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485Y1 -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 - Google Patents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485Y1
KR200495485Y1 KR2020200001821U KR20200001821U KR200495485Y1 KR 200495485 Y1 KR200495485 Y1 KR 200495485Y1 KR 2020200001821 U KR2020200001821 U KR 2020200001821U KR 20200001821 U KR20200001821 U KR 20200001821U KR 200495485 Y1 KR200495485 Y1 KR 200495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pipe
weigh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699U (ko
Inventor
김강희
Original Assignee
김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희 filed Critical 김강희
Priority to KR2020200001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485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6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4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변기의 보울 내측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나사결합되면서 보울의 외측에 밀착되는 연결유닛 및 배수관에 연결되면서 액튜에이터가 위치하는 배출유도관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튜에이터는, 연결유닛의 내경측에 구비되는 밀폐링에 밀착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에 연결되면서 상기 개폐도어에 작용하는 압력에 대응토록 일정압력을 형성하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와 개폐도어가 평형을 유지토록 연결유닛에 지지되는 중심축으로 이루어지는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Toilet with straight pipe which minimizing clogging}
본 고안은 대변기의 보울 내측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나사결합되면서 보울의 외측에 밀착되는 연결유닛 및 배수관에 연결되면서 액튜에이터가 위치하는 배출유도관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튜에이터는, 연결유닛의 내경측에 구비되는 밀폐링에 밀착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에 연결되면서 상기 개폐도어에 작용하는 압력에 대응토록 일정압력을 형성하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와 개폐도어가 평형을 유지토록 연결유닛에 지지되는 중심축으로 이루어지는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 설치되는 수세식 양변기는 보울 후방에 사이폰 구조가 형성된 사이폰식 양변기로, 수조의 세척수가 보울 안으로 투입되면 사이폰 현상이 발생해 분뇨를 배출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많은 량의 물을 사용해야만 배출이 원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투입된 세척수가 보울 안에 잔류한 물과 부딪히면서 분뇨 섞인 물방울이 보울 밖으로 튀어 비위생적이고, 사이폰 현상에 따라 배출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사이폰 구조 상부의 꺾임 구간에서 막힘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의 특허 제1517304호에 회전 배출관을 구성한 양변기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보울(1)과 수조(2)를 갖는 수세식 양변기에 있어서, 보울(1) 후방에 형성된 배출구(1-1); 수조(2) 안의 세척수가 보울(1)로 투입되도록 수조(2)와 보울(1)을 연결한 수로(2-1); 수로(2-1) 아래에 위치하고, 보울(1) 안의 분뇨가 바닥에 매립된 배관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구(1-1)와 배관을 연결한 배출 유도관(4); 배출 유도관(4) 안에 위치하는 L자형꺾인 관으로, 한 쪽 끝에 유입구멍(5-1)이 형성되고 다른 쪽 끝에 배출구멍(5-2)이 형성되고 꺾인 구간의 바깥면에 중심축(5-3)이 형성되며, 유입구멍(5-1)을 배출구(1-1)와 연결하고 중심축(5-3)을 배출 유도관(4)의 후면에 관통시켜 구성한 회전 배출관(5); 회전 배출관(5)의 유입구멍(5-1) 근처 바깥 면 둘레에 형성된 브레이크 원판(5-4); 브레이크 원판(5-4) 위에 위치하고 브레이크 원판(5-4)의 바깥 면 둘레와 면접하는 브레이크 핀(6-1); 배출 유도관(4) 상면과 수로(2-1) 바닥을 관통하고 안에 브레이크 핀(6-1)을 삽입한 붓싱(6); 붓싱(6) 상부에 위치하고 브레이크 핀(6-1)의 상부 끝과 접촉하는 브레이크 페달(6-2); 수조(2) 바깥에 형성된 수세 레버(8); 수세 레버(8)와 동일한 회전축에 구성한 조작 레버(8-1); 중심축(5-3)의 끝에 구성한 조작 원판(9); 조작 레버(8-1)와 조작 원판(9)을 연결한 당김줄(8-2); 조작 원판(9)의 일측에 구성한 무게 추(9-1)를 포함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양변기는, 수세 레버(8)의 동작시 회전 배출관(5)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배변을 배출하여 정확한 회전 및 복원 동작이 힘들게 됨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수세 레버(8)의 누름 작용시 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오히려 물의 낭비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등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물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막힘을 방지하면서 배출 소음이 발생을 방지토록 하며,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면서 걸림이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 및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물의 사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변기의 보울 내측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나사결합되면서 보울의 외측에 밀착되는 연결유닛 및
배수관에 연결되면서 액튜에이터가 위치하는 배출유도관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튜에이터는 연결유닛의 내경측에 구비되는 밀폐링에 밀착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에 연결되면서 상기 개폐도어에 작용하는 밀착력에 대응토록 일정압력을 형성하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와 개폐도어가 평형을 유지토록 하는 중심축으로 이루어지는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는 중량이 추가되거나 거리가 이동되어 중량이 가변토록 설치되는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의 둘레 및 밀폐링은 적어도 일부가 마그네틱성질을 갖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개폐도어의 둘레 일측에는 패킹재가 밀착될 때 그 밀착면에 상호 대응되는 요홈/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물 사용을 최소화 하고, 막힘을 방지하면서 배출 소음이 발생을 방지하며,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면서 걸림이나 막힘을 방지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 및 장착이 용이하며, 물의 사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변기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의 볼에 결합된 직관형 변기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및 도5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변기배관의 분해도 및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이다.
