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336Y1 - 타워크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336Y1
KR200494336Y1 KR2020200002703U KR20200002703U KR200494336Y1 KR 200494336 Y1 KR200494336 Y1 KR 200494336Y1 KR 2020200002703 U KR2020200002703 U KR 2020200002703U KR 20200002703 U KR20200002703 U KR 20200002703U KR 200494336 Y1 KR200494336 Y1 KR 200494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frame
disposed
climbing cage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선
Original Assignee
(주)두두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두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두두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2020200002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34Self-erecting cranes, i.e. with hoisting gear adapted for crane erection purposes
    • B66C23/348Self-erecting cranes, i.e. with hoisting gear adapted for crane erection purposes the erection being operated by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상부 구조물에 결합하며, 단위 마스트 출입용 입구에 배치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클라이밍 케이지; 상기 클레이밍 케이지에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를 상하이동시키는 유압구동부; 및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에 배치되어,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는 사각틀 구조를 이루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과, 제3 프레임과,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구동부는, 상기 클레이밍 케이지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와, 유압공급부와, 상기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공급부를 연결하는 제1 라인과, 상기 제1 라인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유압공급부로 연결되는 제2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에 배치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전후방향으로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은 좌우방향으로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레일과 결합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3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제3 센서와, 상기 제4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제4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과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의 상단과 중간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공급부는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2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1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2 센서의 측정값과 제4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2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밸브를 전환하여 상기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유압공급부로 리턴시키는 타워 크레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워크레인 장치{Tower crane}
실시예는 타워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워크레인(tower crane)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 주위의 고소에 설치되는 권상, 선회 및 횡행동작을 할 수 있는 건설기계를 말한다. 타워크레인은 고층 건축공사나 플랜트 건설, 교량건설, 철탑 건설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은 외부 지지없이 설치될 수 있는 최대높이(자립높이)를 벗어나 더 높이 설치되야 하는 경우, 건축물의 지지를 추가하여 자립높이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4341호(2011.02.11. 공개)에는 건축물 외벽(또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타워크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타워크레인이 트롤리와 후크가 설치된 상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에 결합하는 마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트는 단위 마스트들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초위에 설치된 베이직 마스트 위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단위 마스트를 적층되어 마스트가 조립되고, 단위 마스트를 하나씩 분리하여 타워크레인을 해제할 수 있다.
클라이밍 케이지는 상부 구조물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단위 마스트들을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클라이밍 케이지에는 유압구동부와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를 통해 확보된 공간으로 새로운 단위 마스트를 투입하여 마스트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다만, 유압실린더가 확장하여, 상부 구조물을 들어올릴 때, 상부 구조물의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상부 구조물이 기울어져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4341호(2011.02.11. 공개)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구조물의 밸런스가 맞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상부 구조물에 결합하며, 단위 마스트 출입용 입구에 배치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클라이밍 케이지와, 상기 클레이밍 케이지에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를 상하이동시키는 유압구동부 및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에 배치되어,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는 사각틀 구조를 이루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과, 제3 프레임과,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구동부는, 상기 클레이밍 케이지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와, 유압공급부와, 상기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공급부를 연결하는 제1 라인과, 상기 제1 라인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유압공급부로 연결되는 제2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에 배치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전후방향으로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은 좌우방향으로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레일과 결합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3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제3 센서와, 상기 제4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제4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과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의 상단과 중간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공급부는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2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1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2 센서의 측정값과 제4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2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밸브를 전환하여 상기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유압공급부로 리턴시키는 타워 크레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과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의 상단과 중간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센서의 위치와 상기 제2 센서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 센서의 위치와 상기 제4 센서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센서의 위치와 상기 제2 센서의 위치, 제3 센서의 위치 및 상기 제4 센서의 위치가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구조물의 밸런스가 맞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지 케이지의 상승작업 진행 여부를 보다 세밀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트의 조립과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타워크레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단위 마스트들이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클라이밍 케이지에 배치된 유압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유압구동부의 상세도,
도 5는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센서부의 상하방향 위치를 나타낸 클라이밍 케이지의 측면도,
도 7은 센서부의 상하방향 위치의 변형례로서, 상하방향으로, 제1 센서의 위치와 제2 센서의 위치가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클라이밍 케이지의 측면도,
도 8은 센서부의 상하방향 위치의 변형례로서, 상하방향으로, 제3 센서의 위치와 제4 센서의 위치가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클라이밍 케이지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타워크레인 장치(1)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타워크레인 장치(1)의 전후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타워크레인 장치(1)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z축은 타워크레인 장치(1)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워크레인 장치(1)는, 상부 구조물(10)과 마스트(20)와 클라이밍 케이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구조물(10)은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며 지브와 트롤리와 후크등을 포할 수 있다.
