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091B1 - 절수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 Google Patents

절수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091B1
KR0170091B1 KR1019960006832A KR19960006832A KR0170091B1 KR 0170091 B1 KR0170091 B1 KR 0170091B1 KR 1019960006832 A KR1019960006832 A KR 1019960006832A KR 19960006832 A KR19960006832 A KR 19960006832A KR 0170091 B1 KR0170091 B1 KR 0170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tank
water
cam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000A (ko
Inventor
엠. 젠슨 로버트
Original Assignee
프레드릭 씨 파인
아메리칸 스탠다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426,774 external-priority patent/US5647068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426,380 external-priority patent/US5555573A/en
Application filed by 프레드릭 씨 파인, 아메리칸 스탠다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프레드릭 씨 파인
Publication of KR96003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아암에 의해 작동되는 수세 밸브를 포함하는 양변기 탱크내에서 단주기 수세(short flush cycle)및 장주기 수세(long flush cycle)의 양자를 수행하기 위한 이중 수세(dual flush) 장치를 포함하는 양변기 수세 기구(mechanism)와, 양변기 탱크가 오버플로우관및 유입수 조절체를 포함하는 양변기 탱크용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 수세 기구는 캠을 포함하며, 핸들로 작동 가능한 이 캠은 작동 아암에 인접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방향으로 회전시, 캠은 작동 아암을 압압하여 피봇운동시켜서 장주기 수세를 수행한다. 제2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캠이 작동 아암을 압압하여 피봇운동시켜서 단주기 수세를 수행한다. 레버는 작동 아암에 대하여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작동 아암과의 접촉저지가 해제되는 제1위치와, 캠이 제2방향으로 회전시, 레버가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 아암의 복귀를 저지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피봇운동한다. 부이는 소정의 시간을 결정하도록 레버에 연결된다. 캠이 제2방향으로 회전시 부이는 제2위치내로 레버를 피봇운동 시킨다.
한편,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는, 탱크가 수세및 재보충됨에 따른 탱크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이동되도록 오버플로우관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이를 포함한다. 재봉지용 물 호오스는 유입수 조절체로부터 물을 유입시키며 부이에 연결된 자유단부를 포함한다. 재봉지용 물 호오스는 탱크내의 수위에 의해 결정되는 부이의 위치에 따라 탱크 및 오버플로우관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물을 향하게 한다.

Description

절수 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라 구성된 이중 수세 기구(dual flush mechanism)및 재봉지용 물 호오스 조립체(reseal water hose assembly)가 설치된 부분 절단 도시한 양변기 탱크를 갖는, 양변기의 정면도이다.
제2도는 탱크 뚜껑을 제거한 제1도의 양변기 및 탱크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라 구성된 이중 수세 기구의 후방 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이중 수세 기구의 분해 조립사시도이다.
제5도는 수세 주기(flush cycle)의 개시전 단계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수세 기구의 배면도이다.
제6도는 장주기 수세(long flush cycle)를 개시하기 위하여 핸들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수세 기구의 배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7-7선 단면도이다.
제8도는 단주기 수세(short flush cycle)를 개시하기 위하여 핸들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수세 기구의 배면도이다.
제9도는 제8도의 이중 수세 기구의 부분평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라 구성된 재봉지용 물 호오스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제11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주기 및 단주기 수세중 재봉지용 물 호오스의 작동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양변기 21 : 변기통
22 : 양변기 뚜껑 23 : 탱크 뚜껑
24 : 오버플로우관(overflow tube)
30 : 이중 수세 기구(dual flush mechanism)
31 : 축 32 : 핸들
33 : 개구 34 : 작동 레버
35 : 제1아암 35a : 자유단부(free end)
36 : 제2아암 38 : 지지판
38a : 개구 39b : 핀
40 : 나선 너트 또는 에스커쳔(escutcheon)
42 : 캠 43 : 제1돌출부 또는 긴 돌출부
44 : 제2돌출부 또는 짧은 돌출부
50 : 트랩통로 재봉지 조립체(trapway reseal assembly)
52 : 재봉지용 물 호오스 53 : 클립
54 : 재봉지용 부이 55 : 이탈방지핀
56 : 비산방지용 막이 60 : 수세 밸브
62 : 수세 밸브 시이트 64 : 수세 밸브 플랩퍼(flapper)
66 : 체인 67 : 부이
70 : 유입수 조절 조립체(water inlet control assembly)
79 : 핀 80 : 단수세 레버(short flush lever)
81 : 죠인트 82, 83 : 나사 또는 핀
84 : 부분 수세 부이(partial flush float)
86 : 부이 로드(float rood) 86a : 반부
86b : 날개 86c : 날개
87 : 구멍(별형상 개구) 90 : 벽체 스톱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절수 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단주기 및 장주기 수세(short and long cycle flush) 양자 모두에 유효하게 사용되는 이중 수세 기구(dual flush mechanism)를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toilet flush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재용지용 물 호오스(reseal water hose)로부터 탱크 오버플로우관(overflow tube)내로 물을 선택적으로 향하게 하는 양변기 트랩통로 재봉지(trapway reseal)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이중 수세 기구들이 근래 수년간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수세 기구들은 고형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완전 수세나 장주기 수세(full or long flush cycle), 또는 완전한 수세 주기의 사용을 요하지 아니하는, 수세중 물을 절약하기 위한 액상 폐기물 처리용의 부분 수세나 단주기 수세(partial or short flush cycle)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물과 같은 천연 자원의 보존은 중요하며, 수세에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는 양변기가 매우 바람직하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중 수세 기구(mechanism)는 2가지의 개괄적인 범주로 나뉘어진다. 첫번째 유형의 장치로는 2개의 별개적인 수세 밸브를 이용하는 이중 수세 기구를 들 수 있다. 완전 수세용으로 사용되는 수세 밸브는 단주기 수세용으로 사용되는 수세 밸브보다 탱크내의 더 낮은 평면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유형의 이중 수세 기구 구성의 일례로서는 브라운(Brown)에 대한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 1,960,864 호를 들 수 있다. 브라운은 상기 특허에서 서로 다른 길이의 2개의 트립(trip) 레버 아암이 공통의 받침점을 가지며 핸들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독립적으로 피봇 운동하는 양변기 수세용의 이중 수세 밸브 작동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두번째 유형의 이중 수세 기구는 특징적으로, 2개의 별개로 된 핸들을 포함하며, 하나는 장주기 수세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는 단주기 수세를 수행한다. 양 핸들의 작동은 탱크속의 단 하나의 수세 밸브를 각기 상이한 높이로 들어올리게 된다.
