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60Y1 -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가지며 상하결합 고정공을 갖는 벽돌 - Google Patents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가지며 상하결합 고정공을 갖는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660Y1
KR200494660Y1 KR2020200001296U KR20200001296U KR200494660Y1 KR 200494660 Y1 KR200494660 Y1 KR 200494660Y1 KR 2020200001296 U KR2020200001296 U KR 2020200001296U KR 20200001296 U KR20200001296 U KR 20200001296U KR 200494660 Y1 KR200494660 Y1 KR 200494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rick
semi
circular
bri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362U (ko
Inventor
홍석준
이인환
박창호
Original Assignee
홍석준
이인환
박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준, 이인환, 박창호 filed Critical 홍석준
Priority to KR2020200001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66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3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3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6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15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 E04B2002/02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of cylindric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갖는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벽돌본체(11)의 양단부의 외측면은 반원 형상의 반원형단부(12)가 형성이 되며 일측의 반원형 단부(12)에는 원의 외곽선의 일부와 일치하는 외곽선을 가지며 돌출된 돌출부(14)가 형성이 되며 타측의 반원형단부(12)에는 원의 외곽선의 일부와 일치하는 외곽선을 가지며 벽돌본체(11)쪽으로 함입된 함입부(15)가 형성이 되어 타 벽돌의 돌출부(14)와 함입부(15)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가지며 상하결합 고정공을 갖는 벽돌{BRICK}
본 고안은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가지며 상하결합 고정공을 갖는 벽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가지며 상하결합 고정공을 갖는 벽돌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벽돌은 점토를 주원료로 하여 고온으로 구운 건축재료를 말하는데, 재료나 소성조건 및 용도에 따라 보통벽돌, 규회벽돌, 내화벽돌, 내화단열벽돌로 분류된다. 통상의 벽돌은 크기는 달라질 수 있어도 직육면체 형태를 하고 있으며 벽을 쌓을 때는 아래층의 벽돌이 서로 엇갈려지게 쌓이도록 하며 위층과 아래층 각층의 벽돌 사이사이는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벽을 쌓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사각형 벽돌은 일자형이나 각진 형태의 벽을 쌓는 데는 어려움이 없으나 나선형이나 원형의 벽면을 갖는 벽을 만들기에는 벽돌 양끝단이 사각형이라 툭 튀어 나오게 되기 때문에 나선형이나 원형의 벽을 만들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본 고안의 고안자에 의하여 출원된 실용신안 제20-2017-0006394호는 양측에 반원형 단부를 갖는 벽돌을 제공하였는데 이러한 벽돌은 곡면의 형태를 갖는 벽을 쌓았을 때 외부에서 볼 때 미려한 벽을 쌓을 수 있지만 횡방향으로는 벽돌이 닿는 부분이 작아 횡방향의 지지력은 잘 작용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벽돌을 이용하여 곡선면을 형성할 때에도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견고한 벽을 쌓을 수 있는 벽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갖는 벽돌을 제공하는데 벽돌본체(11)의 양단부의 외측면은 반원 형상의 반원형단부(12)가 형성이 되며 일측의 반원형 단부(12)에는 원의 외곽선의 일부와 일치하는 외곽선을 가지며 돌출된 돌출부(14)가 형성이 되며 타측의 반원형단부(12)에는 원의 외곽선의 일부와 일치하는 외곽선을 가지며 벽돌본체(11)쪽으로 함입된 함입부(15)가 형성이 되어 타 벽돌의 돌출부(14)와 함입부(15)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벽돌본체(11)에는 벽돌본체(11)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고정공(13)이 형성되며 벽돌본체(11)의 하면에는 타 벽돌의 고정공(13)이 결합되는 결합공(16)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공(13)의 갯수는 2개이며 벽돌본체(11)의 가로부분의 길이를 8등분했을 때 왼쪽 부터 1/8부터 3/8되는 위치에 고정공(13)이 존재하고 5/8부터 7/8되는 위치에 다른 고정공(13)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벽돌 본체를 가로 2등분 했을 때 각각의 정중앙에 위치한다.
반원형단부의 반경은 고정공(13)의 직경과 유사할 수 있다.
