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045A - 농기구 연결 조인트 - Google Patents

농기구 연결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045A
KR20160018045A KR1020140101946A KR20140101946A KR20160018045A KR 20160018045 A KR20160018045 A KR 20160018045A KR 1020140101946 A KR1020140101946 A KR 1020140101946A KR 20140101946 A KR20140101946 A KR 20140101946A KR 20160018045 A KR20160018045 A KR 20160018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joint frame
bar
frame
protrud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복
조숙자
Original Assignee
이진복
조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복, 조숙자 filed Critical 이진복
Priority to KR102014010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8045A/ko
Publication of KR2016001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0Combinations of different kinds of han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2Attaching the blades or the like to handles;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기구 연결 조인트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농구기의 헤드부(1)와 손잡이부(2)는 분리되어 조인트부(10)에 의해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부(10)는 고정핸들(22)이 나사결합되는 조인트바(20)와, 조인트바(20)가 수용되고 고정핸들(22)이 밀착되도록 견착면(32)이 구비되는 조인트프레임(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인트바(20)와 조인트프레임(30) 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돌출편(40)과,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돌출편(40)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절개홈(52)이 형성되는 고리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인트부의 조인트바와 조인트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편과 고리부에 의해 결속되어 고정핸들에 의해 잠금되는 간단한 탈부착구조를 가짐으로 쇠스랑, 톱, 괭이, 삽 및 낫을 포함하는 농기구의 헤드부 교체작업이 간편하고, 사용중 부품분실 방지되어 취급상 편의성이 제공되면서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기구 연결 조인트{Farm Equipment connection joints}
본 발명은 농기구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쇠스랑, 톱, 괭이, 삽 및 낫을 포함하는 농기구의 헤드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농기구 기능을 간편하게 전환함에 있어, 탈부착구조의 간편화와 사용중 부품분실 방지되어 취급상 편의성이 제공되면서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농기구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쇠스랑, 톱, 괭이, 삽 및 낫을 포함하는 농기구는 손잡이부와 헤드부로 구분되어, 각각의 기능을 가진 농기구를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작업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여러가지 작업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농기구를 논, 밭을 포함하는 작업장으로 모두 운반해야 하므로 휴대가 불편하고, 특히 주말농장을 운영하는 도시인들의 경우 장사이즈의 농기구를 차량트렁크에 수납하는데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공개번호 실2000-19091호에서, 삽과 괭이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자루의 단부에서 탈착가능하게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톱 또는 낫 등의 도구 등 필요에 따라 연장을 조립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고, 자루에 지렛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지지대를 설치하여 적은 힘으로 흙이나돌과 같은 인상물을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 선공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삽, 괭이, 톱, 낫 등의 연장을 조립하여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나, 사용상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따랐다.
첫째, 결합핀이 별도의 부품으로 구분되어 핀구멍에서 분리하는 방식으로 연장을 교체함에 따라 사용자 부주의로 결합핀을 낙하시 풀이 무성한 논밭이나 산에서 쉽게 분실하여 더이상 작업을 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둘째, 연장을 교체시 고정너트를 풀고 난 후, 결합핀을 분리하고, 연장을 교체한 다음, 결합핀을 다시 삽입하고 고정너트 조여야 하는 단계로 교체방식이 번거롭고, 특히 결합핀을 분리하거나 자루의 핀구멍과 연장의 핀구멍을 일치시킨 상태로 결합핀을 삽입해야 하므로 비숙련공에 의한 교체작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쇠스랑, 톱, 괭이, 삽 및 낫을 포함하는 농기구의 헤드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농기구 기능을 간편하게 전환함에 있어, 탈부착구조의 간편화와 사용중 부품분실 방지되어 취급상 편의성이 제공되면서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농기구 연결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농구기의 헤드부(1)와 손잡이부(2)는 분리되어 조인트부(10)에 의해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부(10)는 고정핸들(22)이 나사결합되는 조인트바(20)와, 조인트바(20)가 수용되고 고정핸들(22)이 밀착되도록 견착면(32)이 구비되는 조인트프레임(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인트바(20)와 조인트프레임(30) 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돌출편(40)과,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돌출편(40)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절개홈(52)이 형성되는 고리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리부(50)는 돌출편(40)이 삽입되어 위치고정되도록 견착면(32)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위치고정홈(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홈(52)은 조인트프레임(30)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하방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프레임(30)상에 고리홈(50)를 형성시, 고리홈(50)가 형성된 조인트프레임(30) 측면이 보강판(6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바(20)상에 구비되는 돌출편(40)은 단부에 스톱턱(42)이 형성되고, 스톱턱(42)이 수용되도록 조인트프레임(30) 측면과 보강판(60) 사이에 공간부(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는 분리되어 조인트부(10)에 의해 탈부착, 길이 및 각도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인트부의 조인트바와 조인트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편과 고리부에 의해 결속되어 고정핸들에 의해 잠금되는 간단한 탈부착구조를 가짐으로 쇠스랑, 톱, 괭이, 삽 및 낫을 포함하는 농기구의 헤드부 교체작업이 간편하고, 사용중 부품분실 방지되어 취급상 편의성이 제공되면서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돌출편 