예컨대, 하니(Harney)에 대한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 4,881,279 호는 2개 핸들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첫번째 핸들을 돌리면 정식적인 완전한 수세가 일어나고, 두번째 핸들을 돌리면 수세 밸브가 부분적으로 상승하여 단주기 또는 부분적인 수세가 일어난다. 하니는 단주기 수세를 수행하기 위한 복잡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레스터(Lester)에 대한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 2,001,390호는 단주기 수세중에 수세 밸브를 부분적으로 상승된 위치로 유지하기 위하여 수세 밸브의 로드를 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단일 핸들을 갖는 양변기에 익숙하며, 대부분의 양변기는 양변기 탱크 구조의 일부로서 단일 수세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단주기 또는 장주기 수세의 양자를 수행하는 단일 핸들로 작동되는 단일 수세 밸브를 갖는 양변기 탱크용의 개선된 이중 수세 장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통상적인 양변기 탱크를 개조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이중 수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양변기 탱크에서 다른 원인에 의한 물의 낭비는 재봉지용 물 호오스를 통해서 일어난다. 양변기가 수세된 후, 탱크는 새로운 물로 재보충되어져야만 한다. 게다가, 트랩통로가 확실하게 재봉지되도록 탱크를 새로운 물로 재보충하는 동안 약간의 물을 변기통이나 트랩통로에 공급하여야만 한다. 종래의 양변기에 있어서는, 재봉지용 물 호오스가 탱크 유입수 제어부로부터 연장되며, 탱크가 물로 재보충되는 전시간 동안 물을 탱크 오버플로우관(변기통 또는 트랩통로로 유입시키는)내로 향하게 한다. 이것은 물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며, 그 이유는 일단 트랩통로가 재봉지되면 초과량의 물이 수세로(水洗路)내로 흐르게 되기 때문이다.
더우기, 양변기 탱크내의 이중 수세 장치는 2가지의 다른 재보충 방식이 요구되므로 물 흐름 작동을 복잡하게 한다. 장주기 수세 지속후의 재보충 주기는 이중 수세 적용에 있어서의 단주기 수세 지속 시간보다 더 크므로, 장주기 수세후에 양변기통내의 트랩통로가 확실하게 재봉지되게 하는데 사용되는 재봉지용 물의 양은 단주기동안 트랩통로를 재봉지되게 하는데 사용되는 물의 양보다 전형적으로 횔씬 크다. 이것은 불충분한 보충 상태에서의 트랩통로 봉지로 귀결될 수 있어서, 단주기 수세시 위생상의 해악을 초래할 수도 있다. 한편, 장주기 수세중에 있어서는, 예컨대, 과도하게 보충된 상태에서 트랩통로가 봉지되어, 탱크를 재보충하고 고형 폐기물을 수세시키는데 있어 양호하게 사용되어야 할 물이 낭비될 수도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물 봉지 구조는 재봉지용 호오스로부터 야기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물의 낭비문제를 확인시켜 왔으며,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으나 완전히 만족스러운 방안은 결코 없었다. 예컨대, 라자르(Lazar)에 대한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 5,341, 520 호는 변기통의 재보충시 오버플로우관으로부터 재보충용 호오스가 선택적으로 수평 이동되는 이동 가능한 플랫폼 구조상에 재봉지용 호오스의 단부가 지지되는 이중 용량의 양변기 수세기를 제안하고 있다. 컴파레티(Comparetti)에 대한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 4,910,812 호는 수세 주기의 일부 중에 재봉지용 물 호오스 경로의 외부로 오버플로우관이 피봇 운동하는 복잡한 양변기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장주기 및 단주기 수세동안 동일한 양의 물을 제공하는 한편, 수세 주기 부분 동안에는 재봉지용 물 호오스로부터의 물을 탱크내고 향하게 한 후, 재봉지용 물 호오스로부터의 물을 오버플로우관내로 향하게 하여 트랩통로를 재봉지시킬 수 있는, 허용 가능하고 신뢰성 있으면서도 단순한 재봉지용 물 호오스 조립체는 제공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줄이고 보다 효율적인 재보충 주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양변기 탱크의 보충을 보조하는 개선된 재봉지용 물 호오스 조립체가 요망되고 있다. 이외에도, 수세 주기에 관계없이 적절한 부피의 재봉지용 물을 트랩통로로 이송시키며, 재봉지용 물 호오스로부터 흘러나오는 초과량의 물을 탱크내로 직접 다시 향하게 하여 이용할 수 있는 트랩통로 재봉지용 조립체가 요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주기 수세 및 단주기 수세 양자를 수행하기 위한 피봇운동 가능한 작동 아암에 의해 작동되는 수세 밸브를 갖는 양변기 탱크용 이중 수세 장치가 제공된다. 이 이중 수세 장치는 양변기 탱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작동 아암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캠을 포함한다. 