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713Y1 -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 외장용 유리대리석 - Google Patents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 외장용 유리대리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713Y1
KR200348713Y1 KR20-2004-0002957U KR20040002957U KR200348713Y1 KR 200348713 Y1 KR200348713 Y1 KR 200348713Y1 KR 20040002957 U KR20040002957 U KR 20040002957U KR 200348713 Y1 KR200348713 Y1 KR 200348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arble
building
attachment
exterio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철기
Original Assignee
시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철기 filed Critical 시철기
Priority to KR20-2004-0002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glass elements, i.e. wherein an outer layer is not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외장마감재로 건물의 콘크리벽체 외면에 설치되는 박판의 유리대리석을 별도의 부착용 트러스(truss)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안정적이며 견고한 상태로 보다 신속, 간편하게 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건물의 외장공사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건물외벽(3)에 외장재로서 설치되는 유리대리석(A)에 있어서, 유리대리석(A)을 이루는 유리대리석본체(1)의 배면에는, 앙카부재(2)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걸림홈(11a)을 각각 형성한 복수의 부착보조구(11)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부착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 외장용 유리대리석이다.

Description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 외장용 유리대리석{Glass marble with adhesion block}
본 고안은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외장용 유리대리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장마감재로 건물의 콘크리벽체 외면에 설치되는 박판의 유리대리석을, 별도의 부착용 트러스(truss)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안정적이며, 견고한 상태로 보다 신속, 간편하게 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건물의 외장공사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래 들어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목적으로, 일반적인 석판 대신에 두께가 얇아 그 취급이 간편하고 다양한 색깔과 문양으로 되어, 그 미감이 뛰어난 유리대리석이 건물 외장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유리대리석은 석재로 되는 기존의 대리석판에 비해 그 두께가 매우 얇아 취급이 간편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리대리석의 설치를 위해서는 건물외면 전체에 격자형으로 철재 트러스를 설치한 후, 이 트러스에 다수의 유리대리석을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건물 외벽에 대한 부착설치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운 문제로 인해 건물에 대한 외장공사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한 박판 형태로 된 종래의 유리대리석은 두께가 얇은 구성특성상, 서로 포개진 상태로 운반 및 취급되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네 모서리 부분이 쉽게 파손되어 자재의 손실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서로 포개진 상태인 복수의 유리대리석이 서로 표면장력에 의해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작업을 위한 낱장으로의 분리가 쉽지 않아 외장공사를 지연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 건물의 전체적인 공기(工期)지연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두께가 얇은 구성특성을 갖는 유리대리석을 외장재로서, 건물외벽에 부착 설치하는 시공상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께가 얇은 유리대리석의 배면에 일정두께를 갖는 다양한 재질의 부착 보조구를 부착 설치하는 것에 의해, 부착을 위한 트러스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다수의 앙카부재만을 이용해 건물외면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견고한 상태로 부착설치 할수 있게 함으로써, 유리대리석을 이용한 건물 외장공사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한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외장용 유리대리석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유리대리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유리대리석의 설치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유리대리석의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리대리석본체 2 : 앙카부재
11 : 부착보조구 11a : 걸림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외장용 유리대리석은, 건물외벽(3)에 외장재로서 설치되는 유리대리석(A)에 있어서, 유리대리석(A)을 이루는 유리대리석본체(1)의 배면에는, 앙카부재(2)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걸림홈(11a)을 각각 형성한 복수의 부착보조구(11)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부착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외장용 유리대리석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외장용 유리대리석의 설치구성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외장용 유리대리석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외장용 유리대리석(A)은, 건물외벽에 미감향상을 위한 외장재로서 널리 통용되는 통상의 유리대리석본체(1)의 배면에, 일정두께를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되는 복수의 부착보조구(11)를, 서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유리대리석 본체(1)의 배면에 부착되는 부착보조구(11)의 각각의 상·하면, 즉 건물의 상·하부 지향면에는 각각 요홈형태의 걸림홈(11a)을 형성하며, 이 걸림홈(11a)이 건물외벽(3)에 견고하게 부착 설치되는 통상의 앙카부재(2)의 걸이부에 끼워져 걸리도록 하여, 견고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부착보조구(11)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경질의 합성수지재가 권장되나 반드시 이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스텐레스나 알루미늄 등의 부식이 되지 않는 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외장용 유리대리석(A)의 설치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신축건물이나 기존건물의 외벽에 대한 미감향상을 위한 외장재로서 본 고안의 유리대리석(A)을 부착·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건물외벽(3)에 대해 설치될 유리대리석(A)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앙카부재(2)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들 앙카부재(2)에 대해 본 고안의 유리대리석(A)을 견고한 상태로 부착 설치하는 것인 바, 이는 유리대리석(A)을 이루는 유리대리석본체(1)의 배면에 부착 설치된 부착보조구(11)의 상·하면에 요입홈 형태로 형성된, 각각의 걸림홈(11a)이 앙카부재(2)의 걸림부에 끼워져 걸림과 동시에, 앙카부재(2)와 유리대리석(A)의 부착보조구(11) 양자의 접촉면은 접착수단에 의하여 접착되게 되는 것인데, 다시 말해 부착보조구(11)의 건물외벽 지향면과 상·하면이 앙카부재(2)의 접촉면에 견고하게 접착되게 하는 식으로, 다수의 유리대리석(A)을 반복하여 부착시키게 되면, 건물외벽(3)면에 복잡한 구성의 트러스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건물외벽(3)에 일부 매설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앙카부재(2)에 견고하게 부착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유리대리석본체(11)의 배면에 우레탄이나 실리콘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 설치되는 부착보조구(11)는, 본 예에서는 유리대리석 본체(1)의 배면 상·하부에 가로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부착 설치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부착보조구(11)를 세로 방향으로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부착, 설치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그 설치 개수에 있어서도 반드시 2개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그 수를 증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외장용 유리대리석에 의하면, 두께가 얇은 구성특성을 갖는 유리대리석본체의 배면에, 그 표면에 일정깊이의 걸림홈이 요입형성된 복수의 부착보조구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부착 설치함으로써, 건물 외벽면에 유리대리석 부착을 위한 트러스 등의 복잡한 구성의 부착수단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단지 복수의 앙카부재만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다 견고한 상태로, 건물외벽의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원하는 부위에 유리대리석은 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건물외장공사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건물외벽(3)에 외장재로서 설치되는 유리대리석(A)에 있어서,
    유리대리석(A)을 이루는 유리대리석본체(1)의 배면에는, 앙카부재(2)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걸림홈(11a)을 각각 형성한 복수의 부착보조구(11)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부착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 외장용 유리대리석.
KR20-2004-0002957U 2004-02-06 2004-02-06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 외장용 유리대리석 KR200348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957U KR200348713Y1 (ko) 2004-02-06 2004-02-06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 외장용 유리대리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957U KR200348713Y1 (ko) 2004-02-06 2004-02-06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 외장용 유리대리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713Y1 true KR200348713Y1 (ko) 2004-04-29