및 스톱턱이 위치고정홈 및 공간부에 수용되어 연결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고하중의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조인트부의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기구 연결 조인트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기구 연결 조인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기구 연결 조인트의 조인트프레임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기구 연결 조인트의 보강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기구 연결 조인트에 의한 손잡이부 탈부착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기구 연결 조인트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농기구 연결 조인트에 관련되며, 이때 농기구 연결 조인트는 쇠스랑, 톱, 괭이, 삽 및 낫을 포함하는 농기구의 헤드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농기구 기능을 간편하게 전환함에 있어, 탈부착구조를 간편화와 사용중 부품분실이 방지되고,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각도, 길이변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조인트부(10), 조인트바(20), 조인트프레임(30), 돌출편(40), 고리부(5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농구기의 헤드부(1)와 손잡이부(2)는 분리되어 조인트부(10)에 의해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된다. 헤드부(10)는 쇠스랑, 톱, 괭이, 삽 및 낫을 포함하는 농기구의 날부분으로서, 조인트부에 의해 탈부착 및 각도조절되도록 구비되는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부(10)는 고정핸들(22)이 나사결합되는 조인트바(20)와, 조인트바(20)가 수용되고 고정핸들(22)이 밀착되도록 견착면(32)이 구비되는 조인트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조인트바(20)는 원형봉 또는 양면에 면취 가공된 원형봉으로 형성되어 고정핸들(22)이 나사결합되고, 조인트프레임(30)은 조인트바(20)를 양단에서 지지하도록 한 쌍의 판 또는 "ㄷ"자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1개소에 견착면(3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바(20)와 조인트프레임(30) 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돌출편(40)과,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돌출편(40)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절개홈(52)이 형성되는 고리부(50)에 의해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에서는 조인트바(20)상에 고리부(50)가 형성되고 조인트프레임(30)상에 돌출편(40)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에서는 조인트바(20)상에 돌출편(40)이 구비되고 조인트프레임(30)상에 고리부(50)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고리부(50)는 장공형상의 절개홈(52)에 의해 일측이 조인트프레임(30) 외측으로 개방형성되고, 돌출편(40)은 절개홈(52)을 진입로로 사용하여 고리부(50)에 삽입된다. 그리고 조인트바(20)와 조인트프레임(30)이 돌출편(40)과 고리부(50)에 의해 삽입 연결된 상태로 조인트바(20)상에 나사결합된 고정핸들(22)을 회전시키면 고정핸들(22)의 단부가 조인트프레임(30)의 견착면(32)에 가압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처럼 돌출편(40)이 조인트바(20) 또는 조인트프레임(30)상에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절개홈(52)을 통하여 고리부(50) 내측으로 안내되어 간편하게 체결됨에 따라 헤드부(1) 교체작업이 간편하고, 사용중 부품분실이 방지되어 취급상 편의성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조인트프레임(30)은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판으로 형성하여 복수의 견착면(32)이 구비됨에 따라 도 4 내지 5과 같이 견착면(32)과 대응하는 위치로 손잡이부(2)의 각도가 간편하게 변경된다. 여기서 고정핸들(22)의 잠금력 및 잠금후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견착면(32)과 고정핸들(22) 단부 사이에 와셔 설치 및 조인트프레임(30)의 단부를 "ㄱ"자형으로 절곡하여 견착면(32)이 판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서 고리부(50)는 일측에 틔인 장공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도 5 내지 6처럼 절개홈(52)이 조인트프레임(30)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하방향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돌출편(40)이 진입되는 위치와 돌출편(40)이 위치고정되는 위치가 수평선상에 불일치되도록 형성하여 쉽게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50)는 돌출편(40)이 삽입되어 위치고정되도록 견착면(32)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위치고정홈(54)이 형성된다. 도 5는 위치고정홈(54)이 일방향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6는 위치고정홈(54)이 복수의 견착면(32)과 대응하는 위치에 대향하도록 복수개소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에 고정핸들(22)을 회전시켜 손잡이부(2)를 고정시, 돌출편(40)이 고리부(50)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고정홈(54)에 걸려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작업중에 고정핸들(22)의 고정력이 약해지더라도 조인트프레임(30)상에서 쉽게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고리부(50)가 형성된 조인트프레임(30)상에는 힘살(30a)이 형성되어 내구성이 보강되도록 하는바, 이때 힘살(30a)은 고리부(50) 및 절개홈(52) 형상을 따라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인트프레임(30)상에 고리홈(50)를 형성시, 고리홈(50)가 형성된 조인트프레임(30) 측면이 보강판(6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보강판(60)은 조인트프레임(30) 측면에 덧대는 형태로 설치되어, 손잡이부(2)에 고하중의 당김력이 작용하더라도 고리부(50)가 벌어지는 현상 및 조인트프레임(30)의 휨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바(20)상에 구비되는 돌출편(40)은 단부에 스톱턱(42)이 형성되고, 스톱턱(42)이 수용되도록 조인트프레임(30) 측면과 보강판(60) 사이에 공간부(62)가 형성된다. 공간부(62)는 스톱턱(42)이 수용되도록 조인트프레임(30) 또는 보강판(60) 또는 조인트프레임(30)과 보강판(60)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도 7과 같이 스톱턱(42)이 공간부(62)로 수용된 상태로 돌출편(40)과 고리부(50)가 연결된다.
이에 손잡이부(2)를 고하중으로 당기더라도 스톱턱(42)과 공간부(62)의 맞물림구조에 의해 조인트프레임(30)이 변형(휨, 벌어짐)이 방지됨은 물론 좌우, 전후 4방향으로 내구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는 분리되어 조인트부(10)에 의해 탈부착, 길이 및 각도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손잡이부(2)는 서로 상이한 사이즈별로 구비되어, 도 8처럼 일단부에는 조인트바(20)가 다른 일단부에는 조인트프레임(30)이 설치된다.
이에 운반 및 보관시에는 손잡이부(2)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작업시에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손잡이부(2)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며, 높은 곳에 가지를 자르는 작업시에는 손잡이부(2)를 장사이즈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10: 조인트부 20: 조인트바
30: 조인트프레임 40: 돌출편
50: 고리부 60: 보강판

