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653Y1 - 이형 단면 벽돌 - Google Patents

이형 단면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653Y1
KR200187653Y1 KR2019990027485U KR19990027485U KR200187653Y1 KR 200187653 Y1 KR200187653 Y1 KR 200187653Y1 KR 2019990027485 U KR2019990027485 U KR 2019990027485U KR 19990027485 U KR19990027485 U KR 19990027485U KR 200187653 Y1 KR200187653 Y1 KR 200187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cross
section
brick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철수
Original Assignee
전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철수 filed Critical 전철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6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12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a general shape differing from that of a parallelepi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적인 미장, 내화, 조적벽돌에 있어서, 벽돌의 각 표면을 요철형, 톱니형, 파형 등의 굴곡형태로 굴곡화시키거나 벽돌의 형태를 삼각형으로 형성한 이형 단면 벽돌에 관한 것으로,
벽돌간의 접촉 표면적의 증가 또는 삼각형의 특성에 의해 모르타르와의 접착성을 증가시키므로 접착강도가 향상되고 벽돌의 조적강도가 개선되며 수평, 수직방향의 외압으로 인한 파괴, 붕괴 또는 뒤틀림 현상을 막아주며, 또한 미장 작업 후 박리현상을 예방되며 미장을 하지 않아도 외관이 미려한 벽돌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이형 단면 벽돌{Brick of different sectional shape}
본 고안은 이형 단면 벽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일반적인 육면체 벽돌에 있어서 벽돌의 각 표면을 굴곡화시키거나 단면이 삼각형인 벽돌을 형성하여 모르타르와의 접착강도 및 조적강도가 현저히 개선되고 충격 진동 뒤틀림 현상으로 인한 파괴, 붕괴를 막아주는 등 기존의 벽돌보다 그 작용효과가 우수한 이형 단면 벽돌에 관한 것이다.
건축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벽돌들은 그 대부분이 육면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각 표면이 밋밋하게 되어 있다.
위와 같은 벽돌로 벽돌쌓기를 할 때는 벽돌 위에 모르타르를 얻어 놓은 후 그 모르타르 위에 벽돌을 다시 벽돌 위에 모르타르를 층층이 반복적으로 적층 시켜 벽돌을 쌓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하여 적층된 벽돌들은 서로 모르타르에 의해 접착되어 단순한 층을 이루고 있고 벽돌의 밋밋한 면으로 인하여 벽돌과 모르타르의 접착력이 떨어져 수평 또는 수직방향의 외압에 쉽게 파괴, 붕괴되는 위험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적층된 벽돌은 미장할 때도 미장 모르타르와 벽돌의 이질재로 인한 박리현상이 발생하여 미장을 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미장 수명이 짧아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보도 블록 중에 윗면과 밑면을 제외한 네 측면을 톱니형으로 성형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단순히 바닥에 깔았을 때 보도 블록이 서로 어긋나지 않게 하고 미적 감각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를 담을 쌓기 위한 벽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육면체 벽돌의 각 표면을 요철형, 톱니형, 파형 등의 모양으로 굴곡화시키거나 단면상 삼각형인 벽돌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을 굴곡화시킨 벽돌은 벽돌 표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모르타르와의 접착성을 증가시키므로 접착강도가 향상되고, 굴곡화시킨 벽돌이나 삼각형 벽돌은 벽돌의 조적강도가 개선되며 수평, 수직방향의 외압으로 인한 파괴, 붕괴 또는 뒤틀림 현상을 막아주며, 미장 작업 후 박리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의 일 실시예의 단면설명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의 이 실시예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의 이 실시예의 단면설명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로 벽돌쌓기를 한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로 벽돌쌓기를 한 평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로 벽돌쌓기를 한 후 미장을 한 상태의 단면설명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의 삼 실시예의 사시도.
