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498B1 - 맨홀 덮개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덮개 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498B1
KR101122498B1 KR1020100110405A KR20100110405A KR101122498B1 KR 101122498 B1 KR101122498 B1 KR 101122498B1 KR 1020100110405 A KR1020100110405 A KR 1020100110405A KR 20100110405 A KR20100110405 A KR 20100110405A KR 101122498 B1 KR101122498 B1 KR 101122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ver
hole
lever
manhol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기
정광영
Original Assignee
용진환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진환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용진환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45Tools for positioning or removing cover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덮개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의 맨홀덮개를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맨홀 받침틀로부터 개방시킨 다음, 작업 완료 후 간편하게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맨홀덮개 개방장치에 대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여 보관 및 이동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그리고, 맨홀덮개를 작업장으로부터 이동시켜 작업자들의 작업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과 작업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맨홀 덮개 개방장치{man hole op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맨홀덮개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중량의 맨홀덮개를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개방시켜 작업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맨홀 받침틀과 그 상부에 안착 되는 맨홀덮개로 구성되고, 맨홀덮개는 주물로 일체로 제작되어 그 무게가 280㎏ 이상의 것도 있다.
또한, 맨홀덮개의 둘레에는 맨홀덮개를 개방시키기 용이하도록 2개 및 3개의 개방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홈에 긴 렌치 등을 끼우고 지렛대의 원리로 덮개를 들어올렸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개방 방법에 있어서는 맨홀덮개가 결합된 틈으로 먼지나 흙,모래 등이 끼이므로 지렛대나 긴 렌치를 사용할 때 힘이 많이 들고 맨홀덮개가 약간 이동되어야 하는데 유격이 별로 없는 상태에서 맨홀덮개를 분리하다 보면 맨홀덮개를 지지하는 테두리가 파손되는 문제점과 개방된 덮개를 작업공간에 방치되어 파손되거나 작업에 방해를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맨홀 받침틀로부터 맨홀덮개를 분리하도록 구성한 장치가 제공되었으나, 이들은 맨홀덮개에 렌치 등을 걸어 고정한 다음, 이를 기중기 등으로 들어서 맨홀덮개를 개방시키는 타입으로서, 이는 별도의 기중기를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장치가 복잡하고, 작업현장에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중량의 맨홀덮개를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개방시켜 작업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맨홀덮개 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맨홀 받침틀로부터 분리한 맨홀덮개를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맨홀 받침틀 상부에 안착 되는 맨홀덮개로 이루어진 맨홀에 있어서, 양측에 이동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길이조절수단으로써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된 지렛대; 및 상기 지렛대의 선단에 매달려 지지 되고, 맨홀덮개 상부에 탈부착 되어 지렛대의 운동으로 맨홀 받침틀로부터 맨홀덮개 분리하기 위한 리프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의 맨홀덮개를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맨홀 받침틀로부터 개방시킨 다음, 작업 완료 후 간편하게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맨홀덮개 개방장치에 대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여 보관 및 이동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그리고 맨홀덮개를 작업장으로부터 이동시켜 작업자들의 작업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과 작업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의 동작상태 구성도.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의 길이조절수단에 대한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의 보관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9b는 도 8의 동작상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는 양측에 이동바퀴(1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수평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10)의 중앙 영역에 길이조절수단(30)으로써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 지렛대(20)와; 지렛대(20)의 선단에 매달려 지지 되고, 맨홀덮개(2) 상부에 탈부착되어 지렛대(20)의 운동으로 맨홀 받침틀(4)로부터 맨홀덮개(2)를 분리하기 위한 리프팅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프레임(10)은 양측에 대응되게 이동바퀴(11)가 구비되어 지면에서 균형이 유지되고, 이동바퀴(11)는 지면과 밀착면적으로 최대로 높이기 위하여 광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록킹장치(미도시)로써 유동이 방지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지렛대(20)는 일단부로부터 적정 길이까지 직선으로 이루어진 수평부(22)와; 수평부(22)로부터 적정 각도를 유지하여 경사지게 이루어진 경사부(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렛대(20)의 수평부(22)에는 한쌍의 걸림고리(23a)(23b)가 구비되어, 맨홀덮개(2)에 구비된 연결고리(2b)에 결합시켜 맨홀덮개(2)를 개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경사부(24)의 타단부에 뾰쪽(드라이브 형상)하게 첨단부(23c)를 형성하여 맨홀덮개(2)에 형성된 개폐용 홈(2a)에 삽입시켜 수동으로 맨홀덮개(2) 개방시 사용하게 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30)은 수평프레임(10)의 정중앙 영역 상부에 고정되고, 길이조절공(31a)과 수직공(31b)이 형성된 고정가이드(32)와; 고정가이드(32)의 길이조절공(31a)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수직공(31b)과 대응되게 지렛대(20)의 수평부(22) 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잠금공(34)과; 고정가이드(32) 상부에 수직공(31b)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조절나사공(36a)이 형성된 수직조절구(36)와; 수직조절구(36)의 조절나사공(36a)에 체결되고, 수직공(31b)과 잠금공(34)에 삽입되어 지렛대(20)의 길이 조절을 유지하기 위한 길이조절유지부재(40)로 이루어진다.
