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38000A - 절수 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 Google Patents

절수 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38000A
KR960038000A KR1019960006832A KR19960006832A KR960038000A KR 960038000 A KR960038000 A KR 960038000A KR 1019960006832 A KR1019960006832 A KR 1019960006832A KR 19960006832 A KR19960006832 A KR 19960006832A KR 960038000 A KR960038000 A KR 960038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shing
arm
cam
wat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0091B1 (ko
Inventor
엠. 젠슨 로버트
Original Assignee
프레드릭 씨 파인
아메리칸 스탠다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426,774 external-priority patent/US5647068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426,380 external-priority patent/US5555573A/en
Application filed by 프레드릭 씨 파인, 아메리칸 스탠다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프레드릭 씨 파인
Publication of KR96003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아암에 의해 작동되는 수세 밸브를 포함하는 양변기 탱크내에서 단주기 수세(short flush cycle) 및 수세(long flush cycle)의 양자를 수행하기 위한 이중 수세(dual flush)장치를 포함하는 양변기 수세기구(mechanism)와, 양변기 탱크가 오버플로우관 및 유입수 조절체를 포함하는 양변기 탱크용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 수세 기구는 캠을 포함하며, 핸들로 작동 가능한 이 캠은 작동 아암에 인접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방향으로 회전시, 캠은 작동 아암을 압압하여 피봇운동시켜서 장주기 수세를 수행한다. 제2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캠이 작동 아암을 압압하여 피봇운동시켜서 단주기 수세를 수행한다. 레버는 작동 아암에 대하여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작동 아암과의 접촉저지가 해제되는 제1위치와, 캠이 제2방향으로 회전시, 레버가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 아암의 복귀를 지지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피봇운동한다. 부이는 소정의 시간을 결정하도록 레버에 연결된다. 캠이 제2방향으로 회전시 부이는 제2위치내로 레버를 피봇운동시킨다.
한편,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는, 탱크가 수세 및 재보충됨에 따른 탱크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이동되도록 오버플로우관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이를 포함한다. 재봉지용 물 호오스는 유입수 조절체로부터 물을 유입시키며 부이에 연결된 자유단부를 포함한다. 재봉지용 물 호오스는 탱크내의 수의에 의해 결정되는 부이의 위치에 따라 탱크 및 오버플로우관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물을 향하게 한다.

Description

절수 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라 구성된 이중 수세 기구(dual flush mechanism) 및 재봉지용 물 호오스 조립체(reseal water hose assembly)가 설치된 부분 절단 도시한 양변기 탱크를 갖는, 양변기의 정면도이다, 제2도는 탱크 뚜껑을 제거한 제1도의 양변기 및 탱크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라 구성된 이중 수세 기구의 후방 사시도이다, 제6도는 장주기 수세(long flush cycle)를 개시하기 위하여 핸들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수세 기구의 배면도이다. 제8도는 단주기 수세(short flush cycle)를 개시하기 위하여 핸들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수세 기구의 배면도이다.

Claims (28)

