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553Y1 -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 Google Patents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553Y1
KR200495553Y1 KR2020200003397U KR20200003397U KR200495553Y1 KR 200495553 Y1 KR200495553 Y1 KR 200495553Y1 KR 2020200003397 U KR2020200003397 U KR 2020200003397U KR 20200003397 U KR20200003397 U KR 20200003397U KR 200495553 Y1 KR200495553 Y1 KR 200495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insertion hole
spectacle frame
pad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698U (ko
Inventor
남택선
Original Assignee
광흥메이커트레이드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흥메이커트레이드 유한회사 filed Critical 광흥메이커트레이드 유한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3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55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6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5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6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or neck not in the position of u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터널 형상의 제1안경다리 삽입구가 형성된 전방 터널부; 상기 전방터널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상부 측은 개방부를 형성한 중간 접촉부; 및 상기 중간 접촉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터널형상의 제2안경다리 삽입구가 형성된 후방 터널부; 를 포함하는 안경테 다리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는 Silicone Ruber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Addition device of Eyeglass frames with improved wearability}
본 고안은 안경테 다리커버 및 안경용 목걸이를 구비하여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안경은 시력교정과 시력보호 및 자신을 돋보이게 꾸미는 아이템으로 많은 이들이 사용을 하고 있다.
안경은 렌즈와 렌즈를 신체에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경테로 구성된다. 안경테는 렌즈를 고정시키는 렌즈고정부와, 코걸이부, 한쪽은 귀에 걸리고 다른 쪽은 렌즈고정부에 힌지 연결되는 다리부로 구성된다.
종래의 금속안경테는 안경다리 부분이 얼굴의 양쪽 옆에 접속되는데, 땀샘에서 나오는 염분에 의해 금속테 표면의 도금층이 조기 부식되는 상태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귀걸이 부분에 플라스틱으로 표면처리를 한 안경테가 개발되고 있으나, 얼굴에 나는 땀이나 기름이 안경 자리와 접하는 부분에 침착되어 변색이 되거나, 자주 접촉하는 부위에는 피부 트러블이 발생될 수 있다.
이렇게 안경테의 재질에 따라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고 장시간 착용자들에게는 불편함을 남길 수 있다.
종래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덮는 안경다리 보호커버가 개발된 바 있으나, 크기가 큰 것은 전체적인 미관이 좋지 않고, 다리부의 크기에 맞는 안경 다리커버는 재질 간의 마찰력에 의해 밀어 넣기가 곤란하여 보호커버 삽입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안경테의 귀에 걸치는 부분이 휘어져 있어서 전체적으로 기다란 보호커버는 착용 및 탈착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안경은 상시 착용하다가 습기로 인한 주변 환경 여건, 독서 및 시각적 여건에 따라 벗어서 따로 두어야 할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노안을 위한 볼록렌즈 안경은 근거리 시야를 확보하고자 할 때만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경을 상시 착용하지 않고 필요할 때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안경을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안경을 벗을 때는 목에 걸을 수 있도록 안경테의 다리를 서로 끈으로 연결하여 목걸이 형태로 한 목걸이용 안경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목걸이용 안경은 목에 걸기 위해서 양쪽 안경다리를 고무 삽입구로 연결하여 긴 연결끈을 연결하여 목에 거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경을 벗어 목에 걸 경우, 안경이 목에 간단하게 매달려 있지 않고 길게 매달려 있게 되어 불편할뿐더러, 모자를 쓴 경우에는 간단하게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착용시에도 목을 목걸이를 통해 집어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9-0000109호(안경다리 보호커버)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02454호(목걸이용 안경테)
본 고안은 쉽게 착용 및 분리가 가능하며 부드러운 재질로 착용성이 개선된 안경테 다리커버를 포함한 안경테 부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와 함께 착용이 간편한 안경용 목걸이를 포함한 부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터널 형상의 제1안경다리 삽입구가 형성된 전방 터널부; 상기 전방터널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상부 측은 개방부를 형성한 중간 접촉부; 및 상기 중간 접촉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터널형상의 제2안경다리 삽입구가 형성된 후방 터널부; 를 포함하는 안경테 다리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는 Silicone Ruber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가 제공된다.