이 캠은, 제1의 방향으로 회전시, 작동 아암을 압압하면서 작동 아암이 피봇운동하도록 작용하여 장주기 수세를 수행한다. 캠이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 캠은 작동 아암을 압압하면서 작동 아암이 피봇운동하도록 하여 단주기 수세를 수행한다. 이중 수세 장치는 또한 레버를 포함하며, 이 레버는 작동 아암과의 접촉저지가 해제되는 제1의 위치와, 캠이 제2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 아암이 부분적으로 들려진 위치에서 유지될 때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 아암의 동작을 저지하는 제2의 위치 사이에서 작동 아암에 대하여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부이는 소정의 시간을 결정하도록 레버에 연결된다. 캠이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 부이는 제2의 위치로 레버를 피봇운동하도록 작용한다.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있어서, 이중 수세 장치는 제1의 방향 및 제2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캠을 회전시키는 단일 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트랩통로 재봉지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우넛 형상의 부이가 탱크내의 수위(水位) 변화에 따라 양변기 탱크내의 오버플로우관 내면을 따라 떠있다. 재봉지용 물 호오스의 단부는 부이의 상방에 지지되며 부이의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탱크 또는 오버플로우관내로 물을 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수 특성을 갖는 개선된 양변기 수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주기 수세와 장주기 수세 양자 모두를 수행함에 있어 단일 핸들로 작동되는 단일 수세 밸브만을 필요로 하는, 양변기 탱크내에 사용되는 개선된 이중 수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줄이는 개선된 양변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선된 트랩통로 재봉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주기 수세와 단주기 수세 양자를 구비한, 양변기내에 사용되는 개선된 트랩통로 재봉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줄이며 더욱 효율적인 재보충 주기를 수행하기 위하여 양변기 탱크의 보충을 보조하는 개선된 트랩통로 재봉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세 주기에 관계없이 동등한 양의 재봉지용 물을 트랩통로로 운반하며 재봉지관으로 부터 흘러나오는 블필요한 물을 재방향 설정함에 의해 직접 탱크내로 향하게 하여 이용하는 개선된 트랩통로 재봉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의 양변기 탱크내에 개조되어 설치될 수 있는, 절수 특성을 가진 양변기 수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본 명세서를 통하여 명백하고도 분명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중에 예시되어 있는 구성부들의 배열, 구성요소들의 조합, 구성상의 특징들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영역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양변기 탱크(22)와 변기통(21)을 갖는, 도면부호 20으로 전체를 나타낸 양변기를 도시하고 있다. 양변기 탱크(22)는 제거 가능한 탱크 뚜껑(23)을 포함한다. 또한, 양변기 탱크(22)는 전체를 도면부호 30으로 표시한 이중 수세 기구와, 전체를 도면부호 50으로 표시한 트랩통로 재봉지 조립체를 포함하며, 양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다.
유입수 조절 조립체(70)는, 수세가 일어난 후 새로운 물로 양변기 탱크(22)를 재보충하는 것을 조절하기 위해서 탱크내에 설치된다. 약간의 새로운 물이 탱크 재보충시에 재봉지용 물 호오스(52)에 공급된다. 탱크(22)는 변기통(21) 또는 탱크 밑의 양변기 트랩통로로 직접 물을 안내하는 오버플로우관(24)클 포함한다. 탱크(22)는 전체를 도면부호 60으로 표시한 수세 밸브를 또한 포함하며, 탱크가 수세될 때 탱크(22)로부터 변기통(21)까지 물을 흐르게 하는 도관이 연결 설치된다. 수세 밸브(60)는 밸브 시이트(62)와 밸브를 개폐하는 피봇운동 가능한 수세 밸브 플랩퍼(64)(flapper)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제3도 및 제4도는 이중 수세 기구(3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중 수세 기구(30)는 탱크(22) 외측의 핸들(32)로 작동되며, 화살표 A의 방향인 시계반대방향(탱크 외측에서 볼 때)으로 회전시키면 장주기 또는 완전 수세 주기가 일어나고, 화살표 B의 방향인 시계방향(탱크 외측에서 볼 때)으로 회전시키면 단주기 또는 부분 수세 주기가 일어난다.