도 9 는 도 8 의 이형 단면 벽돌로 벽돌쌓기를 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형 단면 벽돌
2: 굴곡모양
3: 모르타르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장, 내화, 조적벽돌에 있어서,
벽돌(1)의 각 표면에 굴곡모양(2)을 형성시켜 이루어지고, 굴곡모양(2)은 요철형, 톱니형 또는 파형으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벽돌(1) 자체의 모양을 단면상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단면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그 단면 설명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그 단면 설명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로 벽돌쌓기를 한 정면도이고, 도 6은 그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로 벽돌쌓기를 한 후 미장을 한 상태의 단면 설명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이고, 도 9는 도 8의 이형벽돌로 벽돌쌓기를 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1)은 일반적인 미장, 내화벽돌에 있어서,
벽돌(1)의 각 표면에 굴곡모양(2)을 형성되게 하거나 벽돌(1) 자체의 형태를 단면상 삼각형태로 하여 접착 및 조적강도를 향상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1)의 굴곡모양(2)이 요철형, 톱니형과 파형 등의 굴곡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형 단면 벽돌(1)을 제조할 시는 통상의 벽돌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사출성형 하는 것으로 사출성형시 성형틀의 안쪽 면에 요철형, 톱니형 또는 파형의 굴곡모양(2)을 형성하거나 삼각형의 성형틀을 형성하여 이 성형틀에 의해 사출성형 하게 되면 본 고안의 이형 단면 벽돌(1)을 제조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의 이형 단면 벽돌(1)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벽돌쌓기를 하게되면, 도 5, 도 6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이형 단면 벽돌(1)과 이형 단면 벽돌(1) 사이의 모르타르(3)가 상하좌우로 이형 단면 벽돌(1)의 굴곡모양(2)에 밀착되게 물려있는 형상이 되어 안정적으로 조적 형태를 유지하여 주며 또한 이형 단면 벽돌(1)의 표면 면적의 증가로 접착면적이 늘어나 이형 단면 벽돌(1)과 모르타르(3)의 접착강도가 향상되고 조적강도 역시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이형 단면 벽돌(1)과 모르타르(3)가 굴곡모양(2)에 의해 맞물려 싸여 있으므로 수평, 수직방향의 충격, 진동, 뒤틀림 현상으로 인한 벽돌 상호간의 파괴 붕괴현상을 막아주며 특히 지진 등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악조건에서도 조적 및 미장 상태를 보호해 줄 수가 있는 내진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의 도시와 같이 이형 단면 벽돌(1)의 굴곡모양(2) 면에 의해 미장 시 미장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미장 모르타르(3)와 벽돌의 이질재 즉, 배합비율, 수축계수차로 인한 박리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미장 수명을 연장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미장을 하지 않아도 이형 단면 벽돌(1)의 굴곡모양(2)이나 이형벽돌(1) 자체의 모양으로도 미적 효과가 증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통상의 육면체 벽돌과 같은 크기, 같은 재질로 벽돌의 각 표면에 톱니형의 굴곡모양을 부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벽돌 제조 방법에 따라 점토 및 모래를 배합하여 분쇄, 성형, 건조 및 소성시켜, 본 고안의 이형벽돌을 제작하였다. 통상의 벽돌 쌓는 방법으로 벽돌쌓기를 실시하고, 통상의 육면체 벽돌도 같은 조건하에서 벽돌쌓기를 한 후 통상의 벽돌을 사용한 것과 본 고안의 이형 단면 벽돌을 사용한 것에 동일한 조건으로 수평, 수직방향으로 외압을 작용하였더니 본 고안의 이형 단면 벽돌을 사용 한 것보다 통상의 벽돌을 사용 한 것이 더 많이 균열이 생기고 파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크기의 통상의 벽돌과 본 고안의 이형 단면 벽돌의 표면 면적을 비교하여 보면 통상의 벽돌의 표면 면적은 365㎠이나 본 고안의 이형 단면 벽돌의 표면 면적은 525㎠로 그 표면 면적이 기존의 벽돌 보다 43% 증가되었으므로 이로 인해 접착강도 및 조적강도를 그 만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통상의 육면체 벽돌과 같은 크기, 같은 재질로 벽돌의 각 표면에 파형의 굴곡모양이 형성된 본 고안의 이형벽돌을 제작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한 결과 실시예 1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