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경테 부가장치는,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제1, 2목걸이 패드끈; 상기 제1, 2목걸이 패드끈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 2목걸이 장착부; -상기 목걸이 장착부는 안경테의 다리 끝단부에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도록 일 측면에 안경테 삽입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안경테 삽입부는 안경테의 다리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 단면에서부터 타측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안경테다리 삽입터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함, 상기 제1, 2 목걸이 패드끈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1, 2자석 장착부; 를 포함하는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경테 다리 커버를 안경테 다리의 양측에 장착한 후, 상기 안경용 목걸이 장치의 제1, 2목걸이 장착부의 안경테다리 삽입터널부에 안경테의 다리 끝단부를 밀어 넣어서, 장착을 한 다음, 상기 제1 목걸이 패드끈 및 제2 목걸이 패드끈을 각각 사용자의 목 뒤로 돌려서 자석 장착부를 접촉을 시키는 것에 의해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의 후방 터널부의 일측 벽면에 일측이 일체로 결합되며,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제1 목걸이 패드끈; 상기 제1 목걸이 패드끈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1자석 장착부; 를 포함하는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 및 안경용 목걸이 장치는 안경테 다리 양측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안경테 다리커버와 안경용 목걸이장치를 포함하는 안경테 부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는, 안경테 다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터널 형상의 제1안경다리 삽입구가 형성된 전방 터널부; 상기 전방터널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상부 측은 개방부를 형성한 중간 접촉부; 및 상기 중간 접촉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터널형상의 제2안경다리 삽입구 및 패드끈 삽입구가 형성된 후방 터널부; 가 실리콘 러버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후방 터널부의 외부면 일측에는 상기 패드끈 삽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패드끈 삽입구의 내경을 조절하는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 및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안경용 목걸이 장치는,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제1목걸이 패드끈; 및 상기 제1 목걸이패드끈의 타측 단부에 내부에 자석이 내장된 자석 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최소의 부피를 가지며, 피부와 최소 접촉면을 유지하면서 실리콘 러버 재질을 채택하여 무독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피부와 접촉 시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리콘 러버로 제조된 안경테 다리커버는 부드러운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복원력이 뛰어나며, 투박하지 않으면서, 피부에 닿아도 감촉이 양호하고, 피부에 금속테 다리 또는 플라스틱 다리가 닿는 것과 같은 안경다리 자국이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부가장치는 안경테 다리에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간단하게 장착을 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착용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경용 목걸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착용이 편리한 목걸이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에 착용이 용이한 안경테 다리 커버의 단면 및 정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 커버를 안경테 다리에 장착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부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커버에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일체로 결합한 안경테 부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커버에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자성체에 의해 결합한 안경테 부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커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결합된 안경테 부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현에 따른 착용성을 개선한 안경테 부가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에 착용이 용이한 안경테 다리 커버의 단면 및 정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 커버는 실리콘 러버(silicone rubbe)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리콘 러버는 부드러운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복원력이 뛰어나며, 투박하지 않으면서, 피부에 닿아도 감촉이 양호하고, 피부에 금속테 다리 또는 플라스틱 다리가 닿는 것과 같은 안경다리 자국이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다리 커버가 피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땀에 의해 안경다리가 부식되지 않고,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는 고중합도 곧은 사슬 모양의 디올가노폴리실록산에 미분 실리카 등을 보강제로 혼화하여 가교시켜서 Si­­의 결합을 가진 고무 탄성체이다. 실리콘 고무는 다른 유기고무와는 달리 분자구조 내 대기중의 산소, 오존, 자외선 등과 반응하여 균열을 발생케 하는 이중결함이 없기 때문에 내후성이 월등히 뛰어나 장기간 옥외에 방치하여도 물성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나다.
