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618Y1 -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 - Google Patents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618Y1
KR200495618Y1 KR2020200002229U KR20200002229U KR200495618Y1 KR 200495618 Y1 KR200495618 Y1 KR 200495618Y1 KR 2020200002229 U KR2020200002229 U KR 2020200002229U KR 20200002229 U KR20200002229 U KR 20200002229U KR 200495618 Y1 KR200495618 Y1 KR 200495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necklace
string
wear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013U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2020200002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18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크를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끈에 연결되도록 된 걸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바디와 상부바디로 분할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목걸이 끈을 결속고정할 수 있도록 목걸이 끈 양측 단부에 설치된 고정구바디와; 착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된 목걸이 끈 상에 설치되며 목걸이 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끈조절구와; 마스크의 착용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어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양측 고정구바디 일측에 자석이 설치되어 고정구를 자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마스크 목걸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필요시 마스크 끈에 탈부착방식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 마스크를 버리더라도 마스크 목걸이는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마스크를 벗었을 경우 마스크 목걸이에서 마스크가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앞가슴에 휴대 됨으로 필요에 의해 착용시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Portable mask necklace}
본 고안은 마스크를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끈에 연결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목걸이를 제공함으로 마스크의 분실을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휴대할 수 있도록하며, 필요시 착용과 휴대 보관이 간편 용이하도록 한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위생마스크, 패션마스크, 방진마스크, 미세먼지 방지 마스크, 자외선 차단마스크 등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하여 바이러스 차단마스크 또는 비말마스크 등의 착용를 다중이 모이는 장소 및 대중교통이용시 권장 및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무직, 강사, 서비스업종사자,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 의사 등은 필요에 따라서 마스크의 착용 및 벗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해야 할 경우 마스크를 휴대보관하기 위해 호주머니에 넣거나 주변 장소에 보관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특히 이러한 경우 마스크 보관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주변국가로부터의 미세 먼지와 중금속 등의 성분이 많은 황사로 인한 문제가 크게 대두됨에 따라 호흡기질환이 있는 환자뿐만 아니라, 어린이나 노인과 같이 호흡기가 약하고, 신체가 약한 사람 및 일반인들도 황사가 자주 발생되는 계절에는 마스크를 휴대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나, 이의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을 때 오염되지 않도록 휴대하기에는 많은 불편이 있으며, 특히 주의력이 떨어지는 어린이의 경우에는 마스크가 오염되지 않도록 휴대 및 보관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동시에 주의력이 떨어지는 어린이나 노인의 경우 마스크를 자주 분실하거나 오염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0890944호(등록일자: 2009년03월23일)의 마스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와, 사용시 양측 귀에 걸기 위한 귀걸이부(3)를 구비하여 미세 먼지 등을 필터링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이의 패드(2)는 재봉에 의해 상하 단부에 각각 상측통로(6) 및 하측통로(8)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통로(6) 및 상측통로(8)를 통과하여 상측통로(6)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9)를 통해 인출되도록 하나의 표면이 부드러운 재질의 줄부재(5)가 제공되어 패드의 양측에서 귀걸이부(3)와 함께 목걸이부(10)를 일체로 형성
하고, 상기 패드(2)는 필요에 따라 필터링을 위한 필터 패드(4)를 삽입할 수 있도록 두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목걸이부(10)에는 조임구(11)가 제공되어 목걸이부 및 귀걸이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도1은 목걸이부(10)와 귀걸이부(3)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귀걸이부(3)의 크기조절을 조임구를 이용하여 조절토록하고 있으므로 귀걸이부 끈조절이 불편한 점이 있으며, 특히 도1의 마스크는 목걸이부와 귀걸이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마스크 패드의 상측통로(6)와 하측통로(8)에 끼워져 분리하지 못하도록된 구성이므로 마스크를 버릴 경우 목걸이부까지 함께 버려야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094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 목걸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필요시 마스크 끈에 탈부착방식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사용된 마스크를 버리더라도 마스크 목걸이는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또한 본 고안은 마스크를 벗었을 경우에 마스크 목걸이에서 마스크가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앞가슴에 휴대보관 되도록 함으로 필요에 의해 착용시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또한 본 고안은 착용자가 마스크를 벗을 경우 마스크 목걸이의 양측단부에 설치된 걸고리와 마스크 끈이 연결되도록 하고 걸고리와 일체로 형성된 양측 고정구바디에 자석을 설치하여 고정구바디가 자석에 의해 서로 자착되도록 함으로 휴대시 마스크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마스크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하는 목적과,
또한 본 고안은 필요시 끈조절구가 착용자의 귀 뒷쪽에 위치되도록하여 마스크착용시 끈조절구를 이용하여 목걸이 끈을 조이면 착용자의 머리뒤에서 마스크 끈이 당겨져 착용자의 귀와 이격됨으로 마스크 끈에 의해 착용자의 귀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마스크 끈에 연결되도록 된 걸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바디와 상부바디로 분할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목걸이 끈을 결속고정할 수 있도록 목걸이 끈 양측 단부에 설치된 고정구바디와;
