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147Y1 -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147Y1
KR200493147Y1 KR2020200002048U KR20200002048U KR200493147Y1 KR 200493147 Y1 KR200493147 Y1 KR 200493147Y1 KR 2020200002048 U KR2020200002048 U KR 2020200002048U KR 20200002048 U KR20200002048 U KR 20200002048U KR 200493147 Y1 KR200493147 Y1 KR 200493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and
grip
fatigue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일
Original Assignee
최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일 filed Critical 최병일
Priority to KR2020200002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1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16Tools for uprooting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14Handles; Accessories, e.g. scythe baskets,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00R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밭농사에서 땅을 파고 농작물을 심거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곡괭이, 호미, 갈퀴, 쇠스랑 등의 농기구의 자루 끝부분에 결합되며 작업자의 손 뒷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자가 자루를 강하게 파지하지 않더라도 작업자의 손 뒷부분이 손잡이에 밀착되어 농기구를 당기는 작업시 손가락에 과도한 악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농기구를 당겨 작업할 수 있어 작업자의 손에 발생하는 피로도를 획기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오랜 밭농사에 의한 관절염 등의 질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Handle for farm equipment that can reduce hand fatigue through lower grip}
본 고안은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밭농사에서 땅을 파고 농작물을 심거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곡괭이, 호미, 갈퀴, 쇠스랑 등의 농기구의 자루 끝부분에 결합되며 작업자의 손 뒷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자가 자루를 강하게 파지하지 않더라도 작업자의 손 뒷부분이 손잡이에 밀착되어 농기구를 당기는 작업시 손가락에 과도한 악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농기구를 당겨 작업할 수 있어 작업자의 손에 발생하는 피로도를 획기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오랜 밭농사에 의한 관절염 등의 질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는 농기구에는 작업자의 끌어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구멍을 파거나 또는 잡초를 제거하거나 또는 밭을 평탄화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곡괭이, 갈고리, 낫, 가래, 호미, 쇠스랑, 갈퀴 등의 농기구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농기구를 사용할 때 작업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기구(1)와 연결된 자루(2)를 강한 악력으로 잡고 땅을 퍼거나 당기는 작업을 통하여 잡초를 제거하거나 지면을 평탄화하는 작업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끌어당기는 힘을 이용한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는 강한 악력으로 계속적으로 자루를 파지함으로써 손가락에 극심한 피로도가 발생하여 오랜시간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강한 악력을 이용하여 농기구를 계속 사용하게 되면 작업자는 손가락과 같은 마디부분에 관절렴과 같은 질병이 쉽게 발생되며, 이외에도 팔과 허리 및 손목 등에도 악영향을 끼쳐 작업자의 부상을 유발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3778호(등록일: 2001.05.30.) 농기구용 손잡이는, 농기구의 자루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고, 몸체 내측으로는 삽입공이 관통되게 구비되며, 몸체 외측으로는 사용자가 잡고 사용할 수 있는 파지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외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반복적으로 지압부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농기구용 손잡이는 파지부에 지압부재를 형성하여 손의 피로도를 저하시킴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실질적인 작업자의 과도한 악력의 사용을 저하시킬 수 있는 특징은 찾아볼 수 없어 작업자의 손가락에 발생되는 관절염과 같은 질병의 발생이 계속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 기술로 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5342호(등록일: 2002.02.07.) 