이중 수세 기구(30)는 제1아암(35) 및 제2아암(36)을 갖는 L자 형상의 피봇운동 가능한 작동 레버 또는 아암(34)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있어서, 제1아암(35)은 제2아암(36)보다 더 길다. 작동 레버(34)의 제1아암(35)의 자유단부(35a)는 체인 또는 다른 가요성의 연결체(66)로 수세 밸브(60)의 플랩퍼(64)에 연결된다. 제1아암의 자유단부(35a)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다수의 개구(33)를 포함하므로, 원하는 위치의 개구(33)에 체인(66)을 부착시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은 장주기 수세중에 플랩퍼(64)를 열린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중 수세 기구(30)는 피봇운동 가능한 L자 형상의 벨크랭크(bellcrank) 형태로 된 단수세 레버(80)를 또한 포함한다. 부분 수세 부이(84)는 부이 로드(86)를 통하여, 바람직하게는 다른 고정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기는 하지만, 나선 나비너트(87a)를 사용하여 단수세 레버(80)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수세 기구(30)는 양변기 탱크(22), 바람직하게는 그 전면 벽에 장착될 수 있다. 더우기, 정확한 장착 위치는 당연히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나, 핸들(32)에 대한 접근의 중요성 및 이중 수세 기구(30)가 종래의 탱크내에 설치된 기존 구조물과 장애를 일으키도록 장착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형적인 일구체예에 있어서는, 개구가 양변기 탱크(22)의 전면 벽체에 형성되며, 그에 의해서 지지판(38)과 나선너트 또는 다른 형태의 에스커쳔(escutcheon)(40)사이에 탱크 벽체를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이중 수세 기구(30)가 탱크 벽체에 장착된다. 지지판(38)은 핸들(32)과 함께 회전하는 축(31)이 연장되는 개구(38a)를 포함한다. 그러나, 지지판(38)이 양변기 탱크 그 자체의 내벽 일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핸들(32)은 축(31)을 통해서 이중 수세 기구(30)에 연결된다. 제1돌출부(43)와 제2돌출부(44)를 갖는 비대칭 편자(shoe) 형태의 캠(42)은 축(3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나사등을 사용하여 축(31)에 고정된다. 캠(42)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작동 레버(34)와 접촉하여 작동 레버(34)를 들어올리게 기능할 수 있는 것이라면, 강남콩 형상과 같은 다른 선택적 형상으로 형상화될 수도 있다. 그러나, 회전정도가 상이한 바와 같은, 단일 핸들 작동의 다른 형태도 상이한 수세 주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전형적인 일구체예에 있어서, 작동 레버(34)는 지지판(38)으로부터 연장된 핀(38b)에 의해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장착구조는 지지판(38)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상에서 작동 레버(34)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작동 레버(34)의 아암(35),(36)은 상호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작동 레버(34)가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아암(35)은 단일 부재일 수도 있으며, 또한 제1아암(35)이 제2아암(36)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죠인트(7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사등과 같은 핀(79)은 죠인트(78)의 일부로서 장착되어 작동 레버(34)의 절단 단부를 상호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이중 수세 기구는, 아암(35)의 자유단부(35a)가 실질적으로 수세 밸브 플랩퍼(64)의 적어도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최상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기재하는 바와 같이, 작동 레버(34)가 들려지는 경우 배수 밸브 플랩퍼(64)는 수세 밸브 시이트(62)로부터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아암(35)의 자유단부(35a)가 수세 밸브 플랩퍼(64) 상방에 위치하면,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수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죠인트(78)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제1아암(35)은 죠인트(78) 주위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아암(35)의 자유단부(35a)는 탱크내의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장애를 회피할 수 있는 원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단수세 레버(80)는 맞춤못, 나사 또는 핀(85)등을 사용하여 죠인트(81)를 통해 지지판(38)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단수세 레버(80)는 작동레버(34)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지지판(38)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단수세 레버(80)는 2개의 레그(82)(83)를 포함한다. 레그(83)는 부이 로드(86)에 연결된다. 부분 수세 부이(84)는 부이 로드(86)상에서 활주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서, 이미 존재하는 종래의 양변기 탱크내에 수용 가능하며 단주기 수세의 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부분 수세 부이(84)를 부이 로드(86)를 따라 수동으로 재위치 설정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종래의 양변기내에서 이중 수세 기구가 작동되도록 배치할 수가 있다.
게다가, 특히 제4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이 로드(86)는 다양한 방향으로 레그(83)에 장착될 수 있다. 이점을 고려하여, 레그(83)가 별형상 개구(87)를 가지고 있어서 부이 로드(86)의 단부(86a)가 다양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부이 로드(86)의 단부(86a)는 구멍(별형상 개구)(87)에 수납되는 날개(86b)(86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위치된 다음에는, 나비너트(87a)를 사용하여 부이 로드(86)를 제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벽체 스톱퍼(90)는, 이하에서 언급하는 바와 같이, 캠(75)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탱크가 가득 채워진 경우의 수세 진행전 형상을 도시한 제3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수세 레버(80)의 레그(82)는 부분 배수 부이(84)가 탱크내의 수위에 의해 들려 질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작동 레버(34)의 제2아암(36)에 대해 기대어진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수세 기구의 장주기 또는 완전수세를 수행하는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장주기 또는 완전 수세는 핸들(32)을 화살표 A 방향의 시계반대방향(양변기 전면에서 볼때)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개시된다. 핸들(32)의 이러한 회전으로 축(31)도 회전하며, 캠(42)도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어한 회전으로 캠(42)의 긴 돌출부(43)가 작동 레버(34)의 제2아암(36) 상부와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제1아암(35)이 들려지게 됨에 따라 체인(66)이 끌어당겨져 플랩퍼(64)를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부이(67)는 낮아진 물(W)표면까지 끌어당겨 올려진다.
