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37Y1 - 그레이팅 개폐기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37Y1
KR200481637Y1 KR2020150001281U KR20150001281U KR200481637Y1 KR 200481637 Y1 KR200481637 Y1 KR 200481637Y1 KR 2020150001281 U KR2020150001281 U KR 2020150001281U KR 20150001281 U KR20150001281 U KR 20150001281U KR 200481637 Y1 KR200481637 Y1 KR 200481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ating
hook
whee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037U (ko
Inventor
강희창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2020150001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3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3Gully gratings with slidable or rotatable lock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상위험을 줄이고 쉽게 그레이팅을 개폐할 수 있는 그레이팅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작업자의 누르는 힘을 전달받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어 지렛대 운동에 의한 힘이 전달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에 부착되고 지렛대 운동의 축 역할을 하고, 그레이팅 개폐기의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제1바퀴; 상기 제2프레임의 전단에 연결되는 견인부; 및 상기 견인부에 부착되고 상기 견인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며 그레이팅에 고정 및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갈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가벼우면서 안전하고 적은 힘으로도 효과적으로 그레이팅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고 사각형 격자 형태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그레이팅에 사용할 수 있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레이팅 개폐기 {lifting apparatus for grating}
본 고안은 부상위험을 줄이고 쉽게 그레이팅을 개폐할 수 있는 그레이팅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배수 또는 배기시설에 설치되는 덮개로, 특히 상기 배수/배기시설이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하거나 근접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된 경우 통행자의 안전과 배수/배기능력을 동시에 보장하기 위해 설치되는 금속 또는 기타 경질소재의 구조물을 말한다.
상기 그레이팅은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된다. 먼저 크기에 있어서는 차로변의 우수관에 설치하기 위한 소형으로부터 지하철 환기구에 사용되는 대형까지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되고 있다. 또한 재질에 있어서는 스틸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그 밖의 금속재질이나 플라스틱재질 등 통행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다양한 경질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형태에 있어서는 평행한 그레이팅 구조물을 상기 구조물에 직교하는 크로스바로 연결한 사각형 격자 형태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통행자의 안전과 심미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그레이팅 구조물이 삼각형으로 접합된 삼각형 격자 형태나, 평판 위에 임의의 도형 및 글자 형태의 구멍을 만들어 그레이팅으로 사용하는 디자인형 등이 상기 다양한 형태의 사례라 할 것이다.
상기 그레이팅은 배수/배기관의 덮개로서 설치되는 바 배수/배기관의 정비를 위하여 작업자에 의해 개방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 그레이팅을 개방하는 방법으로는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그레이팅을 붙잡아 인력으로 들어올리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그레이팅 개방 방법은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는 바, 작업자가 무거운 그레이팅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곤란을 겪음은 물론 작업자가 허리 등에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인력으로 개방하고 옮기고 폐쇄하는 과정을 반복 작업함으로서 그 위험성이 더욱 커짐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사람 등의 압력, 그레이팅의 틈새로 유입된 이물질, 겨울철의 결빙 등에 의하여 그레이팅이 배수/배기관에 압착되는 경우, 작업 과정이 더욱 곤란하고 위험해짐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곤란을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해머나 곡괭이 등의 공구를 이용해 물리적 충격을 가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공구는 그레이팅의 개폐에 적합하게 설계되지 않은 바, 오히려 작업 중 안전사고와 부상의 위험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그레이팅을 개방하도록 할 수 있는 개폐기 등의 수단이 필요하다.
상기 개폐기와 연관된 기술로서는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4-003129호가 있다. 이 기술은 수작업에 의존하는 그레이팅 개폐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갈고리가 부착된 일자형 손잡이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는 개폐기를 제안한다.
그레이팅 개폐과정을 용이하도록 하는 다른 기술로서는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 2902599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037737호가 있다. 이 기술들에서는 공통적으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그레이팅 개폐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개폐기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 때 그레이팅을 지탱하기 위하여 후크 부속을 활용하도록 하는 점 또한 공통적이다.