도6및 도7은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배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의 볼에 결합된 직관형 변기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및 도5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변기배관의 분해도 및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이고, 도6및 도7은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배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대변기(100)의 보울(110) 중심에 구비되는 배출홀(130)에 직관형의 변기배관(300)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변기배관(300)은, 대변기(100)의 보울(110) 내측에 형성되는 배출홀(130) 내경측에 밀착 연결되는 연결관(310)과 상기 연결관(310)에 나사결합되면서 보울(110)의 외측면 하부에 밀착토록 너트(331)가 연결되는 연결유닛(330) 및건물에 매립되는 배수관(400)에 연결되면서 액튜에이터(500)가 설치되는 배출유도관(35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액튜에이터(500)는, 연결유닛(330)의 내경측에 구비되는 밀폐링(333)에 밀착되는 형상을 갖는 개폐도어(510)와 상기 개폐도어(510)에 연결되면서 상기 개폐도어에 작용하는 밀착력에 대응토록 일정압력을 형성하는 중량체(530) 및 상기 중량체(530)와 개폐도어가 평형을 유지토록 하는 중심축(5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량체(530)의 동작공간을 형성토록 상기 배출유도관(350)의 일측에 작동공간(351)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중심축(550)은 연결유닛(330)의 하측에서 개폐도어가 회전토록 배출유도관의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530)는 중량이 추가되거나 거리가 이동되어 중량이 가변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510)의 둘레 및 밀폐링(330)은 적어도 일부가 마그네틱성질을 갖는 고무재(519)로 이루어져도 좋다.
더하여, 상기 개폐도어(510)의 일측및 밀폐링에는 상호 대응되는 요홈/돌기(517)가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대변기(100)의 보울(110) 중심에 구비되는 배출홀(130)에 직관형의 변기배관(300)이 연결되어 종래의 사이펀 형상 변기에서 발생되는 막힘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변기배관(300)은, 대변기(100)의 보울(110) 내측에 연결관(310)을 먼저 삽입한 후 상기 연결관(310)과 연결유닛(330)을 너트(331)로서 체결하면 보울에 변기배관(300)의 1차 조립이 완료된다.
더하여, 상기 연결유닛(330)을 건물에 매립되는 배수관(400)에 연결토록 하는 배출유도관(350)의 가장자리를 결합하면 조립이 완료되고, 상기 연결유닛(330)과 배출유도관(350)은 그 연결부가 플랜지(359)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둘레를 피스로서 조립토록 한다.
이때, 상기 변기배관(300)은, 대변기(100)의 보울(110) 내측에 형성되는 배출홀(130) 내경측에 밀착 연결되면서 외경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관(310)과 상기 연결관(310)의 나사산에 너트(331)로서 나사결합되면서 보울(110)의 외측면 하부에 밀착되는 연결유닛(330) 및 건물의 배수관(400)에 연결되는 배출유도관(350)이 순차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액튜에이터(500)는, 개폐도어와 중량체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동작되어 대변 및 투입되는 물의 중량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도록 밀착력이 조절되는 구성으로 대변을 마친 후 대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순간의 중량변화에 의해 열리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액튜에이터(500)는, 연결유닛(330)의 내경측 둘레에 돌출토록 구비되는 밀폐링(333)에 대응되어 밀착되는 형상을 갖는 개폐도어(510)와 상기 개폐도어(510)에 연결되면서 상기 개폐도어에 밀착력에 형성토록 일정압력을 형성하는 중량체(530) 및 상기 중량체(530)와 개폐도어가 힘의 평형을 유지토록 하는 중심축(550)으로 이루어져 중량체의 무게와 중량체와 중심축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밀착력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체(530)의 동작공간을 형성토록 상기 배출유도관(350)의 일측에 작동공간(351)이 일체로 돌출되는 도3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550)은 연결유닛(330)의 하측에 위치한 작동공간 내측에 연결되어 개폐도어 및 중량체가 각각 용이하게 회전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도7과 같이 상기 중량체(530)는 중량을 추가되거나 거리가 이동되어 중량이 가변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510)의 둘레 및 밀폐링(330)은 적어도 일부가 마그네틱성질을 갖는 고무재로 이루어져 상호 밀착시 자력에 의해 밀착성을 더욱 높이도록 하여도 좋다.
