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765Y1 - 몰탈시공용 베이스비드 - Google Patents
몰탈시공용 베이스비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9765Y1 KR200309765Y1 KR20-2003-0002139U KR20030002139U KR200309765Y1 KR 200309765 Y1 KR200309765 Y1 KR 200309765Y1 KR 20030002139 U KR20030002139 U KR 20030002139U KR 200309765 Y1 KR200309765 Y1 KR 2003097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d
- base
- cement mortar
- base plate
- mort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스비드의 베이스판에 형성되어진 두 기준비드부의 높이를 시멘트 몰탈 및 마감재의 두께와 같은 약 7㎜∼13㎜ 정도로 한정하여 기준비드부가 몰탈 및 마감재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미려한 외관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망상부재의 지지부가 망상면으로 부터 각도를 이루도록 비틀어 시멘트 몰탈부 사이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한 몰탈시공용 코너비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바닥부와 근접된 건축물의 벽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지도록 베이스판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측방으로 평행하게 돌출시킨 두개의 기준비드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에 벽부와 대응하여 시멘트 몰탈을 안정되게 잡아 균열 및 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약 30㎜ 내외의 망상부재가 각각 형성된 베이스비드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두 기준비드부(11)(11')의 높이를 시멘트 몰탈(300) 및 마감재(400)의 두께와 같은 약 7㎜∼13㎜ 정도로 한정하는 한편, 상기 망상부재(20)의 각 지지부(21)가 망상면으로 부터 약 35˚∼50˚각도를 이루도록 비틀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몰탈시공용 베이스비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 몰탈의 균열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시멘트 몰탈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건축물의 미적감각을 가일층 높일 수 있는 몰탈시공용 베이스비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나 벽돌 등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 한 후 그외벽을 몰탈시공하게 되는데, 이런 몰탈 시공은 작업인부가 직접 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숙련자와 비숙련자에 따라 건축물의 외관이 크게 영향을 받게되며, 특히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면과 벽부가 접하는 각 베이스 부분에서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능력이 확연히 구별되어 비숙련자인 경우 벽부에 시공피착되는 시멘트 몰탈의 균열을 초래할 수 있으며, 걸레받이 재료를 설치하기 위한 기준선(높이)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한 시공상의 분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시멘트 몰탈된 벽면이 극히 단조로워 건축물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건축물의 내,외벽부에 몰탈을 시공한 후에는 외부온도나 충격에 의해 베이스부분에서 홈이나 균열이 발생함으로써 건축물의 미관을 크게 해치게 된다.
그래서, 근래에는 건축물의 각 베이스 부분에 벽부의 미적감각을 고려하고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비드를 사용하였던바, 상기 베이스비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부(6)와 근접된 건축물의 벽부(5)에 수평으로 설치되어지도록 베이스판(1)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측방으로 평행하게 돌출시킨 두개의 기준비드부(2)(2')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1)의 양측에 벽부(5)와 대응하여 시멘트 몰탈(8)을 안정되게 잡아 균열 및 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약 30㎜ 내외의 망상부재(3)가 각각 형성된 것이다.