본 고안은 가벼우면서 안전하고 적은 힘으로도 효과적으로 그레이팅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그레이팅 개폐기에 있어서 사각형 격자 형태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그레이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손잡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작업자의 누르는 힘을 전달받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어 지렛대 운동에 의한 힘이 전달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에 부착되어 지렛대 운동의 축 역할을 하고, 그레이팅 개폐기의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제1바퀴; 상기 제2프레임의 전단에 연결되는 견인부; 및 상기 견인부에 부착되고 상기 견인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며 그레이팅에 고정 및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갈고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갈고리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갈고리는 상기 갈고리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견인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갈고리와 연결된 갈고리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갈고리 회전 제어부를 이용해 상기 갈고리를 상기 견인부에 대해 임의의 각도를 가지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프레임의 후단이 고정된 각도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프레임 하단과 상기 제2프레임의 후단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를 통하여 제1 프레임의 눌리는 힘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프레임 전단이 상기 손잡이에 접근하도록 접었을 때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프레임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바퀴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프레임 연결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그레이팅 개폐기의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제2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프레임의 상단에서 좌우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길이부;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부간은 연결부;로 연결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 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인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길이부;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부간은 연결부;로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바퀴를 임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바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가벼우면서 안전하고 적은 힘으로도 효과적으로 그레이팅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그레이팅 개폐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그레이팅 개폐기를 사각형 격자 형태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그레이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갈고리 연결부를 위한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갈고리 제어부를 위한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를 이용해 그레이팅을 개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를 다양한 형태의 그레이팅에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에 있어서 갈고리를 그레이팅에 거는 방법 중 하나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가 프레임 고정부의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를 이용해 그레이팅을 개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1프레임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견인부를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인 그레이팅 개폐기(100)는 손잡이(115), 제1프레임(110), 제2프레임(120), 제1바퀴(130), 견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갈고리(15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갈고리 연결부(152)를 포함한다.
손잡이(115)는 사용자가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이동시키고 사용하는 것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프레임(110)은 그레이팅 개방시 사용자의 누르는 힘을 전달받아 제2프레임(120)에 전달한다.
제2프레임(120)은 제1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제1프레임(110)으로부터 가해진 힘에 의해 지렛대 운동하여 견인부(140)가 승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이 연결된 각도는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기 위해 둔각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간의 각도가 가변하는 경우는 아래에서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함께 설명된다.
제1바퀴(130)은 그레이팅 개폐기(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제2프레임(120)의 지렛대 운동에 있어 축의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레이팅 개폐기(100)는 제1바퀴(130)가 지렛대 축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바퀴를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바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견인부(140)는 제2프레임(120)의 지렛대 운동에 의하여 승강한다.
견인부(140)에는 하나 이상의 갈고리(150)가 부착되어 있고, 따라서 모든 갈고리(150)는 견인부에 의하여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갈고리(150)는 견인부(140)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대상인 그레이팅(154)의 격자구조물 또는 기타 지지가능한 부속물에 걸려 그레이팅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갈고리 연결부(152)는 회전축, 경첩, 사슬, 끈, 관절, 또는 기타 유사한 부품으로 갈고리(150)가 견인부(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갈고리 연결부(152)는 쇠사슬 구조로 이루어져 갈고리가 견인부(140)에 견고하게 연결되면서도 특정 각도로 고정되지 않고 자유로이 회전 운동하도록 할 수 있는 부품일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갈고리 연결부(152)를 갈고리(150)와 나누어 서술하였더라도, 이 같은 기재가 그레이팅 개폐기(100)의 고안에 있어서 반드시 갈고리 연결부(152)가 갈고리(150) 또는 견인부(140)와 분리된 구성요소일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갈고리 연결부(152)의 역할은 갈고리(150) 또는 견인부(140)에 내재된 기능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레이팅 개폐기(100)는 갈고리(150)의 회전 방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갈고리 제어부(3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갈고리 제어부(310)는 손잡이, 핸들, 또는 기타 유사한 부품으로 갈고리(150)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해 갈고리 연결부(152)에 연결되는 부품일 수 있다. 갈고리 제어부(310)는 갈고리(150)의 각도를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갈고리 제어부(310)는 막대 형태의 갈고리 연결부(152)에 연결되어 견인부(140) 상단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갈고리(150)에 직접 손대지 않고도 갈고리(1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도 1)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이용한 작업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그레이팅 개폐기(100)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15)를 이용하여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개방하고자 하는 그레이팅(154)이 있는 장소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1바퀴(130)를 이용하여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a와 같이 손잡이(115)를 들어올림으로써 견인부(140)를 하강시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갈고리(150)를 개방하고자 하는 그레이팅(154)에 건다.