더하여, 상기 개폐도어(510)의 일측및 밀폐링에는 상호 대응되는 요홈/돌기(517)가 일체로 형성되어 밀착면적을 상호 시켜 냄새의 역류나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100...대변기 110...보울
300...변기배관 310...연결관
330...연결유닛 350...배출유도관
500...액튜에이터

Claims (4)

  1. 대변기의 보울 내측면 중심에 구비되는 배출홀에 밀착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외경측에 나사결합되어 보울의 외측면 하부에 밀착되는 연결유닛 및
    배수관의 내경측에 연결되면서 상단부에 액튜에이터가 위치하는 직관형 배출유도관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튜에이터는, 연결유닛의 내경측에 구비되는 밀폐링에 밀착토록 형성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에 연결되면서 상기 개폐도어에 밀착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와 개폐도어가 평형을 유지토록 하여 지렛대원리가 적용토록 하는 중심축으로 이루어져 개폐도어에 일정한 밀착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유닛의 상단을 지지하여 연결관에 나사결합될 때 보울의 외측면 하부에 밀착토록 너트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유닛의 하단과 배출유도관의 상단은 서로 대응토록 설치되는 연결부가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둘레를 피스로서 조립하며,
    상기 배출유도관의 상부 일측에 중량체가 회전가능토록 작동공간이 일체로 돌출형성될 때 상기 작동공간의 상부를 이에 대응토록 형성되는 연결유닛의 연결부가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량체 및 개폐도어가 연결되는 중심축은 배출유도관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중량이 추가되거나 거리가 이동되어 중량이 가변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의 둘레 및 밀폐링은 적어도 일부가 마그네틱성질을 갖는 고무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개폐도어의 및 밀폐링에 상호 대응되는 요홈/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
KR2020200001821U 2020-05-29 2020-05-29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 KR200495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821U KR200495485Y1 (ko) 2020-05-29 2020-05-29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821U KR200495485Y1 (ko) 2020-05-29 2020-05-29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99U KR20210002699U (ko) 2021-12-07
KR200495485Y1 true KR200495485Y1 (ko) 2022-06-03

Family

ID=7889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821U KR200495485Y1 (ko) 2020-05-29 2020-05-29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48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7490A (ja) * 2010-10-29 2012-06-07 Lixil Corp トイレ装置
JP2018123619A (ja) * 2017-02-02 2018-08-09 株式会社Lixil 便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319B1 (ko) * 2009-06-08 2011-07-04 인터바스 주식회사 자연 배출식 양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7490A (ja) * 2010-10-29 2012-06-07 Lixil Corp トイレ装置
JP2018123619A (ja) * 2017-02-02 2018-08-09 株式会社Lixil 便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99U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9101C2 (ru) Туалетный смывной клапан с уменьшающимся поперечным сечением гнезда клапана
US20200141106A1 (en) Sewage discharge device of variable water-saving toilet
KR900001250Y1 (ko) 수세식 변기
AU2008276589A1 (en) Diverter spout
WO2000050700A1 (en) A water efficient toilet
KR200495485Y1 (ko) 막힘을 최소화 하는 직관형 변기
AU2012380146B2 (en) Water-saving toilet bowl
EP1371787B1 (de) Einlaufgarnitur für einen Spülkasten
US2971525A (en) Float-operated valve
JP2001262657A (ja) 洗浄水ガイドおよびそれを備えるタンク装置、便器、便器装置
KR101517304B1 (ko) 회전 배출관을 구성한 양변기
JP2503745B2 (ja) 脱臭装置を設けた簡易水洗便器
CN220908591U (zh) 一种具有防虹吸结构的洁身器
JPH0860730A (ja) 水洗便器
KR101905859B1 (ko) 수직트랩 양변기
US10975556B2 (en) Tank-less automatic flush toilet
CN202023239U (zh) 一种节水系统
JPS5820709Y2 (ja) サイホン式水洗便器の排水管接続用パツキング
KR102309445B1 (ko)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KR200272520Y1 (ko)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KR20020033483A (ko)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KR20019256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US20210017749A1 (en) Automatic flush toilet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JPS63465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