마스트(2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구조이다. 복수 개의 바(bar)형 부재가 트러스 구조로 조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스트(20)는 상하방향(z)으로 길게 배치된다. 마스트(20)는 외부 지지물에 고정될 수 있다.
마스트(20)는 단위 마스트(20)들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클라이밍 케이지(10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확장되고 축소되면서 단위 마스트(21)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면서 상승이동한다. 클라이밍 케이지(100)는 단위 마스트(21)를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01)은 단위 마스트(21) 출입용 입구에 배치된다.
도 2는 단위 마스트(21)들이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밍 케이지(100)에 단위 마스트(21)가 배치된다. 이후, 도 2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밍 케이지(100)가 상승이동하면서 단위 마스트(21)의 설치공간을 확보한다. 이후, 도 2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마스트(21)가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내측으로 투입된다. 이후, 도 2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된 단위 마스트(21)가 적층되어 조립된다.
도 3은 클라이밍 케이지(100)에 배치된 유압구동부(3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유압구동부의 상세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유압구동부(300)는, 유압실린더(310)와 유압공급부(320)를 도시한 도면이다.
유압실린더(310)는 확장과 신축을 반복하여 클라이밍 케이지(100)를 상승이동시킨다. 유압실린더(310)가 신축, 확장을 반복하면, 클라이밍 케이지(100)와 상부 구조물(10)은 마스트(20)를 따라 상승이동한다. 이때, 유압실린더(310)는 단위 마스트(21)의 상하방향(z) 높이 이상으로 클라이밍 케이지(100)가 상승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유압공급부(320)는 유압실린더(310)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유압공급부(320)와 유압실린더(310)는 제1 라인(330)을 통해 연결된다. 제2 라인(340)은 제1 라인(330)에서 바이패스되어 유압공급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라인(340)은 유압실린더(310)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리턴시켜 유압공급부(32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라인(340)에는 밸브(350)가 배치될 수 있다. 밸브(350)가 열리면 유압실린더(310)로 공급되는 작동유는 방향이 전환되어 유압실린더(310)로 공급되지 않고 유압공급부(320)로 리턴된다.
도 5는 센서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센서부(200)는 상부 구조물(1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센서부(200)는 전후방향(x)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y)으로 상부 구조물(10)의 기울어짐을 측정하여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마스트(20)의 조립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센서부(200)는 유압공급부(320)와 연결되어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수평상태에 대한 정보를 유압공급부(320)에 전달한다.
조립을 위해 단위 마스트(21)가 거치되는 레일(101)은 예를 들어, 전후방향(x)으로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101)에 단위 마스트(21)가 거치된 상태에서는 클라이밍 케이지(100)에 편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기울어짐을 보다 세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요한다. 특히, 상부 구조물(10)의 선회를 고려할 때 전방향을 고려하여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수평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일시적인 편하중이나 안전에 크게 문제가 없는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상승작업이 중단된다면 작업의 진행이 너무 느려지는 문제점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센서부(200)는 제1 센서(210)와 제2 센서(220)와 제3 센서(230)와 제4 센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클라이밍 케이지(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210)와 제2 센서(220)와 제3 센서(230)와 제4 센서(240)는 각각 기울기 센서일 수 있다.
