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267Y1 -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 Google Patents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5267Y1 KR200495267Y1 KR2020190004872U KR20190004872U KR200495267Y1 KR 200495267 Y1 KR200495267 Y1 KR 200495267Y1 KR 2020190004872 U KR2020190004872 U KR 2020190004872U KR 20190004872 U KR20190004872 U KR 20190004872U KR 200495267 Y1 KR200495267 Y1 KR 2004952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ting
- support plate
- handle
- support
- tilting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0—Combinations of different kinds of hand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2—Attaching the blades or the like to handles;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농기구의 자루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된 다수의 걸림 홈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땅을 파거나 헤집는 헤드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힌지 체결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틸팅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지지부는 상기 힌지가 체결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과 인접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부의 각도를 작업자가 간단하게 조절하여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기구는 농사짓는 데 쓰이는 도구를 일컫는 것으로, 삽, 쇠스랑, 가래, 괭이, 낫, 호미 등이 있다. 이러한 농기구는 작업자가 직접 손에 쥐고 일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크게 작업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와 땅을 파거나 헤집는 헤드부와 손잡이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자루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농기구는 손잡이부, 헤드부, 자루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헤드부와 자루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조인트부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조인트부가 포함된 농기구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8045호의 "농기구 연결 조인트"가 있다. 선행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구기의 헤드부와 손잡이부(2)는 분리되어 조인트부(10)에 의해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헤드부는 흙을 파거나 헤집는 다양한 형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조인트부(10)는 고정핸들(22)이 나사결합되는 조인트바(20)와, 조인트바(20)가 수용되고 고정핸들(22)이 밀착되도록 견착면(32)이 구비되는 조인트프레임(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인트바(20)와 조인트프레임(30) 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돌출편(40)과,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돌출편(40)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절개홈(52)이 형성되는 고리부(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행기술은 헤드부의 교체를 위해 조인트바(20)에서 고정핸들(22)을 풀고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조인트프레임(30)의 돌출편(40)을 고리부(50)의 절개홈(52)에서 이탈시킨 후 교체하고자 하는 형상을 갖는 헤드부를 고리부(50)에 장착한 후 고정핸들(22)이 조인트프레임(30)의 견착면(32)에 밀착시켜 헤드부를 조인트바(20)와 일체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선행기술은 고정핸들(22)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헤드부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고정핸들(22)에 의해 헤드부와 손잡이부(2)가 결합된 후에는 헤드부의 각도 조절이 어려워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흙을 파거나 헤집게 될 때 손잡이부(2)를 지면에 가깝게 내려야 하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노동강도가 증가되어 작업자가 쉽게 지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부가 흙을 파거나 헤집기 위해 헤드부가 지면에 박힌 후 손잡이부의 각도를 작업자가 간단하게 조절하여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농기구의 자루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땅을 파거나 헤집는 헤드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힌지 체결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틸팅지지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틸팅지지부에 마련되어 틸팅지지부의 회동을 단속하는 회동단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단속유닛은 하단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 홈 및 상기 힌지가 체결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과 인접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 홈에 삽입되는 상기 틸팅지지부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틸팅지지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위치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틸팅지지부의 일측에서 상기 장공과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틸팅지지부의 타측에서 상기 볼트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틸팅지지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틸팅지지부를 관통하여 틸팅지지부 간의 간격을 줄여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압박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단속유닛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틸팅지지부를 