Claims (6)

  1. 농구기의 헤드부(1)와 손잡이부(2)는 분리되어 조인트부(10)에 의해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부(10)는 고정핸들(22)이 나사결합되는 조인트바(20)와, 조인트바(20)가 수용되고 고정핸들(22)이 밀착되도록 견착면(32)이 구비되는 조인트프레임(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인트바(20)와 조인트프레임(30) 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돌출편(40)과,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돌출편(40)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절개홈(52)이 형성되는 고리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 연결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50)는 돌출편(40)이 삽입되어 위치고정되도록 견착면(32)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위치고정홈(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 연결 조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52)은 조인트프레임(30)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하방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 연결 조인트.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프레임(30)상에 고리홈(50)를 형성시, 고리홈(50)가 형성된 조인트프레임(30) 측면이 보강판(6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 연결 조인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바(20)상에 구비되는 돌출편(40)은 단부에 스톱턱(42)이 형성되고, 스톱턱(42)이 수용되도록 조인트프레임(30) 측면과 보강판(60) 사이에 공간부(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 연결 조인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는 분리되어 조인트부(10)에 의해 탈부착, 길이 및 각도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구 연결 조인트.

KR1020140101946A 2014-08-07 2014-08-07 농기구 연결 조인트 KR20160018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946A KR20160018045A (ko) 2014-08-07 2014-08-07 농기구 연결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946A KR20160018045A (ko) 2014-08-07 2014-08-07 농기구 연결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045A true KR20160018045A (ko) 2016-02-17

Family

ID=5545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946A KR20160018045A (ko) 2014-08-07 2014-08-07 농기구 연결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80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89U (ko) 2019-12-02 2021-06-10 이현규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89U (ko) 2019-12-02 2021-06-10 이현규 농기구용 틸팅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5187B2 (en) Tool accessory having a partially removable attachment portion
US9915290B2 (en) Tool attachment for power-driven winding of winch straps
US7617608B2 (en) Hacksaw frame having a file as an integral part thereof
US9707676B2 (en) Adapter tool with multiple attachments
ES2876441T3 (es) Tapa para unirla de forma extraíble a un cabezal de un elemento de sujeción y sistema de retención de herramienta que comprende una mordaza y un conjunto de cuña que incluye dicha tapa
RU2700136C2 (ru) Зажим для системы фиксации рабочего орудия
US20180117752A1 (en) Multi-use pry bar
KR20160018045A (ko) 농기구 연결 조인트
CN107532412B (zh) 工具保持系统
US20180168091A1 (en) Angle adjustable connecting part for farm equipment and hand tools
US10166659B2 (en) Ratchet wrench
EP2678137B1 (en) Tool supporting apparatus
US9493331B2 (en) Lifting and removal device
JP2012171060A (ja) ナット落下防止装置
US9108302B1 (en) Interchangeable head wrench assembly
KR101826075B1 (ko) 안전핀이 일체로 형성된 굴삭기용 링크
US7575505B2 (en) Hand tool quick release mechanism
KR200476659Y1 (ko) 착탈식 다목적 도구
JP3131101U (ja) 左官用鏝
KR101318286B1 (ko) 트랙터용 후크 안전장치
US20170274519A1 (en) Adapter tool with multiple attachments
US6454277B1 (en) Fastening chuck device for machine tool
KR20180000231U (ko) 낚시용 수초제거기의 절삭공구 고정장치
KR102077275B1 (ko) 농기구용 보조 손잡이
JP2007530293A (ja) クランプ用プラ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