이 때,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갈고리(150)를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그레이팅(154)의 구조가 사각형 격자 형태(41)인 경우, 갈고리(150)를 그레이팅(154)의 구멍에 맞추어 투입한 뒤 견인부(140)를 앞쪽으로 전진(515)시켜 갈고리(150)를 그레이팅(154)에 걸 수 있다.
도 5-a와 같이 그레이팅(154)에 갈고리(150)를 거는 과정은 도 6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도 6-b와 같이 갈고리(150)를 그레이팅(154)의 크로스바(610) 사이로 진입시킨다. 갈고리(150)가 견인부(140)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갈고리(150)가 크로스바(610)에 걸리도록 그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하는 작업 없이, 도 6-c와 같이 전방으로 미는 것만으로도 갈고리(150)를 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이 그레이팅(154)의 구조가 삼각형 격자 형태(520)인 경우, 갈고리(150)를 그레이팅(154)의 구멍에 맞추어 투입한 뒤, 삼각형 격자(520)의 방향에 맞추어 좌우로 회전(525)시킴으로써 갈고리(150)를 그레이팅(154)에 걸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5-c와 같이 그레이팅(154)의 구조가 임의의 형태를 가지는 디자인형(530)인 경우, 갈고리(150)를 그레이팅(154)에 존재하는 임의의 구멍(532)에 맞추어 투입한 뒤, 구멍이 아닌 평판부(534)에 지지되도록 회전(535)시킴으로써 갈고리(150)를 그레이팅(154)에 걸 수 있다.
따라서, 그레이팅(154)의 구조가 사각형 격자 형태(510)인 경우는 물론, 삼각형 격자 형태(520)인 경우나, 그 밖에 임의의 형태(530)을 가지는 경우에도 갈고리(150)를 그레이팅(154)에 용이하게 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갈고리(150)를 투입 또는 회전시키는 데에 갈고리 연결부(152)의 특성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갈고리 연결부(152)가 끈 또는 쇠사슬인 경우, 도 6과 같이 중력에 의해 늘어뜨려진 갈고리(150)를 그레이팅(154)의 구멍에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갈고리(150)를 용이하게 투입 또는 회전시키기 위하여 갈고리 제어부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갈고리(150)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손잡이형 갈고리 제어부(310)를 사용하면, 갈고리(150)를 직접 손으로 잡아 그레이팅(154)에 거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가 보다 안전하고 용이해진다. 또한, 투입된 갈고리(150)의 회전(425,435) 작업 또한 보다 용이해짐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b와 같이 손잡이(115)를 아랫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이 제1바퀴(130)를 축으로 지렛대 운동을 하도록 하여, 견인부(140)를 상승시켜 갈고리(150)에 걸린 그레이팅(154)이 개방되어 들어 올려지도록 한다.
