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219Y1 - 공명형 칼림바 - Google Patents

공명형 칼림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219Y1
KR200497219Y1 KR2020230000270U KR20230000270U KR200497219Y1 KR 200497219 Y1 KR200497219 Y1 KR 200497219Y1 KR 2020230000270 U KR2020230000270 U KR 2020230000270U KR 20230000270 U KR20230000270 U KR 20230000270U KR 200497219 Y1 KR200497219 Y1 KR 200497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holder
kalimb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정
Original Assignee
박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정 filed Critical 박은정
Priority to KR2020230000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8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는, 공명음을 발생시키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공명음 발생부; 상기 공명음 발생부에 결합되며, 상기 빈 공간과 연결되는 통과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저면에 가압되면서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 지지대 및 받침대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는 복수개의 진동바; 및 상기 홀더부를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하며, 승강작동에 의해 상기 진동바들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가압력을 가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명형 칼림바{KALIMBA OF RESONANT TYPE}
본 고안은 공명형 칼림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명형 칼림바의 구성품을 도구 없이도 용이하게 조립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현하여, 진동바를 설치할 시 저항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진동바를 용이하게 조립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진동바에서 발생되는 음이 울리도록 하여 기존 공명형 칼림바 보다 좋은 연주음을 연출할 수 있는 공명형 칼림바에 관한 것이다.
칼림바는 공명 상자에 붙어 있는 금속이나 대나무 등의 가느다란 판을 퉁겨서 음을 내는 아프리카의 악기로써, 원래 공명 상자 몸체로는 반으로 자른 표주박, 거북이 등 껍질 등이 사용되었다.
칼림바는 금속으로 형성된 진동바를 복수 개로 나열하여 설치하고 진동바의 단부를 사람의 손가락으로 튕겨 소리를 내도록 한 악기이며, 맑고 청아한 소리를 낸다.
칼림바는 사각 형상의 몸체의 상부에 상측 지지대와 하측 지지대를 고정하고, 하측 지지대의 상부에 지지봉을 위치시킨 다음, 상측 지지대와 하측 지지대 사이에 가압부재를 볼트나 피스로 고정한 후, 복수개의 진동바를 상측 지지대, 가압부재, 및 하측 지지대 사이에 탄성으로 끼워서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칼림바는 하측 지지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음계에 대응하는 진동주파수를 만들어낸다.
통상 칼림바는 15~20개의 진동바가 단층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보다 더 많은 음을 내기 위하여는 칼림바의 몸체의 폭을 넓게 하기도 한다.
그러나, 주지된 바와 같이 칼림바에서 진동바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압부재를 몸체에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 즉, 가압부재에 유동성이 없는 상태에서는 모든 진동바들을 가압부재에 통과시키면서 상측 지지대 및 하측 지지대를 각각 가압하도록 고정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진동바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받침봉이 상측 지지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측 지지대와 하측 지지대 및 가압부재가 모두 부동인 상태에서는 망치와 같은 도구 없이 손가락 힘만으로 진동바를 하측 지지대에서 상측 지지대 방향으로 밀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은 칼림바를 조립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6627호
본 고안은, 공명형 칼림바의 구성품을 도구 없이도 용이하게 조립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현하여, 진동바를 설치할 시 저항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진동바를 용이하게 조립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진동바에서 발생되는 음이 울리도록 하여 기존 공명형 칼림바 보다 좋은 연주음을 연출할 수 있는 공명형 칼림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는, 공명음을 발생시키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공명음 발생부; 상기 공명음 발생부에 결합되며, 상기 빈 공간과 연결되는 통과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저면에 가압되면서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 지지대 및 받침부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는 복수개의 진동바; 및 상기 홀더부를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하며, 승강작동에 의해 상기 진동바들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가압력을 가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승강가이드부; 상기 홀더부의 상 방향에서 상기 홀더부 및 베이스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정 방향 또는 