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020Y1 - 왕복 운동 장치 및 유아용 침대 - Google Patents

왕복 운동 장치 및 유아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020Y1
KR200494020Y1 KR2020187000009U KR20187000009U KR200494020Y1 KR 200494020 Y1 KR200494020 Y1 KR 200494020Y1 KR 2020187000009 U KR2020187000009 U KR 2020187000009U KR 20187000009 U KR20187000009 U KR 20187000009U KR 200494020 Y1 KR200494020 Y1 KR 200494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reciprocating device
longitudinal body
body par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7000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910U (ko
Inventor
테에무 자르비넨
마르쿠스 비호뚤라
리따 시쌀라
페카 살미
한나 시쌀라
이스모 비이타니에미
Original Assignee
파밀링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밀링스 오와이 filed Critical 파밀링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800009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0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47D9/057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drive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침대 또는 요람에서 유아를 진정시키기 위한 대안적인 해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상기 해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지지하고, 영역을 덮기 위해 제1 직교 좌표 차원(Y) 및 제2 직교 좌표 차원(Z)을 따라 연장되고 제3 직교 좌표 차원으로 두께(X)를 갖는 멤브레인(1)을 포함하는 신규한 왕복 운동 장치(10)에 기초한다. 또한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상기 멤브레인(1)에 부착되고, 상기 멤브레인(1) 상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해 제1 또는 제2 직교 좌표 차원(Y, Z) 중 적어도 하나의 차원에서 상기 멤브레인(1)의 장력을 조절하는 인장 기구(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왕복 운동 장치 및 유아용 침대
본 고안은 수면용 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유아를 진정시키는 수면용 부속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왕복 운동 장치 및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유아가 잠드는데 필요한 이완 상태로 유아를 달래는 것은 알려진 문제이다. 아기를 두 팔로 흔들어서 아기를 진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일부 아기는 장시간 동안 이 달래는 운동을 요구한다. 아기가 밤에 반복적으로 깨기 쉬운 경향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왕복 운동을 통해 부모가 아이를 진정시키는 것을 도와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공정을 도와주기 위해 시장에 다수의 부속품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EP 1898753 B1 및 US 5107555 A는 달래는 운동을 생성하도록 요람의 매트리스를 흔드는 기구를 개시한다. 이러한 기구는 특정 순서로 매트리스의 코너를 들어 올리고 낮추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들을 포함한다. 이들 액추에이터는 기계식이거나 또는 공압식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침대 또는 요람에서 유아를 진정시키는 대안적인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유아용 침대의 매트리스를 교체하거나 매트리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신규-장착 모듈(retro-fit module)로서 구성된 신규한 왕복 운동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왕복 운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being)를 지지하고, 영역을 덮기 위해 제1 직교 좌표 차원 및 제2 직교 좌표 차원을 따라 연장되고, 제3 직교 좌표 차원으로 두께를 갖는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왕복 운동 장치는,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되고, 상기 멤브레인 상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해 제1 또는 제2 직교 좌표 차원 중 적어도 하나의 차원에서 상기 멤브레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인장 기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지지하고, 영역을 덮기 위해 제1 직교 좌표 차원 및 제2 직교 좌표 차원을 따라 연장되고, 제3 직교 좌표 차원으로 두께를 갖는 멤브레인을 구비하는 왕복 운동 장치를 포함하는 유아용 침대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왕복 운동 장치는,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되고, 상기 멤브레인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해 제1 또는 제2 직교 좌표 차원 중 적어도 하나의 차원에서 상기 멤브레인의 장력을 반복적으로 조절하는 인장 기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한정된다. 특정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한정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왕복 운동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멤브레인이 없는 도 1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영역(A)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멤브레인이 제거된 본 고안의 적어도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왕복 운동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구동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해 제2 횡방향 몸체 부분이 없는 도 1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멤브레인이 제거된 본 고안의 적어도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왕복 운동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및