작동 레버(34)가 회전될 수 있는 각도 및 아암(35)에 의해 도달되는 최대 높이는 벽체 스톱퍼(90)에 의해 제한된다. 원호상의 형태로 나타낸 벽체 스톱퍼(90)는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판(38)에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핸들(32)이 화살표 A(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의 방향인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캠(42)의 짧은 돌출부(44)는 벽체 스톱퍼(90)의 하단부와 접촉되며, 이에 의해서 캠(42)및 핸들(32)이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장주기 또는 완전 수세 상태에서는, 수세 밸브 플랩퍼(64)가 완전 개방 또는 부력에 의한 부양 위치로 위치 변경되며, 이에 의해서 탱크내의 물이 변기통내로 흘러들어가 비워지고 변기통도 수세된다. 탱크내의 수위가 떨어지게 됨에 따라, 부이(67)도 더욱 낮아지게 된다(그러나, 여전히 물의 표면상에 위치함), 작동 레버(34)도 원래의 위치까지 낮아지게 된다. 수위가 소정의 높이까지 떨어지게 되면, 수세 밸브 플랩퍼(64)는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닫혀지고 수세 밸브 시이트(62)를 재봉지시키게 되므로, 완전 수세 주기가 종료된다. 이어서, 탱크는 재보충되기 시작한다.
탱크가 채워진 경우의 수세 진행전 상태에 있어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82)가 수세 부이(84)의 부력에 기인하여 작동 레버(34)의 아암(36) 측면을 압압한다. 장주기 수세가 개시될 때,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수세 레버(80)가 화살표 C 방향으로 핸들(32)을 향해서 1차적으로 회전하며, 탱크가 비워진 후 작동 레버(3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장주기 수세가 시작된 후에는 탱크내의 물이 수세 밸브를 통하여 변기통으로 이송됨에 따라 탱크내의 수위도 떨어지기 시작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부분 수세 부이(84)도 밑으로 점차 떨어지게 되며, 수세 밸브 플랩퍼(64)가 수세 밸브 시이트(62)를 덮어 봉지하기에 앞서 단수세 레버(80)는 작동 레버(34)의 아암(36)의 경로로부터 벗어나 핸들(32)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한다. 따라서, 단수세 레버(80)의 존재는 장주기 수세 또는 완전 주기 수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부터는, 단수세 주기동안에 본 발명의 이중 수세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는 제8도 및 제9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부분 수세 또는 단주기 수세는 핸들(32)을 화살표 B(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개시된다. 핸들(32)의 회전에 따라 축(31)이 회전되어, 캠(42)의 짧은 돌출부(44)가 작동 레버(34)의 제2아암(36)의 하부와 접촉하게 되며, 그에 따라 작동 레버(34)의 제1아암(35)이 장주기 수세시의 소정 높이보다 더 낮은 제2의 소정의 위치로 들어올려진다.
회전 정도 및 들어올려지는 높이는 벽체 스톱퍼(90)에 의해 또한 제한된다. 긴 돌출부(43)가 시계방향으로 벽체 스톱퍼(90)의 상부와 접촉되어 작동 레버(34)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수세 밸브 플랩퍼(64)는 장주기 수세 작동시에 들어올려지는 것만큼의 높이로 수세 밸브 시이트(62)로부터 들어올려지지는 않는다. 더우기, 부이(67)가 수면까지 충분히 들어올려지지 않으므로, 장주기 수세에 있어서와 같이 부이 부양력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체인(66)의 장력만에 의해서 수세 밸브 플랩퍼(64)가 열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작동 레버(34)가 들어올려지자마자, 부분 수세 부이(84)의 부양력에 의해서 단수세 레버(80)의 레그(82)가 핸들(32)쪽으로 회전하여,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2)의 표면을 압압한다. 핸들(32)을 놓을 경우, 단수세 레버(80)는 작동 레버(34)의 제2아암(36)의 내표면(36a)과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작동 레버(34)의 제1아암(35)이 더이상 밑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막으면서 상승된 위치에서 유지되게 하여 물이 탱크로부터 변기통으로 흐를 수 있도록 수세 밸브 플랩퍼(64)가 부분적으로 열려진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단주기 수세가 개시된 후에는 수위가 떨어지기 시작한다.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부분 수세 부이도 탱크내의 상승하는 수위로 점차 낮아지게 된다. 소정의 수위에서, 부분 수세 부이(84)가 충분한 거리만큼 밑으로 떨어져서 단수세 레버(80)가 뒤로 회전하게 하며, 따라서, 작동 레버(34)의 아암(36)으로부터 레그(82)가 떨어지게 되고, 이에 의해서 작동 레버(34)가 밑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어서, 수세 밸브 플랩퍼(64)가 닫혀 재봉지되어 부분 수세 또는 단주기 수세가 종료된다.