향해 이동하는 로킹암과, 상기 로킹암을 상기 틸팅지지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틸팅지지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킹암이 삽입되는 다수의 로킹홈 및 상기 로킹암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자루의 손잡이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파지하는 것에 따라 상기 로킹암을 상기 로킹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자루의 외부 또는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로킹암을 상기 틸팅지지부의 로킹홈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에 의하면, 헤드부가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자루를 살짝 들어올린 후 자루를 헤드부의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자루와 헤드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상체를 숙이는 신체활동을 감소시킬 수 있어 노동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농기구 연결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중 회동단속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따른 회동단속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중 회동단속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따른 회동단속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는 농기구의 자루(110)가 고정되는 고정부(120)와, 상기 고정부(1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30)와, 땅을 파거나 헤집는 헤드부(14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지지플레이트(130)와 힌지 체결되어 상기 힌지(134)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틸팅지지부(150)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와 틸팅지지부(150)에 마련되어 틸팅지지부(150)의 회동을 단속하는 회동단속유닛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회동단속유닛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개방된 상태로 지지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 홈(132) 및 힌지(134)가 체결되는 장공(154)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154)과 인접하여 지지플레이트(130)에 형성된 걸림 홈(132)에 삽입되는 틸팅지지부(150)에 형성되는 스토퍼(1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30)에 걸림 홈(132)이 형성되고, 틸팅지지부(150)에 스토퍼(152)가 형성되면, 농기구로 땅을 파기위해 헤드부(140)를 땅속에 박은 후 자루를 들어올려 걸림 홈(132)을 스토퍼(152)에서 이탈시킨 후 헤드부(140)와 자루(110)가 적정 각도를 이루게 하는 걸림 홈(132)에 스토퍼(152)를 삽입시켜 편리하게 헤드부(140)와 자루(11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이로부터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낮추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고정부(120)는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자루(110)의 하단과 연결되기 위해 자루(110)의 하단이 삽입되는 원통기둥의 형상을 갖게 되며, 자루(110)의 하단이 고정부에 삽입된 후에는 못, 나사와 같은 패스너가 고정부(120)를 관통하여 자루(110)에 박히게 되어 자루(110)와 고정부(120)가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120)의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130)가 형성되는데, 지지플레이트(130)는 고정부(1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30)는 하다에 다수의 걸림 홈(13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걸림 홈(132)은 하단이 개방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틸팅지지부(150)에 형성된 스토퍼(152)가 걸림 홈(132)에 삽입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30)의 측면에는 힌지(134)가 형성되어 틸팅지지부(150)와 힌지 체결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130)의 측면에 형성된 힌지(1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30)의 측면에서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30)의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 홈(132)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측면에 형성된 힌지(134)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열되는데, 도 2에서는 지지플레이트(130)에 2개의 걸림 홈(132)이 대략 10~20도의 각도를 갖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플레이트(130)에 3~5개의 걸림 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틸팅지지부(150)는 땅을 헤집거나 파기 위해 헤드부(140)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때 헤드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쇠스랑이 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삽, 가래 등 다양한 농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부(140)가 일체로 형성된 틸팅지지부(150)는 지지플레이트(130)의 측면에 마련된 힌지(134)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장공(154)이 형성되며, 장공(154)의 하부에 지지플레이트(130)에 형성된 걸림 홈(132)에 삽입되는 스토퍼(152)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152)는 봉의 형태를 갖고 틸팅지지부(15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틸팅지지부(150)에 형성되는 장공(154)의 길이는 걸림 홈(132)에 스토퍼(152)가 삽입되거나 이탈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에 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틸팅지지부(150)는 바람직하게 지지플레이트(130)의 양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130)의 