Silicone Ruber는 본질적으로 무독하고, 생리적으로도 불활성 물질이기 때문에 안경다리에 장착을 하여 피부와 접촉 시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안경테 다리커버의 재질로서 가장 적합한 재료라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안경테 다리 커버는 터널 형상의 제1 안경다리 삽입구(240)가 형성된 전방 터널부(24), 상기 전방터널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상부 측은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된 개방부를 형성한 중간 접촉부(29) 및 상기 중간 접촉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터널형상의 제2안경다리 삽입구(260)가 형성된 후방 터널부(26)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크기로 시뮬레이션 결과,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의 전체 길이는 45±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방 터널부(24) 및 후방 터널부(26)의 길이는 7±1mm, 높이는 9±1mm이며, 중간 접촉부(29)의 길이는 31±2mm, 제1삽입구(240) 및 제2삽입구(260)의 구멍 직경은 5±1mm의 크기를 가지는 것에 의해, 피부와 최소 접촉면을 유지하면서, 커버 기능을 유지하고 최소의 부피를 가지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 커버를 안경테 다리에 장착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는 안경테 다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 커버를 안경테 다리에 장착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방 터널부(20의 제1안경다리 삽입구와 후방 터널부(26)의 제2안경다리 삽입구에 의해 안경테 다리(10)에 장착이 됨으로써, 전체적인 터널형상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커버에 비하여 귀부분이 휘어진 안경테의 다리에도 터널부가 없는 개방부의 개방된 공간에 의해 더 쉽게 장착이 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접촉부(29)는 접촉면은 실리콘러버 재질로 하부 및 옆면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부로 형성하여 가벼울뿐더러, 곡면부에도 휘어서 장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착용된 상태에서는 운동 등의 반복적인 흔들림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제1안경다리 삽입구 및 제2안경다리 삽입구를 후측으로 미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면, 쉽게 탈착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커버는 안경테 다리 양측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안경용 목걸이 장치는 안경테 다리의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목걸이 장착부(41-1, 41-2), 상기 목걸이 장착부(41)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된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제1, 2 목걸이 패드끈(31-1, 31-2), 상기 제1, 2 목걸이 패드끈(31-1, 31-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자석 장착부(35-1, 35-2)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 장착부(41-1, 41-2)도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목걸이 장착부(41-1, 41-2)는 일측에 안경테의 각각 목걸이 패드끈(31-1, 31-2)이 삽입되도록 내부로 관통되는 패드끈 삽입구(46), 상기 패드끈 삽입구(46)의 내경을 조절하는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 및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44)가 장착이 된다.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는 전방으로 밀면 패드끈 삽입구의 내경이 커지고, 후방으로 밀면 패드끈 삽입구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하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목걸이 패드끈(31-1)은 우측 안경테의 목걸이 장착부(41-2)의 삽입구(46)에 연결되며, 제2 목걸이 패드끈(31-2)은 좌측 안경테의 목걸이 장착부(41-2)의 패드끈 삽입구(46)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목걸이 패드끈(31-1) 및 제2 목걸이 패드끈(31-2)은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를 앞으로 민 상태에서 제1 목걸이 패드끈(31-1)을 안경 측으로 밀거나, 후퇴시켜서 길이 조절을 하고, 조절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를 뒤로 밀어서 고정을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는 항상 뒤로 밀리는 힘이 작용하도록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44)에 대항하는 스프링부(미 도시됨)를 더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를 앞으로 민 상태에서 제1 목걸이 패드끈(31-1)을 안경 쪽으로 밀거나, 후퇴시켜서 길이 조절을 하고, 조절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가 상기 스프링부에 의해 뒤로 밀려서 고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목걸이 패드끈(31-1) 및 제2 목걸이 패드끈(31-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자석 장착부(35-1, 35-2)는 내부에 자석(39-1, 39-2)을 포함하고, 자석 외부를 실리콘 고무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른쪽 자석 장착부(35-1)의 자석(39-1)과 왼쪽 자석 장착부(35-2)의 자석(39-2)은 서로 반대 자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목에 착용시에는 안경을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목걸이 패드끈(31-1) 및 제2 목걸이 패드끈(31-2)을 각각 목 뒤로 돌려서 자석 장착부(35-1, 35-2)를 접촉을 시키면 자력에 의해서 결합이 되어 쉽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목에서, 분리할 시에는 상기 자석 장착부(35-1, 35-2)를 약간의 힘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3의 a는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목에 착용시 상기 자석 장착부(35-1, 35-2)가 자력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의 b는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3 실시 형태]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안경용 목걸이 장치가 안경테로부터 탈, 장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4의 안경용 목걸이 장치의 목걸이 장착부(91-1, 91-2)는 도 3의 안경용 목걸이 장치의 목걸이 장착부(41-1, 41-2)에 안경테 삽입부(410)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안경테의 양측 끝단부에 목걸이 장착부(41-1, 41-2)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나. 도 4는 제1 목걸이 패드끈(31-1)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목걸이 장착부(91-1, 91-2)에 안경테의 다리 끝단부에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도록 일 측면에 안경테 삽입부(41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경테 삽입부(410)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된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제1, 2 목걸이 패드끈(31-1, 31-2), 상기 제1, 2목걸이 패드끈(31-1, 31-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자석 장착부(35-1, 35-2)를 포함한다.