돌출부(14)와 함입부(15)의 외곽선은 원주의 일부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서로 비슷한 반지름을 가지는데 돌출부(14)쪽의 원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주면의 길이가 함입부(15)에서의 길이보다 길어 돌출부(14)가 회전해서 결합할 때 회전에 의한 여유분을 만들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14)의 높이는 벽돌본체(11)의 높이보다 작아서 세로방향으로 경사를 주며 조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14)안에는 중공의 돌출부중공(21)이 형성되며 결합보조부(22)가 세로로 적층되는 돌출부(14) 사이에 끼워지며 결합보조부(22)로부터 돌출되는 중공결합부(23)가 돌출부중공(21)에 끼워져 결합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곡면을 갖는 벽을 만들 때에도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도 견고함을 갖는 벽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1내지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벽돌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벽돌은 벽돌본체(11)의 양단부에 반원형측면(12)이 형성이 되며 벽돌본체(11)에는 고정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의 반원형측면(12)에는 외주가 원형의 일부인 돌출부(14)가 형성이 되어 있으며 타측의 반원형측면(12)에는 함입부(15)가 형성되어 있어 돌출부(14)가 함입부(15)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공(13)은 한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공(13)은 양단부의 반원형측면(12)의 곡률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공(13)은 한개 이상 형성이 되는데 고정공(13)사이의 간격은 고정공(13)의 지름의 길이와 비슷하고 고정공(13)으로부터 한쪽의 반원형측면(12)의 거리는 고정공(13)의 지름의 절반정도가 되도록 한다. 즉, 고정공(13)이 두개 형성된 경우 돌출부(14)와 함입부(15)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벽돌본체(11)의 가로부분의 길이를 8등분했을 때 왼쪽 부터 1/8부터 3/8되는 위치에 고정공(13)이 존재하고 5/8부터 7/8되는 위치에 다른 고정공(13)이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다른 벽돌을 옆으로 이어서 쌓게 되면 고정공(13)의 간의 간격은 고정공(13)의 지름정도로 항상 일정하게 된다. 또한 벽돌 본체를 가로 2등분 했을 때 각각의 정중앙에 위치한다.
고정공(13)의 크기와 숫자는 달라질 수 있으며 고정공(13)의 지름은 벽돌을 여러개 쌓았을 때 다른 고정공(13)까지의 거리와 대략 비슷하도록 하며 고정공 중앙 삽입공의 지름은 세로길이의 1/4내외로하고 고정공 전체 직경은 세로길이의 1/2 내외가 되도록 하여 여러개의 벽돌을 쌓을 때 고정공(13)이 본체(11)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16)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고정공(13)의 갯수가 짝수인 경우 벽돌을 엇갈리게 쌓을 수 있게 되며 고정공(13)이 결합공(16)까지 뚫려 있게 되면 고정공(13)안쪽으로 지지봉(17)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벽돌은 횡 방향으로만 엇갈리게 쌓을 수 있으며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는 모르타르의 결합력에만 의지하여 결합을 유지해야 하는데 본 고안에 의한 경우 고정공(13)과 결합공(16)의 결합에 의하여 수직한 방향으로의 지지도 이루어지며 지지봉(17)에 의한 지지도 이루어지게 된다. 지지봉(17)은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일 수 있다.
지지봉(17)을 이용해서 결합을 시키는 경우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벽돌을 쌓는 작업이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지게 될 수 있으며 벽돌을 해체하는 것도 지지봉(17)을 빼낸 뒤 벽돌을 분리해 내면 되기 때문에 벽돌을 재사용 하는것도 가능하게 된다. 특히 벽돌의 견고함은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쌓은 것에 비해 떨어지지 않으며 수명도 오래간다.
특히 벽돌의 하면에는 결합공(16)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공(13)이 삽입되어 결합을 하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위층과 아래층의 벽돌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며 모르타르 없이도 결합이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벽돌은 직선의 건축물 뿐 아니라 곡선부분을 갖는 벽구조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데 종래의 사각형 벽돌은 곡선형태로 벽돌을 쌓기 위해서는 90도 보다 적은 각도로 벽돌을 쌓으면서 연결해야 하는데 이 경우 종래의 벽돌은 날카로운 직각면이 두드러져 보이기 때문에 되도록 작은 각도로 벽돌을 쌓아야 하기 때문에(약 10도이내) 직각구조가 아닌 곡선을 가진 형태의 구조는 벽돌로 만들어 내지 못한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 의한 벽돌은 양단면이 원형으로 처리된 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벽돌 모서리가 돌출되지 않고 쌓은 벽의 외곽면이 부드러운 곡면을 갖게 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벽을 쌓을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건축물은 종래의 벽돌로 쌓았을 때 도면과 같은 유려함을 갖기가 힘들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은 한쪽에는 돌출부(14)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함입부(15)가 형성되는데 돌출부(14)와 함입부(15)는 외곽선이 원형의 일부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돌출부(14)는 함입부(15)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벽돌을 쌓을 때 돌출부(14)을 옆에 있는 벽돌의 함입부(15)에 끼울 수 있는데 돌출부(14)와 함입부(15)가 