종래의 방식으로 탱크내에 물이 재보충됨에 따라, 부분 수세 부이(84)가 탱크내에서 상승되고 단수세 레버(80)의 레그(82)가 그 피봇축 주위로 회전하여 다음 수세 작동을 위한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사용자가 단일 수세 밸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 단일 핸들을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완전 수세 또는 부분 수세를 선택할 수 있는 이중 수세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절수 가능한 개선된 이중 수세 기구가 제공된다. 완전 수세는 단일 핸들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행된다. 이러한 회전은 캠 또는 회전 편자(shoe)가 작동 아암과 접촉하게 하며, 이에 의해 시이트로부터 수세 밸브를 들어올리게 한다. 작동 아암의 상향 운동은 스톱퍼에 의해 제한된다.
부분 수세를 위해서는, 핸들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은 캠이 작동 레버와 접촉하게 하나, 작동 레버를 덜 들어올리게 한다. 마찬가지로, 작동 아암의 상향 운동은 스톱퍼에 의해 제한된다. 핸들을 놓으면, 단수세 레버가 부분적으로 들려진 상태에서 그 작동을 일시적으로 멈추게 되며, 그에 의해서 물이 탱크로 부터 변기통으로 흐르게 되도록 수세 밸브가 그 시이트로부터 들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탱크내에서의 수위가 떨어짐에 따라 부분 수세 부이도 밑으로 떨어지게 되어, 작동 레버와 접촉하고 있는 단수세 레버가 작동 레버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것은 작동 아암이 수세 진행전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하여, 플랩퍼를 수세 밸브 시이트 상에 재봉지시키게 된다. 탱크를 물로 재보충시킴에 따라, 부분 수세 부이가 상승하여 다음 수세 주기를 준비할 수 있도록 단수세 레버를 회전시켜, 작동 레버와 접촉시킨다.
이하, 트랩통로 재봉지 조립체(50)를 도시하고 있는 제10도 내지 제14도에 관하여 특별히 설명하기로 한다. 조립체(50)는 재봉지용 부이(54)에 연결된 자유단부(52a)를 갖는 재봉지용 물 호오스(52)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있어서, 재봉지용 물 호오스(52)는 클립(53)등의 수단으로 재봉지용 부이(54)에 연결된다. 재봉지용 부이(54)는 도우넛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버플로우관(24)을 따라 활주가능하게 부양되어 지지된다. 오버플로우관(24)은 이탈방지핀(55)(제10도 참조)을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재봉지용 부이(54)가 오버플로우관(24)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외에, 오버플로우관(24)은 호오스(52)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제대로 흐를 수 있게 보조하기 위한 비산방지용막이(56)(제10도 참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랩통로 재봉지 조립체(50)의 작동을 도시하고 있는 제11도 내지 제14도에 대하여 특별히 설명하기로 한다.
탱크가 만수위인 경우의 수세 진행전 형태에 있어서, 부이(54)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이 위치에서, 자유단부(52a)는 물을 오버플로우관(24)으로 향하게 하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수세 진행전 상태에서 물은 전혀 흘러나오지 않으며, 그 이유는 물 유입 조절 밸브가 닫혀있기 때문이다.
장주기 또는 단주기 수세가 개시된 후, 탱크내의 물이 양변기통내로 흘러 비워지게 됨에 따라 재봉지용 부이는 탱크 수위와 함께 낮아지기 시작한다. 제11도에 나타낸 거리 X는 재봉지용 부이(54)가 단주기 수세 동안에 떨어지는 거리를 나타내며, 한편, 거리 Y는 장주기 수세시에 떨어지는 거리를 나타낸다. 일단, 부이(54)가 제12도에 나타낸 수준까지 떨어지면, 재봉지용 물 호오스(52)는 오버플로우관(24)의 외륜밑에 위치하게 되므로 재봉지용 물 호오스(52)로부터 나온 물은 탱크내로 향하게 된다.
플랩퍼가 닫혀진 후 탱크가 재보충됨에 따라, 재봉지용 부이는 상승하기 시작하게 된다. 재봉지용 물 호오스(52)로부터 나온 물은 부이가 제13도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탱크내로 계속 향하게 되며, 부이가 제13도의 위치에 도달하면 물은 오버플로구관내로 향하기 시작한다. 재봉지용 물이 최초로 오버플로우관내로 다시 향하게 되는 위치는 양 수세 주기후에 있어서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양의 재봉지용 물이 트랩통로를 봉지시키는데 사용된다는 사실을 특히 주목하여야 한다. 수위가 계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재봉지용 물 호오스(52)는,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이 오버플로우관(24)내로 직접 흐를 수 있도록 다시 오버플로우관(24) 위에 위치된다. 탱크가 만수위에 이를 때까지 물은 오버플로우관내로 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트랩통로 재봉지 조립체는 재봉지용 물 호오스로부터 나온 과량의 물이 탱크를 재보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물이 수세 주기의 길이에 관계없이 오버플로우관을 통하여 트랩통로로 운반된다.