자석 장착부(35-1, 35-2)는 내부에 자석(39-1, 39-2)을 포함하고, 자석 외부를 실리콘 고무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 장착부(41-1, 41-2)도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목걸이 장착부(41-1) 일측에 목걸이 패드끈(31-1)이 삽입되도록 내부로 관통되는 삽입구(46), 상기 삽입구(46)의 내경을 조절하는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 및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44)가 장착이 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44)는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43)를 전방으로 밀면 삽입구의 내경이 커지고, 후방으로 밀면 삽입구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하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우측 목걸이 장착부(41-2)는 상기 좌측 목걸이 장착부(41-1)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안경테삽입부(410)는 안경테 다리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 단면에서부터 타측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안경테다리 삽입터널부(460)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도 4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경테다리 삽입터널부(460)에 안경테의 다리 끝단부를 밀어 넣어서, 장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테다리 삽입터널부(460)에 안경테의 다리 끝단부가 장착된 후, 분리 시에는 안경테다리(10)와 상기 안경테 삽입부(410)를 잡은 상태에서 약간의 힘으로 당기면, 상기 안경테다리 삽입터널부(460)에 장착된 안경테의 다리 끝단부가 빠져나오게 되어 안경테 다리와 안경용 목걸이 장치의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안경용 목걸이 장치는 필요에 따라 안경테에 탈, 장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안경테 다리에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간단하게 장착을 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착용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착용이 편리한 목걸이 장치를 필요에 따라 안경테에 탈, 장착이 가능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부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실시 예는 안경테에 도 1의 안경테 다리 커버와 도 4의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부가장치로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안경테 다리(10)에 먼저 도 1의 안경테 다리 커버(20)를 장착한 후, 도 4의 안경용 목걸이 장치의 안경테다리 삽입터널부(460)에 각각, 좌, 우측 안경테의 다리 끝단부를 밀어 넣어서, 장착을 한다.
그리고 제1 목걸이 패드끈(31-1) 및 제2 목걸이 패드끈(31-2)을 각각 사용자의 목 뒤로 돌려서 자석 장착부(35-1, 35-2)를 접촉을 시키면 자력에 의해서 결합이 되어 쉽게 착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안경테 다리에 안경테 다리 커버와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간단하게 장착을 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착용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착용이 편리한 목걸이 장치를 병행하여 장착을 할 수 있다.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 및 안경용 목걸이 장치는 안경테 다리 양측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실시형태]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커버에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일체로 결합한 안경테 부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안경테에 도 1의 안경테 다리커버(20)에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일체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의 안경테 다리커버(20)는 후방 터널부(26)에 제1 목걸이 패드끈을 일체로 결합한 구성 외의 나머지 구성은 도 1 및 2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을 한다.
도 6은 도 1의 오른쪽 안경테 다리커버(20)의 후방 터널부(26)의 일측 벽면에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제1 목걸이 패드끈(61-1)의 일측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제1 목걸이 패드끈(61-1)의 타측에는 내부에 자석(49-1)이 내장된 자석 장착부(45-1)가 형성된다. 자석 장착부(45-1)는 내부에 자석(49-1)을 포함하고, 자석 외부를 실리콘 고무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1의 왼쪽 안경테 다리커버(20)의 후방 터널부(26)의 일측 벽면에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제2 목걸이 패드끈(61-2)의 일측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제1 목걸이 패드끈(61-2)의 타측에는 내부에 자석(49-2)이 내장된 자석 장착부(45-2)가 형성된다. 자석 장착부(45-2)는 내부에 자석(49-2)을 포함하고, 자석 외부를 실리콘 고무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른쪽 자석 장착부(45-1)의 자석(49-1)과 왼쪽 자석 장착부(45-2)의 자석(49-2)은 서로 반대 자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안경테 다리에 도 1의 안경테 다리 커버와 착용이 간편한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장착을 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착용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커버에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자성체에 의해 결합한 안경테 부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안경테에 도 1의 안경테 다리커버(20)에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자력에 의해 부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의 안경테 다리커버(20)는 후방터널부도 1 및 2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을 한다.
