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918B1 -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 Google Patents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918B1
KR101425918B1 KR1020130098317A KR20130098317A KR101425918B1 KR 101425918 B1 KR101425918 B1 KR 101425918B1 KR 1020130098317 A KR1020130098317 A KR 1020130098317A KR 20130098317 A KR20130098317 A KR 20130098317A KR 101425918 B1 KR101425918 B1 KR 101425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box
protrusion
panel
b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민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3009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4Open-ended containers shaped to be nested when empty and to be superposed when full
    • B65D21/043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nesting after rotation around a vertical axis
    • B65D21/045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nesting after rotation around a vertical axis about 180°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된 한 쌍의 제1측면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된 한 쌍의 제2측면 패널을 포함하여, 상면이 개방된 상자의 형태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 패널에 기립 가능한 칸막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칸막이는 상기 상자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뚜껑으로 활용가능함으로써, 칸막이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칸막이의 보관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Box which can use partitions like covers}
본 발명은 칸막이를 다용도로 활용하고, 칸막이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상면이 개방된 플라스틱 상자에 물품 또는 부품을 담아 여러 개 상하로 적재하여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포개어서 보관하는 상하 적재용 운반상자가 두루 사용되고 있다.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종래 상하 적재용 운반 상자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012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53947호 등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운반 상자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단순히 상자의 내부에 물품을 담아 수용할 수 있을 뿐,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있지 않아 다용도로 활용할 수 없으며, 상자의 내부에 오리털 패딩과 같이 부풀어 오르는 내용물과 같이 부피가 큰 제품을 수용할 경우 제품이 상자 밖으로 부풀어올라 작업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칸막이로 상자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고, 뚜껑으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칸막이의 보관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된 한 쌍의 제1측면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된 한 쌍의 제2측면 패널을 포함하여, 상면이 개방된 상자의 형태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 패널에 대해 기립되거나 분리 가능한 칸막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칸막이는 상기 상자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뚜껑으로 활용하거나 분리하여 보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양측벽에는 측벽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는 두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측면 패널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로 구성된 제1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삽입부 사이에는 제1-1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두 개의 칸막이의 각 측벽돌기가 상기 두 개의 제1삽입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자는 세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칸막이의 각 측벽돌기가 상기 제1-1삽입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상자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벽돌기는, 상기 칸막이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1측면 패널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의 하단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홈을 포함하여, 상기 측벽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칸막이가 상기 한 쌍의 제1측면 패널을 가로지르며 상기 베이스 패널에 대해 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패널에는 제2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의 양측벽에는, 상기 칸막이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측벽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삽입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가이드홈과, 상기 제2가이드홈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돌기부의 양측면을 잡아주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벽돌기는 상기 제2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제2삽입홀에 상기 돌기부의 양측면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칸막이가 상기 상자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홀의 상기 제2가이드홈과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제2삽입홀에 상기 돌기부의 양측면이 삽입될 때 상기 돌기부의 일측면을 잡아주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패널에는 제3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3삽입부에 삽입되는 하단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상기 베이스 패널 내에 눕혀서 보관이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칸막이의 보관시 상기 칸막이의 가장자리를 잡아줄 수 있는 돌출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은 직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제1측면 패널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가 긴 변에 기립되는 장측면 