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510Y1 -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510Y1
KR200496510Y1 KR2020210002353U KR20210002353U KR200496510Y1 KR 200496510 Y1 KR200496510 Y1 KR 200496510Y1 KR 2020210002353 U KR2020210002353 U KR 2020210002353U KR 20210002353 U KR20210002353 U KR 20210002353U KR 200496510 Y1 KR200496510 Y1 KR 200496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landmark
light emitting
prevention device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261U (ko
Inventor
전우석
Original Assignee
도로교통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로교통공단 filed Critical 도로교통공단
Priority to KR2020210002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510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2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5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2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flexible or deformable, e.g. into a curved shape
    • F21S4/26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flexible or deformable, e.g. into a curved shape of rope form, e.g. LED lighting ropes, or of tubular fo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Abstract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는, 소정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로상 개보수 공사나 교통 사고로 인한 통제구역을 경계를 따라 도로 노면 상에 직접적으로 밀착되게 배설되어 상기 통제구역의 경계를 표시하는 경계표시 스트랩부;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어 빛을 발광하여 후방 운전자에게 차선유도에 대한 인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 각각의 일대일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차량이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을 밟았을 때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고무탄성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Mobile type vehicle gaze guidance and entry prevention device}
본 고안은 도로상 교통사고, 도로 유지 개보수공사 등을 이유로 도로 상의 소정영역에 통제구역을 구획하여 경계를 표시하고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해당 통제구역을 인지하여 안전운행을 하도록 하는 이동식 차량 시선 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노면에 밀착되게 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이동설치 및 설치 철거가 매우 용이하고 운전자가 차선유도를 보다 멀리서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또는 일반도로에서 도로 또는 도로상의 시설물의 개보수공사를 진행하거나, 도로 상에서 교통사고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을 통제구역을 설정하고,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통제구역을 알리면서 통제구역을 피해가도록 차선을 변경 유도한다.
이와 같은 통제구역 설정 및 차선 유도를 위해 교통콘(라바콘) 등의 도로안전표지물을 도로의 노면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변경을 유도하는 차선이나 통제구간의 경계를 표시함으로써 차량의 차선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로안전표시구들은 시인성이 부족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LED등의 점멸을 통해 통제구역을 경계를 보다 확실하게 후행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윙카튜브(윙카호스라고도 함)가 사용되고 있다.
윙카튜브는 공사현장, 사고현장 등에 설치되어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보행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튜브 내에 LED(발광다이오드)를 여러 가닥의 전선에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윙카튜브는 시인성을 LED 발광에 의해 향상시키긴 하였으나, 설치가 어렵고 설치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며, 철거도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즉, 윙카튜브는 도로 노면 상에 직접적으로 설치할 수 없고, 도로안전용 드럼을 통제구역 경계에 소정가격으로 설치하고, 이 도로안전용 드럼 위에 윙카 튜브를 고정설치해야 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설치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고 기동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철거작업시에도 드럼의 철거도 병행해야 하며 드럼에서 윙카 튜브를 분리하는 작업도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드는 작업이어서 철거시간도 매우 길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윙카튜브는 드럼 위에 설치되어 시인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은아니었으며, 기존의 윙카튜브는 바닥으로 늘어진 상태에서 보행자나 차량의 타이어가 밟고 지나가면 쉽게 부서져 고장이 났기 때문에, 더욱이 도로 노면 상에 설치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20-0287256호 등록실용 20-0347519호 등록실용 20-0326707호 공개실용신안 20-2011-0008479호 공개실용신안 20-2011-0008479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도로 노면에 밀착되게 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이동설치 및 설치 철거가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차량의 타이어에 밟혀도 손상이 방지되도록 내구성이 높으며, 차량이 통제구역 내로 침범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경고알림을 출력하여 통제구역 내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는, 소정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로상 개보수 공사나 교통 사고로 인한 통제구역을 경계를 따라 도로 노면 상에 직접적으로 밀착되게 배설되어 상기 통제구역의 경계를 표시하는 경계표시 스트랩부;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어 빛을 발광하여 후방 운전자에게 차선유도에 대한 인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 각각의 일대일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차량이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을 밟았을 때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고무탄성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양측부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어,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시 경고음과 경고등을 출력하는 고정형 알림출력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박스와 무선통신에 의해 통신가능하며, 상기 감지신호의 수신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도로 보수 공사시 작업자가 소지하여 상기 경고음을 인식하도록 휴대용 스피커로 이루어진 휴대형 알림출력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상면에는 폭방향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두 시선유도 LED모듈을 연결하여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연결선이 구성되고,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일단에는 상용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코드가 