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806A -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 Google Patents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806A
KR20150081806A KR1020140001664A KR20140001664A KR20150081806A KR 20150081806 A KR20150081806 A KR 20150081806A KR 1020140001664 A KR1020140001664 A KR 1020140001664A KR 20140001664 A KR20140001664 A KR 20140001664A KR 20150081806 A KR20150081806 A KR 20150081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vel
auxiliary
auxiliary rod
hand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102014000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806A/ko
Publication of KR2015008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2Attaching the blades or the like to handles;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hand-operated ; handheld soil shifting equipment acting by sucking E02F3/88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자루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삽자루의 하단에는 삽날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삽에 있어서, 상기 삽자루의 하단부에는 오목홈이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에는 원형의 밴드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에는 상부로 플랜지가 돌출·형성되되,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는 체결수단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축핀을 위한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에는 상단에 보조손잡이가 구비된 보조봉의 하단이 축핀에 의해 축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삽자루의 하단에 형성된 보조손잡이의 높낮이와 회전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삽을 조절하고, 상기 보조손잡이로 인해 허리를 그리 많이 숙이지 않을뿐더러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고 온몸 근력 운동도 병행되며, 큰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삽질이 가능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Shovel having assistant handle}
본 발명은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삽자루의 하단에 형성된 보조손잡이의 높낮이와 회전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삽을 조절하고, 상기 보조손잡이로 인해 허리를 그리 많이 숙이지 않을뿐더러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고 온몸 근력 운동도 병행되며, 큰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삽질이 가능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삽은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삽자루와 상기 삽자루의 하단에 형성된 삽날로 구성되는데, 작업자는 상부 손잡이를 오른손으로 잡고 삽자루의 하부는 왼손으로 잡고 허리를 굽혔다 폈다 하면서 삽질을 하기 때문에 허리에 무리가 많이 갈 뿐더러 이에 따른 노동력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07103호(2000년10월05일)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103853호(2005년11월01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삽자루의 하단에 형성된 보조손잡이의 높낮이와 회전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삽을 조절하고, 상기 보조손잡이로 인해 허리를 그리 많이 숙이지 않을뿐더러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고 온몸 근력 운동도 병행되며, 큰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삽질이 가능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은, 삽자루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삽자루의 하단에는 삽날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삽에 있어서, 상기 삽자루의 하단부에는 오목홈이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에는 원형의 밴드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에는 상부로 플랜지가 돌출·형성되되,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는 체결수단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축핀을 위한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에는 상단에 보조손잡이가 구비된 보조봉의 하단이 축핀에 의해 축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봉은 제1,2 보조봉으로 분리되되, 상기 제1 보조봉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스프링볼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봉의 상단부에는 소정간격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스프링볼의 일부가 노출되어 제1 보조봉의 하단이 제2 보조봉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목홈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돌기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밴드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삽자루의 하단에 형성된 보조손잡이의 높낮이와 회전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삽을 조절하고, 상기 보조손잡이로 인해 허리를 그리 많이 숙이지 않을뿐더러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고 온몸 근력 운동도 병행되며, 큰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삽질이 가능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삽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 -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있어, 보조봉의 단면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4 - 본 발명에 있어, 밴드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100)은, 삽자루(101)의 상단에는 손잡이(101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자루(101)의 하단에는 삽날(10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삽에 있어서, 상기 삽자루(101)의 하단부에는 오목홈(110)이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110)에는 원형의 밴드부재(120)가 결합되고; 상기 밴드부재(120)의 양단에는 상부로 플랜지(121)가 돌출·형성되되, 상기 플랜지(121)의 하부에는 체결수단(122)을 위한 결합공(121a)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축핀(123)을 위한 축공(121b)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121b)에는 상단에 보조손잡이(130a)가 구비된 보조봉(130)의 하단이 축핀(123)에 의해 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목홈(110)은 삽자루(10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오목홈(110)의 외경은 삽자루(10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오목홈(110)에 결합되는 밴드부재(120)가 삽자루(101)에서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밴드부재(120)는 오목홈(11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밴드부재(120)의 양단에는 상부로 한 쌍의 플랜지(121)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21)는 밴드부재(120)를 삽자루(101)에 고정하고 보조봉(130)의 회전을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 하부에는 체결수단(122)을 위한 결합공(121a)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축핀(123)을 위한 축공(121b)이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수단(122)에 의해 밴드부재(120)는 삽자루(101)에 고정되고, 상기 축핀(123)에 의해 보조봉(130)은 상하로 회전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조봉(130)의 하단은 축핀(123)에 의해 플랜지(121)에 축 결합되며, 이로 인해 상기 보조봉(130)은 상하로 회전되므로 작업 시에는 상부로 회전시키고 보관 시에는 하부로 회전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 회전 시에는 보조봉(130)이 삽자루(101)에 밀착되므로 그 보관이 용이하다 할 것이다.
물론 상기 보조봉(130)의 상하 회전과 함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축핀(123)을 대체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보조봉(130)의 하단부에는 굴곡부(130b)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보조봉(130)이 삽자루(101)에 밀착·고정된 상태일지라도 상기 굴곡부(130b)에 의해 상기 삽자루(101)에 직접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기존의 삽과 동일한 삽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봉(130)은 제1,2 보조봉(131,132)으로 분리되되, 상기 제1 보조봉(131)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스프링볼(13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봉(132)의 상단부에는 소정간격의 통공(132a)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32a)에 스프링볼(131a)의 일부가 노출되어 제1 보조봉(131)의 하단이 제2 보조봉(132)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보조봉(130)의 상하 회전과 함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삽의 조절이 용이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오목홈(11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안착돌기(111)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돌기(111)에 대응하는 안착홈(120a)이 밴드부재(120)의 내주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축핀(123)에 의한 보조봉(130)의 상하 회전과 함께 오목홈(110)에 의한 밴드부재(120)의 좌우 회전, 즉 상기 보조봉(130)의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보조봉(130)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안착돌기(111)와 안착홈(120a)은 좌우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 외부 충격에 의해 보조봉(130)이 좌우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삽
101: 삽자루 101a: 손잡이
102: 삽날 110: 오목홈
111: 안착돌기 120: 밴드부재
120a: 안착홈 121: 플랜지
121a: 결합공 121b: 축공
122: 체결수단 123: 축핀
130: 보조봉 130a: 보조손잡이
131: 제1 보조봉 131a: 스프링볼
132: 제2 보조봉 132a: 통공

