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19Y1 -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 Google Patents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19Y1
KR200496819Y1 KR2020210002146U KR20210002146U KR200496819Y1 KR 200496819 Y1 KR200496819 Y1 KR 200496819Y1 KR 2020210002146 U KR2020210002146 U KR 2020210002146U KR 20210002146 U KR20210002146 U KR 20210002146U KR 200496819 Y1 KR200496819 Y1 KR 200496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base casing
hanger
hol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124U (ko
Inventor
조흥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Priority to KR2020210002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19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9/005Lifting devices for manhole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18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implements to assist in lifting, e.g. counterweights,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이 슬거나 때가 끼어 인발이 힘든 맨홀 뚜껑 개방이 용이하도록, 베이스 케이싱(10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상부 좌 우측에 구비되는 행거공(200);과 상기 행거공(200)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행거핀(30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양측에서 상기 행거핀(300)에 양단이 회동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행거고리(400);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500)의 직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5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자기발생부(600); 및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단 저면 방향에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부(700);를 포함하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 MAGNETIC LIFTER WITH FIXED PIN }
본 고안은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이 슬거나 때가 끼어 인발이 힘든 맨홀 뚜껑 개방이 용이하도록, 베이스 케이싱, 행거공, 행거고리, 자기발생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 및 하수 관로를 비롯하여 지하에 매설되는 각종 케이블이나 가스관 등은 청소 및 유지, 보수를 하기 위하여 일정한 거리마다 맨홀이 설치되어 있다.
맨홀은 지중에 매설되며 지중의 관로와 연결되는 맨홀 본체, 상기 맨홀 본체의 상부인 지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철재의 맨홀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중의 관로 보수나 청소 등을 위해서는 반드시 맨홀 뚜껑을 개폐하여야 한다.
종래 맨홀 뚜껑의 개폐 작업은 곡괭이 등의 도구를 이용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힘들고 번거로우며 따라서 작업자의 손과 발이 맨홀 뚜겅에 깔리거나 부딪치는 사고와 무리한 힘을 들임으로써 척추질환이 빈번히 발생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70567호(맨홀 뚜껑 개방 장치)가 개시되고 있는데, 지지대에 고정되는 레버 고정축과 레버 부재가 개시되고 있다.
또한,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하 이동축과 레버 부재의 작동에 의해 맨홀 뚜껑을 끌어올려 맨홀 뚜껑을 개방하도록, 맨홀 뚜껑에 부착되는 부착부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맨홀 뚜껑 개폐기는 녹이 슬거나 때가 끼어 있는 대부분의 맨홀 뚜껑에 대해서는 고정이 힘들기 때문에 작업자의 근력 사용이 배가되고, 미끄러지는 경우 작업자가 부상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0567호, 고안의 명칭 : 맨홀 뚜껑 개방 장치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녹이 슬거나 때가 끼어 인발이 힘든 맨홀 뚜껑 개방이 용이하도록, 베이스 케이싱, 행거공, 행거고리, 자기발생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여 작업 효율과 안전성을 높이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 케이싱(10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상부 좌 우측에 구비되는 행거공(200)과 상기 행거공(200)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행거핀(300) 및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양측에서 상기 행거핀(300)에 양단이 회동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행거고리(400)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레버, 지렛대등을 변경없이 그대로 사용 할 수 있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500)의 직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5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자기발생부(600)를 이용하여 맨홀 뚜껑 인발시에만 전원을 가할 수 있어 편리한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700)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단을 커버하는 후면 케이싱(110)의 내부에 내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면 케이싱(110)에는 이동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 케이싱(110)으로 후방이 지지되도록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이동 통공의 하부 방향에는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돌출(111)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되되어 고정부(700)의 후방 지지력이 증대되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700)가 상단에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압박돌출면(710)이 구비되며, 맨홀 뚜겅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면(720)은 양단에서 첨부를 이루도록 제 1 첨부(721) 및 제 2 첨부(72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첨부(721) 및 제 2 첨부(723)의 사이는 상기 제 1,2 첨부(721,722)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간부(723)로 구비되어 하부 고정 성능이 높아지도록 하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전단을 커버하는 전면 케이싱(12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 돌출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돌출재(121)의 중앙에는 상기 행거공(20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보조통공(121a)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통공(121a)을 