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39Y1 -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 Google Patents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39Y1
KR200496839Y1 KR2020210000346U KR20210000346U KR200496839Y1 KR 200496839 Y1 KR200496839 Y1 KR 200496839Y1 KR 2020210000346 U KR2020210000346 U KR 2020210000346U KR 20210000346 U KR20210000346 U KR 20210000346U KR 200496839 Y1 KR200496839 Y1 KR 200496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x
diaphragm
box cover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858U (ko
Inventor
푸빈 시아오
Original Assignee
타이저우 더이플라스틱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6646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96839(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저우 더이플라스틱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타이저우 더이플라스틱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008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65D43/262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65D9/1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with all parts hinged together

Abstract

본 실용신안은 함체에는 슬롯이 설치되고; 격판에는 고정블록이 설치되며, 격판의 고정블록은 함체의 슬롯에 스냅될 수 있고, 격판은 함체 내에 고정되며, 격판과 함체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박스 커버는 함체에 설치되며, 박스 커버는 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을 공개한다. 수납함을 접은 후 격판가 함체 내에 고정되므로, 격판과 함체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수용홈이 함체 내에 위치하고, 다음 박스 커버를 수용홈에 삽입함으로써 박스 커버를 효과적으로 고정하여 박스 커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본 실용신안은 박스 커버를 함체의 내측벽에 안착시켜 박스 커버가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STORAGE BOX TO EASILY COVER THE BOX COVER}
본 실용신안은 수납함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수납함은 물품을 수납하거나 일시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박스로서, 일반적으로 지저분한 물품 정리에 사용되는 바, 예를 들어 방이나 차 트렁크에서 청결하고 깨끗해지도록 지저분한 물품을 수납함에 정리한다.
기존의 수납함은 일반적으로 함체, 드로바, 커버판 및 유니버설휠을 포함하되, 드로바는 함체의 측부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고, 커버판은 함체의 최상부에 설치되며, 유니버설휠은 함체의 저부에 설치된다. 쇼핑 완료 후와 같이 물품을 운송해야 할 경우, 수납함의 커버판을 열어 구매한 물품을 함체 내에 넣은 후 손으로 수납함의 드로바에 힘을 인가하여 유니버설휠의 작용하에 물품을 지정된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수납함은 접은 후 박스 커버가 일반적으로 함체의 외측벽에 스냅되어 수납함 이동 과정에서 박스 커버가 떨어지기 쉽다.
본 실용신안은 상기 기술적 과제 중 하나를 적어도 어느 정도 해결하려는 것으로, 본 실용신안의 목적은 박스 커버를 함체의 내측벽에 안착시켜 박스 커버가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을 제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는 함체에는 슬롯이 설치되고; 격판에는 고정블록이 설치되고, 격판의 고정블록은 함체의 슬롯에 스냅될 수 있으며, 격판은 함체 내에 고정되고, 격판과 함체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박스 커버는 함체에 설치되고, 박스 커버는 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을 제안한다.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은 수납함을 접은 후 격판가 함체 내에 고정되므로, 격판과 함체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수용홈이 함체 내에 위치하고, 다음 박스 커버를 수용홈에 삽입함으로써 박스 커버를 효과적으로 고정하여 박스 커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실용신안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안된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부가적 기술특징을 더 구비한다.
나아가, 함체는 프론트 박스판, 좌측판, 리어 박스판, 우측판 및 밑판을 포함하되, 프론트 박스판의 일측은 좌측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좌측판의 타측은 리어 박스판의 일측에 연결되며, 리어 박스판의 타측은 우측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우측판의 타측은 프론트 박스판의 타측에 연결되며; 밑판은 프론트 박스판, 좌측판, 리어 박스판 및 우측판의 저부에 설치되고; 슬롯은 리어 박스판에 설치되고, 리어 박스판과 격판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나아가, 리어 박스판에는 힌지홈이 설치되고, 힌지홈은 수용홈의 노치에 설치되며; 박스 커버에는 힌지로드가 설치되고, 박스 커버가 리어 박스판에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로드는 힌지홈 내에 안착된다.
나아가, 슬롯은 4개가 설치되고, 4개의 슬롯은 리어 박스판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다.