즉, 타일과 같은 마감재(7)가 설치되는 건축물 벽부(5)의 소정 높이상에 베이스비드의 베이스판(1)를 고정시켜 그 양측의 망상부재(3)가 건축물의 벽부(5)에 접촉되도록 한 다음, 도 1의 확대 도면과 같이 베이스판(1)의 두기준비드부(2)(2') 외측으로 그 돌출된 높이만큼 시멘트 몰탈(8)을 시공하거나 상부의 기준비드부(2)에는 시멘트 몰탈(8)을, 하부의 기준비드부(2')에는 마감재(7)를 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베이스비드는 베이스판(1)에 형성되어진 두 기준비드부(2)(2')의 높이가 시멘트 몰탈(8) 및 마감재(7)의 두께와 같은 약 7㎜∼13㎜ 정도를 유지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기준비드부(2)(2')의 높이가 이 치수를 벗어남으로써 베이스비드의 두 기준비드부(2)(2')가 몰탈(8) 및 마감재(7)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미관을 크게 해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망상부재(3)의 지지부(3a)가 망상면을 기준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망상부재(2)가 시멘트 몰탈(8)과의 결합력이 크게 약화됨은 물론 망상부재(2) 및 시멘트 몰탈(8)의 사이가 수축편차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베이스비드의 베이스판에 형성되어진 두 기준비드부의 높이를 시멘트 몰탈 및 마감재의 두께와 같은 약 7㎜∼13㎜ 정도로 한정하여 기준비드부가 몰탈 및 마감재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미려한 외관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망상부재의 지지부가 망상면으로 부터 각도를 이루도록 비틀어 시멘트 몰탈부 사이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한 몰탈시공용 코너비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베이스비드의 시공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비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비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비드의 시공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판 11,11':기준비드부
20:망상부재 21:지지부
100:콘크리트 바닥부 200:벽부
300:시멘트 몰탈 400:마감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바닥부와 근접된 건축물의 벽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지도록 베이스판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측방으로 평행하게 돌출시킨 두개의 기준비드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에 벽부와 대응하여 시멘트 몰탈을 안정되게 잡아 균열 및 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약 30㎜ 내외의 망상부재가 각각 형성된 베이스비드를 형성함에 있어서, 두 기준비드부의 높이를 시멘트 몰탈 및 마감재의 두께와 같은 약 7㎜∼13㎜ 정도로 한정하는 한편, 상기 망상부재의 각 지지부가 망상면으로 부터 약 35˚∼50˚각도를 이루도록 비틀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의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너비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코너비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너비드의 시공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콘크리트 바닥부(100)와 근접된 건축물의 벽부(200)에 수평으로 설치되어지도록 베이스판(10)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1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측방으로 평행하게 돌출시킨 두개의 기준비드부(11)(11')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10)의 양측에 벽부(200)와 대응하여 시멘트 몰탈(300)을 안정되게 잡아 균열 및 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약 30㎜ 내외의 망상부재(20)가 각각 형성된 베이스비드를 형성함에 있어서,
먼저, 두 기준비드부(11)(11')의 높이를 시멘트 몰탈 및 마감재의 두께에 따라 이와 동일한 두께가 되게 약 7㎜∼13㎜ 정도로 한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망상부재(20)의 각 지지부(21)가 망상면으로부터 35˚∼50˚각도를 유지하도록 비틀어 시멘트 몰탈부(300)와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각 지지부(21)와 시멘트 몰탈부(300)의 사이가 들뜨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지지부(21)의 각도가 35˚이하일 시에는 시멘트 몰탈부(300)와의 결합력이 약화되며, 지지부(21)의 각도가 50˚이상일 시에는 시멘트 몰탈부(300)와의 결합력은 강화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가 극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미설명부호 400은 마감재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코너비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같이 타일과 같은 마감재(400)가 설치되면서 콘크리트 바닥부(100)와 접하는 건축물 벽부(200)의 소정 높이상에 베이스비드의 베이스판(10)를 고정시켜 그 양측의 망상부재(20)가 건축물의 벽부(200)에 접촉되도록 한 다음, 도 4와 같이 베이스판(10)의 두 기준비드부(11)(11')가 돌출된 높이만큼 시멘트 몰탈(300)을 시공하거나 상부의 기준비드부(11)에는 시멘트 몰탈(300)을, 하부의 기준비드부(11')에는 마감재(400)를 시공한다.
