또한, 키타의 모든 현을 어떠한 이유로 연주하는 동안 플랫음 방향으로 동시에 재조율하는 것을 요하는 경우에 있어서, 정지부재(90)는 전음바아 부재(80)와 계합하는 활성위치로 움직일 수 있고, 나사부재(96)를 조절하여 연주하는 동안 모든 현을 동시에 내부의 장력을 감소하여 재조율하도록 손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주자는 나사부재(96)를 조절하여 모든 현을 약간 플랫음으로 된 음악으로 조정하도록 원하는 플랫음으로 한다. 정교한 조율부재(35)-(40)는 각각의 현 개개를 정교하게 조율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형태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과 수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수록된 청구범위내의 요지는 본 발명의 구성범위내에 있는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을 커버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7)

  1. 키타의 현이 고착되는 전음 베이스판과, 조율된 위치로부터 키타본체로 향하는 제1방향 및 키타본체에서 떨어진 조율된 위치로부터의 제2방향으로 전음 베이스판을 이동하여 전음 사운드를 발생하는 전음수단과, 전음 베이스판이 상기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키타에 있어서, 상기 키타는 키타 본체에 상대적으로 상기 체결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수단(92),(1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수단은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조절부재(10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전음 베이스판의 바닥을 계합하기에 적합한 세장부재를 가지며, 상기 페결부의 체합부재는 그러한 계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
  4. 제1항, 제2항 또는 재3항에 있어서, 유지수단(102), (104)은 상기 전음 베이스판과의 계합하는 계합위치와 상기 전음 베이스판과 계합하지 않은 비계합 위치에 상기 체결부재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자극(102)또는 (104)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한 쌍의 자극(102),(10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멈춤쇠(10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타
KR1019890005245A 1988-04-01 1989-04-21 끊어진 현을 보정하는 특징을 가지는 전음장치 KR910008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4292 1988-04-21
US07/184,292 US4882967A (en) 1988-04-21 1988-04-21 Tremolo apparatus having broken string compensation fea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38A KR900016938A (ko) 1990-11-14
KR910008096B1 true KR910008096B1 (ko) 1991-10-07

Family

ID=2267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245A KR910008096B1 (ko) 1988-04-01 1989-04-21 끊어진 현을 보정하는 특징을 가지는 전음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82967A (ko)
EP (1) EP0338523A3 (ko)
JP (1) JPH01312594A (ko)
KR (1) KR910008096B1 (ko)
CA (1) CA1287755C (ko)
CZ (1) CZ247289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7818A (en) * 1989-05-15 1997-06-10 Fishman; Larry Vibrato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4967631A (en) * 1989-09-05 1990-11-06 Rose Floyd D Tremolo and tuning apparatus
US5140884A (en) * 1990-11-14 1992-08-25 Gibson Guitar Corp. Detachable string bender
DE4229524C2 (de) * 1992-09-07 1995-04-27 Gerhard Konerding Federlose Vibratoeinrichtung für Saiteninstrumente und Gitarre mit Vibratoeinrichtung
US5413019A (en) * 1993-05-26 1995-05-09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Guitar tremolo apparatus
US5438902A (en) * 1993-06-29 1995-08-08 Baker; Michael V. Memory tuning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s
US5460072A (en) * 1993-09-20 1995-10-24 Ferdon; Geoffrey W. Tuning block for a guitar with a floating bridge tremolo
US5431079A (en) * 1994-01-21 1995-07-11 Bunker; David D. Full-dumping tremolo guitar
US5705760A (en) * 1995-06-07 1998-01-06 Rose; Floyd D. Tuning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5700965A (en) * 1995-06-07 1997-12-23 Rose; Floyd D. Tuning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5589653A (en) * 1995-06-07 1996-12-31 Rose; Floyd D. Tuning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5696335A (en) * 1995-06-07 1997-12-09 Rose; Floyd D. Tuning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5689075A (en) * 1995-06-07 1997-11-18 Rose; Floyd D. Tuning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5539143A (en) * 1995-06-07 1996-07-23 Rose; Floyd D. Tuning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5684256A (en) * 1995-06-07 1997-11-04 Rose; Floyd D. Tuning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5717150A (en) * 1995-06-07 1998-02-10 Rose; Floyd D. Tuning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5537907A (en) * 1995-06-07 1996-07-23 Rose; Floyd D. Tuning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5522299A (en) * 1995-06-07 1996-06-04 Rose; Floyd D. Tuning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5986192A (en) * 1998-05-21 1999-11-16 Arthur Neil Corporation Locking device for tremolo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6040511A (en) * 1999-01-11 2000-03-21 Hall; Brian W. Method of optimizing a guitar tremolo
US6675134B2 (en) * 2001-03-15 2004-01-06 Cerebrus Solutions Ltd. Performance assessment of data classifiers
US6573439B2 (en) 2001-08-24 2003-06-03 Kenneth H. Wilson Ergonomic multi-position guitar with locking fingertip tremolo and pick holder
GB2414851B (en) 2002-01-11 2006-05-24 Rose Floyd D Bridge assembly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6765137B2 (en) 2002-09-18 2004-07-20 Zachary K. Smart Guitar bridge lock
US6919501B2 (en) 2002-10-29 2005-07-19 William L. Burton Guitar tremolo locking and tuning stabilizing device
US6812389B2 (en) * 2003-02-19 2004-11-02 Aaron Rhett Trooien Locking device for a tremolo
US8658879B2 (en) * 2004-12-03 2014-02-25 Stephen Gillette Active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453040B2 (en) * 2004-12-03 2008-11-18 Stephen Gillette Active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189908B2 (en) * 2005-06-03 2007-03-13 Trem King L.L.C. Tremolo assembly
MX2008011569A (es) * 2006-03-15 2009-02-11 Cosmos Lyles Instrumento musical de cuerdas que utiliza tension de resorte.
US7531731B2 (en) 2006-06-09 2009-05-12 Donald Longo Tremolo-limiter
US7692079B2 (en) * 2007-01-11 2010-04-06 Intune Technologies, Ll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7855330B2 (en) 2008-01-17 2010-12-21 Intune Technologies Llc Modular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DE102008013822A1 (de) 2008-03-10 2009-09-17 Gölsdorf, Dieter Tremolo für Gitarren
KR101035027B1 (ko) * 2008-09-08 2011-05-19 김해웅 기타 현 조율기
US8536430B2 (en) 2009-01-14 2013-09-17 Geoffrey McCabe Fine tuning means for fulcrum tremolo
US8283542B2 (en) * 2009-04-29 2012-10-09 John Woodland Ajustable bridge for a stringed instrument
US8697969B2 (en) 2010-12-01 2014-04-15 GDK Technologies, Inc. Tremolo assembly
WO2012097089A2 (en) 2011-01-11 2012-07-19 Rose Floyd D Top mounted tremolo and tuning apparatus
US8748717B2 (en) 2011-04-06 2014-06-10 Michael Cory Mason Guitar accessories
US8710338B2 (en) 2011-11-16 2014-04-29 David E. Galatas Apparatus for tuning a musical instrument, and a related instrument
US8779258B2 (en) 2012-01-19 2014-07-15 Intune Technologies, Ll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ing spring tension
US9123312B2 (en) 2012-01-19 2015-09-01 Geoffrey Lee McCabe Tuning mechanisms
US8946529B2 (en) 2013-01-24 2015-02-03 Floyd D. Rose Top mounted tremolo and tuning apparatus
US9029671B1 (en) * 2014-04-11 2015-05-12 Michael Eugene Smith Tremolo lock
US9502009B1 (en) 2014-08-20 2016-11-22 Edward Anderson Tremolo block
US9542915B2 (en) 2014-12-26 2017-01-10 Mark E. Hackett Keyless locking tremolo systems and methods
US9595245B2 (en) 2015-04-28 2017-03-14 Geoffrey Lee McCabe Locking bearing mechanisms for fulcrum tremolo
US9734804B1 (en) 2015-10-11 2017-08-15 Geoffrey Lee McCabe Drop tuner for fulcrum tremolo
US9484007B1 (en) 2015-11-18 2016-11-01 Geoffrey Lee McCabe Tremolo stop tuner and tremolo stabilizer