나아가, 격판의 측부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요홈이 함몰 형성되고; 리어 박스판의 측부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돌출블록이 연장 형성되며; 돌출블록은 요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나아가, 격판에는 장착홀이 설치되고, 리어 박스판에는 연결기둥이 설치되며, 장착홀과 연결기둥은 볼트에 의해 연결된다.
나아가, 격판과 힌지 연결되고 힌지 연결 부분을 따라 회전 가능하며 안착 및 분리에 사용되는 안착판을 더 포함한다.
나아가, 좌측판 및 우측판의 내측에는 지지판이 설치되고, 안착판이 힌지 연결 부분을 따라 회전한 후, 안착판의 단부는 지지판에 안착된다.
나아가, 안착판의 단부에는 삽입블록이 설치되고, 지지판에는 삽입홀이 설치되며, 삽입블록은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나아가, 좌측판 및 우측판은 안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설치된다.
나아가, 리어 박스판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드로바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밑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니버설휠을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가 리어 박스판에 힌지 연결되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의 추가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격판과 리어 박스판의 연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와 리어 박스판의 분해도이다.
이하,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되고,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실용신안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실용신안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의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은 함체(1), 격판(2) 및 박스 커버(3)를 포함하되; 함체(1)에는 슬롯(11)이 설치되고; 격판(2)에는 고정블록(21)이 설치되며, 격판(2)의 고정블록(21)은 함체(1)의 슬롯(11)에 스냅될 수 있고 격판(2)는 함체(1) 내에 고정되며, 격판(2)과 함체(1) 사이에는 수용홈(4)이 형성되고; 박스 커버(3)는 함체(1)에 설치되고, 박스 커버(3)는 수용홈(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수납함을 접은 후, 격판(2)이 함체(1) 내에 고정되므로, 격판(2)과 함체(1) 사이에는 수용홈(4)이 형성되어 수용홈(4)이 함체(1) 내로 위치하고, 다음 박스 커버(3)를 수용홈(4)에 삽입함으로써 박스 커버(3)를 효과적으로 고정하여 박스 커버(3)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함체(1)는 프론트 박스판(12), 좌측판(13), 리어 박스판(14), 우측판(15) 및 밑판(16)을 포함하되, 프론트 박스판(12)의 일측은 좌측판(13)의 일측에 연결되고, 좌측판(13)의 타측은 리어 박스판(14)의 일측에 연결되며, 리어 박스판(14)의 타측은 우측판(15)의 일측에 연결되고, 우측판(15)의 타측은 프론트 박스판(12)의 타측에 연결되며; 밑판(16)은 프론트 박스판(12), 좌측판(13), 리어 박스판(14) 및 우측판(15)의 저부에 설치되고; 슬롯(11)은 리어 박스판(14)에 설치되고, 리어 박스판(14)과 격판(2) 사이에는 수용홈(4)이 형성된다. 물론, 슬롯(11)은 프론트 박스판(12)에 설치될 수도 있고, 프론트 박스판(12)과 격판(2) 사이에 수용홈(4)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프론트 박스판(12), 좌측판(13), 리어 박스판(14), 우측판(15) 및 밑판(16)은 함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캐비티를 한정함으로써 물품이 수용 캐비티 내에 안착되어 수납에 용이하다.
일 예시로서, 슬롯(11)은 4개가 설치되고, 4개의 슬롯(11)은 리어 박스판(14)의 네 모서리에 설치되며, 대응되게, 격판(2)의 네 모서리에도 모두 고정블록(21)이 설치되고, 격판(2)의 네 모서리의 고정블록(21)은 각각 4개의 슬롯(11) 내에 스냅되어 격판(2)을 효과적으로 고정하여 격판(2)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격판(2)이 리어 박스판(14)에 고정된 후, 격판(2)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격판(2)의 측부에는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요홈(22)이 함몰 형성될 수 있고; 리어 박스판(14)의 측부에는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돌출블럭(141)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블럭(141)은 요홈(2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측부로부터 격판(2)을 추가로 고정하여 격판(2)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격판(2)이 떨어지는 것을 추가로 방지하기 위해, 격판(2)에는 장착홀(23)이 설치될 수 있고, 리어 박스판(14)에는 연결기둥(142)이 설치되며, 볼트(미도시)는 장착홀(23)을 통과하여 연결기둥(142)에 나사 연결된다. 따라서 격판(2)이 리어 박스판(14)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박스 커버(3)가 수용홈(4)에 삽입된 후, 격판(2)의 이탈을 방지하고 박스 커버(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일 예시로서, 리어 박스판(14)에는 힌지홈(143)이 설치될 수 있고, 힌지홈(143)은 수용홈(4)의 노치에 위치하며; 박스 커버(3)에는 힌지로드(31)가 설치되고, 힌지로드(31)는 박스 커버(3)가 리어 박스판(14)에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홈(143) 내에 안착된다.