착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된 목걸이 끈 상에 설치되며 목걸이 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끈조절구와;
마스크의 착용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어서 위생적으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양측 고정구바디 일측에 자석이 설치되어 고정구바디를 자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바디는 상부바디와 걸고리와 일체로 형성된 하부바디로 분할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바디는 상부바디 내측에 다수의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하부바디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부바디와 하부바디가 결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바디는 상부바디 내부에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바디 내면에는 다수의 고정침이 형성되어 목걸이 끈 단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바디와 하부바디를 결합시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마스크 끈에 걸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목걸이를 제공함으로 분실을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휴대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는 ① 마스크를 목걸이 끈에 연결하여 착용 및 휴대함으로 착용중에 마스크가 벗겨지더라도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마스크를 위생적으로 휴대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②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는 끈조절구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머리 뒷부분에서 마스크 끈을 당겨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마스크 끈이 착용자의 귀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③ 본 고안의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는 사무직, 강사, 서비스업종사자,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 의사, 상담사와 같이 필요시 마스크를 수시로 착용과 벗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마스크의 착용과 휴대가 간단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목걸이형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휴대용마스크 목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 양측 단부에 결속고정되어 마스크 끈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걸고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정구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고정구바디에 목걸리 끈을 결속할 수 있도록 된 분리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고정구바디에 목걸이 끈을 결속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며,
도6은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와 마스크 끈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7은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 끈 양측 하단부에 결합된 고정구 바디를 자석으로 자착시켜 마스크를 휴대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를 착용자 목에 걸어 마스크가 펼쳐진 상태로휴대한 것을 나태낸 예시도이며,
도9는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를 착용자 목에 걸어 고정구 바디를 자착시켜 마스크를 접은 상태로 휴대한 것을 나태낸 예시도이고,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서 마스크 목걸이의 끈 조절구가 착용자 머리뒷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마스크 끈을 당겨 착용자의 귀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토로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의 휴대용마스크 목걸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20)는 마스크 끈(61)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걸고리(40)와, 상기 걸고리(40)와 연결되고 목걸이 끈(21) 양측 단부를 결속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구 바디(30)(30')와, 착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된 목걸이 끈(21) 상에 설치되며 목걸이 끈(2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끈조절구(22)와, 마스크(60)의 착용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어서 위생적으로 휴대보관할 수 있도록 양측 고정구바디(30)(30') 일측에 자석이 매립설치되어 고정구바디(30)(30')를 자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바디(30)(30')의 양측 대응면에 매립설치되는 자석(50)은 마스크(60)를 접어서 착용자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자석(50)을 이용하여 양측 고정구바디(30)(30')를 자착시켜 합쳐지도록 한다.
또한 목걸이 끈(21) 양측단에 설치된 고정구바디(30)(30')와 일체로 형성된 걸고리(40)는 탄성을 갖도록 제작하여 마스크 끈(61)에 연결시 자유롭게 이탈되지 않도록하고, 분리시 끈으로부터 걸고리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20)는 필요에 따라서 마스크(6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마스크(60)를 교체시 새로운 마스크(60)와 연결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3은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 양측 단부에 결속고정되어 마스크 끈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걸고리 일체형 고정구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고정구바디에 목걸리 끈을 결속할 수 있도록 된 분리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고정구바디에 목걸이 끈을 결속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20)는 목걸이 끈(21), 끈조절구(22), 고정구바디(30)(30'), 걸고리(40), 자석(50)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바디(30)(30')는 상부바디(31)와 걸고리(40)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바디(3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바디(30)(30')는 상부바디(31) 내측에는 다수의 결합편(3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33)에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바디(32)에는 결합홈(36)이 형성되어 상부바디(31)와 하부바디(32)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편(33)은 탄성을 가지면 단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결합시 결합홈(36)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부바디(31)와 하부바디(32)가 결합되어 고정구바디(30)(30')를 형성한다.