패널이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가 짧은 변에 기립되는 단측면 패널이며, 상기 장측면 패널의 상단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자의 십자 형태로 적재시 아래에 위치한 상자의 상기 단차부가, 위에 위치한 상자의 하단 양측을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측면 패널의 상단에는 상단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패널의 하면에는 상기 상단돌기가 삽입되는 상단돌기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자의 십자 형태로 적재시 아래에 위치한 상자의 상기 상단돌기가, 위에 위치한 상자의 상기 상단돌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두 개의 칸막이가 구비되어 있어, 칸막이를 이용하여 상자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거나 세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칸막이를 사용하여 상자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뚜껑으로 사용할 시에 칸막이의 측벽돌기와 하단돌기가 상자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자에 오리털 패딩과 같이 부풀어 오르는 내용물과 같이 부피가 큰 제품이 수용되더라도 칸막이에 의해 수용된 제품이 상자의 외부로 넘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즉, 칸막이는 양측벽과 하단의 지점에서 상자와 결합되므로 상자 내부의 제품을 지지하는 버팀목이 되어 부피가 큰 제품을 수용할 경우 뚜껑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칸막이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분리하여 베이스 패널의 바닥에 눕혀 보관하고, 다수의 상자를 포개어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칸막이는 상자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고, 뚜껑으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칸막이의 보관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측면 패널의 제2삽입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면, 제2삽입홀에 측벽돌기 중 돌기부의 상하면이 삽입될 때 돌기부의 일측면을 잡아줌으로써, 칸막이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장측면 패널의 상단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 다수의 상자를 십자 형태로 적재시에 아래에 위치한 상자의 단차부가, 위에 위치한 상자의 하단 양측을 잡아줌으로써, 위에 위치한 상자(100b)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측면 패널의 상단에는 상단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패널의 하면에는 상단돌기가 삽입되는 상단돌기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다수의 상자를 십자 형태로 적재시 아래에 위치한 상자의 상단돌기가, 위에 위치한 상자의 상단돌기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위에 위치한 상자의 전,후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측면 패널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에 사용되는 칸막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내지 도 7은 도 3의 칸막이가 상자를 구획하는 용도로 쓰일 때를 예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도 3의 칸막이가 뚜껑으로 쓰일 때를 예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4는 상자 미사용시 다수의 상자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보관할 때를 예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다수의 상자를 십자 형태로 적재하여 보관할 때를 예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100)는 베이스 패널(110)과, 한 쌍의 제1측면 패널(130)과, 한 쌍의 제2측면 패널(150)을 포함한다.
베이스 패널(110)은 상자(100)의 바닥을 구성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이다. 그러나 베이스 패널(110)의 형태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정사각형 형태도 가능하다.
베이스 패널(110)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에서 설명할 칸막이(200)의 하단돌기(150)가 삽입되는 하단돌기 삽입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패널(110)의 상면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200)를 베이스 패널(110) 내에 눕혀서 보관시 칸막이(200)의 가장자리를 잡아줄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리브(113,11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리브(113,115)는,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200)의 상단 외측을 잡아주도록 베이스 패널(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리브(113)와,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200)의 하단돌기(250)의 외측을 잡아주도록 베이스 패널(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돌출리브(1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1측면 패널(130)은 베이스 패널(11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긴 양변에 기립되어 있는 장측면 패널(130)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 쌍의 제2측면 패널(150)은 베이스 패널(11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짧은 양변에 기립되어 있는 단측면 패널(150)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측면 패널(130)과 단측면 패널(150)은 가로로 길게 네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부분은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단차져 있다. 즉, 상자(10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이고, 사용하지 않을 시 포개어 보관하기 쉽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로 되어 있다.
나아가, 장측면 패널(130)과 단측면 패널(150)의 상측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가로 돌출리브(131a, 131b, 131c, 131d, 151a, 151b, 151c, 151d)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로 돌출리브(131a, 131b, 131c, 131d, 151a, 151b, 151c, 151d)는 장측면 패널(130)과 단측면 패널(150)의 최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가로 돌출리브(131a, 151a)를 포함하여, 간격을 두고 네 개의 가로 돌출리브(131a, 131b, 131c, 131d, 151a, 151b, 151c, 151d)가 배치되어 있다.
제1가로 돌출리브(131a, 151a)와 제2가로 돌출리브(131b, 151b)는 장측면 패널(130)과 단측면 패널(150)의 최상단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가로 돌출리브(131c, 151c)는 장측면 패널(130)의 측면에서는 연속적으로 형성되다가 단측면 패널(150)의 모서리 부분까지만 형성되어 있으며, 장측면 패널(130)의 중앙부분에서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이다.