종횡 손잡이 자루구조는, 자루와 평행한 구조의 손잡이를 이용하면서 큰 힘이 필요할 땐 수평적 힘과 수직적 힘을 함께 보강하고 가로방향의 손잡이도 겸할 수 있도록 구조가 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손잡이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해주는 것으로 자루몸체 부분인 자루의 기본적인 손잡이 방향과 교차가 되는 가로방향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가로방향의 손잡이를 잡으면 자루와 평행이 되는 손잡이부분이 사용자의 팔에 닿아 반작용에너지가 분산되어 작동에너지가 줄어드는 지렛대 원리를 적용하여 사용 시 누르는 힘과 밀고 당기는 힘을 크게 향상시키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손잡이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손잡이는 다양한 위치와 각도로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는 특징은 있으나 상기 구성의 손잡이 역시 실질적인 작업자의 과도한 악력의 사용을 저하시킬 수 있는 특징은 찾아볼 수 없어 작업자의 손가락에 발생되는 관절염과 같은 질병의 발생이 계속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농기구에 설치가 어려워 일반 농가 및 농기구 판내점에 보급이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3778호(등록일: 2001년 05월 30일) "농기구용 손잡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5342호(등록일: 2002년 02월 07일) "종횡 손잡이 자루 구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031호(등록일: 2008년 09월 25일) "농기구의 자루 결합구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가 끌어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구멍을 파거나 또는 잡초를 제거하거나 또는 밭을 평탄화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곡괭이, 갈고리, 낫, 가래, 호미, 쇠스랑, 갈퀴 등의 농기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적은 악력으로 농기구의 자루를 파지하더라도 끌어당기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 손가락 및 손목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자의 힘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손이나 팔, 허리 등의 피로도를 획기적으로 저하시킴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의 끌어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잡초를 제거하거나 밭을 평탄화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가래, 호미, 쇠스랑, 갈퀴 등의 농기구의 자루에 설치되어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는, 상기 자루의 형태에 따라 각관 또는 원통관 형태를 갖으며, 표면에 볼트의 체결을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작업자의 손과 손목 뒷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결합부의 하부측에 위치되며 결합부와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뒷부분에 밀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 일측으로 20도 ~ 40도 범위로 경사져 작업자의 손과 손목의 뒷부분에 밀착되는 경사부로 구획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결합부와 수직상태로 결합된 판형태 또는, 일측으로 경사진 타원형 또는, 호 또는 평면이 결합부에 연결되는 반구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결합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는 농기구를 파지하고 당기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뒷부분이 손잡이의 걸림부 일면에 밀착되어 팔에 힘으로 농기구를 당김으로써 손가락의 악력을 최소화 하더라고 농기구를 당기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악력저하에 따른 손가락 등의 관절염과 같은 질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피로도를 획기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업피로도의 저하를 통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농기구의 자루를 관통하여 적업자의 신체에 적당한 위치로 조절하여 설치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손잡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잡초를 제거하거나 또는 밭을 평탄화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곡괭이, 갈고리, 낫, 가래, 호미, 쇠스랑, 갈퀴 등의 농기구에 쉽게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하고 신속한 보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농기구를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가 입식호미와 갈퀴에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의 측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가 입식호미와 갈퀴에 설치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의 측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이하, '손잡이'라함)(100)은 일측에 땅을 파고 농작물을 심거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곡괭이, 호미, 갈퀴, 쇠스랑 등의 농기구(1)의 자루(2)에 결합되는 결합부(10)와, 타측에 작업자의 손 뒷부분에 밀착되는 걸림부(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곡괭이, 호미, 갈퀴, 쇠스랑 등의 농기구(1)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견고하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자루(2)는 농기구 전체를 경량화 하기위하여 알루미늄 또는 목재와 같은 경량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10)는 자루의 형태에 따라서 각관 형태 또는 원통관 형태를 갖을 수 있으며 표면에 볼트(30)의 체결을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1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0)는 결합부(1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작업자의 손과 손목 뒷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20)는 결합부(10)의 하부측에 위치되며 결합부(20)와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뒷부분에 밀착되는 수직부(21)와, 상기 수직부(21)의 상부에 일측으로 20도 ~ 40도 범위(a)로 경사져 작업자의 손과 손목의 뒷부분에 밀착되는 경사부(22)로 구획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20)가 수직부(21)와 경사부(22)로 구획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부(20)가 작업자의 손의 뒷부분과 손목 뒷부분 및 팔의 하부에 