구비되고, 인가된 상용전원을 상기 전원연결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에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박스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는 노면 상에 휘어진 상태로 배설되거나 일직선 상태로 배설가능하며 차량의 타이어 하중에도 견디도록 합성섬유를 원사로 하여 제직한 표면이 평평한 직물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무탄성블록의 하면에는 도로 노면에 대한 움직임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논슬립 테이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은 도로 노면 바닥에 바로 배설하여 무인검사 및 간단한 도로 작업시 차선의 폐쇄 및 작업을 통행하는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는 차량 시선유도장치 및 진입방지장치로서 설치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철거도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기동성 있게 도로상 작업이 진행될 수 있고 전체적인 도로작업시간도 현저히 단축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단순히 차선의 폐쇄, 차선 유도 등의 차선 유도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발광스트랩의 양단에 감지수단이 구성되어 발광스트랩을 밟고 침범하는 차량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고알림이 출력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도로상 작업자 들을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발광스트랩의 측부에 고정형 알림출력부가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휴대형 알림출력부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발광스트랩과 원거리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자들도 휴대형 알람출력부를 통해 경고알림을 보다 확실히 인지하여 차량의 침범시 조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경계표시 스트랩부, 시선유도 LED모듈, 고무탄성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의 사용예시도이고,
도 6은 다른 형태의 LD발광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연결수단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이고,
도 9는 도 7의 연결수단에서 스트랩 연결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반사경모듈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경계표시 스트랩부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10)는 경계표시 스트랩부(110), 시선유도 LED모듈(120), 고무탄성블록(130), 전원연결선(140)으로 이루어진 발광스트랩(1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경계표시 스트랩부(110)는 도로 노면 상에 배설하여 차량진입을 차단하는 통제구역의 경계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시선유도 LED모듈(120)이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경계표시 스트랩부(110)는 도로 노면에 배설된 상태에서 차량의 바퀴가 지날 경우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합성섬유를 원사로 하여 제직한 표면이 평평한 직물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경계표시 스트랩부(110)는 Polyester, Nylon, PP 등의 합성원사를 제직하도록 구성되어 고하중의 물품을 들어올리는데 사용하는 슬링벨트(슬링바 라고도 함)을 제조하기 위한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120)는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통제구역의 후방에서 주행해 오는 차량 운전자에게 도로 보수작업으로 인한 통제구역을 피해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차선유도를 신속하게 인지시켜 차량의 안전운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은 연질의 직물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도 4와 같이 일직선 형태로 노면 상에 배설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소정 곡률로 휘어진 상태로 휘어진 상태로 노면 상에 배설될 수 있어 시선유도 LED모듈(120)의 배열 형상을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발광스트랩(100)은 연질의 직물재질로 구성된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와, 이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120)로 구성되어, 도 4와 같이, 교통콘(5) 앞쪽으로 도로 노면 상에 바로 배설하여 기존에 비해 월등히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도로 보수나 검사 업무를 할 때 발광스트랩(100)을 노면상에 설치하여 신속한 안전확보가 이루어지게 한 다음 해당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른 사용예로서, 도 5와 같이, 편도 단차선의 도로의 곡선부분에서 중앙선에 설치한 교통콘의 양쪽으로 중앙선을 따라 본 고안의 발광스트랩(100)을 도로 노면상에 배설하여 운전자가 해당구간에 진입하기 전에 교통콘의 위치를 식별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기존의 윙카튜브와 같이 별도의 드럼을 일렬로 나열하고, 그 드럼 위에 윙카를 연결 고정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진행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스트랩 타입의 시선유도및 진입방지장치(10)를 도로의 노면 상에 해당 통제구역의 경계를 따라 직접 배설해주기면 하면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완료될 수 있어 도로 보수 작업, 검사 작업에 대한 기동성이 크게 향상될 뿐 아니라, 보수작업 완료 후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장치(10)에 대한 철거작업도 신속하게 이루어져 전체적인 도로 개보수공사에 대한 공사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복수의 고무탄성블록(13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고정설치되되,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120)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되게 결합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시선유도 LED모듈(120)는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발광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122)가 실장되고, 양측부에는 각각 결합홀(12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무탄성블록(130)의 하면에는 너트안착홈(132)이 구성된다. 시선유도 LED모듈(120)과 고무탄성블록(130)은 볼트(126) 및 너트(127)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볼트(126)는 결합홀(124)을 통해 삽입되고, 경계표시 스트랩부(110) 및 고무탄성블록(130)에 관통되도록 구성되며, 너트안착홈(132)에서 볼트(126)의 말단부가 너트(127)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경계표시 스트랩부(110), 시선유도 LED모듈(120), 고무탄성블록(130)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고무탄성블록(130)의 시선유도 LED모듈(120)의 하부에 일대일로 대응되게 배치됨으로써, 차량이 시선유도 LED모듈(120)을 타서 밟고 지나가더라도 시선유도 LED모듈(120)가 고무탄성블록(13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고무탄성블록(130)의 하면에는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이 도로 노면에 대해 움직이지 않고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논슬립 테이프(134)가 부착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논슬립 테이프(134)는 상면에는 고무탄성블록(130)과 접착이 이루어지기 위한 접착제층이 구성되고, 하면에는 모래와 같은 연마제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노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면이 구성될 수 있다.