따라서, 박스 커버(3)가 힌지 연결 부분을 따라 회전할 경우, 박스 커버(3)는 수용홈(4)을 따라 수용홈(4) 내에 직접 삽입되어 박스 커버(3)를 탈착한 후 박스 커버(3)의 측부를 수용홈(4)의 노치에 정렬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본 예시에서 박스 커버(3)는 스냅-피팅 등 탈착 가능한 방식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함체(1)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예시에서, 격판(2)과 힌지 연결되고, 힌지 연결 부분을 따라 회전 가능하며, 안착 및 분리에 사용되는 안착판(5)을 더 포함한다. 즉 안착판(5)을 힌지 연결 부분을 따라 회전시킨 후, 안착판(5)에 일부 물품을 안착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안착판(5)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착판(5)의 탑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좌측판(13) 및 우측판(15)의 내측에는 지지판(17)이 설치될 수 있고, 안착판(5)이 힌지 연결 부분을 따라 회전한 후, 안착판(5)의 단부는 지지판(17)에 안착된다. 따라서, 안착판(5)의 탑재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안착판(5)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무거운 물품이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안착판(5)의 단부에는 삽입블록(51)이 설치되고, 지지판(17)에는 삽입홀(17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삽입블록(51)은 삽입홀(17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일부 예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판(13) 및 우측판(15)은 안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설치되어 수납함 전체가 접힐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접어서 점유 공간을 줄이며, 아울러 박스 커버(3)가 수용홈(4) 내에 삽입될 수 있어 박스 커버(3)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예시에서, 상기 수납함은 리어 박스판(14)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로바(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드로바(6)가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종래 기술에 해당되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수납함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수납함은 밑판(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니버설휠(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용신안의 설명에서, 용어 "중심", "세로", "가로", "길이", "폭", "두께", "위", "아래", "앞", "뒤", "좌", "우", "수직", "수평", "최상부", "저부", "내", "외", "순시침 방향", "역시침 방향" 등이 지시하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하며, 본 실용신안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또한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언급된 장치 또는 구성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며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지 않으므로 본 실용신안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한, 용어 "제1", "제2"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지시된 기술특징의 수를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이러한 특징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용신안의 설명에서 "복수"는 특별히 명확하게 한정하지 않는 한,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실용신안에서, 달리 명확하게 정의 및 한정되지 않는 한,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 바, 예를 들어 고정 연결 또는 탈착 가능한 연결이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계적 연결이거나 전기적 연결일 수 있고; 직접적 연결이거나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 연결일 수 있으며, 두 구성요소 내부의 연통 또는 두 구성요소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실용신안에서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는 것은 달리 명확하게 정의 및 한정되지 않는 한, 제1 특징과 제2 특징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그들 사이의 다른 특징을 통해 접촉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상부", "상면"에 위치하는 경우는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상부와 경사진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거나 단순히 제1 특징의 레벨이 제2 특징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부" 및 "하면"에 위치하는 경우는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하부와 경사진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거나 단순이 제1 특징의 레벨이 제2 특징보다 낮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일부 예시" 등을 참조한 설명은 상기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부시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이 본 실용신안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용어의 예시적 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적합한 방식으로 임의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조합될 수 있으며,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 및 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실용신안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당업자는 본 실용신안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를 변경, 수정, 대체 및 변형할 수 있다.
