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763Y1 -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 Google Patents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763Y1
KR200492763Y1 KR2020200001406U KR20200001406U KR200492763Y1 KR 200492763 Y1 KR200492763 Y1 KR 200492763Y1 KR 2020200001406 U KR2020200001406 U KR 2020200001406U KR 20200001406 U KR20200001406 U KR 20200001406U KR 200492763 Y1 KR200492763 Y1 KR 200492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andle
auxiliary handle
blade
agricultural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일
Original Assignee
최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일 filed Critical 최병일
Priority to KR2020200001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01B1/026Spades; Shovels with auxiliary handles for facilitating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00R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삽, 곡괭이, 호크, 넉가래, 밀게, 갈퀴 등과 같이 작업자의 인력을 이용한 농기구에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작업할 수 있도록 보조손잡이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허리 등에 집중되는 작업피로도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작업능률 향상을 통한 일일 작업량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기구용 보조손잡이{Auxiliary handle for farm equipment}
본 고안은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삽, 곡괭이, 호크, 넉가래, 밀게, 갈퀴 등과 같이 작업자의 인력을 이용한 농기구에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작업할 수 있도록 보조손잡이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허리 등에 집중되는 작업피로도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작업능률 향상을 통한 일일 작업량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삽, 곡괭이, 호크, 넉가래, 밀게, 갈퀴 등과 같은 수동식 농기구는 농작물을 식생 및 생육되는 공간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농기구로, 삽이나 괭이는 주로 논이나 밭을 파내어 모종을 식재하는 공간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넉가래, 밀게, 갈퀴등의 농기구는 농작물이 식재된 부분에 잡초나 돌을 긁어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동식 농기구는 대부분 작업자의 인력을 이용하여 사용됨으로서 작업자의 피로도가 쉽게 증가하여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농기구들의 사용하는 형태를 보면 전부 작업자가 허리를 굽힌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허리부분에 피로도가 집중되어 쉽게 지치는 문제점과 허리디스크와 같은 질병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피로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다양한 농기구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일실시예로 공개특허 제10-2014-0089024호(공개일: 2014년 07월 14일)인간공학적 삽은, 삽날과, 상기 삽날로부터 제1 각도로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삽자루와, 상기 제1 삽자루로부터 제2 각도로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가 구비된 제2삽자루 및 상기 제2 삽자루와 연결되고, 사람의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파지부가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제10-1730543호(등록일: 2017년 04월 20일)발 디딤판과 보조 손잡이를 구비한 삽은, 삽날과, 삽자루 및 손잡이를 구비하는 삽에 있어서, 상기 삽날의 양측면 테두리에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되, 하단이 좁고 상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단과 동일 넓이를 가지며 상기 삽날의 상단 테두리에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되, 상기 측판의 상단과 양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상판을 구비하며, 상기 상판의 저면과 삽날 사이에 상기 상판을 지지하도록 지지대가 형성되는 발 디딤판과, 상기 삽날의 연결부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좁고 상단이 넓은 사다리꼴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몸쪽으로 기울어지도록 10~30°의 경사를 가지며, 하단이 상기 삽날의 연결부 양측에서 상기 발 디딤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에 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홀에 핀을 삽입하여 상기 삽날의 연결부와 삽자루를 관통시켜 이들을 고정시키는 보조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와 보조 손잡이는, 고무 재질의 미끄럼 방지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삽들 모두 한손으로는 삽의 손잡이를 집고, 다른 한손으로는 삽자루의 일부분이나 삽날 부분에 형성된 보조손잡이를 잡고 땅을 파거나 물건을 퍼 옮기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계속하여 구부린 자세에서 삽질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허리에 피로도가 집중되는 문제점이 계속됨으로써 작업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업자의 허리부분에 피로도가 집중됨으로써 쉽게 허리디스크와 같은 질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계속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9024호(공개일: 2014년 07월 14일) "인간공학적 삽" 등록특허공보 제10-1730543호(등록일: 2017년 04월 20일)"발 디딤판과 보조 손잡이를 구비한 삽"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3853호(공개일: 2005년 11월 01일) "손잡이 달린 삽"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삽, 