통해 상기 전방 돌출재(121)에 삽입되는 보조파지바(800)가 구비되어 고 중량 인발체를 여러 작업자가 동시 작업 할 수 있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는 먼저, 베이스 케이싱(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상부 좌 우측에 구비되는 행거공(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공(200)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행거핀(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양측에서 상기 행거핀(300)에 양단이 회동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행거고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500)의 직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5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자기발생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단 저면 방향에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700)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단을 커버하는 후면 케이싱(110)의 내부에 내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면 케이싱(110)에는 이동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 케이싱(110)으로 후방이 지지되도록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이동 통공의 하부 방향에는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돌출(111)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이때, 상기 고정부(700)는 상단에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압박돌출면(710)이 구비되며, 맨홀 뚜겅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면(720)은 양단에서 첨부를 이루도록 제 1 첨부(721) 및 제 2 첨부(72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첨부(721) 및 제 2 첨부(723)의 사이는 상기 제 1,2 첨부(721,722)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간부(7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면(720)은 평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전단을 커버하는 전면 케이싱(12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 돌출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돌출재(121)의 중앙에는 상기 행거공(20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보조통공(121a)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통공(121a)을 통해 상기 전방 돌출재(121)에 삽입되는 보조파지바(8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파지바(800)는 상기 보조파지바(800)의 양단에서 상기 보조파지바(800)에 내입되어 상기 보조파지바(80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좌우 한 쌍이 1 조로 확장파지바(8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를 제공하여,
첫째, 녹이 슬거나 때가 끼어 인발이 힘든 맨홀 뚜껑 개방이 용이하며, 베이스 케이싱, 행거공, 행거고리, 자기발생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여 작업 효율과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둘째, 베이스 케이싱(10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상부 좌 우측에 구비되는 행거공(200)과 상기 행거공(200)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행거핀(300) 및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양측에서 상기 행거핀(300)에 양단이 회동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행거고리(400)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레버, 지렛대등을 변경없이 그대로 사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500)의 직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5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자기발생부(600)를 이용하여 맨홀 뚜껑 인발시에만 전원을 가할 수 있어 편리하다.
넷째, 고정부(700)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단을 커버하는 후면 케이싱(110)의 내부에 내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면 케이싱(110)에는 이동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 케이싱(110)으로 후방이 지지되도록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이동 통공의 하부 방향에는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돌출(111)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되되어 고정부(700)의 후방 지지력이 증대된다.
다섯째, 고정부(700)가 상단에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압박돌출면(710)이 구비되며, 맨홀 뚜겅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면(720)은 양단에서 첨부를 이루도록 제 1 첨부(721) 및 제 2 첨부(72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첨부(721) 및 제 2 첨부(723)의 사이는 상기 제 1,2 첨부(721,722)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간부(723)로 구비되어 하부 고정 성능이 높아진다.
여섯째,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전단을 커버하는 전면 케이싱(12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 돌출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돌출재(121)의 중앙에는 상기 행거공(20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보조통공(121a)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통공(121a)을 통해 상기 전방 돌출재(121)에 삽입되는 보조파지바(800)가 구비되어 고 중량 인발체를 여러 작업자가 동시 작업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의 지지돌출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의 전원공급부 및 자기발생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6 내지 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9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가 개폐기와 함께 맨홀을 개폐하는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의 지지돌출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의 전원공급부 및 자기발생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6 내지 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9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가 개폐기와 함께 맨홀을 개폐하는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는 먼저, 외형을 이루도록 베이스 