이때, 상기 기준비드부(11)의 높이가 7㎜∼13㎜로 한정하여 이에 설치되는 시멘트 몰탈(300) 및 마감재(40)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미려한 외관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상기 베이스비드에 시멘트 몰탈(300)이 피착되는데, 이때 망상부재(20)의 각 지지부(21)의 각도(β)가 약 35˚∼50˚를 이루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시멘트 몰탈(300)과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각 지지부(21)와 시멘트 몰탈(300)의 사이가 들뜨는 것이 방지된다. 즉, 시멘트 몰탈(300)이 외부의 온도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할 때 상기 지지부(21)가 시멘트 몰탈(300)에 걸려 함께 수축 또는 팽창됨으로써 시멘트 몰탈(300)과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각 지지부(21)와 시멘트 몰탈(300)의 사이가 들뜨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베이스비드의 베이스판(10)에 형성되어진 두 기준비드부(11)(11')의 높이를 시멘트 몰탈(300) 및 마감재(400)의 두께와 같은 약 7㎜∼13㎜ 정도로 한정하여 기준비드부(11)(11')가 몰탈(300) 및 마감재(400)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미려한 외관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망상부재(20)의 지지부(21)가 망상면으로 부터 35˚∼50˚정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비틀어 지지부(21)가 시멘트 몰탈(300) 사이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 콘크리트 바닥부와 근접된 건축물의 벽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지도록 베이스판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측방으로 평행하게 돌출시킨 두개의 기준비드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에 벽부와 대응하여 시멘트 몰탈을 안정되게 잡아 균열 및 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약 30㎜ 내외의 망상부재가 각각 형성된 베이스비드를 형성함에 있어서,상기 두 기준비드부(11)(11')의 높이를 시멘트 몰탈(300) 및 마감재(400)의 두께와 같은 약 7㎜∼13㎜ 정도로 한정하는 한편, 상기 망상부재(20)의 각 지지부(21)가 망상면으로 부터 약 35˚∼50˚각도를 이루도록 비틀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몰탈시공용 베이스비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2139U KR200309765Y1 (ko) | 2003-01-23 | 2003-01-23 | 몰탈시공용 베이스비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2139U KR200309765Y1 (ko) | 2003-01-23 | 2003-01-23 | 몰탈시공용 베이스비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9765Y1 true KR200309765Y1 (ko) | 2003-04-08 |
Family
ID=4940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2139U KR200309765Y1 (ko) | 2003-01-23 | 2003-01-23 | 몰탈시공용 베이스비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9765Y1 (ko) |
-
2003
- 2003-01-23 KR KR20-2003-0002139U patent/KR200309765Y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2872B1 (ko) |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 |
US6705057B2 (en) | Modular block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US4648226A (en) | Glass element, notably glass block or tile | |
EP2255045A1 (en) | Aluminium facade cladding with brick or ceramic appearance | |
KR100583988B1 (ko) | 건축용 리모델링 블럭 | |
KR200309765Y1 (ko) | 몰탈시공용 베이스비드 | |
KR20210115404A (ko) | 슬림벽돌 레일시스템 | |
US4202143A (en) | Combined formwork and cavity tray | |
KR200309766Y1 (ko) | 몰탈시공용 코너비드 | |
KR100653259B1 (ko) | 모르타르레스 중공 콘크리트 블록 | |
KR20230030287A (ko) | 외장재용 징크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2152849B1 (ko) | 연장된 결착부재의 모서리 고정부재로 시공성을 높인 건축외장재 구조체 | |
KR102162376B1 (ko) | 전도열 차단 구조 및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 |
KR102152847B1 (ko) | 모서리 고정부재로 시공성을 높인 건축외장재 구조체 | |
KR200389562Y1 (ko) | 모르타르레스 중공 콘크리트 블록 | |
KR200187653Y1 (ko) | 이형 단면 벽돌 | |
KR102255185B1 (ko) | 내진성능과 단열성능이 향상된 결합어셈블리를 갖는 건축외장재 | |
KR20200088728A (ko) | 벽돌 판넬 조립체 | |
KR200219693Y1 (ko) | 건축물 내`외장용 인조석 | |
JPH08260666A (ja) | 取付金具を有するタイル状物および該タイル状物を用いた壁材 | |
KR200348713Y1 (ko) |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 외장용 유리대리석 | |
JPH0312609B2 (ko) | ||
KR101010353B1 (ko) | 건축용 조립식 벽체 | |
KR100821903B1 (ko) |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기와장식 구조 | |
KR200386563Y1 (ko) | 건축용 타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O032 |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325 Year of fee payment: 3 |
|
O131 |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O062 |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utility mod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