Family

ID=4942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957U KR200348713Y1 (ko) 2004-02-06 2004-02-06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 외장용 유리대리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7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758B1 (ko) * 2010-07-13 2011-07-27 주식회사 신세계석재산업 경량 마감루바 및 이를 이용한 마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758B1 (ko) * 2010-07-13 2011-07-27 주식회사 신세계석재산업 경량 마감루바 및 이를 이용한 마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5937C (en) Bracket structure for external wall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CN208792663U (zh) 一种室内装修系统
US9464442B1 (en) Wall cladding assembly method and system
KR102122685B1 (ko) 건물벽 마감재 고정조립체
US7743569B1 (en) Support panel for thin brick
JPH0224449A (ja) 建物のファサードをライニングするための自然石エレメント
CA2556332A1 (en) Siding element for creating structured facades of buildings
KR200348713Y1 (ko)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 외장용 유리대리석
JP6957173B2 (ja) 取付具、取付具と防水材とのセット、壁構造、及び外装材の施工方法
KR20070020118A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구
KR102011191B1 (ko) 치장벽돌 보수 보강용 멀티 브라켓
JP3145265U (ja) 壁面パネル
JP2005139661A (ja) 化粧パネル取り付け構造
JP2006132110A (ja) 断熱パネル及びタイルの取り付け構造
JPH10331394A (ja) Pc工法用天然石材タイル及び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2006265847A (ja) タイルパネルの固定施工方法
KR102152849B1 (ko) 연장된 결착부재의 모서리 고정부재로 시공성을 높인 건축외장재 구조체
KR100321909B1 (ko) 스틸스터드에부착되는타일부착용단열보드
JP2000226926A (ja) 建物用外壁材
KR200443690Y1 (ko) 조립식 월-패널
KR20240016061A (ko)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구조
KR100526695B1 (ko) 건축물 외벽 조립식 합성 타일 설치 공법
KR200182670Y1 (ko) 건축용 장식판넬
KR200334466Y1 (ko) 타일 마감재
KR200309765Y1 (ko) 몰탈시공용 베이스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