전원연결선(140)은 경계표시 스트랩부(110) 상면의 폭방향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이웃하는 두 시선유도 LED모듈(11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공급되는 전원이 각각의 시선유도 LED모듈(110)에 연결되어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일단부에는 상용전원 콘센트와 연결되는 전원코드(212)가 구비된 제어박스(210)가 구성된다. 이 제어박스(210)는 전원코드(212)를 통해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연결선(140)을 통해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에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기판과,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기판을 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양측부에 발광부(232)와, 수광부(234)로 이루어져, 발광부(232)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이 수광부(234)에 수신되는지를 검출하여 발광부(232)와 수광부(234) 사이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23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타단부에는 설치되어 수광부(234)의 높이레벨을 발광부(232)와 동일레벨이 되도록 하고, 전원연결선(140)과 수광부(234)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연결선이 내장된 높이보강부(236)가 구성되고, 발광부(232)는 제어박스(210)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수광부(234)는 높이보강부(236)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은 발광부(232)와 수광부(234)의 각각의 상단에 고정설치되어 감지수단(230)으로부터 감지신호의 수신시, 경고음과 경고등을 출력하는 고정형 알림출력부(300)가 구성될 수 있다.
고정형 알림출력부(300)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경고등을 출력하는 발광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광부(232)와 수광부(234) 각각의 상단에 순차적으로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은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양단에 발광부(232)와 수광부(234)로 이루어진 감지수단(230)이 구성되고, 이 감지수단(230)에 고정형 알림출력부(300)가 구성된 것으로 차량이 경계표시 스트랩부(110)를 밟고 지나면서 도로보수공사 도로측정공사 등 해당 도로공사가 이루어지는 통제구역으로 침범하게 되면, 감지수단(230)에 의해 감지되어, 자동으로 고정형 알림출력부(300)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고, 경고등이 점멸되면서, 통제구역 내의 작업자가 이를 인지하여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무선통신을 통해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휴대형 알림출력부(34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휴대용 알림출력부는 휴대용 블루투스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고, 도로보수 공사의 작업자가 소지하도록 구성되어 감지수단(230)을 통해 차량이 통제구역으로 침입한 것이 감지되면 작업자가 소지하거나 작업자 근거리에 비치해둔 휴대형 알림출력부(340)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박스(210)는 외부의 단말기기와 블루투스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와이파이, 이동통신망 등의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제어박스(210)는 감지수단(230)으로부터 감지신호 수신시, 무선통신을 통해 감지신호를 휴대형 알림출력부(340)에 출력함으로써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상면에는 이웃하는 두 시선유도 LED모듈(12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원연결선(140)을 감싸 보호하는 플렉서블한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호커버(142)가 구성될 수 있다. 이 보호커버(142)는 반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경계표시 스트랩부(110)과 접착제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플랜지(142a)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보호커버(142)의 상면에는 햇빛을 반사시켜 보호커버(142)를 통한 햇빛의 투과를 차단함으로써 전원연결선(140)이 햇빛으로 인해 부식되는 등의 손상 발생을 방지하는 알루미늄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반사부재(143)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는 발광스트랩(100)이 일측부에 제어박스(230)가 구성된 제1발광스트랩부(100a)와, 타측부에 높이보강부(236)가 구성된 제2발광스트랩부(100b)와, 양단에 제어박스(230)와 높이보강부(236)가 구성되어 있지 않고, 제1발광부스트랩부(100a)와 제2발광스트랩(100b) 사이를 연결하여 전체적인 발광스트랩(100)의 길이를 연장되게 가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길이연장용 