역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가이드부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단에 상기 홀더부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헤드가 형성된 가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는, 공명형 칼림바의 구성품을 도구 없이도 용이하게 조립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현하여, 진동바를 설치할 시 저항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진동바를 용이하게 조립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진동바에서 발생되는 음이 울리도록 하여 기존 공명형 칼림바 보다 좋은 연주음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명형 칼림바(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1)는, 공명음 발생부(10)와, 베이스(20)와, 지지부(30)와, 받침부(40)와, 홀더부(50)와, 진동바(60) 및 제어부(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명음 발생부(1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공명음 발생부(10)의 빈 공간은 후술되는 진동바(60)에 의해 발생되는 연주음의 울림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일 예로, 공명음 발생부(10)는 기후 환경 개선을 위해 버려진 깡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공명음 발생부(1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베이스(20)는 지지부(30)와, 받침부(40)와, 홀더부(50)와, 진동바(60) 및 제어부(7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써, 상면과 저면이 모두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20)는 원형, 다각형, 곡선형,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베이스(20)가 일정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베이스(20)는 목재, 플라스틱, 합성수지,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에는 후술되는 제어부(70)가 설치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관통홀은 제어부(70)를 복수개로 적용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적용된다.
아울러, 관통홀은 베이스(20)에 제어부(70)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하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지지부(30)는 제1 지지대(31) 및 제2 지지대(32)를 포함한다.
제1 지지대(31)는 도 3을 기준으로 베이스(20)의 상면 윗부분에 안착된다.
제2 지지대(32)는 제1 지지대(31)의 아랫부분에 위치되도록 베이스(20)의 상면에 안착된다.
제2 지지대(32)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받침부(40)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수용홈은 받침부(40)의 일정영역을 돌출시키도록 반원형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받침부(40)는 높이 방향 중 대략 중앙부분 또는 그 아래나 윗 부분의 일정 영역이 수용홈에 수용되고, 나머지 영역은 제2 지지대(32)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진동바(60)들을 지지한다.
받침부(40)는 그 상면이 진동바(60)들의 저면을 공동으로 지지하여, 진동바(60)들의 진동을 향상시킨다.
이때, 전술한 베이스(20)와, 제1 지지대(31) 및 제2 지지대(32)는 나무로 형성될 수 있고, 받침부(4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50)는 진동바(60)들을 공동으로 고정하는 구성이다.
홀더부(50)는 제1 지지대(31)와 제2 지지대(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홀더부(50)는 제1 지지대(31)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대(31) 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된다.
아울러, 홀더부(50)의 일정영역과 제1 지지대(31)의 일정영역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홀더부(50)에도 제어부(70)가 설치되도록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홀더부(50)의 관통홀은 베이스(20)의 관통홀과 각각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어부(70)는 베이스(20)의 관통홀과 홀더부(50)의 관통홀을 공동으로 관통하게 된다.
진동바(60)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바(60)는 일정영역 상면이 홀더부(50)의 저면에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되, 일측 영역의 저면은 제1 지지대(31)의 상면에 안착되고, 다른 영역의 저면은 받침부(40)의 상면에 안착된다.
아울러, 진동바(60)의 또 다른 영역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제어하도록 베이스(20)의 후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받침부(40)는 제2 지지대(32)의 상면에 안착됨으로, 제1 지지대(31) 보다 높은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진동바(60)의 전체 영역 중에서 받침봉에 지지되는 영역은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형상을 이룬다.
연주 영역(60a)은 수평을 이뤄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공명형 칼림바를 연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바(60)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각기 다른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진동바(60) 끝부분에 마련된 연주 영역(60a)을 손가락으로 튕기는 방식으로 음을 발생시켜 연주하면 된다.