제4가로 돌출리브(131d, 151d)는 장측면 패널(130)과 단측면 패널(150)의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측면 패널(130)과 단측면 패널(150)의 중앙부분에서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이다.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가로 돌출리브(131a, 131b, 131c, 131d, 151a, 151b, 151c, 151d)들 사이에는 다수의 세로 돌출리브(132, 15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가로 돌출리브(131a, 131b, 131c, 131d, 151a, 151b, 151c, 151d)와 세로 돌출리브(132, 152)의 개수 및 배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측면 패널(150)의 제2가로 돌출리브(151b)의 하부에는 손잡이홀(1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장측면 패널(130)과 단측면 패널(150)에는 다수의 구멍(133, 1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 패널(110)과, 베이스 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된 한 쌍의 장측면 패널(130) 및 한 쌍의 단측면 패널(150)에 의해 상면이 개방된 상자의 형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측면 패널(130)의 상단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137)와 상단돌기(13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37)는 장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단차져 있으며, 두 개의 단차부(137)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단차부(137)의 간격은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짧은 변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장측면 패널(130)의 상단에 단차부(137)가 형성되어 있어, 도 15와 같이 다수의 상자를 십자 형태로 적재시에 아래에 위치한 상자(100a)의 단차부(137)가, 위에 위치한 상자(100b)의 하단 양측을 잡아준다. 즉, 아래에 위치한 상자(100a)의 두 개의 단차부(137) 사이에, 위에 위치한 상자(100b)의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짧은 변이 놓여짐으로써, 위에 위치한 상자(100b)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단돌기(138)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단차부(137)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단돌기(138)는 장측면 패널(130)의 상단에 두 개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110)의 하면에는 상단돌기(13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돌기 삽입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다수의 상자를 십자 형태로 적재시 아래에 위치한 상자(100a)의 상단돌기(138)가, 위에 위치한 상자(100b)의 상단돌기 삽입홈(117)에 삽입됨으로써, 위에 위치한 상자(100b)의 전,후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기에서 설명할 칸막이(200)가 조립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측면 패널(130)의 중간 부분에는 장측면 패널(130)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면(130a)이 형성되어 있어, 장측면 패널(130)의 외측에서 보면 돌출면(130a)이 함몰된 형상이다. 이러한 돌출면(130a)은 제1가로 돌출리브(131a)에서부터 제4가로 돌출리브(131d)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먼저, 칸막이(200)가 베이스 패널(110)에 대해 기립되도록 하기 위하여, 장측면 패널(130)의 돌출면(130a)에는 칸막이(200)의 측벽돌기(230)가 삽입되는 제1삽입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제1삽입부(134)는, 도 2와 같이 제1가이드홈(134a)과 제1삽입홈(134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홈(134a)은 장측면 패널(130)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고, 장측면 패널(130)의 상측과 내측면 측으로 개방되어 홈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제1가이드홈(134a)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인 것이 칸막이(200)의 측벽돌기(230)가 삽입되기 유리하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제1삽입홈(134b)은 제1가이드홈(134a)의 하단에 측벽돌기(230)의 돌기부(23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가이드홈(134a)은, 도 1과 같이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면(130a)에 형성되어 있어, 제1가이드홈(134a)이 장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도 외관상 크게 돌출되지 않으므로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삽입부(134)가 돌출면(130a)에 간격을 두고 두 개가 형성되어 있어, 두 개의 칸막이(200)의 각 측벽돌기(230)가 제1삽입부(134)에 각각 하나씩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제1삽입부(134) 사이에는 제1-1삽입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1삽입부(135)는 제1삽입부(134)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1-1가이드홈(135a)과 제1-1삽입홈(135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제1-1삽입부(135)에는 두 개의 칸막이(200)의 측벽돌기(230)가 제1-1삽입부(135)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1삽입부(135)의 홈 간격이 제1삽입부(134)의 홈 간격보다 넓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칸막이(200)를 상자(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뚜껑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장측면 패널(130)의 돌출면(130a)에 측벽돌기(230)의 양측면이 삽입되는 제2삽입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제2삽입부(136)는, 도 2와 같이 제2가이드홈(136a)과 제2삽입홀(136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이드홈(136a)은 장측면 패널(130)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고, 장측면 패널(130)의 상측과 내측면 측으로 개방되어 홈 형태를 이룬다. 