또한 고정구바디(30)(30')를 구성하는 상부바디(31)와 하부바디(32) 내부 일측에는 각각 자석설치홀(35)(35')이 형성되어 자석(50)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자석설치홀(35)(35')에 끼워지는 자석(50)은 각각 1개 또는 2개의 자석(50)이 끼워지며, 상부바디(31)의 자석설치홀(35')에 끼워지는 자석(50)과 하부바디(32)의 자석설치홀(35)에 끼워지는 자석(5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서로 대응되는 자석은 N극과 S극이 대응되어 자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바디(30)(30')는 상부바디(31) 내부에는 다수의 지지돌기(34)가 형성되고, 하부바디(32) 내면에는 다수의 고정침(37)이 형성되어 목걸이 끈(21) 단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바디(31)와 하부바디(32)가 결합시 고정침(37)이 목걸이 끈(21) 일면을 파고들어가고 반대측에 대응되는 지지돌기(34)는 목걸이 끈(21)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함으로 상부바디(31)와 하부바디(32) 사이에 끼워지는 목걸이 끈(21)은 고정구 바디(30)(30')로 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바디(31)와 하부바디(32)가 결합되는 입구 측에는 요홈(38)(38')이 형성되어 상부바디(31)와 하부바디(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요홈(38)(38')이 목걸이 끈(21)을 감싸 지지하게 된다.
또한 마스크 끈(21)과 연결되는 걸고리(40)는 일측 단부가 하부바디(32)의 일측 단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사출형성된다.
도6은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와 마스크 끈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마스크(60)와 목걸이 끈(21)을 연결한 상태로서, 목걸이 양측 고정구바디(30)(30')의 하부바디(32)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걸고리(40)가 마스크 끈(61)에 연결되며, 끈조절구(22)는 착용자의 목 끼워져 걸쳐지도록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7은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 끈 양측 하단부에 결합된 고정구 바디를 자석으로 자착시켜 마스크를 휴대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착용자가 마스크를 벗은 상태에서 목에 걸어 휴대시 양측 고정구바디(30)(30')가 자석(50)에 의해 서로 부착되도록 함으로 마스크(60)를 접어 내측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한 것이다.
도8은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를 착용자 목에 걸어 마스크가 펼쳐진 상태로휴대한 것을 나태낸 예시도이고, 도9는 본 고안의 마스크 목걸이를 착용자 목에 걸어 고정구 바디를 자착시켜 마스크를 접은 상태로 휴대한 것을 나태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상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마스크(60)를 착용하지 않을때 마스크 목걸이(20)를 이용하여 목에 걸어 휴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마스크(60)를 착용하지 않을 때 착용자의 목에 걸어 휴대 보관함으로 마스크(60)가 오염되지 않도록 휴대할 수 있으며, 특히 주의력이 떨어지는 어린이와 노인의 경우 마스크(60)를 분실하지 않고 필요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9는 상기 도 8과 같이 착용자가 마스크(60)를 목에 걸어 휴대보관시 마스크(60)가 오염되지 않도록 반으로 접어 휴대함으로 마스크(6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서 마스크 목걸이의 끈 조절구가 착용자 머리 뒷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마스크 끈을 당겨 착용함으로 착용자의 귀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토록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고안은 필요시 끈조절구(22)를 착용자의 머리 뒷쪽에 위치되도록하여 끈조절구(22)를 이용하여 목걸이 끈(21)을 최대한 조여주면 착용자의 머리뒤에서 양측 마스크 끈(61)을 당겨주게 됨으로 마스크 끈은 착용자의 귀와 이격되어 귀가 압박되는 불편함을 방지토록한다.