케이싱(100)이 구성되는데, 마그네틱 리프터로 인발이 되는 자성 반응재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저부는 평평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상부 좌 우측에 구비되는 행거공(200)과 상기 행거공(200)에 삽입되도록 행거핀(30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양측에서 상기 행거핀(300)에 양단이 회동 결합되도록 행거고리(400)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행거고리(400)는 기존의 레버, 지렛대 등 인발 사용에 필요한 현장 도구들에 별도의 변경없시 결착되어 사용 편의성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500)의 직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5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자기발생부(600)를 구성하는데,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에는 상기 자기발생부(600)의 자기력을 ON/OFF 하거나, 자기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 또는 다이얼 방식의 조절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단 저면 방향에는 지면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고정부(700)가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700)는 평상시에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에 내입되고 입날 작업시 지면 방향으로 돌촐되어 인발체 또는 지면에 고정되어 인발 능력을 향상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700)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단을 커버하는 후면 케이싱(110)의 내부에 내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면 케이싱(110)에는 이동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 케이싱(110)으로 후방이 지지되도록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이동 통공의 하부 방향에는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돌출(111)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700)이 후방으로 밀려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휘어짐과 같은 고장을 예방하고, 인발 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 이때, 상기 고정부(700)는 상단에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압박돌출면(710)이 구비되며, 맨홀 뚜겅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면(720)은 양단에서 첨부를 이루도록 제 1 첨부(721) 및 제 2 첨부(72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첨부(721) 및 제 2 첨부(723)의 사이는 상기 제 1,2 첨부(721,722)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간부(723)가 구비되어 지면 또는 인발체에 박히는 능력을 더 높이며, 상기 하부면(720)은 평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구비되도록 변형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전단을 커버하는 전면 케이싱(12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 돌출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돌출재(121)의 중앙에는 상기 행거공(20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보조통공(121a)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통공(121a)을 통해 상기 전방 돌출재(121)에 삽입되는 보조파지바(800)가 구비되어 전방에서 작업자가 조력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파지바(800)는 상기 보조파지바(800)의 양단에서 상기 보조파지바(800)에 내입되어 상기 보조파지바(80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좌우 한 쌍이 1 조로 확장파지바(810)가 구비되어 2 인 이상이 협동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를 이용하면, 녹이 슬거나 때가 끼어 인발이 힘든 맨홀 뚜껑 개방이 용이하며, 베이스 케이싱, 행거공, 행거고리, 자기발생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여 작업 효율과 안전성을 높이며, 베이스 케이싱(10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상부 좌 우측에 구비되는 행거공(200)과 상기 행거공(200)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행거핀(300) 및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양측에서 상기 행거핀(300)에 양단이 회동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행거고리(400)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레버, 지렛대등을 변경없이 그대로 사용 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500)의 직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5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자기발생부(600)를 이용하여 맨홀 뚜껑 인발시에만 전원을 가할 수 있어 편리하며, 고정부(700)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단을 커버하는 후면 케이싱(110)의 내부에 내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면 케이싱(110)에는 이동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 케이싱(110)으로 후방이 지지되도록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이동 통공의 하부 방향에는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돌출(111)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되되어 고정부(700)의 후방 지지력이 증대되며, 고정부(700)가 상단에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압박돌출면(710)이 구비되며, 맨홀 뚜겅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면(720)은 양단에서 첨부를 이루도록 제 1 첨부(721) 및 제 2 첨부(72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첨부(721) 및 제 2 첨부(723)의 사이는 상기 제 1,2 첨부(721,722)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간부(723)로 구비되어 하부 고정 성능이 높아지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전단을 커버하는 전면 케이싱(12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 돌출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돌출재(121)의 중앙에는 상기 행거공(20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보조통공(121a)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통공(121a)을 통해 상기 전방 돌출재(121)에 삽입되는 보조파지바(800)가 구비되어 고 중량 인발체를 여러 작업자가 동시 작업 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베이스 케이싱
110 ... 후면 케이싱
111 ... 지지돌출
120 ... 전면 케이싱
121 ... 전방 돌출재
121a ... 보조통공
200 ... 행거공
300 ... 행거핀
400 ... 행거고리