도 8은 도 7의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멤브레인의 길이"라는 용어는 멤브레인의 외부 표면을 따라 측정된 멤브레인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사시도로 보았을 때 물체의 길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재의 경간 길이(span length)"라는 용어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재의 길이방향 중심 축들 사이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멤브레인"이라는 용어는, 인장되고 느슨해져서 처짐(sag)을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특히 유아의 중량을 견딜 수 있는 시트형 부재(sheet-like member)들을 포함하지만 이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회전"이라는 표현은 축을 중심으로 반드시 1 회전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대신, "회전"이라는 용어는 1 회전을 완료하지 못한 회전을 포함하여 원래의 상태로부터 각도 변위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념은 느슨한(loose: 헐거운) 상태와 타이트한(tight: 팽팽한) 상태 사이에서 장력이 토글(toggled)되는 멤브레인 상에, 사용자, 특히 유아를 지지하는 것에 기초한다. 제1 직교 좌표 차원으로 측정된 멤브레인의 길이는 타이트한 상태에서보다 느슨한 상태에서 10% 더 길다. 멤브레인의 중심으로부터 측정된 요동 운동(fluctuating motion)의 진폭은 약 10 mm 내지 150 mm, 특히 약 120 mm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진폭이란 멤브레인의 최상위 높이와 최하위 높이 사이의 높이 차이를 의미하거나, 또는 최하위 높이와 그 중심으로부터 측정된 나머지 높이 - 이 경우 그 길이는 상기 언급된 것의 절반이다 - 사이의 높이 차이를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진폭은 멤브레인의 중심의 수직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멤브레인은 유아용 침대의 매트리스를 교체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모듈의 일부일 수 있고, 이에 의해 왕복 운동 장치는 유아가 부모의 개입 없이 잠들 수 있는 것을 도와주는 임의의 유아용 침대에 신규-장착(retrofit)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왕복 운동 장치는 침대 또는 유아용 침대에 통합될 수 있고, 여기서 유아 또는 다른 사용자는 왕복 운동 장치의 멤브레인의 상부에 직접 놓이거나 또는 매트리스와 같은 중간 층을 통해 놓일 수 있다. 이러한 통합된 구조에서, 왕복 운동 장치는 유아용 침대 또는 침대의 바닥을 교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 운동 장치(10)는, 지지 구조물들 사이에서 유아를 현수(suspending)하는 가변적인 멤브레인(1)을 구비한다. 멤브레인(1)은 반복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즉 좌굴(buckling)될 수 있는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 시트형 부재이다. 얼굴을 아래로 하고 잠자는 유아에게 공기의 공급을 유지하기 위해 공기에 투과성이 있는 직물(fabric)로 멤브레인(1)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1)은 효과를 증폭시키기 위해 직물 메쉬(fabric mesh)로 제조된다. 메쉬는 유아를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멤브레인(1)은 유아를 수용하고 지지하기에 적합한 영역을 덮는다. 그러나, 또한 성장한 사람 또는 심지어 대형 포유 동물과 같이 더 큰 사용자가 잠자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더 큰 멤브레인(1)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뼈대 구조에서, 멤브레인(1)은 영역을 덮기 위해 제1 직교 좌표 차원(Y) 및 제2 직교 좌표 차원(Z)으로 연장된다. 각각, 멤브레인(1)은 제3 직교 좌표 차원 방향(X)으로 그 두께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멤브레인(1)은 유아용 침대의 매트리스를 교체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신규-장착 모듈로서 구성된 모듈식 구조물에서 지지된다. 대안적으로, 왕복 운동 기구(10)는 침대, 유아용 침대 또는 임의의 수면용 장치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듈은, 멤브레인(1) 및 그 하중(load)을 지지하기 위해 제2 직교 좌표 차원(Z)으로 연장되는 2개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 즉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6)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을 포함한다. 