제2가이드홈(136a)의 수직길이는 제1가이드홈(134a)의 수직길이보다 짧도록 형성되고, 제2가이드홈(136a)의 양측벽 간격은 제1가이드홈(134a)의 양측벽 간격보다 넓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삽입홀(136b)은 제2가이드홈(136a)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칸막이(200)의 측벽돌기(230) 중 돌기부(233)의 양측면을 잡아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2가이드홈(136a)과 제2삽입홀(136b)은, 도 1과 같이 제1가로 돌출리브(131a)와 제2가로 돌출리브(131b)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제1가로 돌출리브(131a)와 제2가로 돌출리브(131b)에 의해 제2가이드홈(136a)과 제2삽입홀(136b)이 외관상으로 잘 보이지 않도록 설계되어 상자의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칸막이(200)가 두 개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삽입부(136)는, 도 2와 같이 제1-1삽입부(135)를 기준으로 하여 제1-1삽입부(135)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으며, 제1-1삽입부(135)와 제1삽입부(13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두 개의 칸막이(200)는 상자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각 측벽돌기(230)의 양측면이 제2삽입부(136)에 각각 하나씩 삽입된다.
이때, 제2삽입홀(136b)의 제2가이드홈(136a)과 인접한 부분에는 제2삽입홀(136b)의 상측벽에서 하부로 돌출된 고정돌기(136c)가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제2삽입홀(136b)에 고정돌기(136c)가 형성되면, 제2삽입홀(136b)에 측벽돌기(230) 중 돌기부(233)의 상하면이 삽입될 때 돌기부(233)의 일측면을 잡아줌으로써, 칸막이(20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측면 패널(150)에는, 도 1과 같이 홀 형태의 제3삽입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삽입부(154)는 가로로 긴 사각형의 홀 형태이고, 제1가로 돌출리브(151a)와 제2가로 돌출리브(151b)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패널(110)에 대해 기립 가능하며, 상자(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뚜껑으로 활용가능한 칸막이(200)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따르면, 칸막이(200)는 양측의 단측면 패널(150)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양측의 장측면 패널(130)을 가로지르며 배치되므로 단측면 패널(150)과 동일한 형상이지만, 상자(100)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도록 단측면 패널(150) 보다 크기가 작다.
칸막이(200)의 상측에는 파지를 위한 손잡이홀(210)이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구멍(220)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홀(210)의 배치와 구멍(220)의 개수 및 배치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칸막이(200)의 양측벽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장측면 패널(130)의 제1삽입부(134)에 삽입되는 측벽돌기(2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측벽돌기(230)는 연장부(231)와 돌기부(23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231)는 칸막이(200)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고, 돌기부(233)는 연장부(23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칸막이(200)의 하단부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장측면 패널(130)의 제3삽입부(154)에 삽입되는 하단돌기(25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삽입부(154)가 가로로 긴 사각형의 홀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하단돌기(250)의 단면은 가로로 긴 사각형 형상이고, 제3삽입부(154)가 두 개로 구성됨에 따라, 하단돌기(250)도 제3삽입부(154)와 대응하는 위치에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칸막이(200)의 양측면은, 측벽돌기(230)를 기준으로 하여 측벽돌기(230)의 상부보다 하부가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200)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의 활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칸막이(200)를 베이스 패널(110)에 대해 기립되도록 하여 상자(100)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용도로 쓰일 때를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4에 따르면, 두 개의 칸막이(200)의 각 측벽돌기(230)가 두 개의 제1삽입부(134)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두 개의 칸막이(20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베이스 패널(110)에 대해 기립된다. 이로써, 두 개의 칸막이(200)에 의해 상자(100)는 세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측벽돌기(230)가 제1삽입부(134)에 삽입되는 상세구조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하였다.