클라이밍 케이지(100)는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클라이밍 케이지(100)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과 제3 프레임(130)과 제4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은 전후방향(x)을 기준으로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30)과 제4 프레임(140)은 좌우방향(y)을 기준으로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30)과 제4 프레임(140)은 각각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과 연결될 수 있다. 레일(101)은 제1 프레임(1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센서(210)는 제1 프레임(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220)는 제2 프레임(1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센서(230)는 제3 프레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센서(240)는 제4 프레임(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210)는 제1 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된다. 제2 센서(220)는 제2 프레임(120)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된다. 제3 센서(230)는 제3 프레임(130)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된다. 제4 센서(240)는 제4 프레임(140)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된다.
유압공급부(320)는 제1 센서(210)의 측정값과 제2 센서(220)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1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 센서(220)의 측정값과 제4 센서(240)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2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밸브(350)를 열어 유압실린더(310)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2 라인(340)을 통해 유압공급부(320)로 리턴시킨다.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은 각각 상부 구조물(10)과 마스트(20)의 크기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1 기준값이 클수록 전후방향(x)으로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기울어짐이 큰 것을 의미한다. 제2 기준값이 클수록 좌우방향(y)으로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기울어짐이 큰 것을 의미한다.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은 마스트(20) 조립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값이다.
유압공급부(320)는 제1 값과 제2 값이 모두 기준값을 초과하면, 마스트(20)의 조립과정을 진행할 수 없는 위험한 상태로 판단하여, 유압실린더(310)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고 리턴시켜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상승 작업을 중단시킨다. 즉, 전후방향(x)뿐만아니라, 좌우방향(y)으로도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보다 정밀하게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상승 작업 진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상승작업의 안전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도 일시적인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상승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스트(20)의 조립과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센서부(200)의 상하방향(z) 위치를 나타낸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부(200)는 상하방향(z)을 기준으로, 레일(101)의 상단(H2)과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상단(H1)의 중간지점(C1)에 배치될 수 있다. 단위 마스트(21)가 거치되는 레일(101)의 위치와 상부 구조물(10)과 연결되는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상단(H1)의 위치를 고려할 때, 상하방향(z)으로 레일(101)의 상단(H2)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상단(H1)과 중간지점(C1)이 일시적 기울임에 영향을 적게 받는 영역이다.
도 7은 센서부(200)의 상하방향(z) 위치의 변형례로서, 상하방향(z)으로, 제1 센서(210)의 위치와 제2 센서(220)의 위치가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측면도이고, 도 8은 센서부(200)의 상하방향(z) 위치의 변형례로서, 상하방향(z)으로, 제3 센서(230)의 위치와 제4 센서(240)의 위치가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하방향(z)을 기준으로 제1 센서(210)의 위치와 제2 센서(220)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220)의 위치가 제1 센서(210)의 위치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210)의 위치가 레일(101)의 상단(H2)과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상단(H1)의 중간지점(C1)보다 조금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z)을 기준으로 제3 센서(230)의 위치와 제4 센서(240)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센서(230)의 위치가 제4 센서(240)의 위치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센서(240)의 위치가 레일(101)과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상단(H1)의 중간지점보다 조금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센서(210)의 위치, 제2 센서(220)의 위치, 제3 센서(230)의 위치 및 제4 센서(240)의 위치도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이는 전후방향(x) 및 좌우방향(y)을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z)으로 측정된 클라이밍 케이지(100)의 기울기 정보를 활용하여, 클라이지 케이지의 상승작업 진행 여부를 보다 세밀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실용신안 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상부 구조물
20: 마스트
100: 클라이밍 케이지
110: 제1 프레임
120: 제2 프레임
130: 제3 프레임
140: 제4 프레임
200: 센서부
210: 제1 센서
220: 제2 센서
230: 제3 센서
240: 제4 센서

Claims (5)

  1. 상부 구조물에 결합하며, 단위 마스트 출입용 입구에 배치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클라이밍 케이지;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에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를 상하이동시키는 유압구동부; 및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에 배치되어,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는 사각틀 구조를 이루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과, 제3 프레임과,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구동부는,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와, 유압공급부와, 상기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공급부를 연결하는 제1 라인과, 상기 제1 라인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유압공급부로 연결되는 제2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에 배치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전후방향으로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은 좌우방향으로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레일과 결합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3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제3 센서와, 상기 제4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제4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과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공급부는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2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1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2 센서의 측정값과 제4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2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밸브를 전환하여 상기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유압공급부로 리턴시키는 타워 크레인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과 상기 클라이밍 케이지의 상단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는 타워 크레인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센서의 위치와 상기 제2 센서의 위치가 상이한 타워 크레인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 센서의 위치와 상기 제4 센서의 위치가 상이한 타워 크레인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센서의 위치와 상기 제2 센서의 위치, 제3 센서의 위치 및 상기 제4 센서의 위치가 모두 상이한 타워 크레인 장치.