곡괭이, 호크, 넉가래, 밀게, 갈퀴 등과 같이 작업자의 인력을 이용한 농기구의 자루 부분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보조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하중이 신체 전체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작업성 및 작업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농기구용 보조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보조손잡이는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농기구에 쉽게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의 신체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를 회전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여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모두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농기구용 보조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농사를 하기 위하여 삽날, 곡괭이날, 호크날, 넉가래날, 밀게날, 갈퀴날과 자루의 끝부분을 연결하여 구성된 농기구의 자루부분에 연결되어 작업의 무게중심을 분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농기구용 보조손잡이는,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를 갖으며, 일측에 보조손잡이가 농기구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곡선부와, 타측에 농기구의 자루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곡선부 끝부분에 형성되며, 라운드 형태로 농기구의 표면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밀착지지부와, 상기 밀착지지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면의 일면에 볼트가 형성된 수조립부와, 상기 수조립부와 연결되며 밀착지지부와 동일한 라운드 형태를 갖는 몸체의 양측에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암조림부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체결부 및 , 상기 하우징의 수평부 단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어 작업자의 손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형성된 길이조절수단에 의하여 길이가 신장과 수축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끼움되며,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를 갖으며 일측에 노출공이 형성된 이동하우징과, 상기 이동하우징의 내부에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을 갖으며 노출공을 통하여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끼움되며 단부에 연결홈을 갖는 이동하우징과, " ㄱ " 형태로 절곡되며 일측 단부에 형성된 연결홈이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연결홈과 이동하우징의 연결홈에 끼움되어 파지부를 이동하우징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H"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는 하우징의 수평부에 끼움식으로 연결되며,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의 일측이 하우징의 내부로 끼움되어 손잡이의 위치와 길이 및 각도가 변형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및 제3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는 일반적으로 농사용으로 사용되는 삽, 곡괭이, 호크, 넉가래, 밀게, 갈퀴 등과 같은 농기구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농기구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의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농기구에 설치하더라도 무게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하중이 작업자의 신체 전체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피로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작업성 및 작업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손잡이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농기구에 쉽게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의 체형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적은 힘으로 농기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가 회전가능한 형태를 갖음으로써 작업자가 오른손잡이 이거나 왼손잡이일 경우에도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가 갈퀴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가 삽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중 파지부의 부분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중 파지부의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중 파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가 농기구에 설치되어 사용중인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가 갈퀴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가 삽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중 파지부의 부분 단면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중 파지부의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중 파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가 농기구에 설치되어 사용중인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고안은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삽, 곡괭이, 호크, 넉가래, 밀게, 갈퀴 등과 같이 작업자의 인력을 이용한 농기구에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작업할 수 있도록 보조손잡이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허리 등에 집중되는 작업피로도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작업능률 향상을 통한 일일 작업량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100)는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농기구(200)의 