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520Y1 -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520Y1
KR200272520Y1 KR2020000018699U KR20000018699U KR200272520Y1 KR 200272520 Y1 KR200272520 Y1 KR 200272520Y1 KR 2020000018699 U KR2020000018699 U KR 2020000018699U KR 20000018699 U KR20000018699 U KR 20000018699U KR 200272520 Y1 KR200272520 Y1 KR 200272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toilet
drain
water
b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성
Original Assignee
최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성 filed Critical 최종성
Priority to KR2020000018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520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의 용수탱크로부터 변기통으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배수 차단장치를 플라스틱 재질의 레그와 고무 재질의 차단막으로 구성하고 레그의 후방단에는 질량부를 형성함으로써, 질량부에 의해서 개방시에는 최대 각도로 제켜지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일단 개방된 후에는 갑작스런 닫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닫힐 때에는 플라스틱 레그에 의해 비틀림 없이 폐쇄위치로 안내되어 정확히 안착될 수 있는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DEVICE FOR BLOCKING WATER LEAK FOR USE IN A TOILET BOWL}
본 고안은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재질의 레그와 고무 재질의 차단막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레그의 후방단에 질량부를 형성함으로써, 개방시에 최대 각도로 제켜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일단 개방된 후에는 질량부에 의해 갑작스런 닫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닫힐 때에는 플라스틱 레그에 의해 폐쇄위치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는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양변기는 대변이나 소변을 보고난 뒤에 레버를 밑으로 누르면 변기통으로 통하는 배수구를 막고 있던 배수 차단장치가 개방되면서 용수탱크에 들어 있는 물이 변기통으로 공급되어 용변을 정화조로 흘려보내게 된다. 변기통으로 배수가 거의 완료된 시점에서 배수 차단장치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배수구를 폐쇄하게 되며, 용수탱크에는 물이 채워지게 된다.
또한, 양변기에는 용수탱크에 담겨져 있는 물의 양을 대/소변에 따라서 사용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물내림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양변기의 물내림 조절장치는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특허 출원한 것으로서, 용수탱크로부터 변기통으로 배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레버를 들어올리게 되면, 개방되어 있던 배수 차단장치가 강제로 닫히면서 배수구를 막아 변기통으로 공급되던 물을 차단하여 물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배수 차단장치는 대부분 전체가 고무재질로 제조되며,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제품도 소량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무재질로 만들어진 제품은 레그 부분이 매우 유연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물내림 조절장치에 적용할 경우에는 폐쇄시에 레버의 작동에 따라 배수 차단장치를 강제적으로 닫는 조절관의 가압에 의해서 차단장치가 원래의 위치에 정확히 안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과 고무재질의 봉합 제품의 경우에는 구조상 조립공정이 단순하지 않은 관계로 전체적인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수 차단장치의 레그와 차단막을 각기 다른 재질로 제조함과 동시에 레그의 후방단에 질량부를 형성함으로써, 개방작동시에 유연함과 최대각도로 제켜질 수 있도록 하고 일단 개방된 후에는 질량부에 의해 갑작스런 닫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닫힐 때에는 플라스틱 레그에 의해 폐쇄위치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는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수 차단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수 차단장치와 조절관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배수 차단장치의 저면을 보인??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차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5a는 개방상태, 5b는 폐쇄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배수 차단장치 12:레그
12a:질량부 12b:힌지공
13:고정링 14:고정링
15:철봉 16:결합공
18:차단막 20:조절관
30:레버 34:보충밸브
44:배수구 50:용수탱크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구를 통해서 변기통에 물을 공급하는 용수탱크를 구비하며, 이 용수탱크의 외부에는 변기통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조작하는 레버가 부착되어 있으며, 용수탱크의 내부에는 외부의 급수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탱크내에 보충하는 보충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고정링을 지니며 힌지에 의해 상기 보충밸브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레그와, 상기 레그의 고정링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는 고무 재질의 차단막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배수 차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고무제품이 갖고 있던 레그의 비틀림 현상에 의한 위치 변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로 다른 재질로 레그와 차단막을 만든 다음, 이들 2개의 부품을 결합시켜 사용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의 배수구 차단장치(10)는 고정링(14)을 지닌 레그(12)를 플라스틱 재질로 만드는 한편, 이 레그(12)의 고정링(14)에 결합되는 차단막(18)은 고무 재질로 만들어 서로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였다.
또한, 배수 차단장치의 완전한 개방을 유도함과 동시에, 배수 완료후에 원활한 닫힘을 유도하기 위하여 레그(12)의 일단에는 질량부(12a)를 형성하였다. 한편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질량부(12a)의 저면에는 위로 파여져 형성된 고정홈(13)을 가지며, 이 고정홈(13)에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철봉(15)이 삽입되어 있다. 이때 고정홈(13)과 철봉(15)을 이용하여 중량을 조절하는 이유는 전술한 레그(12)를 만들 때 소요되는 과다한 경비지출(플라스틱 사출에 의한 과다한 경비지출)과 제작상의 아려움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고정링(14)과 질량부(12a)사이에는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공(12b)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링(14)에는 레버(30)에 의해 작동되는 체인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6)이 구비된 돌출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차단막(18)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홈(18a)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에는 이 끼움홈(18a)이 고정링(14)의 내주면(14b)에 억지 끼워 맞춤됨으로써, 도 2와 같은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2에서 보면, 레그(12)의 고정링(14)에는 차단막(18)의 끼움홈(18a)이 견고하게 끼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좌측에 도시된 레그(12)의 전방 돌출부(14a)에 형성된 결합공(16)에는 연결고리(24)를 개재하여 레버와 연결되어 있는 체인(22)이 결합되어 있다.