힌지(134)가 틸팅지지부(150)의 장공(154)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130)의 힌지(134)가 틸팅지지부(150)의 장공(154)을 따라 직선 이동함과 동시에 장공(15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30)를 중심으로 틸팅지지부(150)가 양측에 형성되고, 지지플레이트(130)와 틸팅지지부(150)가 장공(154)에 의해 힌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30)와 틸팅지지부(150)의 연결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틸팅지지부(150)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3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 홈(132)에 삽입되는 스토퍼(152)가 한 쌍의 틸팅지지부(1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어 스토퍼(152)가 견고하게 틸팅지지부(15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틸팅지지부(150) 사이에서 지지플레이트(130)가 회동될 수 있어 지지플레이트(130)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의 동작을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작업자는 흙을 파거나 헤집기 위해 헤드부(140)를 지면에 박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자루(110)의 손잡이를 지면과 가깝게 회동시키게 됨으로써, 헤드부(140)가 자루(110)의 회동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서 흙을 파거나 헤집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헤드부(140)가 지면으로 들어올려지기 위해서는 자루(110)의 손잡이를 지면과 가깝게 회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그만큼 상체를 숙여야 하는 신체활동이 증가하여 노동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신체활동을 최소화시킨 상태로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은 헤드부(140)가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자루(110)를 들어올려 지지플레이트(130)의 걸림 홈(132)을 헤드부(140)와 일체로 형성된 틸팅지지부(150)의 스토퍼(152)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30)의 걸림 홈(132)과 틸팅지지부(150)의 스토퍼(152)를 이탈시키기 위해 자루(110)를 들어올리게 될 때 지지플레이트(130)의 힌지(134)는 틸팅지지부(150)의 장공(154)에 의해 안내된 상태를 갖게 되고, 걸림 홈(132)이 스토퍼(152)로부터 이탈된 후에는 자루(110)를 헤드부(140)의 전방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자루(110)가 헤드부(140)의 전방으로 회동된 후에는 작업자가 들어올린 자루(110)를 하강시켜 해당 각도에 맞는 걸림 홈(132)에 스토퍼(152)를 삽입시키게 됨으로써, 자루(110)와 헤드부(140)는 도 5의 은선에 표시된 바와 같은 각도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자루(110)의 손잡이를 헤드부(140)의 후방을 향해 회동시키게 되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헤드부(140)는 지면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면서 흙을 퍼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에 의하면, 헤드부(140)가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자루(110)를 살짝 들어올린 후 자루(110)를 헤드부(140)의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자루(110)와 헤드부(1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상체를 숙이는 신체활동을 감소시킬 수 있어 노동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는 지지플레이트(130)의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틸팅지지부(150)의 장공(154)과 힌지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틸팅지지부(150)의 일측에서 장공(154)과 지지플레이트(130)를 관통하는 볼트 및 틸팅지지부(150)의 타측에서 상기 볼트와 나사 체결되는 너트에 의한 힌지 체결방식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30)와 틸팅지지부(150)의 회동을 억제하여 지지플레이트(130)와 틸팅지지부(150)의 회동을 고정할 수 있게 한 쌍의 틸팅지지부(150) 간의 간격을 줄여 지지플레이트(130)의 양측면을 압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틸팅지지부(150)를 관통하여 틸팅지지부(150) 간의 간격을 줄이도록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조임부재(160)가 마련된다. 즉, 조임부재(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지지부(150)에 형성된 장공(154)과 인접하여 조임부재(160)가 관통하는 러그(156)가 틸팅지지부(150)에 제각기 형성된다.
그리고, 조임부재(160)의 볼트가 러그(156)를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에 너트가 체결되어 너트의 조임에 따라 한 쌍의 틸팅지지부(150) 간의 간격이 감소하여 지지플레이트(130)를 압박하게 됨으로써 틸팅지지부(150)와 지지플레이트(130)의 회동이 억제되어 헤드부(140)와 자루(110)가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농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앞선 설명에서는 지지플레이트(130)가 자루(110)가 삽입되는 고정부(120)에 형성되고 헤드부(140)에 틸팅지지부(150)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고정부(120)에 틸팅지지부(150)가 형성되고 헤드부(140)에 지지플레이트(1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30)와 틸팅지지부(150)에 마련되어 틸팅지지부(150)의 회동을 단속하는 회동단속유닛은 지지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걸림 홈(132)과 틸팅지지부(150)에 형성되는 스토퍼(152)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자루(110)의 손잡이에 마련된 작동로드를 파지하는 조작에 의해 자루(110)와 헤드부(1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도 7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중 회동단속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작업자가 자루(110)의 손잡이에 마련된 작동로드(230)를 파지하는 조작에 의해 자루(110)와 헤드부(1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회동단속유닛은 로킹암(210), 탄성부재(220), 로킹홈(158), 작동로드(230)로 구성된다.