이때, 길이조절공(31a)은 고정가이드(32)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수직공(31b)은 길이조절공(31a)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유지부재(40)는 수직조절구(36)의 조절나사공(36a)에 체결 고정된 조절볼트(42)와; 조절볼트(42)의 중앙 영역에 수직공(31b) 및 잠금공(34)과 연통되게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 조절공(44)과; 단차 조절공(44) 내부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수직공(31b) 및 잠금공(34)에 삽입되는 삽입부(46a)와, 삽입부(46a) 상부에 단차지게 구비된 손잡이부(46b)로 이루어진 이동 로커핀(46)과; 단차 조절공(44) 내부에 개재되고, 이동 로커핀(46)의 삽입부(46a) 하부 영역에 고정링(48a)으로써 고정되어 로커 이동핀(46)의 상하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48)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팅수단(50)은 금속재질의 맨홀덮개(2) 상부에 탈부착되는 영구자석(52)과; 영구자석(52) 상부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안전고리(54)와; 안전고리(54)의 상단이 분리 가능하게 걸리게 되고, 지렛대(20)의 수평부(22) 선단에 고정된 걸림구(56)로 이루어진다.
이때, 영구자석(52)은 일측에 구비된 전환스위치(53)를 온,오프 위치로 이동시켜 영구자석(52)을 맨홀덮개(2)로부터 탈부착시키게 되고, 이러한 영구자석은 중량의 맨홀덮개(2)를 맨홀 받침틀(4)로부터 충분하게 들어올릴 정도의 충분한 자체 자력을 갖게 되는데, 맨홀덮개(2)의 중량에 적절한 영구자석(52)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맨홀덮개(2)의 중량이 82kg이면, 영구자석(52)의 자력이 82kg을 충분히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영구자석(52)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기로 한다.
한편, 지렛대(20)의 수평부(22)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고리(23a)(23b)에 영구자석(52)의 안전고리(54)를 선택적으로 건 다음, 영구자석(52)을 맨홀덮개(2) 상부에 부착하고, 작업자가 맨홀덮개(2)를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도 6참조)
또한, 이는 도 4a,4b에서와 같이 지렛대(20)의 걸림구(56)에 영구자석(52)의 안전고리(54)에 걸어 맨홀덮개(2)를 맨홀틀(4)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지렛대(20)의 수평부(22)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고리(23a)(23b)에 영구자석(52)의 안전고리(54)를 선택적으로 건 다음, 영구자석(52)을 맨홀덮개(2) 상부에 부착하고, 맨홀덮개(2)를 들어올려 옆으로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의 보관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는, 수평프레임(10)의 후면 양측에 보관고리(13)(14)를 각각 구비하고, 이 보관고리(13)(14)에 길이조절수단(30)으로부터 지렛대(20)를 분리한 다음, 지렛대(20)를 간편하게 걸어 보관하게 된다.
이때, 수평프레임(10) 중앙 영역에 상부로 돌출되게 이동용손잡이(16)를 구비하여 지렛대(20)가 보관된 수평프레임(10)을 양측의 이동바퀴(11)로써 편리하게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a,9b는 도 8의 동작상태 구성도이다. 이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맨홀덮개 개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리프팅수단에 대한 구성을 다르게 한 것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게 된다.