각각 외곽선이 원형이기 때문에 돌출부(14)와 함입부(15)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벽돌이 횡방향의 지지력을 가지는 것은 벽돌을 일자 형태로 쌓았을 때 벽돌의 양측면이 닿으면서 서로 지지해주기 때문이며 일자 형태로 쌓을 때는 벽돌의 측면이 평면인 것이 더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일자형이 아닌 곡선의 형태로 쌓게 되면 벽돌의 양쪽 끝단이 서로 닿지 않게 되며 심한 경우 횡방향으로는 지지력이 생기지 않아 쉽게 무너지게 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되도록 작은 각도를 두고 쌓게 되는데 반원형측면을 갖게 되면 어떠한 각도에서도 조금씩 닿게 되는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사각벽돌을 일자형으로 쌓았을 때 만큼의 지지력을 가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본원고안에서는 돌출부(14)를 두어 돌출부(14)와 함입부(15)가 결합을 할 뿐 아니라 어느 정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곡면을 형성할 때에도 횡방향으로 지지력이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벽돌은 횡방향으로 길게 쌓거나 각지게 벽돌을 쌓는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곡선형태의 벽을 쌓을 때 횡방향으로는 벽돌의 결합력이 약해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원 고안과 같이 돌출부(14)가 있는 경우에는 함입부(15)에 끼워지면서 어느 정도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느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돌출부(14)는 반원형측면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사각벽돌의 직각면이 제거되고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돌출부(14) 옆으로는 걸리는게 없어 벽돌이 큰 각도를 이루며 쌓을 수 있다. 사각형 벽돌의 경우 측면이 걸리기 때문에 큰 각도로 쌓기도 힘들며 그렇게 쌓아도 지지력을 받을 수 없지만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는 큰 각도를 이루며 쌓는다고 하여도 횡방향의 지지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관도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훨씬 미려하게 형성된다.
돌출부(14)와 함입부(15)는 외곽선이 원의 일부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데 비슷한 반지름의 원을 가지게 되는데 돌출부(14)쪽의 원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주면의 길이가 함입부(15)에서의 길이보다 길다. 이것은 돌출부(14)쪽에 여유분이 생기면서 돌출부(14)가 회전해서 결합할 때 좀 더 큰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3은 일자형의 벽면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다. 일자형의 벽면도 종래의 사각형 벽돌을 사용한 경우보다 견고하게 조적할 수 있으며 지지봉(17)의 결합에 의해서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도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봉(17)은 고정공(13)마다 삽입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몇개의 고정공(13)에만 삽입될 수도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을 이용하여 원형의 탑을 쌓은 형태를 도시한다. 종래의 벽돌로는 이러한 탑을 쌓기는 힘들며 특히 모르타를 이용하지 않고도 이와 같은 견고함을 가진 상태로 쌓는 것은 어렵다. 특히 원형으로 쌓아 올리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는 벽돌을 이용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미려한 형태로 원형의 탑을 쌓을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6은 물고기 모먕의 벽을 쌓아올린형태를 도시한다.
도7은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7에서 돌출부(14)는 벽돌본체(11)의 한쪽 끝단에 형성이 되는데 벽돌본체(11)의 세로방향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이 된다. 돌출부(14)가 벽돌본체(11)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는 경우 세로 방향으로 약간의 경사가 생기더라도 용이하게 조적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돌출부(14)에 의해서 벽돌이 놓이는 평면방향으로의 회전이 용이할 뿐 아니라 수직방향으로 약간의 차이가 생긴다고 하더라도 무방하게 된다. 즉.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혹은 반대방향으로의 사선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혹은 위아래로 물결치는 형태의 조적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조적을 할 때 연결부위의 결합이 단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돌출부중공(21)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부중공(21)에 봉형태의 기구를 위에서 부터 아래로 꽂아서 결합이 더 단단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위아래의 돌출부 중공(21)에 꽂는 중공결합부(23)가 결합보조부(22)의 아래위쪽으로 형성되는데 중공결합부(23)의 한쪽면의 외주는 맞닿는 벽돌본체(11)의 외주면과 다른쪽의 외주는 돌출부(14)의 외주와 일치하도록 하며 결합보조부(22)의 높이는 돌출부(14)의 끝단에서 벽돌본체(11)의 끝단까지의 높이와 비슷하거나 일치하도록 하여 세로방향으로 여러개를 쌓았을 때 벽돌본체 사이사이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따. 특히 한개의 결합보조부(22)는 4개의 벽돌사이에 들어가 결합력을 높여주며 결합보조부(22)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세로 방향으로 경사를 주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11:벽돌본체 12: 반원형측면
13: 고정공 14: 돌출부
15: 함입부 16: 결합공