1: 함체 11: 슬롯
12: 프론트 박스판 13: 좌측판
14: 리어 박스판 141: 돌출블럭
142: 연결기둥 143: 힌지홈
15: 우측판 16: 밑판
17: 지지판 171: 삽입홀
2: 격판 21: 고정블록
22: 요홈 23: 장착홀
3: 박스 커버 31: 힌지로드
4: 수용홈 5: 안착판
51: 삽입블록 6: 드로바
7: 유니버설휠

Claims (10)

  1. 함체, 격판 및 박스 커버를 포함하되;
    함체에는 슬롯이 설치되고; 격판에는 고정블록이 설치되며, 격판의 고정블록은 함체의 슬롯에 스냅될 수 있고, 격판은 함체 내에 고정되며, 격판과 함체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박스 커버는 함체에 설치되고, 박스 커버는 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함체는 프론트 박스판, 좌측판, 리어 박스판, 우측판 및 밑판을 포함하되, 프론트 박스판의 일측은 좌측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좌측판의 타측은 리어 박스판의 일측에 연결되며, 리어 박스판의 타측은 우측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우측판의 타측은 프론트 박스판의 타측에 연결되며; 밑판은 프론트 박스판, 좌측판, 리어 박스판 및 우측판의 저부에 설치되고; 슬롯은 리어 박스판에 설치되고, 리어 박스판과 격판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리어 박스판에는 힌지홈이 설치되고, 힌지홈은 수용홈의 노치에 설치되며; 박스 커버에는 힌지로드가 설치되고, 박스 커버가 리어 박스판에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로드는 힌지홈 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슬롯은 4개가 설치되고, 4개의 슬롯은 리어 박스판의 네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5. 제 1 항에 있어서,
    격판의 측부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요홈이 함몰 형성되고; 리어 박스판의 측부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돌출블록이 연장 형성되며; 돌출블록은 요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6. 제 5 항에 있어서,
    격판에는 장착홀이 설치되고, 리어 박스판에는 연결기둥이 설치되며, 장착홀과 연결기둥은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7. 제 1 항에 있어서,
    격판과 힌지 연결되어 힌지 연결된 부분을 따라 회전 가능하며 안착 및 분리에 사용되는 안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좌측판 및 우측판의 내측에는 지지판이 설치되고, 안착판이 힌지 연결 부분을 따라 회전한 후, 안착판의 단부는 지지판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9. 제 8 항에 있어서,
    안착판의 단부에는 삽입블록이 설치되고, 지지판에는 삽입홀이 설치되며, 삽입블록은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10. 제 1 항에 있어서,
    좌측판 및 우측판은 안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KR2020210000346U 2020-10-12 2021-02-02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KR2004968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2260574.6 2020-10-12
CN202022260574 2020-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58U KR20220000858U (ko) 2022-04-19
KR200496839Y1 true KR200496839Y1 (ko) 2023-05-08

Family

ID=7866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346U KR200496839Y1 (ko) 2020-10-12 2021-02-02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6839Y1 (ko)
CN (1) CN214777508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18B1 (ko) * 2013-08-20 2014-08-05 엔피씨(주)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KR102145770B1 (ko) * 2019-05-23 2020-08-19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18B1 (ko) * 2013-08-20 2014-08-05 엔피씨(주)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KR102145770B1 (ko) * 2019-05-23 2020-08-19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777508U (zh) 2021-11-19
KR20220000858U (ko)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3046A (en) Collapsible housing frame
US5050825A (en) Portable and collapsible support for plastic grocery bags
KR20020062714A (ko) 접철식 운반상자
KR200496839Y1 (ko)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KR102023451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US6213577B1 (en) Equipment storage apparatus
CN213443924U (zh) 折叠筐
JP4629923B2 (ja) ロール状物の保持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容器
KR200400129Y1 (ko) 절첩 가능한 컴퓨터 책상
KR20170004688A (ko) 물품 포장박스
CN219361639U (zh) 包装盒
JP3235976U (ja) 収納容器
CN217049826U (zh) 电子产品包装盒
JP4341941B2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配線構造
KR102627355B1 (ko) 운반용 대차
CN211281855U (zh) 一种便携式周转架
KR200367545Y1 (ko) 소형 물품용 종이 박스
CN212654696U (zh) 一种可折叠的仓储笼
JPH04124919U (ja) 折畳み式架台付コンテナ
JP3896346B2 (ja) コンテナ
KR200179282Y1 (ko) 절첩식 수납함
JP3128169U (ja) 収納物支持体
JP3012140U (ja) 折畳み式ボックスパレット
JP3006787U (ja) 収納ケース
JP3000962U (ja) 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