발광스트랩부(100c)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로상 통제구역의 사이즈에 따라 제1발광스트랩부(100a)와 제2발광스트랩부(100b) 사이에 연결하는 길이연장용 발광스트랩부(100c)의 개수를 조절하여 전체적인 발광스트랩(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제1발광스트랩부(100a)와 길이연장용 발광스트랩(100c)을 연결시키는 연결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발광스트랩부(100b) 와 길이용연장 발광스트랩(100c)을 연결시키는 연결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수단(400)는 이웃하는 두 발광스트랩부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발광스트랩부(100a)와 길이연장용 발광스트랩부(100c)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수단(400)은 양단부에 각각 이웃하는 발광스트랩부(100a,100c)의 경계표시 스트랩부(110a,110b)의 각 단부가 삽입결합되는 결합홈(411)이 구성된 스트랩 연결부(410)와, 스트랩연결부(410)의 폭방향 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각각 이웃하는 발광스트랩부(100a,100c)의 전원연결선(140a,140c)의 단부가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단자소켓부(431)를 구비한 단자커넥터부(43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이웃하는 두 발광스트랩부(100a,100c)의 전원연결선(140a,140c)의 단부에는 각각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각각의 단자소켓부(431)의 내측단에는 전원연결선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단자(432)가 구성되며, 양측의 터미널단자(4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와어어(434)가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스트랩연결부(410)는 양측부에 경계표시 스트랩부(110a,110b)의 단부가 삽입결합되는 결합홈(411)이 구비된 연결바디부(412)와, 이 연결바디부(412)에 삽입된 경계표시 스트랩부(110a,110b)의 단부를 가압고정하는 록킹유닛(4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바디부(412)의 하면에는 록킹유닛(420)의 구성이 설치되는 챔버공간(414)이 구성되고, 연결바디부(412)의 하단에는 챔버공간(414)을 차단시키는 커버판(417)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연결바디부(412)의 중심에는 챔버공간(414)과 연결되는 축승강홀(413)이 관통형성된다.
록킹유닛(420)은 축승강홀(413)에 삽입되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승강축(421)와, 승강축(421)의 상단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누름조작하는 버튼부(422)와, 승강축(421)의 하단으로부터 양측방으로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 연장바(423)와, 한 쌍의 수평 연장바(423) 각각의 외측단에서 수직하게 상부로 연장형성되며 결합홈(411)의 바닥을 관통하여 결합홈(411) 내부로 돌출되며 승강축(421)의 상하이동과 함께 연동하여 상하이동되는 승강암(424)과, 승강암(424)의 상단에 구성되어 결합홈(411) 내에서 승강이동되면 승강시 결합홈(411)에 삽입된 경계표시 스트랩부(110a,110b)의 단부를 결합홈(411)의 천장측으로 가압고정시키는 가압고정판(425)과, 승강축(421)의 하단과 커버판(417) 사이에 설치되어 가압고정판(425)이 상승하여 경계표시 스트랩부(110a,110b)의 단부를 결합홈(411)의 천장측으로 가압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버튼부(422)의 누름조작시 압축되었다가 누름외력 제거시 승강축(421)을 원위치로 상승복귀시키도록 하는 탄성수단(42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버튼부(422)를 눌러 도 9의 (a) 와 같이 양측의 가압고정판(425)이 함께 하향이동된 상태에서, 양측부의 결합홈(411)에 경계표시 스트랩부(110a,110b)의 각 단부를 양 결합홈(411)에 삽입시킨 다음, 버튼부(422)를 눌렀던 외력을 제거하면, 도 9의 (b)와 같이, 탄성수단(426)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축(412)이 상승복귀함과 더불어 양측의 가압고정판(425)이 상승하여 가압고정판(425)이 경계표시 스트랩부(110a,110b)의 단부를 각각 가압고정함으로써, 양측의 경계표시 스트랩부(110a,110b)가 스트랩연결부(410)에 의해 서로 연결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반사경 모듈(500) 및 가이드수단(600)이 더 추가된 구성이라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발광스트랩(100)을 도로 노면 바닥에 설치할 때, 도 10과 같이 곡선형태로 설치하는 경우 발광부(232)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은 발광스트랩(100)을 따라 수광부(234)에 입사되지 못하고 발광부(232)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은 발광스트랩(100)의 내측영역을 거쳐 수광부(234)에 입사되기 때문에 감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발광스트랩(100)의 폭 방향 측부에 발광부(232)에서 조사된 광이 발광스트랩(100)을 따라서 수광부(234)가 입사가 이루어지도록, 발광부(232)에서 조사된 광을 소정 굴절각도로 반사시키는 반사경모듈(500)이 구성된다.