표면에 부착조립되는 체결부(20)와, 타측에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3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일측에 상기 보조손잡이(100)가 농기구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하기 위하여 체결부(20)측으로 라운드 형태의 곡선부(11)와, 타측에 파지부(30)가 조립되며 길이조절수단(40)을 갖는 수평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20)는 보조손잡이(100)를 농기구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라운드 형태로 농기구의 표면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밀착지지부(21)와, 상기 밀착지지부(21)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면(22)의 일면에 볼트(23)가 형성된 수조립부(24)와, 상기 수조립부(24)와 연결되며 밀착지지부(21)와 동일한 라운드 형태를 갖는 몸체(25)의 양측에 볼트(23)가 관통하는 관통공(26)이 형성된 암조림부(27) 및 상기 볼트(23)에 체결되는 너트(28)로 구성된 고정부(29)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너트(28)는 작업자가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도 너트(28)를 풀거나 조임할 수 있도록 너비너트와 같이 손잡이가 달린 너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볼트(23)와 너트(28)의 구성을 통하여 랜치나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공구없이도 편리하게 보조손잡이(100)를 농기구에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0)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보조손잡이를 밀고 당기거나 들어올리는 데 사용되는 구성으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분이 "ㄱ " 형태로 절곡되어 단부가 하우징(10)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하우징(10')과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파지부(30)는 하우징(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파지부(30)의 돌출된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오른손잡이 작업자나 왼손잡이 작업자 모두 거부감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파지부(30)는 이동하우징(10')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홈(13)과 파지부(30)의 단부에 연결홈(31)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연결홈(13, 31)에 끼움되는 에 "H"형태의 연결부(32)를 끼움하여 파지부(30)와 이동하우징(10')을 연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파지부(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40)은, 먼저, 하우징(10)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14)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끼움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를 갖으며 일측에 노출공(41)이 형성된 이동하우징(10')와, 상기 이동하우징(10')의 내부에 스프링(42)에 의하여 탄성을 갖으며 노출공(41)을 통하여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돌기(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길이조절수단(40)을 통하여 작업자가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된 돌기(43)를 누름하면 돌기(43)가 내부의 스프링(42)의 탄성을 이기면 내부로 이동하여 하우징(10)에 형성된 구멍(14)으로부터 빠짐되어 이동하우징(10')이 좌우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변형되고, 이동하우징(10')이 이동하여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돌기(43)가 다른 위치에 형성된 구멍(14)에 위치되면 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하여 돌기(43)가 구멍(14)에 끼움되어 이동하우징(10')의 이동을 제한하여 조절된 길이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길이조절수단(40)의 동작을 통하여 보조손잡이(100)의 길이를 작업자의 신체에 맞는 길이로 쉽게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작업을 할 수 있어 편리하고 작업피로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파지부(30) 및 길이조절수단(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길이조절수단(40')은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단부에 끼움되며 중앙부분이 "ㄱ " 형태로 절곡되며 일측에 돌출된 돌출암나사공(33)을 갖는 파지부(30) 및 상기 돌출암나사공(33)에 나사체결되어 단부가 파지부(30)의 내부로 끼움된 하우징(10)의 외면을 가압하여 끼움된 상태를 고정하는 볼트(3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암나사공(33)은 파지부(3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길이조절수단(40')은 하우징(10)의 단부에 파지부(30)의 일측을 끼움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돌출암나사공(33)에 나사체결된 볼트(34)를 조임하여 볼트(34)의 단부가 하우징(10)의 외면을 가압하여 체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파지부(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실질적으로 보조손잡이(100)의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파지부(30)는 하우징(10)에 끼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여 파지부의 절곡된 부분을 농기구를 중심으로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모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파지부(30)의 하우징(10)에 결합되는 범위를 조절하여 실질적으로 보조손잡이(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의 구성 중 파지부의 변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파지부(30')는 하우징(10)의 일측 단부에 끼움식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으며,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의 높이와 길이 및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1결합부(34)와, 