500 ... 전원공급부
600 ... 자기발생부
700 ... 고정부
710 ... 압박돌출면
720 ... 하부면
721 ... 제 1 첨부
722 ... 제 2 첨부
723 ... 중간부
800 ... 보조파지바
810 ... 확장파지바

Claims (6)

  1. 베이스 케이싱(100);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상부 좌 우측에 구비되는 행거공(200);
    상기 행거공(200)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행거핀(300);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양측에서 상기 행거핀(300)에 양단이 회동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행거고리(400);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500);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500)의 직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5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자기발생부(600); 및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단 저면 방향에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부(7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700)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단을 커버하는 후면 케이싱(110)의 내부에 내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면 케이싱(110)에는 이동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 케이싱(110)으로 후방이 지지되도록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이동 통공의 하부 방향에는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돌출(111)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00)는,
    상단에 상기 후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압박돌출면(710)이 구비되며, 맨홀 뚜겅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면(720)은 양단에서 첨부를 이루도록 제 1 첨부(721) 및 제 2 첨부(72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첨부(721) 및 제 2 첨부(723)의 사이는 상기 제 1,2 첨부(721,722)의 높이보다 낮도록 중간부(7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720)은,
    평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전단을 커버하는 전면 케이싱(12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 돌출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돌출재(121)의 중앙에는 상기 행거공(20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보조통공(121a)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통공(121a)을 통해 상기 전방 돌출재(121)에 삽입되는 보조파지바(8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파지바(800)는,
    상기 보조파지바(800)의 양단에서 상기 보조파지바(800)에 내입되어 상기 보조파지바(80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좌우 한 쌍이 1 조로 확장파지바(8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KR2020210002146U 2021-07-07 2021-07-07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KR200496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146U KR200496819Y1 (ko) 2021-07-07 2021-07-07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146U KR200496819Y1 (ko) 2021-07-07 2021-07-07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24U KR20230000124U (ko) 2023-01-16
KR200496819Y1 true KR200496819Y1 (ko) 2023-05-03

Family

ID=8510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146U KR200496819Y1 (ko) 2021-07-07 2021-07-07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1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8740A (zh) * 2009-06-01 2010-12-01 绍兴县排水有限公司 窨井盖开盖装置
KR101122498B1 (ko) 2010-11-08 2012-03-16 용진환경주식회사 맨홀 덮개 개방장치
KR102037973B1 (ko) * 2019-04-25 2019-10-29 조흥진 맨홀덮개 분리장치
KR102078656B1 (ko) * 2019-10-28 2020-04-07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전자석을 이용한 맨홀뚜껑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뚜껑 개폐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67Y1 (ko) 2013-05-01 2013-12-26 서울특별시 맨홀 뚜껑 개방 장치
KR20180000415U (ko) * 2016-08-02 2018-02-12 정성옥 높이와 경사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8740A (zh) * 2009-06-01 2010-12-01 绍兴县排水有限公司 窨井盖开盖装置
KR101122498B1 (ko) 2010-11-08 2012-03-16 용진환경주식회사 맨홀 덮개 개방장치
KR102037973B1 (ko) * 2019-04-25 2019-10-29 조흥진 맨홀덮개 분리장치
KR102078656B1 (ko) * 2019-10-28 2020-04-07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전자석을 이용한 맨홀뚜껑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뚜껑 개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24U (ko) 202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519884A2 (pt) cabo de aparelho e aparelho para barbear
US11027954B2 (en) Multipurpose device
KR200496819Y1 (ko)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US3290006A (en) Pipe pulling device
CN208402357U (zh) 园林铲
KR200470567Y1 (ko) 맨홀 뚜껑 개방 장치
IT9052604U1 (it) Leva bilanciere apritombino.
KR101865366B1 (ko) 맨홀 덮개 개폐 장치
KR200298752Y1 (ko) 맨홀 뚜껑 개폐기
CN209778239U (zh) 一种便携式提拉器
KR19980014099U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CN208696014U (zh) 一种重型汽车用大梁校正装置
KR200481637Y1 (ko) 그레이팅 개폐기
CN207810676U (zh) 机械手
KR100412331B1 (ko) 맨홀덮개의 개방기
US3027930A (en) Apparatus for straightening vehicle frames
CN205415689U (zh) 一种固定式搬运机械臂
KR100316275B1 (ko) 곡괭이형맨홀뚜껑개폐기
CN210498093U (zh) 一种钢筋折弯装置
KR100289693B1 (ko) 갈고리형 맨홀뚜껑 개폐기
KR100296356B1 (ko) 다단 갈고리형 맨홀뚜껑 개폐기
CN213140134U (zh) 混凝土预制块搬运工具
KR200201485Y1 (ko) 맨홀뚜껑의 개폐장치
KR200477280Y1 (ko) 집수정뚜껑 손잡이 커버
CN204144826U (zh) 电缆头制作固定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