도 1의 안경테 다리커버(20)는 후방 터널부(26)에 자성체(27)를 내장한 구성 외의 나머지 구성은 도 1 및 2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오른쪽 안경테 다리커버(20)의 후방 터널부(26)에서 제2안경다리 삽입구의 둘레에 자석(27)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제1 목걸이 패드끈(61-1)의 일측에는 안경테의 다리가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를 관통하는 터널이 형성된 안경테 결합부(68)의 후면벽과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안경테 결합부(68)의 터널 둘레에는 자석(67)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목걸이 패드끈(61-1)의 타측에는 내부에 자석(69-1)이 내장된 자석 장착부(65-1)가 형성된다. 자석 장착부(65-1)는 내부에 자석(69-1)을 포함하고, 자석 외부를 실리콘 고무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왼쪽의 구성 역시 상기 오른쪽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른쪽 자석 장착부(65-1)의 자석(69-1)과 왼쪽 자석 장착부(65-2)의 자석(69-2)은 서로 반대 자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양측 안경테 다리(10)에 후방 터널부(25)에 자성체(27)를 내장한 안경테 다리 커버(20)를 장착한 후, 안경용 목걸이 장치의 안경테 결합부(68)를 안경테 다리의 끝단부를 밀어 넣어서,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의 후방터널부의 후면과 맞닿도록 장착을 하면, 후방 터널부(25)에 자성체(27)와 안경테 결합부(68)의 자성체(67)에 의해 안경테 다리 커버(20)와 안경용 목걸이 장치가 쉽게 안경테에 장착이 될 수 있다.
상기 후방 터널부(25)에 자성체(27)와 안경테 결합부(68)의 자성체(67)는 서로 반대 자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안경테 다리에 안경테 다리 커버와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장착을 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착용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커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목걸이 장치가 결합된 안경테 부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커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결합한 안경테 부가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c는 입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 다리커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결합한 안경테 부가장치에서 후방 터널부(26)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안경테 다리 커버(20)는 안경테 다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터널 형상의 제1 안경다리 삽입구(240)가 형성된 전방 터널부(24), 상기 전방터널부와 하부 및 옆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개방부를 형성한 중간 접촉부(29) 및 상기 중간 접촉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터널형상의 제2 안경테다리 삽입구(29a) 및 목걸이 패드끈(51-1)이 삽입되도록 내부로 관통되는 패드끈 삽입구(29b)가 형성된 후방 터널부(26)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 터널부(26)의 외부면 일측에는 상기 패드끈 삽입구(29b)와 연결되어 상기 패드끈 삽입구(29b)의 내경을 조절하는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53) 및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53)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54)가 형성이 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54)는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53)를 전방으로 밀면 패드끈 삽입구의 내경이 커지고, 후방으로 밀면 패드끈 삽입구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하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목걸이 패드끈(51-1)은 우측 안경테 다리 커버(20)의 후방 터널부(26)의 패드끈 삽입구(29b)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제2 목걸이 패드끈(51-2)은 좌측 안경테 다리 커버(20)의 패드끈 삽입구(미 도시됨)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상기 제1 목걸이 패드끈(51-1) 및 제2 목걸이 패드끈(51-2)은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53)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53)를 앞으로 민 상태에서 제1 목걸이 패드끈(51-1)을 안경 쪽으로 밀거나, 후퇴시켜서 길이 조절을 하고, 조절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53)를 뒤로 밀어서 고정을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53)는 항상 뒤로 밀리는 힘이 작용하도록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54)에 대항하는 스프링부(미 도시됨)를 더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53)를 앞으로 민 상태에서 제1 목걸이 패드끈(51-1)을 안경 쪽으로 밀거나, 후퇴시켜서 길이 조절을 하고, 조절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53)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53)가 상기 스프링부에 의해 뒤로 밀려서 고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목걸이 패드끈(51-1) 및 제2 목걸이 패드끈(51-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자석 장착부(55-1, 55-2)는 내부에 자석(59-1, 59-2)을 포함하고, 자석 외부를 실리콘 고무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목에 착용시에는 안경을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목걸이 패드끈(51-1) 및 제2 목걸이 패드끈(51-2)을 각각 목 뒤로 돌려서 자석 장착부(55-1, 55-2)를 접촉을 시키면 자력에 의해서 결합이 되어 쉽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목에서, 분리할 시에는 상기 자석 장착부(55-1, 55-2)를 약간의 힘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안경테 다리에 안경테 다리 커버와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간단하게 장착을 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착용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착용이 편리한 목걸이 장치를 안경테 다리 커버와 함께 장착을 할 수 있다.