도 3에는 이러한 구성의 배수 차단장치와 조절관(20)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관(20)에 내장되어 있는 체인(22)의 하단은 연결고리(24)를 개재하여 레그(12)가 결합되어 있으며, 체인(22)의 상단은 연결고리(26)를 통해서 작동바(28)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30)가 작동되면, 레버(30)의 작동력은 작동바(28)와 조절관(20)내의 체인(22)을 통해서 레그(12)로 전달되며, 그로 인해 레그(12)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되면서 차단막(18)이 들어올려져 배수구(44)를 개방시킨다.
도 5a에서 보면, 레버(30)의 작동으로 작동바(28)가 회동되면서 체인(22)을 통해서 차단막(18)이 들어올려진다 이때, 보충밸브(34)에 장착되어 있는 레그(12)는 힌지(32)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배수구(44)를 통해 배수가 완료되거나 사용자가 레버(30)를 들어올리면,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바(28)가 원래의 상태로 회동되면서 체인(22)이 내려가게 되고, 그로 인해 차단막(18)은 레그(12)의 회동에 따라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배수구(44)를 폐쇄함과 동시에, 보충밸브(34)가 개방되면서 급수관(42)과 덕트(40)를 통해 파이프(22)로 유입된 물이 용수탱크(50)내로 충진되기 공급되기 시작한다. 덕트(26)의 상단에는 부구콕(24)이 끼워져 있다. 용수탱크(50)의 상방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한 덮개(52)가 씌워져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가지 재질로 이루어진 배수 차단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배수 차단장치를 구성하는 레그와 차단막을 각기 다른 재질, 예들 들어 레그를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한 다음, 이 레그에 고무 재질의 차단막을 결합함과 동시에, 레그의 후방단에는 질량부를 형성함으로써, 레그에 형성된 질량부에 의해서 개방시에는 최대 각도로 제켜지도록 함과 동시에 일단 개방된 후에는 갑작스런 닫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레그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있어 닫힐 때에는 종래와 같은 레그의 비틀림 현상을 막을 수 있어 고무재질 차단막을 필요로 하는 기존의 수세식 변기는 물론, 본 출원인이 개발한 양변기의 물내림 조절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부만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므로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종래의 제품에 비해서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하여 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배수구를 통해서 변기통에 물을 공급하는 용수탱크를 구비하며, 이 용수탱크의 외부에는 변기통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조작하는 레버와 조절바가 부착되어 있으며, 용수탱크의 내부에는 외부의 급수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탱크내에 보충하는 보충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보충밸브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레그와;
    상기 레그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를 폐쇠하며, 상기 레그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막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막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일단에는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질량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일단에는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질량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부의 저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철봉이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KR2020000018699U 2000-06-30 2000-06-30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KR200272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99U KR200272520Y1 (ko) 2000-06-30 2000-06-30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99U KR200272520Y1 (ko) 2000-06-30 2000-06-30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140A Division KR100360368B1 (ko) 2000-06-15 2000-06-15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520Y1 true KR200272520Y1 (ko) 2002-04-20

Family

ID=7305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699U KR200272520Y1 (ko) 2000-06-30 2000-06-30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5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250Y1 (ko) 수세식 변기
EP2179096A1 (en) Diverter spout
US3735428A (en) Combination toilet and urinal
KR100360368B1 (ko)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KR200272520Y1 (ko) 양변기의 배수 차단장치
US4028748A (en) Valve seat of a flush valve used in flush tanks and the like
US4002521A (en) Method of forming, mounting and using flush valves for flush tanks and the like
KR0170091B1 (ko) 절수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KR200372410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100664910B1 (ko) 양변기
JPH11510224A (ja) 弁装置
US11866919B2 (en) Fill valve with tank
KR200251220Y1 (ko)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JPH0342133Y2 (ko)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262177Y1 (ko) 수동형 직수 양변기
KR200243490Y1 (ko) 좌변기
JPH0339531A (ja) 水道直結式温水洗浄器
KR200211708Y1 (ko) 변기용 수세장치의 체크밸브 구조
KR200443134Y1 (ko) 역류방지 측면수로를 가지는 원피스 양변기
KR200343795Y1 (ko) 양변기의 절수용 레버 장치
KR950023816A (ko) 좌변기용 물탱크
KR200262715Y1 (ko) 절수형 수동식 직수 양변기
KR200198097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240753Y1 (ko) 커버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