즉, 칸막이(200)의 측벽돌기(230)는 제1가이드홈(134a)을 따라 가이드되어, 측벽돌기(230)의 돌기부(233)가 제1삽입홈(134b)에 삽입되고, 칸막이(200)의 하단돌기(250)는 베이스 패널(110)의 하단돌기 삽입홈(111)에 삽입됨으로써, 칸막이(200)가 한 쌍의 장측면 패널(130)을 가로지르며 배치되어 베이스 패널(110)에 대해 기립된다.
도 7에 따르면, 두 개의 칸막이(200)의 측벽돌기(230)가 동시에 제1-1삽입부(135)에 삽입됨으로써, 상자(100)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측벽돌기(230)가 제1-1삽입부(135)에 삽입되는 구조는, 측벽돌기(230)가 제1삽입부(134)에 삽입되는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칸막이(200)를 상자(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하여 뚜껑으로 쓰일 때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하였다.
도 8 및 도 9에 따르면, 두 개의 칸막이(200)의 각 측벽돌기(230)가 장측면 패널(130)의 제2가이드홈(136a)을 따라 각각 가이드되어 제2삽입홀(136b)에 돌기부(233)의 상하면이 각각 삽입되고, 두 개의 칸막이(200)의 각 하단돌기(250)가 단측면 패널(150)의 제3삽입부(154)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두 개의 칸막이(200)에 의해 상자(100)의 개방된 상면 전체가 덮어져 뚜껑의 역할을 한다.
측벽돌기(230)가 제2삽입부(136)에 삽입되고, 하단돌기(250)가 제3삽입부(154)에 삽입되는 상세구조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과 같이, 두 개의 칸막이(200)는 상자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각 측벽돌기(230)가 제2가이드홈(136a)을 따라 가이드되어 돌기부(233)의 양측면이 제2삽입홀(136b)에 삽입된다.
이때, 도 11과 같이 제2삽입홀(136b)의 고정돌기(136c)가 돌기부(233)의 일측면을 잡아줌으로써, 칸막이(20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부(233)의 양측면이 제2삽입홀(136b)에 삽입됨과 동시에, 도 10과 같이 칸막이(200)의 하단돌기(250)가 단측면 패널(150)의 제3삽입부(154)에 삽입된다.
이로써, 두 개의 칸막이(200)가 상자(100)의 개방된 상면 전체를 덮어 뚜껑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자 미사용시 다수의 상자를 적재하여 보관할 때를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하였다.
도 12와 같이, 칸막이(2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베이스 패널(110) 내에 칸막이(200)를 눕혀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칸막이(200)의 상단 외측을 잡아주는 제1돌출리브(113)와, 칸막이(200)의 하단돌기(250)의 외측을 잡아주는 제2돌출리브(115)에 의해 베이스 패널(110) 내에 눕혀진 칸막이(200)는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렇게 칸막이(200)가 베이스 패널(110) 내에 수용되도록 하면, 도 14와 같이 다수의 상자를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도 14에 따르면, 상자(100)의 내부에 또 다른 상자(100')를 포개면, 상자(100, 100')는 상광하협의 형태이므로 상자(100')가 상자(100)의 내부로 들어가며, 이때 아래에 위치한 상자(100)의 최상부에 위치한 제1가로 돌출리브(131a, 151a)에, 위에 위치한 상자(100')의 최하부에 위치한 제4가로 돌출리브(131d, 151d)가 얹혀지며 포개어진다.