반사경모듈(500)은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폭방향 측부에 설치되는 회전지지패널(510)과, 회전지지패널(510)의 중심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회전지지패널(5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520)와, 회전축부(520)에 고정되어 회전축부(520)와 함께 회전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발광부(232)에서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경(530)으로 이루어진다.
반사경(530)을 각도조절하여 발광부(232)에서 조사된 광이 곡선형태로 배설된 발광스트랩(100)을 따라서 굴절되면서 수광부(234)로 입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반사경모듈(50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도 10과 같이, 이웃하는 두 시선유도 LED모듈(120)의 사이 마다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반사경모듈(500)은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폭방향 측부에 설치되되,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폭방향 측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폭방향 측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사경모듈(500)의 이동설치를 안내하는 가이드수단(60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수단(600)은 도 11과 같이,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폭방향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안내 와이어(601)와, 이 안내 와이어(601)를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폭방향 측부에 고정시키도록 안내와이어(601)를 감싸고 양단부가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에 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직물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결합시트(604)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회전지지패널(510)의 단부에는 아치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이드수단(600)의 안내 와이어(601)에 스냅방식으로 반고정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립부(512)가 일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반사경모듈(500)은 그립부(512)를 가이드수단(600)의 안내와이어(601)에 스냅방식으로 연결하여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 그립부(512)를 안내와이어(601)를 따라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반사경모듈(500)을 경계표시 스트랩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발광스트랩
110...경계표시 스트랩부
120...시선유도 LED모듈
130...고무탄성블록
134...논슬립 테이프
140...전원연결선
210...제어박스
230...감지수단
232...발광부
234...수광부
236...높이보강부
300...고정형 알림출력부
310...스피커
320...경고등
340...휴대형 알람출력부
400...연결수단
410...스트랩연결부
430...단자커넥터부
500...반사경모듈
600...가이드수단

Claims (6)

  1. 소정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로상 개보수 공사나 교통 사고로 인한 통제구역을 경계를 따라 도로 노면 상에 직접적으로 밀착되게 배설되어 상기 통제구역의 경계를 표시하는 경계표시 스트랩부와,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어 빛을 발광하여 후방 운전자에게 차선유도에 대한 인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과,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 각각의 일대일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차량이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을 밟았을 때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고무탄성블록을 포함하는 발광스트랩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스트랩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복수의 발광스트랩부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발광스트랩부 중 이웃하는 두 발광스트랩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양단부에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단부가 삽입되어 이웃하는 두 발광스트랩부를 연결되게 하는 스트랩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연결부는
    양측부에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단부가 삽입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된 연결바디부와,
    상기 연결바디부에 삽입된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단부를 가압고정하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바디부의 하면에는 상기 록킹유닛의 구성이 설치되는 챔버공간이 구성되고, 상기 연결바디부의 하단에는 상기 챔버공간을 차단시키는 커버판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바디부의 중심에는 상기 챔버공간과 연결되는 축승강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축승강홀에 삽입되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누름조작하는 버튼부와,
    상기 승강축의 하단으로부터 양측방으로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 연장바와,
    상기 한 쌍의 수평 연장바 각각의 외측단에서 수직하게 상부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승강축의 상하이동과 함께 연동하여 상하이동되는 승강암과,
    상기 승강암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기 결합홈 내에서 승강이동되고 승강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단부를 상기 결합홈의 천장측으로 가압고정시키는 가압고정판과,