즉 마스크를 오래 착용하면 마스크 끈(61)이 양 귀를 압박하게 됨으로 착용자는 머리가 답답하고 귀가 아픔 문제점이 있으나 마스크 끈(61)을 뒤에서 당겨 줌으로 착용자의 귀와 마스크 끈(61)이 접촉되지 않으므로 마스크착용자는 불편없이 편리하게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는 마스크를 목걸이 끈에 연결하여 착용 및 휴대함으로 착용중에 마스크가 벗겨지더라도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마스크를 위생적으로 휴대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는 사무직, 강사, 서비스업종사자,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 의사, 상담사와 같이와 같이 필요시 마스크를 수시로 착용과 벗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착용과 휴대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장점을 갖는다.
20:마스크 목걸이 21:목걸이 끈
22:끈조절구 30,30':고정구바디
31:상부바디 32:하부바디
33:결합편 34:지지돌기
35,35':자석설치홀 36:결합홀
37:고정침 38,38':요홈
40:걸고리 50:자석
60:마스크 61:마스크 끈

Claims (4)

  1. 마스크 끈에 연결되도록 된 걸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바디와 상부바디로 분할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목걸이 끈을 결속고정할 수 있도록 목걸이 끈 양측 단부에 설치된 고정구바디와;
    착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된 목걸이 끈 상에 설치되며 목걸이 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끈조절구와;
    마스크의 착용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어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양측 고정구바디 일측에 자석이 설치되어 고정구를 자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200002229U 2020-06-26 2020-06-26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 KR200495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29U KR200495618Y1 (ko) 2020-06-26 2020-06-26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29U KR200495618Y1 (ko) 2020-06-26 2020-06-26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13U KR20220000013U (ko) 2022-01-04
KR200495618Y1 true KR200495618Y1 (ko) 2022-07-08

Family

ID=7934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229U KR200495618Y1 (ko) 2020-06-26 2020-06-26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1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7462B2 (ja) * 1992-01-14 2001-03-19 東ソー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2011161186A (ja) * 2010-02-08 2011-08-25 Junko Nakano 分離とめ具付きマスク用ネックストラップ
JP2012075793A (ja) * 2010-10-05 2012-04-19 San-M Package Co Ltd 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79188A4 (en) * 2004-08-06 2007-10-31 Gripping Eyewear Inc REMOVABLE GLASSES
KR100890944B1 (ko) 2007-05-09 2009-03-27 조윤복 마스크
KR101343880B1 (ko) * 2012-05-29 2013-12-24 이태훈 마스크
KR200480696Y1 (ko) * 2014-12-11 2016-06-28 모본주식회사 목걸이형 이어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7462B2 (ja) * 1992-01-14 2001-03-19 東ソー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2011161186A (ja) * 2010-02-08 2011-08-25 Junko Nakano 分離とめ具付きマスク用ネックストラップ
JP2012075793A (ja) * 2010-10-05 2012-04-19 San-M Package Co Ltd マ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13U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363Y1 (ko) 걸이 밴드 길이 조절구가 구비된 호흡기용 보건 마스크
KR101911738B1 (ko)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0890944B1 (ko) 마스크
US20150034098A1 (en) Air filtration mask with opening front cover
JP5615119B2 (ja) マスク
JP3136570U (ja) マスクホルダー
KR20110023717A (ko) 마스크
JP2023515519A (ja) 開閉可能なマスク
KR200495618Y1 (ko)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
JP3211093U (ja) ハーネス型安全帯用作業用ベルト
KR101275011B1 (ko) 위생마스크
JP2009513229A (ja) 腰ベルトバックルの固定装置
KR200492417Y1 (ko) 마스크
KR20220008549A (ko) 패드 교체형 마스크
KR101162888B1 (ko) 휠체어와 침대 겸용 보호조끼
KR20110079027A (ko) 길이가 조절되는 마스크
KR102633043B1 (ko) 마스크용 부착장치
KR200296073Y1 (ko) 마스크
CN212233227U (zh) 一种可方便拆卸的口罩
KR200496653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방한 귀마개
JP3233486U (ja) マスク
KR102586296B1 (ko) 고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KR200496469Y1 (ko) 후드-넥 워머
CN216533931U (zh) 可拆式口罩支撑架
KR102597366B1 (ko) 다용도 마스크 스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