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024A - 인간공학적 삽 - Google Patents

인간공학적 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024A
KR20140089024A KR1020120158725A KR20120158725A KR20140089024A KR 20140089024 A KR20140089024 A KR 20140089024A KR 1020120158725 A KR1020120158725 A KR 1020120158725A KR 20120158725 A KR20120158725 A KR 20120158725A KR 20140089024 A KR20140089024 A KR 20140089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vel
angle
length
blad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창
송경식
김재연
곽용석
김민영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9024A/ko
Publication of KR2014008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01B1/022Collapsible; extensible; combinations with other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하는 사람에게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삽에 관한 것으로, 삽날, 상기 삽날로부터 제1 각도로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삽자루, 상기 제1 삽자루로부터 제2 각도로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부가 구비된 제2 삽자루, 및 상기 제2 삽자루와 연결되고, 사람의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삽으로 작업하는 사람의 신체조건 및 작업 스타일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삽날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꺾어져서 형성되어 작업자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간공학적 삽{Ergonomical Shovel}
본 발명은 삽에 관한 것으로서, 삽을 이용한 작업 시 작업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삽날과 연결된 삽자루가 꺾어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삽자루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제공해주기 위한 인간공학적 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삽은 사람의 손발을 이용하여 흙이나 땅을 파고 움직이는 용도로 농촌이나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삽(1)은 흙 등을 파기 위한 삽날, 상기 삽날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삽자루, 상기 삽자루의 말단에 연결된 손잡이로 이루어져있다.
이 때, 종래의 삽(1)은 삽날로부터 삽자루를 거쳐, 손잡이까지 거의 일직선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는 삽자루에 흙 등을 퍼서 담을 때, 허리를 많이 숙여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고, 실질적으로 허리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삽(1)을 이용하여 땅을 파는 경우, 삽날은 거의 땅 속에 파묻히게 되어 상기 삽날과 일직선으로 형성된 삽자루도 땅에 인접한 위치까지 내린 다음, 사용자가 허리와 어깨, 팔의 힘을 이용하여 삽날과 삽자루를 동시에 들어서 땅을 파게 되는 것이다.
즉, 삽날과 삽자루의 일직선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가 삽을 이용한 작업 시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고 엄청난 부하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삽날로부터 연장된 삽자루를 일정 각도 이상으로 꺾어지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서, 사용자의 허리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삽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자루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 사용자의 작업 스타일에 맞출 수 있는 삽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삽은 삽날, 상기 삽날로부터 제1 각도로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삽자루, 상기 제1 삽자루로부터 제2 각도로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부가 구비된 제2 삽자루, 및 상기 제2 삽자루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삽자루와 연결되고, 사람의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파지부가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동일한 각도이고, 상기 제1 삽자루와 상기 제2 삽자루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꺾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내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원통의 형상이고, 상기 제2 삽자루는 상기 길이 조절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절단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2 삽자루의 절단된 영역의 외측면에 상기 길이 조절부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삽자루가 상기 길이 조절부에 삽입되어 나사선을 따라 길이가 조절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간 공학적 삽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삽날로부터 연장된 삽자루가 일정 각도만큼 꺾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작업 시 허리를 굽히는 각도가 줄어들어 허리 및 어깨 등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둘째, 삽자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삽을 맞추어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삽을 이용한 작업 자세를 분석할 결과, 근골격계 질환 유해 요인을 감소시키거나 줄여줌으로써,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넷째, 삽을 이용한 작업 부담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업 시간 증가 및 작업 효율 증가로 기업의 이윤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삽의 손잡이 부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삽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간공학적 삽(10)은 삽날, 제1 삽자루(20), 제2 삽자루(30) 및 손잡이(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날은 작업자가 작업 대상인 흙 등을 퍼서 담아서 다른 장소 등으로 이동할 때, 흙을 퍼서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삽날은 종래의 삽(1)의 삽날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삽자루(20)는 상기 삽날로부터 제1 각도(θ1)만큼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삽자루(20)는 상기 삽날의 앞면을 기준으로 상기 삽날의 앞면으로부터 제1 각도(θ1)로 꺾인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삽(10)이 최초 제작될 때, 제1 삽자루(20)가 제1 각도(θ1)만큼 꺾이도록 만들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삽날과 제1 삽자루(20)의 연결 부위에 상기 삽날과 제1 삽자루(2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각도 조절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 조절부는 상기 삽날로부터 제1 삽자루(20)의 꺾어진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예로, 상기 제1 각도 조절부는 상기 삽날과 제1 삽자루(20)의 양측에 걸쳐 형성된 경첩(hinge)과 상기 경첩을 통하여 각도가 조절된 뒤에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한 각도 고정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각도(θ1)는 140도 내지 160도 정도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만일 제1 각도(θ1)가 140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삽날과 제1 삽자루(20)가 직각에 가까워 작업자가 작업하는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할 것이고, 제1 각도(θ1)가 160도보다 큰 경우에는 종래의 삽(1)과 거의 차별되는 점이 없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삽자루(20)가 상기 삽날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꺾어짐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많이 숙여야 하는 부담감이 줄어든다고 할 것이다.
제2 삽자루(30)는 제1 삽자루(20)로부터 제2 각도(θ2)만큼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 제2 삽자루(30)는 제1 삽자루(20)가 상기 삽날로부터 꺾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꺾어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각도(θ2)와 제1 각도(θ1)는 서로 동일한 각도이다. 이에 제1 삽자루(20)가 상기 삽날로부터 꺾인 제1 각도(θ1)와 제2 삽자루(30)가 제1 삽자루(20)로부터 꺾인 제2 각도(θ2)가 동일하므로, 제2 삽자루(30)는 상기 삽날과 평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삽자루(30)가 제1 삽자루(20)부터 다시 꺾어진 구조이고, 특히 제1 삽자루(20)가 상기 삽날로부터 꺾인 제1 각도(θ1)와 제2 삽자루(30)가 제1 삽자루(20)로부터 꺾인 제2 각도(θ2)가 동일하여 상기 삽날과 제2 삽자루(30)가 평행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 시 필요한 부하는 종래의 삽(1)보다 줄어들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삽자루(30)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길이 조절부(50)는 제1 삽자루(20)와 손잡이(40)의 사이에 위치한 제2 삽자루(30)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제2 삽자루(30)의 길이를 조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길이 조절부(50)는 내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2 삽자루(3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통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삽자루(30)는 길이 조절부(50)를 기준으로 절단되도록 형성되고, 절단된 부분이 길이 조절부(50)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때, 길이 조절부(50)에 삽입되는 제2 삽자루(30) 부분의 외측면에 길이 조절부(50)에 형성된 나사선에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길이 조절부(50)와 제2 삽자루(30)에 각각 형성된 나사선을 따라 제2 삽자루(3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길이 조절부(50)는 나사선을 이용한 길이 조절이 아니라, 제2 삽자루(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예로, 길이 조절부(50)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삽입 홀들을 구비하고, 길이 조절부(50)를 기준으로 절단된 제2 삽자루(30)에 상기 삽입 홀들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 홀들과 상기 삽입 돌기들 간의 삽입에 의하여 제2 삽자루(30)의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손잡이(40)는 제1 삽자루(20)와 연결된 제2 삽자루(30)의 반대 영역의 제2 삽자루(30)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40)는 제2 삽자루(30)로부터 연장되는 'Y'자 형상의 손잡이 몸체와 손잡이 몸체의 말단에 부착되어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파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사람의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파지부는 사람의 두 번째 손가락부터 다섯 번째 손가락이 편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는 4 개의 요청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파지부에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10)이 인간공학적 형상과 구조를 가짐으로써, 삽(10)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사람이 종래의 삽(1)에 비하여 적은 힘으로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기본적인 인간공학적 삽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서술한 것일 뿐,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삽 10 : 인간공학적 삽
20 : 제1 삽자루 30 : 제2 삽자루
40 : 손잡이 50 : 길이 조절부