이러한 상태로 다수의 상자를 포개어 보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수의 상자를 십자 형태로 적재하여 보관할 때를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였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상자를 십자 형태로 적재시에 아래에 위치한 상자(100a)의 두 개의 단차부(137) 사이에, 위에 위치한 상자(100b)의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짧은 변이 놓여짐으로써, 아래에 위치한 상자(100a)의 단차부(137)가, 위에 위치한 상자(100b)의 하단 양측을 잡아주므로 위에 위치한 상자(100b)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아래에 위치한 상자(100a)의 상단돌기(138)가, 위에 위치한 상자(100b)의 상단돌기 삽입홈(117)에 삽입됨으로써, 위에 위치한 상자(100b)의 전,후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요시 다수의 상자를 십자 형태로 적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칸막이(200)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에 따르면, 두 개의 칸막이(200)가 구비되어 있어, 칸막이(200)를 이용하여 상자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거나 세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칸막이(200)를 사용하여 상자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뚜껑으로 사용할 시에 칸막이(200)의 측벽돌기(230)와 하단돌기(250)가 상자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자에 오리털 패딩과 같이 부풀어 오르는 내용물과 같이 부피가 큰 제품이 수용되더라도 칸막이(200)에 의해 수용된 제품이 상자의 외부로 넘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즉, 칸막이(200)는 양측벽과 하단의 지점에서 상자와 결합되므로 상자 내부의 제품을 지지하는 버팀목이 되어 부피가 큰 제품을 수용할 경우 뚜껑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칸막이(2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분리하여 베이스 패널(110)의 바닥에 눕혀 보관하고, 다수의 상자를 포개어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칸막이(200)는 상자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고, 뚜껑으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칸막이(200)의 보관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베이스 패널 111 : 하단돌기 삽입홈
130 : 장측면 패널 131a, 131b, 131c, 131d: 가로 돌출리브
134 : 제1삽입부 134a : 제1가이드홈
134b : 제1삽입홈 135 : 제1-1삽입부
135a : 제1-1가이드홈 135b : 제1-1삽입홈
136 : 제2삽입부 136a : 제2가이드홈
136b : 제2삽입홀 136c : 고정돌기
150 : 단측면 패널 151a, 151b, 151c, 151d : 가로 돌출리브
155 : 손잡이홀 154 : 제3삽입부
200 : 칸막이 230 : 측벽돌기
231 : 연장부 233 : 돌기부
250 : 하단돌기

Claims (9)

  1.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된 한 쌍의 제1측면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된 한 쌍의 제2측면 패널을 포함하여, 상면이 개방된 상자의 형태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 패널에 대해 기립되거나 분리 가능한 칸막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칸막이는 상기 상자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뚜껑으로 활용하거나 분리하여 보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양측벽에는 측벽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는 두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측면 패널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로 구성된 제1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삽입부 사이에는 제1-1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두 개의 칸막이의 각 측벽돌기가 상기 두 개의 제1삽입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자는 세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칸막이의 각 측벽돌기가 상기 제1-1삽입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상자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돌기는,
    상기 칸막이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1측면 패널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의 하단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홈을 포함하여,
    상기 측벽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칸막이가 상기 한 쌍의 제1측면 패널을 가로지르며 상기 베이스 패널에 대해 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패널에는 제2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의 양측벽에는, 상기 칸막이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측벽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삽입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가이드홈과,
    상기 제2가이드홈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돌기부의 양측면을 잡아주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벽돌기는 상기 제2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제2삽입홀에 상기 돌기부의 양측면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칸막이가 상기 상자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홀의 상기 제2가이드홈과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제2삽입홀에 상기 돌기부의 양측면이 삽입될 때 상기 돌기부의 일측면을 잡아주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패널에는 제3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3삽입부에 삽입되는 하단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상기 베이스 패널 내에 눕혀서 보관이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칸막이의 보관시 상기 칸막이의 가장자리를 잡아줄 수 있는 돌출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은 직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제1측면 패널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가 긴 변에 기립되는 장측면 패널이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가 짧은 변에 기립되는 단측면 패널이며,