동시에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당기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손과 손목뒷부분 및 팔의 하부를 통하여 동시에 당기는 힘이 농기구의 자루로 전달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자루를 약하게 잡더라도(적은 악력을 이용하더라도) 무리없이 농기구를 당겨 풀을 제거하거나 평탄화와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의 팔목이 전체적으로 걸림부(20)의 수직부(21)와 경사부(22)의 일면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팔목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음으로서 팔목의 시큰거림과 같은 질병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상기 경사부(22)는 상기 수직부(21)의 상부에 일측으로 20도 ~ 40도 범위로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음으로써 작업자의 손뒷부분과 팔목 뒷부분 및 팔의 일부분에 동시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손과 팔목을 편안한 각도에서 걸림부(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즉, 경사부(22)의 각도(a)가 20도 이하로 형성되는 경우 경사부의 상부가 팔의 하부를 찔러 팔 부분의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40도 이상으로 형성시 경사부(22)가 손의 뒷부분과 팔목과 팔에 밀착되지 않음으로써 당기는 힘이 손부분에 집중되어 손부분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농기구를 이용하여 당기는 작업을 수행시 작업자가 자루를 강한 악력으로 잡지 않더라도 팔 전체로 걸림부(20)를 당김으로써 작업자의 악력저하에 따른 손가락 등의 관절염과 같은 질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피로도를 획기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피로도의 저하는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0)와 걸림부(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손잡이(100)의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20)의 내측면(작업자의 손과 팔이 밀착되는 면)에는 작업자의 손과 팔이 밀착시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당김시 작업자의 피부에 통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펀지 재질의 쿠션부(24)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20)는 중앙부분에 상기 결합부(10)와 연통되는 관통공(23)을 형성하여 손잡이(100)가 자루(2)를 관통하여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 자신의 신체에 맞는 위치로 손잡이(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10)와 걸림부(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20)의 중앙부분에 상기 결합부(10)와 연통되는 관통공(23)을 형성하여 손잡이(100)가 자루(2)에 끼움된 상태에서 그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손잡이(100)의 위치를 조절한 후에는 볼트(30)가 결합부(10)에 형성된 체결공(11)을 관통하여 내부에 설치된 자루(2)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손잡이(100)의 조절된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20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시한 형태 이외에 작업자의 손 뒷부분과 손목 및 팔의 일부분에 동시에 밀착되어 당기는 힘이 손의 힘만이 아닌 팔 전체의 힘을 이용하여 농기구를 당길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는 농기구를 파지하고 당기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뒷부분이 손잡이의 걸림부 일면에 밀착되어 팔에 힘으로 농기구를 당김으로써 손가락의 악력을 최소화 하더라고 농기구를 당기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악력저하에 따른 손가락 등의 관절염과 같은 질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피로도를 획기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으며, 작업피로도의 저하를 통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농기구의 자루를 관통하여 적업자의 신체에 적당한 위치로 조절하여 설치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손잡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잡초를 제거하거나 또는 밭을 평탄화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곡괭이, 갈고리, 낫, 가래, 호미, 쇠스랑, 갈퀴 등의 농기구에 쉽게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하고 신속한 보급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결합부 11 : 체결공
20 : 걸림부 21 : 수직부
22 : 경사부 23 : 관통공
24 : 쿠션부 30 : 볼트

Claims (4)

  1. 작업자의 끌어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잡초를 제거하거나 밭을 평탄화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가래, 호미, 쇠스랑, 갈퀴 등의 농기구(1)의 자루(2)에 설치되어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100)는,
    상기 자루(2)의 형태에 따라 각관 또는 원통관 형태를 갖으며, 표면에 볼트(30)의 체결을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11)이 형성된 결합부(10)와,