그리고, 진동바(60)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베이스(20)의 통과홀(20a)을 통과하여 공명음 발생부(10)의 빈 공간으로 유입되어 울림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1)는, 종래 진동바(60) 만으로 연주음을 발생시키는 공명형 칼림바에 비해 이색적이고 좋은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는 홀더부(50)를 상기 베이스(20)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하며, 승강작동에 의해 진동바(60)들에 대한 홀더부(50)의 가압력을 가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70)는 승강가이드부(72) 및 가변부(71)를 포함한다.
승강가이드부(72)는 가변부(7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부(72)는 베이스(20)의 저면에 접촉된다. 승강가이드부(72)는 2개 한쌍으로 구성되어, 베이스(20)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가변부(71)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몸체 및 몸체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십자홈이 형성된 헤드를 포함한다.
가변부(71)는 몸체가 홀더부(50)의 상측 방향에서 홀더부(50)의 관통홀 및 베이스(20)의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몸체는 베이스(20)의 후면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면서 승강가이드부(72)에 체결된다.
이러한 가변부(71)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승강가이드부(72)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 아울러, 가압헤드는 가변부(71)가 하강될 시 홀더부(50)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홀더부(50)가 진동바(60)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1)는 이상 설명한 구성들에 의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쉽게 조립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1)의 조립 방법 및 그 과정에서 나타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20)의 상면에 제1 지지대(31) 및 제2 지지대(32)를 일정간격으로 단순 안착한다.
이후, 제2 지지대(32)의 수용홈에 받침부(40)를 안착한다.
이후에, 제어부(70)를 통해 홀더부(50)를 베이스(20)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한다.
이후, 진동바(60)들의 일측과 타측을 제1 지지대(31)의 상면과 받침부(40)의 상면에 각각 순차적으로 안착한다.
이때, 진동바(60)들은 홀더부(50)의 하측을 통과하여 제1 지지대(31)의 상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진동바(60)들의 일정영역은 홀더부(50)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때, 홀더부(50)는 베이스(20)부의 상면으로 소정거리 이격됨으로, 진동바(60)는 홀더부(50)의 저면에 접촉되지 아니하고 통과하여 제1 지지대(3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진동바(60)들을 제1 지지대(31)와 받침부(40)의 상면에 각각 안착하는 과정에서 제1 지지대(31) 또는 제2 지지대(32)가 인위적인 힘에 의해 유동되거나 비뚫어져 서로 평행되는 형태로 가지런하게 정렬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모든 진동바(60)들을 제1 지지대(31)와 받침부(40)의 상면에 각각 안착한 다음에는 제1 지지대(31)와 제2 지지대(32)를 가깝게 이동시키면서 서로 평행되는 형태로 가지런하게 정렬시키면 된다.
이때, 홀더부(50)가 진동바(60)를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런 저항 없이 제1 지지대(31)와 제2 지지대(32)를 가지런하게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 지지대(31)와 제2 지지대(32)를 가지런하게 정렬시킨 다음에는 한 손으로 베이스(20)의 후면에서 승강가이드부(72)를 잡고, 다른 한손은 드라이버로 가변부(71)의 헤드를 회전시켜 몸체가 승강가이드를 따라 하강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헤드가 홀더부(50)의 상면을 가압하고, 홀더부(50)는 진동바(60)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베이스(20)부를 공명음 발생부(10)의 상면에 결합하여 공명형 칼림바 악기로 사용하면 된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형 칼림바(1)는 가변부(71)의 헤드가 홀더부(50)를 가압하고, 홀더부(50)가 진동바(60)를 가압하며, 진동바(60)가 제1 지지대(31)와 제2 지지대(32)를 가압하기 때문에 목공풀, 접착제 등의 도구 없이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진동바(60)들을 제1 지지대(31)와 제2 지지대(32)에 순차적으로 배열한 다음, 가변부(71)를 조여 홀더부(50)와, 진동바(60)와, 제1 지지대(31) 및 제2 지지대(32)를 베이스(20) 상에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진동바(60)들을 배열하는 과정에서는 홀더부(50)가 진동바(60)들로부터 이격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진동바(60)들이 배열되는 과정에서 홀더부(50)의 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에, 진동바(60)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열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헤드가 홀더부(50)의 상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진동바(60)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해당 진동바(60)를 쉽고 간편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공명형 칼림바 10 : 공명음 발생부