이 때, 손잡이(115)를 누르기 전 지렛대의 축이 되는 제1바퀴(130)를 바퀴 고정부 등을 이용해 일시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제2프레임(120)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하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갈고리 연결부(152)에 의해 갈고리(150)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므로 갈고리(150)를 바른 위치에 건 경우, 그레이팅(154)은 도 5와 같이 들어올려지는 과정에서도 지면과 수평에 가깝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개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도 4-c와 같이 손잡이(115)를 조작해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후퇴시킴으로써 개방된 그레이팅(154)을 설치장소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레이팅 개폐기(100)가 그레이팅(154)의 설치장소로부터 이격되면 사용자는 도 4-d와 같이 손잡이(115)를 위로 들어올려 그레이팅(154)을 근처 지면에 내려놓는다.
사용자가 그레이팅을 폐쇄하고자 할 경우 상기와 역순의 절차가 적용됨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어느 하나의 그레이팅(154)을 개폐한 후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다른 그레이팅(154)을 개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그레이팅 개폐기(100)는 손잡이(115), 제1프레임(110), 제2프레임(120), 제1바퀴(130), 견인부(14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갈고리(15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갈고리 연결부(152), 프레임 연결부(710), 및 제2바퀴(72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는 제2실시예에서 손잡이(115), 제1프레임(110), 제2프레임(120), 제1바퀴(130), 견인부(140), 갈고리(150), 갈고리 연결부(152)의 기능과 역할은 도 1을 참조하는 제1실시예에 대하여 상술된 바와 같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잡이(115)는 제1프레임(110)의 상단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단, 손잡이(115)의 바람직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은 쉽게 알 수 있다.
프레임 연결부(710)는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간을 연결하는 부품으로,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간의 각도가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일 수 있다.
프레임 연결부(710)는 경첩, 베어링, 또는 기타 방식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레임 연결부(710)에 의해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간의 각도가 가변함으로써, 제2프레임(120)의 후단에 프레임 연결부(710)를 통해 아래쪽으로 가해진 힘이 지렛대의 축 역할을 하는 제1바퀴(130)를 거쳐 제2프레임(120)의 전단에 연결된 견인부(140)를 들어올리는 힘으로 용이하게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 연결부(710)가 있는 그레이팅 개폐기(100)의 경우 상술한 방식으로 보다 용이하게 사용되기 위하여 지렛대의 축이 되는 제1바퀴(130)가 제2프레임(120)의 후단이 아닌 제2프레임(120)상 임의의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바퀴(720)는 제1바퀴(130)보다 직경이 작은 바퀴로 제2프레임(120)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바퀴(720)는 프레임 연결부(710)가 구비된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잡이(115)와 제1프레임(110)이 수직 아래 방향으로 눌린 상태에서도 프레임 연결부(710)가 지표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도 7-b) 개폐기(110)의 이동(도 7-c)이 용이하도록 한다.
프레임 연결부(710)가 있는 그레이팅 개폐기(100)의 경우 제2프레임(120)이 회전하여 손잡이(115)에 접근한 경우 제2프레임(120)을 제1프레임(1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프레임 고정부(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100)가 프레임 고정부(730)의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그레이팅 개폐기(100)는 프레임 연결부(710)의 각도 조절을 활용하여 접거나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수납과 이동시에 유리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고정부(730)는 수납과 이동을 위해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접어 보관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접음으로써 제1바퀴(13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프레임 연결부(710)에 인접한 제2바퀴(720)를 대신 이용함으로써, 접힌 상태로도 용이하게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도 7)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100)의 그레이팅을 개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그레이팅 개폐기(100)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15)를 이용하여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개방하고자 하는 그레이팅(154)이 있는 장소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1바퀴(130) 또는 제2바퀴(720)를 이용하여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도 9-a와 같이 손잡이(115)를 들어올림으로써 견인부(140)를 하강시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갈고리(150)를 개방하고자 하는 그레이팅(154)에 건다. 이 과정에 부수되는 상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의 사용방법과 같은 바 생략한다.