즉, 맨홀덮개 개방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양측에 이동바퀴(1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양측이 지면에 지지 되는 수평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10)의 중앙 영역에 길이조절수단(30)으로써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 지렛대(20)와; 지렛대(20)의 선단에 매달려 지지 되고, 맨홀덮개(2) 상부에 탈부착되어 지렛대(20)의 운동으로 맨홀 받침틀(4)로부터 맨홀덮개(2)를 분리하기 위한 리프팅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팅수단(50)은 맨홀덮개(2)의 양측에 형성된 구멍(2c)에 안전하게 걸 수 있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걸림 안전고리(60)(61)와; 걸림 안전고리(60)(61) 상부에 양측이 유동이 발생 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중심 영역이 지렛대(20)의 수평부(22) 선단에 고정된 걸림구(56)에 매달리게 되어 지렛대(20)의 운동으로 맨홀 받침틀(4)로부터 맨홀덮개(2)를 분리하기 위한 체인블럭(6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맨홀덮개 개방장치를 구성하는 지렛대(20)를 파지하고, 맨홀 위치로 수평프레임(10) 양측의 이동바퀴(11)로써 이동한 다음, 리프링수단(50)을 구성하는 영구자석(52)의 전환스위치(53)를 온 위치로 이동시켜 영구자석(52)을 맨홀덮개(2)의 중앙 영역에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영구자석(52) 상부의 안전고리(54)에 지렛대(20)의 수평부(22) 선단에 고정된 걸림구(56)를 걸어 안전하게 매달게 된다.(도 4a참조)
그 다음으로 도 4b에서와 같이 지렛대(20)의 경사부(24)를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그러면, 수평프레임(10) 양측에 구비되어 지면에 밀착된 이동바퀴(11)를 중심으로 지렛대(20)의 경사부(24)가 하방으로 눌러지게 됨에 따라 맨홀덮개(2)가 맨홀 받침틀(4)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바퀴(11)로써 개방장치를 이동시켜 맨홀 받침틀(4) 내부를 개방한 다음, 내부에서 작업을 하게 되고, 작업이 완료되면 이동바퀴(11)로써 개방장치를 맨홀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지렛대(20)의 경사부(24)를 하방으로 눌러 맨홀덮개(2)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맨홀 받침틀(4) 상부에 맨홀덮개(2)를 안착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영구자석(52) 상부의 안전고리(54)로부터 지렛대(20)의 수평부(22) 선단에 고정된 걸림구(56)를 분리시킨 다음, 영구자석(52)의 전환스위치(53)를 오프위치로 전환시켜 영구자석(52)을 맨홀덮개(2)로부터 분리시키고, 다음 작업시까지 별도로 보관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길이조절수단(30)으로써 지렛대(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길이조절유지부재(40)를 구성하는 이동 로커핀(46)의 손잡이부(46b)를 파지한 다음, 이를 상방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면, 이동 로커핀(46)의 삽입부(46a)가 탄성부재(48)의 탄성력으로써 상방으로 당겨지면서 삽입부(46a)의 단부가 수직공(31b)과 잠금공(34)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이탈됨과 동시에, 수직조절구(36)의 조절나사공(36a)에 체결 고정된 조절볼트(42)의 중앙 영역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 조절공(44)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5b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지렛대(20)의 수평부(22)를 고정가이드(32)의 길이조절공(31a)으로부터 수평 이동시키면서 고정가이드(32)의 수직공(31b)과 지렛대(20)의 잠금공(34)을 일치시킨 다음, 이동 로커핀(46)의 손잡이부(46b)를 놓게 되면 압축된 탄성부재(48)가 복귀되면서 삽입부(46a)의 단부가 수직공(31b)과 잠금공(34)에 삽입되어 길이가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어 지렛대의 길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이 완료된 덮개 개방장치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보관고리(13)(14)에 길이조절수단(30)으로부터 지렛대(20)를 분리한 다음, 수평프레임(10)의 후면 양측에 구비된 보관고리(13)(14)에 지렛대(20)를 간편하게 걸어 보관한 후, 수평프레임(10) 중앙 영역의 이동용손잡이(16)로써 수평프레임(10) 양측의 이동바퀴(11)를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상태를 도 9a,9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9a에서와 같이 맨홀덮개 개방장치를 구성하는 지렛대(20)를 파지하고, 맨홀 위치로 수평프레임(10) 양측의 이동바퀴(11)로써 이동한 다음, 리프팅수단(50)을 구성하는 한쌍의 걸림 안전고리(60)(61)를 맨홀덮개(2) 양측의 구멍(2c)에 안전하게 걸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 안전고리(60)(61) 상부에 양측이 유동이 발생 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된 체인블럭(63)의 중심 영역을 지렛대(20)의 수평부(22) 선단에 고정된 걸림구(56)에 무게 중심을 유지하여 매달게 된다.