    상기 승강축의 하단과 상기 커버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고정판이 상승하여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단부를 상기 결합홈의 천장측으로 가압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양측부에 고정설치되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어,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시 경고음과 경고등을 출력하는 고정형 알림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상면에는 폭방향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두 시선유도 LED모듈을 연결하여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연결선이 구성되고,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의 일단에는 상용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코드가 구비되고, 인가된 상용전원을 상기 전원연결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에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 LED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박스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와 무선통신에 의해 통신가능하며, 상기 감지신호의 수신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도로 보수 공사시 작업자가 소지하여 상기 경고음을 인식하도록 휴대용 스피커로 이루어진 휴대형 알림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표시 스트랩부는 노면 상에 휘어진 상태로 배설되거나 일직선 상태로 배설가능하며 차량의 타이어 하중에도 견디도록 합성섬유를 원사로 하여 제직한 표면이 평평한 직물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무탄성블록의 하면에는 도로 노면에 대한 움직임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논슬립 테이프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KR2020210002353U 2021-07-26 2021-07-26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KR200496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353U KR200496510Y1 (ko) 2021-07-26 2021-07-26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353U KR200496510Y1 (ko) 2021-07-26 2021-07-26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61U KR20230000261U (ko) 2023-02-02
KR200496510Y1 true KR200496510Y1 (ko) 2023-02-14

Family

ID=8520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353U KR200496510Y1 (ko) 2021-07-26 2021-07-26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51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0503A1 (en) * 1985-07-23 1987-02-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uminous horizontal roadway marking strips
KR200287256Y1 (ko) * 2002-05-29 2002-08-27 변정규 윙카 튜브
WO2010001589A1 (ja) 2008-07-02 2010-0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イド装置
KR101800824B1 (ko) 2016-06-07 2017-11-23 최승욱 시선유도장치를 이용한 도로 주의 구간 안내 시스템
JP2019090176A (ja) * 2017-11-10 2019-06-13 大林道路株式会社 路面案内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4291A (ja) * 1997-11-21 1999-06-08 Japan Radio Co Ltd 警報装置
KR200326707Y1 (ko) 2003-05-09 2003-09-19 최상목 안전호스
KR200347519Y1 (ko) 2004-01-30 2004-04-17 리드세이프티(주) 접지선이 내장된 윙카 튜브
KR20110008479U (ko) 2010-02-25 2011-08-31 신도산업 주식회사 교통안전용 조립식 드럼
DK3364915T3 (da) * 2015-10-20 2020-10-26 Univ Melbourne Medicinsk indretning til registrering og/eller stimulering af væv
KR20210046215A (ko) * 2019-10-18 2021-04-28 이영조 휴대용 교통 통제 장치
KR20210060046A (ko) * 2019-11-18 2021-05-26 이영조 휴대용 도로 방지턱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0503A1 (en) * 1985-07-23 1987-02-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uminous horizontal roadway marking strips
KR200287256Y1 (ko) * 2002-05-29 2002-08-27 변정규 윙카 튜브
WO2010001589A1 (ja) 2008-07-02 2010-0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イド装置
KR101800824B1 (ko) 2016-06-07 2017-11-23 최승욱 시선유도장치를 이용한 도로 주의 구간 안내 시스템
JP2019090176A (ja) * 2017-11-10 2019-06-13 大林道路株式会社 路面案内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61U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1829214B1 (ko) 횡단보도 안전조명 시스템
KR100734476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KR20150051644A (ko) 엘이디 발광 횡단보도
KR20160029044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20090064926A (ko) 안개 유도램프 장치
KR20130115663A (ko) 터널 속도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터널 조명 시스템
KR20120084188A (ko) 면발광 led를 구비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KR20150110986A (ko) 차량 안전 삼각대
JP2012062718A (ja) 有機el照明を用いた横断歩道
KR20200073477A (ko) 횡단보도 안전 조명 시스템
JP3485402B2 (ja) 対向車両警告装置
KR101915574B1 (ko)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KR200496510Y1 (ko) 이동식 차량 시선유도 및 진입방지 장치
KR100977609B1 (ko)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KR101152985B1 (ko) 트렁크 리드에 탈부착 가능한 차량용 안전판 장치
KR101337335B1 (ko) 볼라드
KR20150086635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102338236B1 (ko) 도로 중앙분리대 지주용 경고등
JP2015001919A (ja) 誘導機能付き道路視認装置
KR20120002003U (ko) 보행 신호의 가시각을 확장시킨 신호등 장치
US11859356B2 (en) Temporary light strip system
KR200465502Y1 (ko) 압전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안개 유도등 시스템
KR100835849B1 (ko) 자동차 과속방지 시스템
US20120120640A1 (en) Traffic safe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