US9847076B1 (en) 2016-10-18 2017-12-19 Geoffrey Lee McCabe Tremolo spring and stabilizer tuner
US10157597B1 (en) 2018-09-12 2018-12-18 Gunnar K. Green Tremolo locking device
US11335305B2 (en) 2019-11-15 2022-05-17 Cosmos Lyles String tensioner for musical instrument
US11437003B2 (en) 2020-03-01 2022-09-06 John Michael Kebrle Torsional based tremolo system with a stationary bridge
US11205406B2 (en) * 2020-03-18 2021-12-21 Chyh-Hong Chern Accessory assembly for string instrument and string instrument
US20230197039A1 (en) * 2021-12-22 2023-06-22 David H. Jackson Improved vibrato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20230245634A1 (en) * 2022-02-02 2023-08-03 Taylor-Listug, Inc. D/B/A Taylor Guitars Vibrato mechanism
US11961495B2 (en) * 2022-05-27 2024-04-16 David H. Jackson Pivot bridge or plat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2923A (en) * 1958-11-06 1961-02-28 Clarence L Fender Floating tremolo and bridge construction for lute-type musical instruments
US3326072A (en) * 1965-08-17 1967-06-20 Estey Musical Instr Corp Vibrato construction for lute-type musical instruments
US4137812A (en) * 1974-09-21 1979-02-06 Rainer Franzmann Device for continuous pitch variation of stringed instruments
US4317403A (en) * 1979-03-06 1982-03-02 Rainer Franzmann Device for continuous pitch variation of stringed instruments
US4638711A (en) * 1981-10-26 1987-01-27 Stroh Paul F Tremolo accessory
US4475432A (en) * 1981-10-26 1984-10-09 Stroh Paul F String-clamping means
US4632005A (en) * 1984-10-01 1986-12-30 Steinberger Sound Corporation Tremolo mechanism for an electric guitar
JPS6198393A (ja) * 1984-10-18 1986-05-16 シ−、レオ、フエンダ− ギタ−
US4674389A (en) * 1984-10-18 1987-06-23 Fender C Leo Tuning system for vibrato guitar with string lock
US4643070A (en) * 1985-09-30 1987-02-17 Barry Petrillo Tremolo device for stringed instruments
US4697493A (en) * 1986-09-19 1987-10-06 Ralston James E Tremolo control arm re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82967A (en) 1989-11-28
JPH01312594A (ja) 1989-12-18
EP0338523A3 (en) 1990-06-06
CA1287755C (en) 1991-08-20
CZ247289A3 (en) 1993-08-11
EP0338523A2 (en) 1989-10-25
KR900016938A (ko) 1990-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096B1 (ko) 끊어진 현을 보정하는 특징을 가지는 전음장치
KR940005037B1 (ko) 전음 및 조율 장치와 이 장치를 구비한 기타 조합체
US5542330A (en) Multi-tuner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4047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y adjusting and intonating an acoustic guitar
JPH0617191Y2 (ja) 弦楽器
JPH0145076B2 (ko)
US5986192A (en) Locking device for tremolo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6034311A (en) Height adjustable point retention bar assembly
US5477765A (en) Vibrato unit for a guitar
US5519165A (en) Compound headstock for a stringed instrument
US4541320A (en) Stringed instrument saddle lock
US5277094A (en) Device for inserting strings
US7157634B1 (en) String instrument
US7829773B2 (en) Tremolo mechanism having bridge segments adjustable in three dimensions
US20110259171A1 (en) Stringed instrument string action adjustment
US6184450B1 (en) Universal, multi-position, tuning mechanism and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823669A (en) Tremolo device for an electric guitar
US3971286A (en) Guitar string supporting device
US20050076766A1 (en) Stabilizer for tremolo bridge
US5085115A (en) Electric guitar/violin
US6143967A (en) Tremolo for guitar
US4860628A (en) String supporting apparatu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515761A (en) Stabilizer for tremolo bridge
US5808216A (en) Simplified tremolo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S6198393A (ja) ギ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