사용자는 도 9-b와 같이 손잡이(115)를 수직 아랫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제1프레임(110)을 통해 제2프레임(120)이 제1바퀴(130)를 축으로 지렛대 운동을 하도록 하여, 견인부(140)를 상승시켜 갈고리(150)에 걸린 그레이팅(154)이 개방되어 들어 올려지도록 한다.
이 때, 각도가 가변하는 프레임 연결부(710)에 의해 수직 아랫방향으로 사용자가 가하는 힘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2프레임(120)의 지렛대 운동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중을 실어 힘을 줄 수 있게 되므로, 그레이팅이 무겁거나 압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보다 용이하게 그레이팅 개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도 9-c와 같이 손잡이(115)를 조작해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후퇴시킴으로써 개방된 그레이팅(154)을 설치장소로부터 이격시킨다.
이 때, 제2바퀴(720)는 프레임 연결부(710)가 지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손잡이(115)를 눌러 그레이팅(154)을 들어올린 채로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후퇴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레이팅 개폐기(100)가 그레이팅(154)의 설치장소로부터 이격되면 사용자는 도 9-d와 같이 손잡이(115)를 위로 들어올려 그레이팅(154)을 근처 지면에 내려놓는다.
사용자가 그레이팅을 폐쇄하고자 할 경우 상기와 역순의 절차가 적용됨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어느 하나의 그레이팅(154)을 개폐한 후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다른 그레이팅(154)을 개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1프레임(110)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프레임(110)은 길이가 신축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프레임(110)은 하나 이상의 길이부와 각 길이부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3길이부(1014)가 제2길이부(1012) 안에, 제2길이부(1012)는 다시 제1길이부(1010) 안에 연속적으로 수납가능하고, 만약 길이부를 수납하지 않을 경우 제1연결부(1020)가 제1길이부(1010)의 말단에 제2길이부(1012)가 고정되도록, 제2연결부(1022)가 제2길이부(1012)의 말단에 제3길이부(1014)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부와 연결부를 이용하여 제1프레임(110)의 길이를 신축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신장의 사용자가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도 10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만을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프레임(110)의 구현을 위하여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길이부와 연결부가 그 개수와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견인부(140)를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견인부(140)는 길이가 신축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견인부(140)는 하나 이상의 길이부와 각 길이부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좌측 견인부 길이부(1110)과 우측 견인부 길이부(1112)가 가운데의 연결부(1120)를 중심으로 각각 좌우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연결부(1120)는 나사홈 구조나 유압 피스톤 등의 부일 수 있다. 따라서 각 길이부(1110,1112)이 필요에 따라 연결부(1120)로부터 빠져나오거나 또는 연결부(1120) 안쪽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되어 있는 갈고리(150)들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부와 연결부를 이용하여 견인부(140)의 길이를 신축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레이팅 개폐기(100)의 갈고리(150) 사이 폭이 조정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크기와 규격의 그레이팅(154)을 보다 용이하게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도 11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만을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견인부(140)의 구현을 위하여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길이부와 연결부가 그 개수와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100)는 제1실시예의 그레이팅 개폐기(100)와 유사하나 갈고리(150) 및 갈고리 연결부(152)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100)는 제1바퀴를 하나의 바퀴만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일 수 있다.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100)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개폐기(100)에 비하여 작업과정의 용이함이 일부 제한을 받을 수 있지만, 여전히 종래의 수작업에 비하여 용이하고 안전한 작업을 보장하는 한편, 제1실시예에 비하여 더 적은 수의 부품으로도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그레이팅 개폐기
110: 제1프레임
115: 손잡이
120: 제2프레임
130: 제1바퀴
140: 견인부
150: 갈고리
152: 갈고리 연결부
310: 갈고리 제어부
710: 프레임 연결부
720: 제2바퀴
730: 프레임 고정부

Claims (11)

  1. 손잡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작업자의 누르는 힘을 전달받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어 지렛대 운동에 의한 힘이 전달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에 부착되어 지렛대 운동의 축 역할을 하고, 그레이팅 개폐기의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제1바퀴;
    상기 제2프레임의 전단에 연결되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에 부착되고 상기 견인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며 그레이팅에 고정 및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갈고리; 및
    상기 제1프레임 하단과 상기 제2프레임 후단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를 통하여 제1 프레임의 눌리는 힘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제1프레임을 상하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그레이팅 개폐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갈고리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갈고리는 상기 갈고리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견인부에 부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와 연결된 갈고리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갈고리 회전 제어부를 이용해 상기 갈고리를 상기 견인부에 대해 임의의 각도를 가지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 전단이 상기 손잡이에 접근하도록 접었을 때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바퀴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프레임 연결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그레이팅 개폐기의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제2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프레임의 상단에서 좌우로 연장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길이부;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부간은 연결부;로 연결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길이부;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부간은 연결부;로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퀴를 임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바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개폐기.