Claims (3)

  1. 삽날;
    상기 삽날로부터 제1 각도로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삽자루;
    상기 제1 삽자루로부터 제2 각도로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부가 구비된 제2 삽자루; 및
    상기 제2 삽자루와 연결되고, 사람의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파지부가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동일한 각도이고, 상기 제1 삽자루와 상기 제2 삽자루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꺾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내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원통의 형상이고,
    상기 제2 삽자루는 상기 길이 조절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절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자루의 절단된 영역의 외측면에 상기 길이 조절부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삽자루가 상기 길이 조절부에 삽입되어 나사선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
KR1020120158725A 2012-12-31 2012-12-31 인간공학적 삽 KR20140089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725A KR20140089024A (ko) 2012-12-31 2012-12-31 인간공학적 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725A KR20140089024A (ko) 2012-12-31 2012-12-31 인간공학적 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024A true KR20140089024A (ko) 2014-07-14

Family

ID=5173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725A KR20140089024A (ko) 2012-12-31 2012-12-31 인간공학적 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90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63Y1 (ko) 2020-04-24 2020-12-07 최병일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KR102213053B1 (ko) 2020-04-12 2021-02-08 최병일 무게중심의 분산을 위한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053B1 (ko) 2020-04-12 2021-02-08 최병일 무게중심의 분산을 위한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KR200492763Y1 (ko) 2020-04-24 2020-12-07 최병일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tamedzade et al. Ergonomic design of carpet weaving hand tools
RU2446029C2 (ru) Ручной инструмент (варианты) и ручка для руч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US20170014986A1 (en) Apparatus for ergonomic application of rotational handle garden tool
US20080016653A1 (en) Ergonomic handle for push tools
JP2016508805A (ja) 掃除用具などのためのハンドル
KR20140089024A (ko) 인간공학적 삽
US20140346316A1 (en) Chest mounted worker's support
US20120317954A1 (en) Glove rake
KR101730543B1 (ko) 발 디딤판과 보조 손잡이를 구비한 삽
US9326437B2 (en) Ergonomic second-handle for tools
KR200476860Y1 (ko) 슬라이딩 삽
KR102213053B1 (ko) 무게중심의 분산을 위한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KR200492763Y1 (ko)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Fathallah et al. Small changes make big differences: the role of ergonomics in agriculture
CN205244024U (zh) 一种连接装置以及具有连接装置的园林工具
US9592616B2 (en) Knife that relieves pressure on metacarpophalangeal joint of index finger
US11627770B2 (en) Hand worn debris removal device
Hedge Design of hand-operated devices
EP3278641A1 (en) Apparatus for ergonomic application of rotational handle garden tool
KR200397774Y1 (ko) 개량 삽
RU2633808C2 (ru) Структура для захвата с изменяемым трением
US1850438A (en) Brush, bramble, grass, vine, and corn cutter and shearer
Haapalainen et al. Ergonomic design criteria for pruning shears
US7694391B2 (en) Ergonomic handle providing horizontal and vertical gripping surfaces
KR200478842Y1 (ko) 재배용 보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