제2결합부(35) 및 제3결합부(36)가 형성되고, 타측에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37)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이동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이동하우징(10')의 단부에 끼움되는 형태를 갖으며, 이동하우징(10')의 끝부분에 끼움된 결합부(34, 35, 36)를 조임하기 위한 암나사공(15)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파지부(30')의 구성을 통하여 작업자가 보조손잡이(100)를 농기구의 자루부분에 연결한 상태에서 길이와 방향이 서로 다른 제1결합부(34) 또는 제3결합부(36)를 이동하우징(10')에 끼움하여 이동하우징(10')과 직각방향으로 손잡이(37)를 위치시키거나 또는 제2결합부(35)를 삽자루에 끼움하여 농기구(200)와 동일선상으로 손잡이(37)를 위치시키는 등 보조손잡이(100)가 설치되는 농기구를 이용한 작업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와 길이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농기구의 사용시 허리를 굽히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작업피로도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상기 파지부(30')는 하우징(10)의 수평부(12)에 끼움식으로 연결되며,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37)의 일측에 하우징(10)의 내부로 끼움되어 손잡이(37)의 위치와 길이 및 각도가 변형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결합부(34)와, 제2결합부(35) 및 제3결합부(36)가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공(15)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하우징(10)에 이동하우징(10')의 구성 없이도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파지부(30')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고 암나사공(15)에 볼트를 제결하여 하우징(10')에 끼움된 결합부(34, 35, 36)을 가압하여 조임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기구용 보조손잡이는 일반적으로 농사용으로 사용되는 삽, 곡괭이, 호크, 넉가래, 밀게, 갈퀴 등과 같은 농기구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농기구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의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농기구에 설치하더라도 무게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하중이 작업자의 신체 전체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피로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작업성 및 작업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손잡이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농기구에 쉽게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의 체형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적은 힘으로 농기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더욱이,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가 회전가능한 형태를 갖음으로써 작업자가 오른손잡이 이거나 왼손잡이일 경우에도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곡선부
12 : 수평부 13 : 연결홈
14 : 구멍 20 : 체결부
21 : 밀착지지부 22 : 확장면
23 : 볼트 24 : 수조립부
25 : 몸체 26 : 관통공
27 : 암조립부 28 : 너트
29 : 고정부 30 : 파지부
31 : 연결홈 32 : 연결부
33 : 돌출암나사공 40 : 길이조절수단
41 : 노출공 42 : 스프링
43 : 돌기 100 : 보조손잡이
200 : 농기구

Claims (4)

  1. 농사를 하기 위하여 삽날, 곡괭이날, 호크날, 넉가래날, 밀게날, 갈퀴날과 자루의 끝부분을 연결하여 구성된 농기구의 자루부분에 연결되어 작업의 무게중심을 분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농기구용 보조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농기구용 보조손잡이(100)는,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를 갖으며, 일측에 농기구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곡선부(11)와, 타측에 농기구의 자루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암나사공(15)이 형성된 수평부(12)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곡선부(11) 끝부분에 형성되며, 라운드 형태로 농기구의 표면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밀착지지부(21)와, 상기 밀착지지부(21)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면(22)의 일면에 볼트(23)가 형성된 수조립부(24)와, 상기 수조립부(24)와 연결되며 밀착지지부(21)와 동일한 라운드 형태를 갖는 몸체(25)의 양측에 볼트(23)가 관통하는 관통공(26)이 형성된 암조림부(27) 및 상기 볼트(23)에 체결되는 나비너트(28)로 구성된 고정부(29)로 이루어진 체결부(20) 및 ,
    상기 하우징(10)의 수평부(12)에 끼움식으로 연결되며,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37)의 일측이 하우징(10)의 내부로 끼움되며 손잡이(37)의 위치와 길이 및 각도가 변형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고, 수평부(12)와 수직방향으로 손잡이(37)를 위치시키는 제1결합부(34)와, 제3결합부(36) 및 수평부(12)와 동일선상으로 손잡이(37)를 위치시키는 제2결합부(35)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0)에 형성된 암나사공(15)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파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형성된 길이조절수단(40)에 의하여 길이가 신장과 수축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40)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14)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끼움되며,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를 갖으며 일측에 노출공(41)이 형성된 이동하우징(10')과, 상기 이동하우징(10')의 내부에 스프링(42)에 의하여 탄성을 갖으며 노출공(41)을 통하여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돌기(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끼움되며 단부에 연결홈(13)을 갖는 이동하우징(10')과, " ㄱ " 형태로 절곡되며 일측 단부에 형성된 연결홈(31)이 형성된 파지부(30) 및 상기 파지부(30)의 연결홈(31)과 이동하우징(10')의 연결홈(13)에 끼움되어 파지부(30)를 이동하우징(1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H"형태의 연결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4. 삭제