로킹암(210)은 지지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틸팅지지부(150)를 향해 이동하도록 마련되는데, 지지플레이트(130)는 그 내부에 로킹암(210)이 위치하는 작동공간(136)이 형성되고 로킹암(210)의 하단이 지지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틸팅지지부(150)를 향해 노출된다.
이와 같이, 로킹암(210)이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플레이트(130)는 로킹암(210)의 하단이 틸팅지지부(150)를 향해 직선이동하도록 로킹암(210)을 안내하는 가이드홀(137)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137)을 통해 로킹암(210)의 하단이 틸팅지지부(150)를 향해 노출된다.
또한, 작동로드(230)는 자루(110)의 측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작동로드(230)의 선단이 자루(110)의 손잡이에 위치하고 기단이 지지플레이트(130)의 측면을 관통하여 지지플레이트(130)의 내부에 위치한 로킹암(210)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30)를 관통한 로킹암(210)은 지지플레이트(130)의 내부에 마련된 탄성부재(22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220)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로킹암(210)을 틸팅지지부(150)의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로킹암(210)은 탄성부재(220)의 하단이 안치되는 어깨부(212)가 형성되고, 탄성부재(220)의 상단은 지지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작동공간(136)의 상면에 안치된다.
또한, 틸팅지지부(150)는 지지플레이트(130)와 힌지 체결되는 힌지(134)를 중심으로 로킹암(210)의 하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로킹홈(158)이 형성되어 로킹암(210)의 하단이 틸팅지지부(150)의 로킹홈(158)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틸팅지지부(150)와 지지플레이트(130)의 회동을 단속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헤드부(140)와 자루(1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로드(230)의 선단을 자루(110)의 손잡이를 향해 당겨지도록 파지하게 되면, 틸팅지지부(150)의 로킹홈(158)에 삽입된 로킹암(210)의 하단이 지지플레이트(130)에 형성된 가이드홀(137)에 안내된 상태로 로킹홈(158)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킹암(210)의 하단이 로킹홈(158)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자루(110)를 지지플레이트(130)와 틸팅지지부(150)를 연결한 힌지(134)를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헤드부(140)와 자루(110)가 적정 각도가 되는 위치에서 작업자가 작동로드(230)를 파지한 힘을 풀게 되면 탄성부재(220)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로킹암(210)의 하단이 원래 위치한 로킹홈(158)과 인접한 다른 로킹홈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30)와 틸팅지지부(150)의 회동이 억제되도록 고정된다.
이렇게, 회동단속유닛이 로킹암(210), 탄성부재(220), 로킹홈(158), 작동로드(230)로 구성되는 것에 따라 작업자가 작동로드(230)를 파지하고 해제하는 것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30)와 틸팅지지부(150)의 회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자루(110)와 헤드부(140)의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동단속유닛이 로킹암(210), 탄성부재(220), 로킹홈(158), 작동로드(230)로 구성될 때 도 7에서는 작동로드(230)가 자루(110)의 측방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로드(230)가 자루(1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위치된 상태에서 작동하게 되어 작동로드(2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작동로드(230)가 자루(110)의 내부에 마련되면 작업자가 흙을 파거나 헤집는 작업을 하게 될 때 작동로드(2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동로드(230)를 강선과 같은 와이어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제조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회동단속유닛을 경량화시킬 수 있다.