통상의 육면체 벽돌과 같은 재질로 도 8의 도시와 같이 벽돌의 단면이 삼각형인 이형벽돌을 제작하여 통상의 벽돌 쌓는 방법으로 도 9의 도시와 같이 벽돌쌓기를 실시하고, 통상의 육면체 벽돌도 같은 조건하에서 벽돌쌓기를 한 후 통상의 벽돌을 사용한 것과 본 고안의 이형 단면 벽돌을 사용한 것에 동일한 조건으로 수평, 수직방향으로 외압을 작용하였더니 본 고안의 이형 단면 벽돌을 사용 한 것보다 통상의 벽돌을 사용 한 것이 더 많이 균열이 생기고 파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삼각형 이형 단면 벽돌도 삼각형 자체의 안정성과 벽돌쌓기를 할 때 서로 맞물려 싸이므로 접착강도 및 조적강도가 통상의 육면체 벽돌보다 월등히 향상되는 것이며, 벽돌쌓기 후 미장을 하지 않아도 그 적층 모양이 외형상 미려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기존의 미장, 내화, 조적벽돌 표면에 굴곡모양을 형성하거나 벽돌 형태를 삼각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굴곡모양을 형성한 벽돌은 표면의 면적 증가하고 삼각형 벽돌은 삼각형 자체의 안정성에 의해 접착강도 및 조적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키며, 수평, 수직방향의 충격, 진동, 뒤틀림 현상으로 인한 파괴, 붕괴를 막아주고 지진에 대한 내진 효과를 월등하게 향상시키며, 미장 시 미장 모르타르와 벽돌의 이질재로 인한 박리현상을 예방하고 미장수명을 연장시켜 주며 미장을 하지 않아도 굴곡모양이나 삼각형이 적층되어 있는 모양이 외관상 미려한 효과를 주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통상적인 미장, 내화, 조적벽돌에 있어서,
    벽돌(1)의 각 표면에 굴곡모양(2)을 형성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단면 벽돌.
  2. 제 1 항에 있어서,
    굴곡모양(2)이 요철형, 톱니형 또는 파형중 하나을 선택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단면 벽돌.
  3. 제 1 항에 있어서,
    벽돌(1) 자체의 형태를 단면상 삼각형으로 형성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단면 벽돌.
KR2019990027485U 1999-12-08 1999-12-08 이형 단면 벽돌 KR20018765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47A KR20000012491A (ko) 1999-12-08 1999-12-08 이형 단면 벽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747A Division KR20000012491A (ko) 1999-12-08 1999-12-08 이형 단면 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653Y1 true KR200187653Y1 (ko) 2000-07-15

Family

ID=196242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485U KR200187653Y1 (ko) 1999-12-08 1999-12-08 이형 단면 벽돌
KR1019990055747A KR20000012491A (ko) 1999-12-08 1999-12-08 이형 단면 벽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747A KR20000012491A (ko) 1999-12-08 1999-12-08 이형 단면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76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491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5611A (en) Wall corner composite,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glazed unit for such
US8707652B2 (en) Building block, building structure and the method of bricking wall using the same
US9388571B2 (en) Stone fabrication system with hidden mortar joint
US8443563B2 (en)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CN205804713U (zh) 一体结构t型墙体砂浆模块和用墙体模块浇注成的t型墙体
JP5000274B2 (ja) 外壁面材
KR200187653Y1 (ko) 이형 단면 벽돌
US5384997A (en) Column and corner composite,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glazed unit for such
KR100653259B1 (ko) 모르타르레스 중공 콘크리트 블록
JP3144615U (ja) レジ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5023779A (ja) 建築用煉瓦
KR200389562Y1 (ko) 모르타르레스 중공 콘크리트 블록
KR200309765Y1 (ko) 몰탈시공용 베이스비드
CN210141016U (zh) 一种新旧墙体无缝连接结构
KR100581405B1 (ko) 황토 표면층을 가진 콘크리트 블록
KR200309766Y1 (ko) 몰탈시공용 코너비드
KR200243188Y1 (ko) 스티로폼이 내재된 벽돌
CN215926455U (zh) 一种复合型多功能环保建材
RU213319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мента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 облицовочная керамическая плитка, используемая в способе
KR200231644Y1 (ko) 금속타일
KR200210552Y1 (ko) 수평력 저항증대를 위한 전단Key를 갖는 콘크리트 벽돌
KR200219693Y1 (ko) 건축물 내`외장용 인조석
CN206337716U (zh) 环保、隔音的砌砖
KR200291469Y1 (ko) 조적벽체의 균열 보강구조
RU122405U1 (ru) Кирпич керамическ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