  1. 단주기 수세(short flush cycle)와 장주기 수세(long flush cycle)의 양자를 수행하기 위한 피봇운동 가능한 작동 아암에 의해 작동되는 수세 밸브를 가지며, 하기의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양변기 탱크용 이중 수세(dual flush)장치 : 상기 작동 아암에 인접하게 상기 양변기 탱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 상기 캠이 제1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작동 아암이 피봇운동하도록 상기 작동 아암을 압압하여 상기 수세 밸브를 작동시켜서 장주기 수세를 수행하고, 상기 캠이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작동 아암이 피봇운동하도록 상기 작동 아암을 압압하여 상기 수세 밸브를 작동시켜서 단주기 수세를 수행하는, 제1 및 제2의 방향으로 상기 캠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상기 작동 아암의 운동이 저지되지 않는 제1의 위치와 상기 캠이 상기한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작동 아암의 운동을 부분적으로 저지하도록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작동 아암과 접촉하게 되는 제2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작동 아암에 대하여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및; 상기한 소정의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캠이 상기한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레버를 상기한 제2의 위치로 피봇운동시키는 부이.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 아암이 "L"자 형상이고, 수세 밸브에 연결되는 제1아암과, 캠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2아암을 포함하는 이중 수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아암이 제2아암에 대하여 조절 가능한 이중 수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캠이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갖는 비대칭형 편자(shoe)인 이중 수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돌출부가 작동 아암과 접촉하여 장주기 수세를 수행하며, 제2돌출주가 작동 아암과 접촉하여 단주기 수세를 수행하는 이중 수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핸들에 의한 캠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stop)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이중 수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돌출부가 작동 아암과 접촉시, 제2돌출부가 캠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 수단과 접촉되는 이중 수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2돌출부가 작동 아암과 접촉시, 제1돌출부가 캠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 수단과 접촉되는 이중 수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레버가 "L"자 형상이고, 제1레그와 제2레그를 포함하며, 부이가 상기 제2레그에 연결되는 이중 수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레버의 제1레그가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 아암의 원래 위치로의 복귀를 지지하는 이중 수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부이가 상기 부이를 지지하기 위한 연장된 로드(rod)를 포함하며, 상기 부이가 상기 연장된 로드를 따라 상기 선택적으로 위치 선정 가능한 이중 수세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부이가 상기 부이를 지지하기 위한 연장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적어도 2가지의 다른 방향으로 제2레그에 연결 가능한 이중 수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레그가 별형상 개구를 포함하며, 로드가 상기 개구내에 선택적으로 위치 선정 가능한 단부를 갖는 이중 수세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작동 아암이 자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아암의 상기 자유단부와 수세 밸브 사이의 연결체(linkage)를 또한 포함하는 이중 수세 장치.
  15. 양변기 탱크가 수세 밸브를 포함하고, 이중 수세 장치가 단주기 수세 및 장주기 수세의 양자를 수행하는 단일 핸들의 운동에 의해 작동되며, 하기의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양변기 탱크용 이중 수세 장치 : 지지 부재; 단주기 수세 및 장주기 수세의 양자를 개시시키기 위한 상기 수세 밸브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운동 가능한 작동 아암;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위치로 회전시 상기 작동 아암을 압압하여 피봇운동시켜서 장주기 수세를 수행하고, 제2위치로 회전시, 상기 작동 아암을 압압하여 피봇운동시켜서 단주기 수세를 수행하는 캠; 상기한 제1위치 및 상기한 제2위치로 상기 캠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 제1의 방향과 제2의 방향 사이에서 피봇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캠이 상기한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작동 아암의 피봇운동을 제한하도록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작동 아암과 맞물리는 레버 및; 상기한 소정의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캠이 상기한 제2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레버를 상기한 제2위치로 피봇운동하도록 작용하는 부이.
  16. 제15항에 있어서, 작동 수단에 캠을 제1 및 제2위치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는 이중 수세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작동 아암이 죠인트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 아암을 양변기 탱크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이중 수세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부이가 레버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 선정 가능한 이중 수세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캠이 제1 및 제2위치를 넘어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지지 부재상의 정지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이중 수세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정지 수단이 원호상의 돌출부인 이중 수세 장치.
  21. 양변기 탱크가 위치 이동 가능한 수세 밸브를 포함하고, 이중 수세 장치가 단주기 수세 및 장주기 수세의 양자를 수행하는 핸들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양변기 탱크용 이중 수세 장치에 있어서, 제1아암 및 제2아암을 갖는 피봇운동 가능한 작동 레버, 상기 작동 레버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제1의 방향 및 제2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캠, 상기 작동 레버에 대하여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레그(leg) 및 제2레그를 갖는 단수세 레버 및, 상기 단수세 레버의 상기 제1레그가 상기 작동 레버의 상기 제2아암과 맞불려 그 동작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제2위치와 제1위치로 상기 단수세 레버를 경사시키기 위한 상기 단수세 레버의 상기 제2레그에 연결되는 부이로 구성되고; 상기한 제1의 방향으로 상기 캠의 운동시, 상기 캠이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아암을 압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아암이 제1의 높이까지 들어올려져서 상기 수세 밸브를 제1의 소정 시간동안 위치 변경시키며; 상기한 제2의 방향으로 상기 캠의 운동시, 상기 캠이 제2위치에서 상기 제2아암을 압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아암이 제2의 높이까지 들어올려지며, 상기 단수세 레버의 상기 제1레그가 상기 제2아암의 운동 경로 내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작동 아암의 하방으로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억제하게 하는 이중 수세 장치.
  22. 양변기 탱크가 오버플로우(overflow)관 및 유입수 조절체를 포함하는 양변기 탱크용 트랩통로 재봉지(trapway reseal)장치에 있어서, 상기 탱크가 수세 및 재보충됨에 따른 상기 탱크내의 수위 변동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이와, 상기 유입수 조절체로부터 물을 받아들이며, 상기 부이에 연결되는 자유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탱크내의 수위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부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탱크 및 상기 오버플로우관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물을 향하게 하는 재봉지용 물 호오스로 구성되는 트랩통로 재봉지(rtapway reseal)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재봉지용 물 호오스가 물을 탱크내로 향하게 하는 수위까지 양변기 탱크가 수세된 후에, 부이가 위치 하락하는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양변기 탱크가 수세된 후에 재보충됨에 따라 부이가 상승하며, 상기 부이가 소정 높이에 도달시, 재봉지용 물 호오스가 물을 오버플로우관내로 향하게 하는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소정 높이가 조절 가능한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
  26. 유입수 조절체(water control)로부터 탱크내로 물을 통수시키는 재봉지용 물 호오스 및 오버플로우관을 갖는 양변기 탱크용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탱크내의 수면에 떠 있으며 상기 탱크내의 수위 변화에 따라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부이와, 상기 부이가 상기 탱크내의 적어도 소정 높이에 도달했을 때에만 상기 재봉지용 물 호오스가 물을 상기 오버플로우관내로 선택적으로 향하게 되도록, 상기 부이에 상기 재봉지용 물 호오스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구성되는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부이가 소정 높이에 도달시, 재봉지용 물 호오스가 물을 소정의 시간동안 오버플로우관내로 향하게 하는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이 조절 가능한 트랩통로 재봉지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06832A 1995-04-21 1996-03-14 절수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KR0170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26,774 US5647068A (en) 1995-04-21 1995-04-21 Toilet flushing device with water saving features
US8/426,380 1995-04-21
US08/426,774 1995-04-21
US08/426,380 1995-04-21
US08/426,380 US5555573A (en) 1995-04-21 1995-04-21 Toilet flushing device with water saving features
US8/426,774 1995-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000A true KR960038000A (ko) 1996-11-19
KR0170091B1 KR0170091B1 (ko) 1999-02-18