20 : 베이스 20a : 통과홀
30 : 지지부 31 : 제1 지지대
32 : 제2 지지대 40 : 받침부
50 : 홀더부 60 : 진동바
60a : 연주 영역 70 : 제어부
71 : 승강가이드부 72 : 가변부

Claims (2)

  1. 공명음을 발생시키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공명음 발생부;
    상기 공명음 발생부에 결합되며, 상기 빈 공간과 연결되는 통과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상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대 수용홈에 수용되는 받침부;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저면에 가압되면서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 지지대 및 받침부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는 복수개의 진동바; 및
    상기 홀더부를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하며, 승강작동에 의해 상기 진동바들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가압력을 가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받침부의 일정영역을 돌출시키도록 반원형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승강가이드부;
    상기 홀더부의 상 방향에서 상기 홀더부 및 베이스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정 방향 또는 역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가이드부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단에 상기 홀더부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헤드가 형성된 가변부를 포함하는 공명형 칼림바.
  2. 삭제
KR2020230000270U 2023-02-10 2023-02-10 공명형 칼림바 KR200497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270U KR200497219Y1 (ko) 2023-02-10 2023-02-10 공명형 칼림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270U KR200497219Y1 (ko) 2023-02-10 2023-02-10 공명형 칼림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219Y1 true KR200497219Y1 (ko) 2023-08-31

Family

ID=8779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270U KR200497219Y1 (ko) 2023-02-10 2023-02-10 공명형 칼림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1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351900U (zh) * 2018-05-10 2019-01-08 黄茂增 一种可调琴键的17音拇指琴
KR20210026627A (ko) 2019-08-30 2021-03-10 김규아 칼림바 악보, 그 제작방법, 및 그 제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351900U (zh) * 2018-05-10 2019-01-08 黄茂增 一种可调琴键的17音拇指琴
KR20210026627A (ko) 2019-08-30 2021-03-10 김규아 칼림바 악보, 그 제작방법, 및 그 제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25903B (zh) 乐器和声换能器装置
US4269105A (en) Musical percussion instrument
EP2690617A2 (en) Snare drum
US20130068083A1 (en) Cajon with textured applications
JP4064985B2 (ja) 弦楽器用ナット及び弦楽器
KR101181589B1 (ko) 오르골 진동판 및 그 제조방법
EP1798721B1 (en) Keyboard-type tone plate percussion instrument and resonance tube and resonance box for tone plate percussion instrument
KR200497219Y1 (ko) 공명형 칼림바
CN201673663U (zh) 一种琵琶
US95197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string instruments
JP5938783B2 (ja) 弦楽器のフレット、フレットボードまたは指板の表面をモデリング(造形)する器具
US2502722A (en) Musical instrument
US7674971B2 (en) Keyboard attachment for disabled persons
KR200496912Y1 (ko) 칼림바
TWM592150U (zh) 具半音鍵的雙層拇指琴
CN209487138U (zh) 一种拇指琴
US3077137A (en) Electrical pick-up for a reed musical instrument
JP6918732B2 (ja) ピアノのダンパー
CN218608009U (zh) 一种新式钢琴发声装置
JP2015075702A (ja) バイオリンのテールピース
US2919616A (en) Clamping and control apparatus for reed generators used in electronic music instruments
US4625617A (en) Support apparatus for sound members of musical instrument
CN210467298U (zh) 一种上弦枕具有弦锁和调音功能的木吉他
RU12723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фильца молоточков фортепиано
CN216053849U (zh) 月琴及其具有音柱的琴身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