그 다음으로 도 9b에서와 같이 지렛대(20)의 경사부(24)를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그러면, 수평프레임(10) 양측에 구비되어 지면에 밀착된 이동바퀴(11)를 중심으로 지렛대(20)의 경사부(24)가 하방으로 눌러지게 됨에 따라 맨홀덮개(2)가 맨홀 받침틀(4)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바퀴(11)로써 개방장치를 이동시켜 맨홀 받침틀(4) 내부를 개방한 다음, 내부에서 작업을 하게 되고, 작업이 완료되면 이동바퀴(11)로써 개방장치를 맨홀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지렛대(20)의 경사부(24)를 하방으로 눌러 맨홀덮개(2)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맨홀 받침틀(4) 상부에 맨홀덮개(2)를 안착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체인블럭(63)을 지렛대(20)의 수평부(22) 선단에 고정된 걸림구(56)로부터 분리한 다음, 걸림 안전고리(60)(61)를 맨홀덮개(2)의 구멍(2c)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걸림 안전고리(60)(61)와 체인블럭(63)을 다음 작업시까지 별도로 보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덮개 개방장치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2 : 맨홀덮개 4 : 맨홀 받침틀
10 : 수평프레임 11 : 이동바퀴
13,14 : 보관고리 16 : 이동용손잡이
20 : 지렛대 22 : 수평부
23a,23b : 걸림고리 23c : 첨단부
24 : 경사부 30 : 길이조절수단
32 : 고정가이드 31a : 길이조절공
31b : 수직공 34 : 잠금공
36 : 수직조절구 36a : 조절나사공
40 : 길이조절유지부재 42 : 조절볼트
44 : 단차 조절공 46 : 이동 로커핀
46a : 삽입부 46b : 손잡이부
48 : 탄성부재 50 : 리프팅수단
52 : 영구자석 54 : 안전고리
56 : 걸림구

Claims (7)

  1. 맨홀 받침틀(4) 상부에 안착 되는 맨홀덮개(2)로 이루어진 맨홀에 있어서,
    양측에 이동바퀴(1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후면 양측에 보관고리(13)(14)가 구비되며, 중앙 영역에 이동용손잡이(16)가 구비된 수평프레임(10);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중앙 영역에 길이조절수단(30)으로써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단부로부터 적정 길이까지 직선을 유지하여 이루어지며, 걸림고리(23a)(23b)가 구비된 수평부(22)와; 상기 수평부(22)로부터 적정 각도로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단부에 첨단부(23c)가 형성된 경사부(24)로 이루어진 지렛대(20); 및
    상기 지렛대(20)의 선단에 매달려지지 되고, 맨홀덮개(2) 상부에 탈부착 되어 지렛대(20)의 운동으로 맨홀 받침틀(4)로부터 맨홀덮개(2)를 분리하기 위한 리프팅수단(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덮개 개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30)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중앙 영역 상부에 고정되고, 길이조절공(31a)과 수직공(31b)이 형성된 고정가이드(32);
    상기 고정가이드(32)의 길이조절공(31a)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수직공(31b)과 대응되게 지렛대(20)의 수평부(22) 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잠금공(34);
    상기 고정가이드(32) 상부에 수직공(31b)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조절나사공(36a)이 형성된 수직조절구(36); 및
    상기 수직조절구(36)의 조절나사공(36a)에 체결 고정된 조절볼트(42)와; 상기 조절볼트(42)의 중앙 영역에 수직공(31b) 및 잠금공(34)과 연통되게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 조절공(44)과; 상기 단차 조절공(44) 내부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수직공(31b) 및 잠금공(34)에 삽입되는 삽입부(46a)와, 삽입부(46a) 상부에 단차지게 구비된 손잡이부(46b)로 이루어진 이동 로커핀(46)과; 상기 단차 조절공(44) 내부에 개재되고, 이동 로커핀(46)의 삽입부(46a) 하부 영역에 고정되어 로커 이동핀(46)의 상하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48)로 이루어진 길이조절유지부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덮개 개방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110405A 2010-11-08 2010-11-08 맨홀 덮개 개방장치 KR101122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405A KR101122498B1 (ko) 2010-11-08 2010-11-08 맨홀 덮개 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405A KR101122498B1 (ko) 2010-11-08 2010-11-08 맨홀 덮개 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498B1 true KR101122498B1 (ko) 2012-03-16

Family

ID=4614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405A KR101122498B1 (ko) 2010-11-08 2010-11-08 맨홀 덮개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49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67Y1 (ko) * 2013-05-01 2013-12-26 서울특별시 맨홀 뚜껑 개방 장치