    상기 결합부(1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작업자의 손과 손목 뒷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부(20)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20)는 결합부(20)와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뒷부분에 밀착되는 수직부(21)와, 상기 수직부(21)의 상부에 일측으로 20도 ~ 40도 범위로 경사져 작업자의 손과 손목의 뒷부분에 밀착되는 경사부(22)로 구획되고 결합부(10)가 형성된 면에 작업자의 손과 팔이 밀착시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농기구를 당김시 작업자의 피부에 통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펀지 재질의 쿠션부(24)가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0)는 결합부(10)와 수직상태로 결합된 판형태 또는, 일측으로 경사진 타원형 또는, 호 또는 평면이 결합부(10)에 연결되는 반구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0)는 상기 결합부(10)와 연통되는 관통공(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
KR2020200002048U 2020-06-14 2020-06-14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 KR200493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048U KR200493147Y1 (ko) 2020-06-14 2020-06-14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048U KR200493147Y1 (ko) 2020-06-14 2020-06-14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147Y1 true KR200493147Y1 (ko) 2021-02-08

Family

ID=7456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048U KR200493147Y1 (ko) 2020-06-14 2020-06-14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1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252B1 (ko) * 2023-07-13 2024-05-13 주식회사 마켓레이지헤븐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호환성이 우수한 농기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360U (ko) * 1987-06-19 1989-03-10 이원형 물놀이용 부구
KR930007095Y1 (ko) * 1991-04-11 1993-10-13 김영부 강화 합성수지제 삽
KR200233778Y1 (ko) 2001-03-05 2001-09-26 노덕관 농기구용 손잡이
KR200265342Y1 (ko) 2001-09-17 2002-02-25 박준석 종횡 손잡이 자루 구조
KR200442031Y1 (ko) 2007-04-16 2008-10-01 주충열 농기구의 자루 결합구조
KR20100008017A (ko) * 2008-07-15 2010-01-25 권영광 조립수단을 갖는 개량삽
JP2011174273A (ja) * 2010-02-24 2011-09-08 Shigeru Chiba スコップ
KR20160100458A (ko) * 2015-02-14 2016-08-24 박형규 농작물 채취 농기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360U (ko) * 1987-06-19 1989-03-10 이원형 물놀이용 부구
KR930007095Y1 (ko) * 1991-04-11 1993-10-13 김영부 강화 합성수지제 삽
KR200233778Y1 (ko) 2001-03-05 2001-09-26 노덕관 농기구용 손잡이
KR200265342Y1 (ko) 2001-09-17 2002-02-25 박준석 종횡 손잡이 자루 구조
KR200442031Y1 (ko) 2007-04-16 2008-10-01 주충열 농기구의 자루 결합구조
KR20100008017A (ko) * 2008-07-15 2010-01-25 권영광 조립수단을 갖는 개량삽
JP2011174273A (ja) * 2010-02-24 2011-09-08 Shigeru Chiba スコップ
KR20160100458A (ko) * 2015-02-14 2016-08-24 박형규 농작물 채취 농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252B1 (ko) * 2023-07-13 2024-05-13 주식회사 마켓레이지헤븐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호환성이 우수한 농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8407A (en) Auxiliary tool handle
US9718181B2 (en) Apparatus for ergonomic application of rotational handle garden tool
US8006351B2 (en) Short-handled, ergonomic garden tools
CA2809806C (en) Turn collar fulcrum handle system
US5937627A (en) Gardening implement having enhanced leverage
US8740272B2 (en) Ergonomically designed multi-handled tool
US10448552B2 (en) Gardening tool
US9717174B2 (en) Ergonomic rotational handle for a garden tool
US9149925B1 (en) Ergonomic garden tool handle
KR200493147Y1 (ko) 악력의 저하를 통하여 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농기구용 손잡이
US20030024074A1 (en) Biconcave connector for tubular assemblies and tool handles
WO2012027425A1 (en) Hand tool with ergonomic handle, and ergonomic handle for hand tool
WO1989011956A1 (en) Auxiliary tool handle
US20040007887A1 (en) Extendable handle for a manually operated implement and method
US4854391A (en) Hand propelled soil cultivation tool
US6955228B2 (en) Tool with rotatable handle grip
KR200492763Y1 (ko)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US20100200255A1 (en) Gardening tool wtih prongs and blade member
US5383523A (en) Weeding tool
US20140292009A1 (en) Digging and Tilling Implements with Knee Clearance
KR102346534B1 (ko) 호미 괭이
KR102213053B1 (ko) 무게중심의 분산을 위한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US20210228390A1 (en) One-arm implement for user with disabled arm.
EP3278641A1 (en) Apparatus for ergonomic application of rotational handle garden tool
US20180295766A1 (en) Two-handled sho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