Claims (3)

  1. 삽자루(101)의 상단에는 손잡이(101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자루(101)의 하단에는 삽날(10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삽에 있어서,
    상기 삽자루(101)의 하단부에는 오목홈(110)이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110)에는 원형의 밴드부재(120)가 결합되고;
    상기 밴드부재(120)의 양단에는 상부로 플랜지(121)가 돌출·형성되되, 상기 플랜지(121)의 하부에는 체결수단(122)을 위한 결합공(121a)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축핀(123)을 위한 축공(121b)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121b)에는 상단에 보조손잡이(130a)가 구비된 보조봉(130)의 하단이 축핀(123)에 의해 축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봉(130)은 제1,2 보조봉(131,132)으로 분리되되, 상기 제1 보조봉(131)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스프링볼(13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봉(132)의 상단부에는 소정간격의 통공(132a)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32a)에 스프링볼(131a)의 일부가 노출되어 제1 보조봉(131)의 하단이 제2 보조봉(132)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11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안착돌기(111)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돌기(111)에 대응하는 안착홈(120a)이 밴드부재(120)의 내주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KR1020140001664A 2014-01-07 2014-01-07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KR20150081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664A KR20150081806A (ko) 2014-01-07 2014-01-07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664A KR20150081806A (ko) 2014-01-07 2014-01-07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806A true KR20150081806A (ko) 2015-07-15

Family

ID=5379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664A KR20150081806A (ko) 2014-01-07 2014-01-07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8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63Y1 (ko) * 2020-04-24 2020-12-07 최병일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JP2021011698A (ja) * 2019-07-04 2021-02-04 東鉄工業株式会社 砕石整理用器具
KR102213053B1 (ko) * 2020-04-12 2021-02-08 최병일 무게중심의 분산을 위한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1698A (ja) * 2019-07-04 2021-02-04 東鉄工業株式会社 砕石整理用器具
KR102213053B1 (ko) * 2020-04-12 2021-02-08 최병일 무게중심의 분산을 위한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KR200492763Y1 (ko) * 2020-04-24 2020-12-07 최병일 농기구용 보조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0353B2 (en) Trampoline
US7771325B2 (en) Exercise bicycle
KR20150081806A (ko)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KR102352480B1 (ko) 릴시트 및 낚싯대
US20130269153A1 (en) Turn collar fulcrum handle system
US20070163065A1 (en) Extendible cleaner rod
CN104168753A (zh) 人体工学设计的多手柄工具
US9333639B2 (en) Two handled shovel
EP2343035A1 (en) A rollator having height adjustable handles
KR101286225B1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US9736979B1 (en) Manure fork
US202100015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ting logs
KR101437547B1 (ko) 분리 조립이 가능한 골프채
CN105398527A (zh) 一种具有新型转向机构的滑板车
KR20140073062A (ko) 중량부를 가지는 절첩식 탈취방지 호신봉
JP2017529275A (ja) 自転車のフロントフォーク
US20190291262A1 (en) Tool handle
US104140A (en) Improvement in shovels
TWM565667U (zh) Quick release locomotive platform reinforcement rod
US20180133887A1 (en) Shock-absorbing tool handle
US1830862A (en) Handle assembly
CN209717961U (zh) 铝材式升降锯马
CN208802099U (zh) 一种用于滑板车的前桥架
JP2012254485A (ja) 打撃工具
US3854834A (en) Lawn mower handle mou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