CN106351262A (zh) * 2016-10-13 2017-01-25 庄乾晗 一种防盗市政井盖拆卸结构
CN106368242A (zh) * 2016-10-13 2017-02-01 庄乾晗 一种改进型市政井盖易拆卸结构
KR20190007756A (ko) * 2017-07-13 2019-01-23 정승훈 덮개 개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덮개 개폐 방법
CN109264649A (zh) * 2018-11-19 2019-01-25 宿州大地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窨井盖搬运装置
KR102037973B1 (ko) * 2019-04-25 2019-10-29 조흥진 맨홀덮개 분리장치
KR200494405Y1 (ko) * 2020-07-30 2021-10-0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맨홀뚜껑 개폐장치
KR20220168750A (ko) * 2021-06-17 2022-12-26 한국전력공사 맨홀 뚜껑 개방장치
KR20230000119U (ko) *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맨홀 뚜껑 개폐기
KR20230000124U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331B1 (ko) * 2001-11-08 2003-12-31 한국전력공사 맨홀덮개의 개방기
KR100876620B1 (ko) * 2007-03-06 2009-01-09 (주)앰앤지케스텍 맨홀뚜껑 개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331B1 (ko) * 2001-11-08 2003-12-31 한국전력공사 맨홀덮개의 개방기
KR100876620B1 (ko) * 2007-03-06 2009-01-09 (주)앰앤지케스텍 맨홀뚜껑 개방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67Y1 (ko) * 2013-05-01 2013-12-26 서울특별시 맨홀 뚜껑 개방 장치
CN106351262A (zh) * 2016-10-13 2017-01-25 庄乾晗 一种防盗市政井盖拆卸结构
CN106368242A (zh) * 2016-10-13 2017-02-01 庄乾晗 一种改进型市政井盖易拆卸结构
CN106351262B (zh) * 2016-10-13 2018-05-04 台州鼎拓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防盗市政井盖拆卸结构
CN106368242B (zh) * 2016-10-13 2018-05-08 台州鼎拓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改进型市政井盖易拆卸结构
KR20190007756A (ko) * 2017-07-13 2019-01-23 정승훈 덮개 개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덮개 개폐 방법
KR101965869B1 (ko) * 2017-07-13 2019-04-05 참빛도시가스 주식회사 덮개 개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덮개 개폐 방법
CN109264649B (zh) * 2018-11-19 2023-07-14 安徽华中机器人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窨井盖搬运装置
CN109264649A (zh) * 2018-11-19 2019-01-25 宿州大地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窨井盖搬运装置
KR102037973B1 (ko) * 2019-04-25 2019-10-29 조흥진 맨홀덮개 분리장치
KR200494405Y1 (ko) * 2020-07-30 2021-10-0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맨홀뚜껑 개폐장치
KR20220168750A (ko) * 2021-06-17 2022-12-26 한국전력공사 맨홀 뚜껑 개방장치
KR102539525B1 (ko) * 2021-06-17 2023-06-05 한국전력공사 맨홀 뚜껑 개방장치
KR20230000119U (ko) *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맨홀 뚜껑 개폐기
KR200496777Y1 (ko) 2021-07-06 2023-04-21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맨홀 뚜껑 개폐기
KR20230000124U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KR200496819Y1 (ko) 2021-07-07 2023-05-03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498B1 (ko) 맨홀 덮개 개방장치
JP2007001671A (ja) 縦吊り用クランプ
US20030235487A1 (en) Portable manhole cover remover
JPH0755011B2 (ja) 自動開閉凧取器
DK2649004T3 (en) TOOL FOR HANDLING A CLOAK COVER
JP3559244B2 (ja) ロッド解体機
KR200470567Y1 (ko) 맨홀 뚜껑 개방 장치
CN211496596U (zh) 通用型脱模吊具
JP2009012936A (ja) 吊り治具
CN206795768U (zh) 一种电力抢修工具箱
KR20120000345U (ko) 맨홀 뚜껑 개폐장치
CN211496555U (zh) 一种发动机缸盖吊具
JP3220636U (ja) グレーチング着脱具
CN106185626A (zh) 适用于大体积和重量构件的可移动式辅助翻转装置及方法
JP2012126497A (ja) クレーン及びそのアダプタ
CN211770157U (zh) 一种柏油路面的井盖提升装置
US5065984A (en) Clamp assembly for removing pins from a concrete form
JP2009113963A (ja) トレイ把持具
KR200482087Y1 (ko) 샤클 체결용 치구
JP2004076509A (ja) 溝蓋等の荷役材吊上機
KR101313277B1 (ko) 인양 구조물이 구비된 건설장비용 카운터웨이트
CN216764019U (zh) 铝锭垛专用起吊装置
CN107601258B (zh) 一种吊装与翻转用剪刀钳装置及其使用方法
JPH05246681A (ja) 長尺物の把持吊下げ装置
GB2236299A (en) Manhole cover lif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