KR2020200002703U 2020-07-24 2020-07-24 타워크레인 장치 KR200494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03U KR200494336Y1 (ko) 2020-07-24 2020-07-24 타워크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03U KR200494336Y1 (ko) 2020-07-24 2020-07-24 타워크레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336Y1 true KR200494336Y1 (ko) 2021-09-17

Family

ID=7791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703U KR200494336Y1 (ko) 2020-07-24 2020-07-24 타워크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3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178Y1 (ko) * 1993-12-29 1999-03-30 김무 경사센서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장치
JP2006111435A (ja) * 2004-10-18 2006-04-27 Koken:Kk 移動式発電装置の自揚降動制御方法及び自揚降型架台制御装置
KR20110014341A (ko) 2009-08-05 2011-02-11 김기륜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CN107406241A (zh) * 2015-02-20 2017-11-28 利勃海尔比伯拉赫股份有限公司 起重机升高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178Y1 (ko) * 1993-12-29 1999-03-30 김무 경사센서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장치
JP2006111435A (ja) * 2004-10-18 2006-04-27 Koken:Kk 移動式発電装置の自揚降動制御方法及び自揚降型架台制御装置
KR20110014341A (ko) 2009-08-05 2011-02-11 김기륜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CN107406241A (zh) * 2015-02-20 2017-11-28 利勃海尔比伯拉赫股份有限公司 起重机升高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41336B (zh) 电梯配置和方法
CN201424355Y (zh) 移动式自行爬升升降机
CN101549835B (zh) 桁架桅杆式起重机和桁架桅杆吊臂
US8584801B2 (en) Self-climbing hoist, deck and scaffold platform system
KR100665718B1 (ko) 타워크레인 벽체지지용 보강장치
EP3368730B1 (en) Climbing equipment for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CN109610330B (zh) 一种架桥机过孔方法
US20060263148A1 (en) Boat lift
CN105692470A (zh) 内爬式塔吊及其操作方法
JP2006111435A (ja) 移動式発電装置の自揚降動制御方法及び自揚降型架台制御装置
KR200494336Y1 (ko) 타워크레인 장치
JP2017077961A (ja) 橋形クレーン
US20180044147A1 (en) Crane tower
KR200402250Y1 (ko) 크레인용 인양물의 무게중심 조정장치
CN109610346B (zh) 一种悬臂梁调整方法
JP2010531794A (ja) 複数吊りポイントクレーンの玉掛けワイヤロープの空間干渉防止配置
CN103086254A (zh) 履带起重机组合吊具
KR20050032069A (ko) 안전 타워 크레인
CN103743581A (zh) 内爬塔式起重机试验平台装置及试验方法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AU2021461910A1 (en) Construction arrangement of an elevator and a method
RU2442743C2 (ru) Двухбалочный подъемный кран с множеством точек подвеса
CN100537404C (zh) 一种大吨位平台吊机
CN204569193U (zh) 一种岸桥起重机提升机构和具有其的岸桥起重机
KR102496947B1 (ko) 엘리베이터용 텔레스코프형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