110 : 자루 120 : 고정부
130 : 지지플레이트 132 : 걸림 홈
134 : 힌지 136 : 작동공간
137 : 가이드홀 140 : 헤드부
150 : 틸팅지지부 152 : 스토퍼
154 : 장공 156 : 러그
158 : 로킹홈 160 : 조임부재
210 : 로킹암 220 : 탄성부재
230 : 작동로드
130 : 지지플레이트 132 : 걸림 홈
134 : 힌지 136 : 작동공간
137 : 가이드홀 140 : 헤드부
150 : 틸팅지지부 152 : 스토퍼
154 : 장공 156 : 러그
158 : 로킹홈 160 : 조임부재
210 : 로킹암 220 : 탄성부재
230 : 작동로드
Claims (5)
- 농기구의 자루가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땅을 파거나 헤집는 헤드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힌지 체결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틸팅지지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틸팅지지부에 마련되어 틸팅지지부의 회동을 단속하는 회동단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단속유닛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틸팅지지부를 향해 이동하는 로킹암;
상기 로킹암을 상기 틸팅지지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틸팅지지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킹암이 삽입되는 다수의 로킹홈; 및
상기 로킹암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자루의 손잡이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파지하는 것에 따라 상기 로킹암을 상기 로킹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지지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위치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자루의 외부 또는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로킹암을 상기 틸팅지지부의 로킹홈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4872U KR200495267Y1 (ko) | 2019-12-02 | 2019-12-02 |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4872U KR200495267Y1 (ko) | 2019-12-02 | 2019-12-02 |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289U KR20210001289U (ko) | 2021-06-10 |
KR200495267Y1 true KR200495267Y1 (ko) | 2022-04-12 |
Family
ID=7637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4872U KR200495267Y1 (ko) | 2019-12-02 | 2019-12-02 |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5267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7374Y1 (ko) | 2001-03-21 | 2001-10-08 | 유완영 | 휴대용 삽 |
KR200448370Y1 (ko) * | 2009-06-09 | 2010-04-07 | 서태분 | 만능 낫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9091U (ko) * | 1999-04-01 | 2000-11-06 | 송창근 | 다용도 삽 |
KR20160018045A (ko) | 2014-08-07 | 2016-02-17 | 이진복 | 농기구 연결 조인트 |
KR20170000538A (ko) * | 2015-06-24 | 2017-01-03 | 권재열 | 개량 장대 낫 |
-
2019
- 2019-12-02 KR KR2020190004872U patent/KR20049526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7374Y1 (ko) | 2001-03-21 | 2001-10-08 | 유완영 | 휴대용 삽 |
KR200448370Y1 (ko) * | 2009-06-09 | 2010-04-07 | 서태분 | 만능 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289U (ko) | 2021-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10408A (en) | Ergonomically efficient tool | |
US20080196205A1 (en) | Adjustable handle clamp systems and methods | |
US5427424A (en) | Single handle post hole digger | |
US6663085B1 (en) | Portable hand-operated lifting device | |
US4407626A (en) | Gripping device | |
US9320187B2 (en) | Single handled post hole digger | |
US5937627A (en) | Gardening implement having enhanced leverage | |
US7284301B2 (en) | Hand tools with ergonomic hand grip | |
US6254154B1 (en) | Hole digging tool | |
US6089632A (en) | Post hole digger | |
KR200495267Y1 (ko) |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 |
CN109362286A (zh) | 一种农用铲 | |
US2008020208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 cutting device | |
US2009002535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 Cutting Device | |
US6988561B1 (en) | Ergonomic planar grading hand tool | |
US7124536B2 (en) | Fishing rod holding apparatus and method | |
JP2013176338A (ja) | 管理機 | |
KR200492763Y1 (ko) |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 |
KR101777364B1 (ko) | 쟁기날이 구비된 굴삭기용 집게장치 | |
US20050099029A1 (en) | Two-handled shovel with hinge coupling | |
US20060066117A9 (en) | Posthole digger | |
KR101995450B1 (ko) | 제초기 | |
DE102006042772A1 (de) | Aufgreifwerkzeug | |
AU759830B2 (en) | Elimination of unwanted plants, and apparatus therefor | |
DE3428816A1 (de) | Stiel fuer bodenbearbeitungsgerae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