Family

ID=2702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832A KR0170091B1 (ko) 1995-04-21 1996-03-14 절수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0170091B1 (ko)
CN (2) CN1080799C (ko)
CA (1) CA2174587C (ko)
TW (1) TW2848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6669B2 (en) 2008-04-10 2014-08-19 Kohler Co. Toilet flush valve with reducing cross section valve seat
WO2010019525A1 (en) * 2008-08-11 2010-02-18 Fluidmaster, Inc. Diverter valve with minimum bias forces
CN103210156B (zh) * 2010-11-19 2015-04-01 科勒公司 马桶解扣杆装置
CN109098235B (zh) * 2018-09-08 2024-01-19 广东省卡地尔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止溢流管溅水的冲水箱排水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84817B (en) 1996-09-01
KR0170091B1 (ko) 1999-02-18
CN1367298A (zh) 2002-09-04
CN1144865A (zh) 1997-03-12
CA2174587A1 (en) 1996-10-22
CN1080799C (zh) 2002-03-13
CA2174587C (en) 1999-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19912A (en) Toilet tank flush valve
US3172128A (en) Water supply system for water closet
AU666075B2 (en) Dual flush mechanism
US4042982A (en) Flush toilet water conservation valve assembly
US4408361A (en) Diverter valve
US4230145A (en) Fluid control valve
US4356576A (en) Flush control apparatus
US4945581A (en) Flush tank water saver
US5555573A (en) Toilet flushing device with water saving features
US5647068A (en) Toilet flushing device with water saving features
KR960038000A (ko) 절수 특성을 갖는 양변기 수세장치
US4811432A (en) Flush tank water saver
US5680659A (en) Water conserving toilet flush mechanism
US4941214A (en) Flush tank water saver
US5075907A (en) Flush tank water saver
US5191662A (en) Flush limiting mechanism
US4038707A (en) Flush controller
US3466674A (en) Toilet flush mechanism
US4120055A (en) Two-stage toilet flushing apparatus
GB2047301A (en) Dual-flush valve-discharge cisterns
KR100664910B1 (ko) 양변기
PL349803A1 (en) Quick-discharge valve control device for lavatory bowl flushing cisterns
KR200173732Y1 (ko) 수량조절밸브
EP1245744B1 (en) Flush device for a lavatory flush tank
US4025967A (en) Toilet tank flus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