    상기 장측면 패널의 상단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자의 십자 형태로 적재시 아래에 위치한 상자의 상기 단차부가, 위에 위치한 상자의 하단 양측을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측면 패널의 상단에는 상단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패널의 하면에는 상기 상단돌기가 삽입되는 상단돌기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자의 십자 형태로 적재시 아래에 위치한 상자의 상기 상단돌기가, 위에 위치한 상자의 상기 상단돌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KR1020130098317A 2013-08-20 2013-08-20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KR101425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317A KR101425918B1 (ko) 2013-08-20 2013-08-20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317A KR101425918B1 (ko) 2013-08-20 2013-08-20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918B1 true KR101425918B1 (ko) 2014-08-05

Family

ID=5174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317A KR101425918B1 (ko) 2013-08-20 2013-08-20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9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3646A4 (en) * 2014-12-19 2018-10-10 Orbis Corporation Container with dividers
KR20220000858U (ko) * 2020-10-12 2022-04-19 타이저우 더이플라스틱 씨오 엘티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US20220194659A1 (en) * 2020-12-21 2022-06-23 Taizhou Deyi Plastics Co., Ltd. Storage Box with Easy-To-Store Co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949A (ja) * 1995-10-02 1997-04-1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仕切り箱
JP2002145260A (ja) 2000-11-07 2002-05-22 Kojima Press Co Ltd 仕切り板付き折り畳み式コンテナ
JP3954825B2 (ja) * 2001-08-21 2007-08-08 ハウス食品株式会社 物品入り仕切板付き箱
KR100885680B1 (ko) 2006-11-13 2009-02-26 박영우 적층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949A (ja) * 1995-10-02 1997-04-1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仕切り箱
JP2002145260A (ja) 2000-11-07 2002-05-22 Kojima Press Co Ltd 仕切り板付き折り畳み式コンテナ
JP3954825B2 (ja) * 2001-08-21 2007-08-08 ハウス食品株式会社 物品入り仕切板付き箱
KR100885680B1 (ko) 2006-11-13 2009-02-26 박영우 적층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상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3646A4 (en) * 2014-12-19 2018-10-10 Orbis Corporation Container with dividers
US10486860B2 (en) 2014-12-19 2019-11-26 Orbis Corporation Container with dividers
KR20220000858U (ko) * 2020-10-12 2022-04-19 타이저우 더이플라스틱 씨오 엘티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KR200496839Y1 (ko) * 2020-10-12 2023-05-08 타이저우 더이플라스틱 씨오 엘티디 박스 커버를 안착하기 편리한 수납함
US20220194659A1 (en) * 2020-12-21 2022-06-23 Taizhou Deyi Plastics Co., Ltd. Storage Box with Easy-To-Store Cover
KR20220001536U (ko) * 2020-12-21 2022-06-28 타이저우 더이플라스틱 씨오 엘티디 커버판 수납이 용이한 보관함
KR200496838Y1 (ko) * 2020-12-21 2023-05-08 타이저우 더이플라스틱 씨오 엘티디 커버판 수납이 용이한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8409B2 (en) Customizable caddy
US5339979A (en) All-purpose utility crate
KR101425918B1 (ko) 칸막이를 뚜껑으로 활용하는 상자
US10286541B2 (en) Toolbox
US4822314A (en) Interlocking container and toy block sets
KR101319158B1 (ko) 플라스틱 골판지 박스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스틱 골판지 박스
KR101392898B1 (ko) 다단의 수납박스
KR101316014B1 (ko)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KR20130027131A (ko) 받침대 고정부가 부설된 케익 포장용 상자
CN108725942A (zh) 一种储物盒
CN209064602U (zh) 一种便于拆装便于使用的教具箱
US20100126814A1 (en) Configurable compartmented multiple-item carrying case
KR20120104052A (ko)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구조 및 적층보관장치
KR100977144B1 (ko) 우산 분실 방지 신발장
KR101733921B1 (ko) 수납함을 구비한 책꽂이
CN209852788U (zh) 一种储物盒
JP3246166U (ja) 収納具
TW201609504A (zh) 蓋體及儲存系統
KR20120104053A (ko)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CN216035913U (zh) 一种多空间积木收纳箱
JP2004307015A (ja) イチゴの収納方法
KR102236327B1 (ko) 케이스
TWM535692U (zh) 整理盒之改良
JPS6228203Y2 (ko)
JPS6021928Y2 (ja) 浴光用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