10: 안경테 다리
20: 안경테 다리커버
24: 전방 터널부
26: 후방 터널부
29: 중간 접촉부
31-1, 31-2, 51-1, 52-1, 61-1, 61-2: 목걸이 패드끈
35-1, 35-2, 45-1, 45-2, 55-1, 55-2, 65-1, 65-2: 자석 장착부
27, 39-1, 39-2 49-1, 49-2, , 59-1,59-2, 69-1, 69-2: 자석
41-1, 41-2, 91-1, 91-2: 목걸이 장착부
410: 안경테 삽입부
43, 53: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
44, 54: 슬라이딩 가이드
46, 29b: 패드끈 삽입구
68: 안경테 결합부
240, 260, 29a: 안경다리 삽입구
460: 안경테다리 삽입터널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안경테 부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 부가장치는,
    안경테 다리에 장착되며 실리콘 러버 재질로 형성된 안경테 다리커버, 상기 안경테 다리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실리콘 러버 재질로 형성된 제1, 2 목걸이 패드끈 및 상기 제1, 2 목걸이 패드끈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 2 목걸이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는,
    터널 형상의 제1 안경다리 삽입구가 형성된 전방 터널부;
    상기 전방 터널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상부 측은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된 개방부를 형성한 중간 접촉부; 및
    상기 중간 접촉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터널 형상의 제2 안경다리 삽입구가 형성된 후방 터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목걸이 장착부는,
    일측에 상기 제1, 2 목걸이 패드끈이 삽입되도록 내부로 관통되는 패드끈 삽입구;
    상기 패드끈 삽입구의 내경을 조절하는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 및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를 전방으로 밀면 상기 패드끈 삽입구의 내경이 커지고, 후방으로 밀면 상기 패드끈 삽입구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하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 부가장치는,
    상기 안경테의 다리 끝단부에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한 안경테 삽입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안경테 삽입부는 상기 안경테의 다리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 단면에서부터 타측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안경테다리 삽입터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2 목걸이 패드끈의 타측 단부에는 제1, 2자석 장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10. 안경테 부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 부가장치는
    안경테 다리에 장착되는 실리콘 러버 재질로 형성된 안경테 다리커버, 상기 안경테 다리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제1, 2 목걸이 패드끈이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와 자력에 의해 부착이 유지되는 안경용 목걸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는,
    터널 형상의 제1 안경다리 삽입구가 형성된 전방 터널부;
    상기 전방 터널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상부 측은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된 개방부를 형성한 중간 접촉부; 및
    상기 중간 접촉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터널형상의 제2 안경다리 삽입구가 형성된 후방 터널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안경다리 삽입구의 둘레에 자석을 내장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경용 목걸이 장치는
    상기 안경테의 다리가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를 관통하는 터널이 형성되며, 후면벽에 상기 제1, 2목걸이 패드끈의 일측이 일체로 결합되는 안경테 결합부; 및
    상기 제1, 2 목걸이 패드끈의 타측 단부의 내부에 자석이 내장된 자석 장착부; 를 포함하되, 상기 안경테 결합부의 터널 둘레에는 자석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 부가장치는,
    양측 안경테 다리에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를 장착한 후, 상기 안경용 목걸이 장치의 안경테 결합부를 상기 안경테 다리의 끝단부를 밀어 넣어서,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의 후방터널부의 후면과 맞닿도록 장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12. 안경테 다리커버 및 안경용 목걸이장치를 포함하는 안경테 부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는,
    안경테 다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터널 형상의 제1안경다리 삽입구가 형성된 전방 터널부;
    상기 전방 터널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상부 측은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된 개방부를 형성한 중간 접촉부; 및