17: 지지봉 21: 돌출부중공
22: 결합보조부 23: 중공결합부

Claims (8)

  1.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갖는 벽돌로서,
    벽돌본체(11)의 양단부의 외측면은 반원 형상의 반원형단부(12)가 형성이 되며 일측의 반원형 단부(12)에는 원의 외곽선의 일부와 일치하는 외곽선을 가지며 돌출된 돌출부(14)가 형성이 되며 타측의 반원형단부(12)에는 원의 외곽선의 일부와 일치하는 외곽선을 가지며 벽돌본체(11)쪽으로 함입된 함입부(15)가 형성이 되어 타 벽돌의 돌출부(14)와 함입부(15)가 각각 결합하며
    벽돌본체(11)에는 벽돌본체(11)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고정공(13)이 형성되며 벽돌본체(11)의 하면에는 타 벽돌의 고정공(13)이 결합되는 결합공(16)이 형성되며, 고정공(13)의 갯수는 2개이며 벽돌본체(11)의 가로부분의 길이를 8등분했을 때 왼쪽 부터 1/8부터 3/8되는 위치에 고정공(13)이 존재하고 5/8부터 7/8되는 위치에 다른 고정공(13)이 존재하며
    고정공 중앙 삽입공의 지름은 세로길이의 1/4내외로 하고 고정공전체 직경은 세로길이의 1/2내외가 되도록 하며
    돌출부(14)와 함입부(15)의 외곽선은 원주의 일부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서로 비슷한 반지름을 가지는데 돌출부(14)쪽의 원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주면의 길이가 함입부(15)에서의 길이보다 길어 돌출부(14)가 회전해서 결합할 때 회전에 의한 여유분을 만들도록 하며
    돌출부(14)의 높이는 벽돌본체(11)의 높이보다 작아서 세로방향으로 경사를 주며 조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돌출부(14)안에는 중공의 돌출부중공(21)이 형성되며 결합보조부(22)가 세로로 적층되는 돌출부(14) 사이에 끼워지며 결합보조부(22)로부터 돌출되는 중공결합부(23)가 돌출부중공(21)에 끼워져 결합을 이루는,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갖는 벽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반원형단부의 반경은 고정공(13)의 직경과 유사한,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갖는 벽돌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200001296U 2020-04-15 2020-04-15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가지며 상하결합 고정공을 갖는 벽돌 KR200494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296U KR200494660Y1 (ko) 2020-04-15 2020-04-15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가지며 상하결합 고정공을 갖는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296U KR200494660Y1 (ko) 2020-04-15 2020-04-15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가지며 상하결합 고정공을 갖는 벽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362U KR20210002362U (ko) 2021-10-25
KR200494660Y1 true KR200494660Y1 (ko) 2021-11-24

Family

ID=7826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296U KR200494660Y1 (ko) 2020-04-15 2020-04-15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가지며 상하결합 고정공을 갖는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66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52Y1 (ko) * 2005-05-17 2005-08-17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O5900022A1 (es) * 2006-08-24 2008-03-31 Martinez Naranjo Jhon Jairo Sistema de ladrillo con varilla para pared de contencion
KR20190001505U (ko) * 2017-12-12 2019-06-20 이인환 반원형 양단부를 갖는 벽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52Y1 (ko) * 2005-05-17 2005-08-17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362U (ko) 202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21688B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US8443563B2 (en)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US20080202054A1 (en) System of brick with rod for retaining wall
TWI702078B (zh) 鳩形積木
US3229439A (en) Ubietous block
US20050204663A1 (en) Web offset lug dry-stack system
TW201728811A (zh) 綠建材輕隔間陶磚
KR200494660Y1 (ko)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가지며 상하결합 고정공을 갖는 벽돌
US20010054268A1 (en) Interlocking masonry components
CN209855027U (zh) 自保温转角砌块及其构造的转角墙
US20210348383A1 (en) Wall block, range of wall blocks, and formwork for producing a wall block
KR200157355Y1 (ko) 건축용 조립식 블록
US6796094B1 (en) Mortarless concrete wall system
US11638884B1 (en) Basic connecting block and connecting block group
US1565537A (en) Wall structure
JP3769639B2 (ja) ドーム用煉瓦
CN204691052U (zh) 抗震保温砌体
CN217175331U (zh) 改良型砖头
CN207048114U (zh) 一种快速砌墙石膏实心砖
JP7366826B2 (ja) 建築板
CN2633998Y (zh) 组合式集成块
CN205557974U (zh) 空心砌块
JP2010150824A (ja) 壁構造体
KR200187653Y1 (ko) 이형 단면 벽돌
US792342A (en) Building-block and chimn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