KR2020200001406U 2020-04-24 2020-04-24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KR200492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06U KR200492763Y1 (ko) 2020-04-24 2020-04-24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06U KR200492763Y1 (ko) 2020-04-24 2020-04-24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763Y1 true KR200492763Y1 (ko) 2020-12-07

Family

ID=7378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406U KR200492763Y1 (ko) 2020-04-24 2020-04-24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7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6705C1 (ru) * 2021-03-12 2022-03-15 Александр Борисович Долгоруков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рукоятки на средней части черенка лопаты, вил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219A (en) * 1988-02-29 1989-02-14 Clara Berg Snow shovel
KR200261134Y1 (ko) * 2001-10-24 2002-01-19 박훈휘 축사의 퇴적된 고착물 제거용 자동삽
US6485076B1 (en) * 2001-03-08 2002-11-26 William Nai-Jen Chang Versatile attachment for a shovel
JP2005076397A (ja) * 2003-09-03 2005-03-24 Ic Stock Japan Inc スコップ
KR20050103853A (ko) 2004-04-27 2005-11-01 윤관의 손잡이 달린 삽
KR20140089024A (ko) 2012-12-31 2014-07-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간공학적 삽
KR20150081806A (ko) * 2014-01-07 2015-07-15 김영철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CN205510674U (zh) * 2016-01-27 2016-08-31 浙江万兴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园林铁铲
KR101730543B1 (ko) 2015-05-07 2017-04-26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발 디딤판과 보조 손잡이를 구비한 삽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219A (en) * 1988-02-29 1989-02-14 Clara Berg Snow shovel
US6485076B1 (en) * 2001-03-08 2002-11-26 William Nai-Jen Chang Versatile attachment for a shovel
KR200261134Y1 (ko) * 2001-10-24 2002-01-19 박훈휘 축사의 퇴적된 고착물 제거용 자동삽
JP2005076397A (ja) * 2003-09-03 2005-03-24 Ic Stock Japan Inc スコップ
KR20050103853A (ko) 2004-04-27 2005-11-01 윤관의 손잡이 달린 삽
KR20140089024A (ko) 2012-12-31 2014-07-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간공학적 삽
KR20150081806A (ko) * 2014-01-07 2015-07-15 김영철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KR101730543B1 (ko) 2015-05-07 2017-04-26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발 디딤판과 보조 손잡이를 구비한 삽
CN205510674U (zh) * 2016-01-27 2016-08-31 浙江万兴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园林铁铲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6705C1 (ru) * 2021-03-12 2022-03-15 Александр Борисович Долгоруков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рукоятки на средней части черенка лопаты, ви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0408A (en) Ergonomically efficient tool
US4944541A (en) Two-handled shovel
US4910893A (en) Manually operated snow plow or other utility device
US4787661A (en) Adjustable double handled shovel
US6170112B1 (en) Push broom with bowed handle
US5496085A (en) Auxiliary handle unit for long handled hand tools
US8714497B2 (en) Tool stand suitable for tools with elongated handles and a combination tool and tool stand
KR200492763Y1 (ko)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US20120048074A1 (en) Hand Tool with Ergonomic Handle, and Ergonomic Handle for Hand Tool
RU85287U1 (ru) Ручной культиватор
US5626009A (en) A-rake-a-hoe
KR102330530B1 (ko) 잡초제거 괭이
US20110220374A1 (en) Bladed tool
US4930181A (en) Auxiliary tool handle
US4854391A (en) Hand propelled soil cultivation tool
US8079423B2 (en) Cultivating tool
KR200493147Y1 (ko)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
US20050134064A1 (en) Pivoting tool
KR102213053B1 (ko) 무게중심의 분산을 위한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KR102346534B1 (ko) 호미 괭이
US4779913A (en) Gardening implements
RU2152698C2 (ru) Лопат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KR200495267Y1 (ko)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RU2391802C2 (ru) Лопата джетымовых
CA2298090A1 (en) Trow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