재봉지용 물 호오스가 오버플로우관을 따라 부양하는 부이상에 장착되는 트랩통로 재봉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양변기의 트랩통로를 봉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체적의 재봉지용 물이 수로를 통해 운반되는 개선된 이중 수세 양변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수세 주기에 관계없이, 물이 재봉지용 부이의 위치에 따라 방향 조정되며, 부이의 위치가 탱크내의 수위에 따라 위치 선정되는 트랩통로 재봉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개선된 봉지 조립체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앞에서 설명하였으며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명백한 사항들을 효율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정신 및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상기한 구성에 있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설명에 포함되고 첨부도면에 나타난 모든 사항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예시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 것임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또한,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모든 일반적인 특징 및 특수한 특징과 언어상 본 발명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 본 발명의 영역에 관한 모든 진술을 보호하고자 의도된 것임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Claims (28)

  1. 단주기 수세(short flush cycle)와 장주기 수세(long flush cycle)의 양자를 수행하기 위한 피봇운동 가능한 작동 아암에 의해 작동되는 수세 밸브를 가지며, 하기의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양변기 탱크용 이중 수세(dual flush) 장치: 상기 작동 아암에 인접하게 상기 양변기 탱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 상기 캠이 제1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작동 아암이 피봇운동하도륵 상기 작동 아암을 압압하여 상기 수세 밸브를 작동시켜서 장주기 수세를 수행하고, 상기 캠이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작동 아암이 피봇운동하도록 상기 작동 아암을 압압하여 상기 수세 밸브를 작동시켜서 단주기 수세를 수행하는, 제1및 제2의 방향으로 상기 캠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상기 작동 아암의 운동이 저지되지 않는 제1의 위치와 상기 캠이 상기한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작동 아암의 운동을 부분적으로 저지하도록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작동 아암과 접촉하게 되는 제2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작동 아암에 대하여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및; 상기한 소정의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캠이 상기한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레버를 상기한 제2의 위치로 피봇운동시키는 부이.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 아암이 L자 형상이고, 수세 밸브에 연결되는 제1아암과, 캠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2아암을 포함하는 이중 수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아암이 제2아암에 대하여 조절 가능한 이중 수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캠이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갖는 비대칭형 편자(shoe)인 이중 수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돌출부가 작동 아암과 접촉하여 장주기 수세를 수행하며, 제2돌출부가 작동 아암과 접촉하여 단주기 수세를 수행하는 이중 수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핸들에 의한 캠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stop)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이중 수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돌출부가 작동 아암과 접촉시, 제2돌출부가 캠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 수단과 접촉되는 이중 수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2돌출부가 작동 아암과 접촉시, 제1돌출부가 캠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 수단과 접촉되는 이중 수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레버가 L자 형상이고, 제1레그와 제2레그를 포함하며, 부이가 상기 제2레그에 연결되는 이중 수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레버의 제1레그가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 아암의 원래 위치로의 복귀를 저지하는 이중 수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부이가 상기 부이를 지지하기 위한 연장된 로드(rod)를 포함하며, 상기 부이가 상기 연장된 로드를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 선정 가능한 이중 수세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부이가 상기 부이를 지지하기 위한 연장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적어도 2가지의 다른 방향으로 제2레그에 연결 가능한 이중 수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레그가 별형상 개구를 포함하며, 로드가 상기 개구내에 선택적으로 위치 선정 가능한 단부를 갖는 이중 수세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작동 아암이 자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아암의 상기 자유단부와 수세 밸브 사이의 연결체(linkage)를 또한 포함하는 이중 수세 장치.
  15. 양변기 탱크가 수세 밸브를 포함하고, 이중 수세 장치가 단주기 수세및 장주기 수세의 양자를 수행하는 단일 핸들의 운동에 의해 작동되며, 하기의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양변기 탱크용 이중 수세 장치: 지지 부재; 단주기 수세 및 장주기 수세의 양자를 개시시키기 위한 상기 수세 밸브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운동 가능한 작동 아암;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위치로 회전시 상기 작동 아암을 압압하여 피봇운동시켜서 장주기 수세를 수행하고, 제2위치로 회전시, 상기 작동 아암을 압압하여 피봇운동시켜서 단주기 수세를 수행하는 캠; 상기한 제1위치 및 상기한 제2위치로 상기 캠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 제1의 방향과 제2의 방향 사이에서 피봇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캠이 상기한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작동 아암의 피봇운동을 제한하도록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작동 아암과 맞물리는 레버 및; 상기한 소정의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캠이 상기한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레버를 상기한 제2위치로 피봇운동하도록 작용하는 부이.
  16. 제15항에 있어서, 작동 수단이 캠을 제1및 제2위치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는 이중 수세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작동 아암이 죠인트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 아암을 양변기 탱크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이중 수세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부이가 레버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 선정 가능한 이중 수세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캠이 제1 및 제2위치를 넘어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지지 부재상의 정지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이중 수세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정지 수단이 원호상의 돌출부인 이중 수세 장치.
  21. 양변기 탱크가 위치 이동 가능한 수세 밸브를 포함하고, 이중 수세 장치가 단주기 수세 및 장주기 수세의 양자를 수행하는 핸들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양변기 탱크용 이중 수세 장치에 있어서, 제1아암 및 제2아암을 갖는 피봇운동 가능한 작동 레버, 상기 작동 레버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제1의 방향및 제2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캠, 상기 작동 레버에 대하여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레그(leg)및 제2레그를 갖는 단수세 레버 및, 상기 단수세 레버의 상기 제1레그가 상기 작동 레버의 상기 제2아암과 맞물려 그 동작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제2위치와 제1위치로 상기 단수세 레버를 경사시키기 위한 상기 단수세 레버의 상기 제2레그에 연결되는 부이로 구성되고; 상기한 제1의 방향으로 상기 캠의 운동시, 상기 캠이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아암을 압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아암이 제1의 높이까지 들어올려져서 상기 수세 밸브를 제1의 소정 시간동안 위치 변경시키며; 상기한 제2의 방향으로 상기 캠의 운동시, 상기 캠이 제2위치에서 상기 제2아암을 압압하고, 그에따라 상기 제1아암이 제2의 높이가지 들어올려지며, 상기 단수세 레버의 상기 제1레그가 상기 제2아암의 운동경로내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작동아암의 하방으로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억제하게 하는, 이중 수세 장치.