    상기 중간 접촉부와 하부면이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터널형상의 제2안경다리 삽입구 및 패드끈 삽입구가 형성된 후방 터널부; 가 실리콘 러버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후방 터널부의 외부면 일측에는 상기 패드끈 삽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패드끈 삽입구의 내경을 조절하는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 및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안경용 목걸이 장치는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 제1, 2목걸이 패드끈; 및
    상기 제1, 2 목걸이 패드끈의 타측 단부에 내부에 자석이 내장된 자석 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를 전방으로 밀면 상기 삽입구의 내경이 커지고, 후방으로 밀면 상기 삽입구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하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를 전방으로 밀면 상기 패드끈 삽입구의 내경이 커지고, 후방으로 밀면 상기 패드끈 삽입구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하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삽입구 내경 조절노브는 항상 뒤로 밀리는 힘이 작용하도록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대항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양측 안경테 다리에 상기 안경테 다리커버를 장착한 후,
    상기 제1목걸이 패드끈은 우측 패드끈 삽입구에 삽입을 하여 고정을 하고, 제2 목걸이 패드끈은 좌측 패드끈 삽입구에 삽입을 하여 고정을 한 다음, 상기 제1 목걸이 패드끈 및 제2 목걸이 패드끈을 각각 사용자의 목 뒤로 돌려서 상기 자석 장착부를 접촉을 시키는 것에 의해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KR2020200003397U 2020-09-18 2020-09-18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KR200495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97U KR200495553Y1 (ko) 2020-09-18 2020-09-18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97U KR200495553Y1 (ko) 2020-09-18 2020-09-18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98U KR20220000698U (ko) 2022-03-25
KR200495553Y1 true KR200495553Y1 (ko) 2022-06-23

Family

ID=8093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397U KR200495553Y1 (ko) 2020-09-18 2020-09-18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55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498B2 (ja) * 1995-10-04 2001-09-2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自己走査型発光装置およびその静電破壊防止用保護回路
JP2009042666A (ja) 2007-08-10 2009-02-26 Kazunari Oura 眼鏡のレンズ歪防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829U (ko) * 2010-07-26 2012-02-06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방향성이 다양한 밴드형 안경
KR20110002454A (ko) 2010-12-27 2011-01-07 이성복 목걸이용 안경테
KR20130003598A (ko) * 2011-06-30 2013-01-0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 안경
KR200474391Y1 (ko) * 2012-12-24 2014-09-17 장지훈 실리콘 귀테를 포함하는 안경
JP3212498U (ja) * 2017-07-02 2017-09-14 福島 哲也 眼鏡落下防止保持具
KR20190000109U (ko) 2017-07-03 2019-01-11 고산티엠(주) 안경다리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498B2 (ja) * 1995-10-04 2001-09-2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自己走査型発光装置およびその静電破壊防止用保護回路
JP2009042666A (ja) 2007-08-10 2009-02-26 Kazunari Oura 眼鏡のレンズ歪防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98U (ko)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5145C (en) Eyewear traction device
US6666554B2 (en) Protective eyewear kit
AU3874401A (en) Eye covering
US20070008482A1 (en) Eyeglasses
JP5876531B2 (ja) 眼鏡曇り防止器具
KR200495553Y1 (ko) 착용성이 향상된 안경테 부가장치
EP2521938B1 (en) Eyewear with earstems
WO2017103964A1 (ja) 眼鏡曇り防止器具
US20190353922A1 (en) Stemless mounting system for an eyewear lens
JP5690907B1 (ja) インナーフレーム付き眼鏡フロント枠
GB2497727A (en) Temples-less eyewear
US8267513B2 (en) Attachment mechanism for eye glass shield
US7182457B2 (en) Spectacles
KR20120021660A (ko) 자외선 차단용 마스크
US8454155B1 (en) Eyewear
JP2759561B2 (ja) メガネのための改良されたイヤステム
JP2018194643A (ja) 眼鏡の支持具
JP2014240886A (ja) フード付き眼鏡
JP2001161883A (ja) 顔面防具用メガネ
JP3185602U (ja) フード付き眼鏡
KR200496615Y1 (ko) 안경용 마스크 걸이구
KR20210142994A (ko) 마스크 줄 지지구
JP3092724U (ja) 術後用保護眼鏡
KR20220002072U (ko) 마스크 착용기능을 갖는 안경다리
KR20100117431A (ko) 안경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