KR2020150001281U 2015-02-26 2015-02-26 그레이팅 개폐기 KR200481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81U KR200481637Y1 (ko) 2015-02-26 2015-02-26 그레이팅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81U KR200481637Y1 (ko) 2015-02-26 2015-02-26 그레이팅 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37U KR20160003037U (ko) 2016-09-05
KR200481637Y1 true KR200481637Y1 (ko) 2016-10-25

Family

ID=5695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281U KR200481637Y1 (ko) 2015-02-26 2015-02-26 그레이팅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03U (ko) 2018-03-07 2019-09-18 주식회사 비투엠 카드 수납부와 휴대폰 수납부가 지퍼에 의해 각각 개폐되는 휴대폰용 보호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752Y1 (ko) * 2002-09-19 2002-12-27 (주) 일신하이텍 맨홀 뚜껑 개폐기
JP2011106185A (ja) * 2009-11-18 2011-06-02 Chubu Corporation 格子状溝蓋の取外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29U (ja) * 1992-09-08 1994-04-12 日本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U字溝蓋開閉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752Y1 (ko) * 2002-09-19 2002-12-27 (주) 일신하이텍 맨홀 뚜껑 개폐기
JP2011106185A (ja) * 2009-11-18 2011-06-02 Chubu Corporation 格子状溝蓋の取外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37U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4207A1 (en) Multipurpose device
DE60315920T2 (de) Reifenmontage- und Wulstabdrück-Maschine
CN205590255U (zh) 新型井盖提升装置
US20150195985A1 (en) Easy Lift
KR200481637Y1 (ko) 그레이팅 개폐기
US8439331B2 (en) Manhole cover extractor
EP3000769B1 (en) Trolley jack
CN111358402B (zh) 手控扫屎畚箕
KR200219102Y1 (ko) 맨홀뚜껑 개폐기
KR101705790B1 (ko) 중량물 집게장치
CN109264649B (zh) 一种窨井盖搬运装置
US20090199508A1 (en) Pneumatic Roof Scraper
GB253950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fting apparatus
KR100296356B1 (ko) 다단 갈고리형 맨홀뚜껑 개폐기
JP3209892U (ja) グレーチング取外し工具
DE10203017A1 (de) Allzweck-Deckelheber für Kanal- und Schachtdeckel oder dgl.
CN109592617B (zh) 一种马路滤板起重器
KR200496819Y1 (ko)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DE102018116326B4 (de) Unterflurhydrantenschlüssel und Nachrüstsatz dafür
CN215510862U (zh) 一种新型汽车继电器保险拆除钳
DE212013000101U1 (de) Stiefelknecht-Vorrichtung mit variablen Montagemöglichkeiten
DE202010009342U1 (de) Vorrichtung mit zumindest einer Seilklemme zur Personensicherung an einem Seil
CN112978648B (zh) 一种市政道路井盖辅助撬动装置
JP3127787U (ja) 雪下ろし具
CN217454212U (zh) 剪力式手持电动工具夹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