  22. 양변기 탱크가 오버플로우(overflow)관 및 유입수 조절체를 포함하는 양변기 탱크용 트랩통로 재봉지(trapway reseal)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탱크가 수세 및 재보충됨에 따른 상기 탱크내의 수위변동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이와, 상기 유입수 조절체로부터 물을 받아들이며, 상기 부이에 연결되는 자유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탱크내의 수위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부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탱크 및 상기 오버플로우관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물을 향하게 하는 재봉지용 물 호오스로 구성되는 트랩통로 재봉지(trapway reseal)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재봉지용 물 호오스가 물을 탱크내로 향하게 하는 수위까지 양변기 탱크가 수세된 후에, 부이가 위치 하락하는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양변기 탱크가 수세된 후에 재보충됨에 따라 부이가 상승하며, 상기 부이가 소정 높이에 도달시, 재봉지용 물 호오스가 물을 오버플로우관내로 향하게 하는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소정 높이가 조절 가능한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
  26. 유입수 조절체(water control)로부터 탱크내로 물을 통수시키는 재봉지용 물 호오스 및 오버플로우관을 갖는 양변기 탱크용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탱크내의 수면에 떠 있으며 상기 탱크내의 수위 변화에 따라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부이와, 상기 부이가 상기 탱크내의 적어도 소정 높이에 도달했을 때에만 상기 재봉지용 물 호오스가 물을 상기 오버플로우관내로 선택적으로 향하게 되도록, 상기 부이에 상기 재봉지용 물 호오스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구성되는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부이가 소정 높이에 도달시, 재봉지용 물 호오스가 물을 소정의 시간동안 오버플로우관내로 향하게 하는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이 조절 가능한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
KR1019960006832A 1995-04-21 1996-03-14 절수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KR0170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26,380 1995-04-21
US8/426,380 1995-04-21
US8/426,774 1995-04-21
US08/426,774 1995-04-21
US08/426,774 US5647068A (en) 1995-04-21 1995-04-21 Toilet flushing device with water saving features
US08/426,380 US5555573A (en) 1995-04-21 1995-04-21 Toilet flushing device with water saving fea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000A KR960038000A (ko) 1996-11-19
KR0170091B1 true KR0170091B1 (ko) 1999-02-18

Family

ID=2702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832A KR0170091B1 (ko) 1995-04-21 1996-03-14 절수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0170091B1 (ko)
CN (2) CN1080799C (ko)
CA (1) CA2174587C (ko)
TW (1) TW2848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6669B2 (en) 2008-04-10 2014-08-19 Kohler Co. Toilet flush valve with reducing cross section valve seat
MX2011001586A (es) * 2008-08-11 2011-03-15 Fluidmaster Valvula desviadora con fuerzas de predisposicion minimas.
WO2012068458A1 (en) * 2010-11-19 2012-05-24 Kohler Co. Toilet trip lever assembly
CN109098235B (zh) * 2018-09-08 2024-01-19 广东省卡地尔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止溢流管溅水的冲水箱排水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84817B (en) 1996-09-01
KR960038000A (ko) 1996-11-19
CN1080799C (zh) 2002-03-13
CA2174587A1 (en) 1996-10-22
CN1367298A (zh) 2002-09-04
CN1144865A (zh) 1997-03-12
CA2174587C (en) 1999-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19912A (en) Toilet tank flush valve
CA2133309C (en) Dual flush mechanism
US5555573A (en) Toilet flushing device with water saving features
US5647068A (en) Toilet flushing device with water saving features
US4318194A (en) Water closet diverter valve
US4173801A (en) Apparatus for flushing toilets
KR0170091B1 (ko) 절수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US3823425A (en) Toilet tank discharge control for selectively discharging variable amounts of water
JP2008223219A (ja) 直立式洋式便器用の補助水槽装置
CA2014019C (en) Accelerated rim wash for a toilet
KR101072565B1 (ko)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US5117514A (en) Improved toilet-tank flapper valve
US5680659A (en) Water conserving toilet flush mechanism
US3466674A (en) Toilet flush mechanism
KR100809036B1 (ko)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WO2007086308A1 (ja) 洗浄タンク装置
KR100664910B1 (ko) 양변기
KR100315980B1 (ko) 양변기 저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US867653A (en) Flush-valve.
KR200277574Y1 (ko) 초 절수형 양변기
JP3385395B2 (ja) 水洗便器の貯水タンク構造
GB2047301A (en) Dual-flush valve-discharge cisterns
KR102424052B1 (ko)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KR950007728B1 (ko) 공간활용 및 용수절약형 절첩식 자동변기
KR200199263Y1 (ko) 양변기 2단배수밸브의 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