또한, 이 모듈은, 거리를 두고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을 연결하기 위해 제1 직교 좌표 몸체 부분(Y)으로 연장되는 2개의 횡방향 몸체 부분, 즉 제1 횡방향 몸체 부분(3) 및 제2 횡방향 몸체 부분(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횡방향 몸체 부분(3, 4)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을 지지하기 위한 블록일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은 멤브레인(1)과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 사이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1 및 제2 몸체 부분(3, 4)들에 베어링식으로 장착된 회전 가능한 로드(rod)이다. 몸체 부분(3, 4, 6, 7)들은, 구동부(2)를 포함하여 부속품들을 위한 장착점으로서 작용하도록, 왕복 운동 장치(10)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횡방향 몸체 부분(3, 4)들은 섀시로서 사용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 부분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는 횡방향 몸체 부분들이 접힐 수 있게 하는 조인트(joint)(도시되지 않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접힘은 몸체 부분들에서 힌지 형성된 부분들을 직선 각도로 또는 거의 직선 각도로 선회시킴으로써 장치를 접어서, 예를 들어, 운반 동안 더 작은 볼륨 내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왕복 운동 장치의 지지 구조물을 보다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멤브레인(1)이 없는 왕복 운동 장치(10)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는 일측으로부터만 멤브레인에 요동 운동을 제공하는 일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멤브레인 상에 누워있는 사용자는 비대칭 방식으로 위 아래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약간 흔들리게 된다. 멤브레인의 장력을 양측으로부터 조절하는 것은 어느 도면도 참조하지 않고 별도로 언급된다.
그러나, 도 2는, 장치가 설치된 플랫폼으로부터 제3 직교 좌표 차원의 방향으로 상승된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을 횡방향 몸체 부분(3, 4)들이 지지하는 것을 도시한다. 그리하여, 횡방향 몸체 부분(3, 4)들은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을 통해 멤브레인 상에 있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한다.
또한 도 2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왕복 운동 장치는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6)과 평행하게 그리고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보다 더 아래쪽에서 진행하도록 배열된 제3 길이방향 몸체 부분(9)을 또한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3 길이방향 몸체 부분(9)은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으로부터 제3 직교 좌표 차원(X)으로 편위(deviated)되어 있다. 제3 직교 좌표 차원(X)으로 제3 길이방향 몸체 부분(9)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 기구가 제공된다. 조절 기구는 제1 및 제2 횡방향 몸체 부분(3, 4)들에 수직 슬롯 및 잠금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간단히 배열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수직 조절은 일 단부에서 제3 길이방향 몸체 부분(9)에 연결된 멤브레인(1)의 장력을 미리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수직 조절은 또한 장치를 조립하고 분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3 길이 몸체 부분(9)의 수직 조절을 통해 멤브레인(1)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멤브레인(1)은 세척, 교체 등을 위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제3 직교 좌표 차원(X)에서 조절 가능한 것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제3 길이방향 몸체 부분은 또한 인장 기구(도시되지 않음)와 유사하게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길이방향 몸체 부분은 회전 가능한 편심 액슬(eccentric axle)로서 구성될 수 있다.
왕복 운동 장치(10)는 또한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 인장 기구를 포함한다. 이들 도면에서, 인장 기구(5)는 회전 가능한 편심 액슬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또한 상이한 도시되지 않은 예들도 가능하다. 대안적인 구조는 이후에 설명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고, 도 3은, 인장 기구(5)가 액슬(51)을 포함하고, 이 액슬은 제1 횡방향 몸체 부분(3)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제1 횡방향 몸체 부분(3)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부(2)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도시한다. 그리하여, 액슬(51)은 제1 횡방향 몸체 부분(3)을 통과해 연장되고 구동부(2)에서 종료된다. 구동부는 멤브레인(1)의 일 단부에 왕복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전기 모터, 기어 모터, 선형 액추에이터, 스텝 모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제어 가능한 수단일 수 있다. 구동부는 적어도 5 Nm의 토크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전압 DC 모터는 정숙성과 제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인해 이 목적에 적합하다. 액슬(51)은 편심 부재(52), 즉 반경방향 아암(radial arm)을 통해 로드(53)에 연결된다. 편심 부재(52)는 느슨한 상태와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멤브레인(1)의 장력을 반복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멤브레인(1)의 일 단부에서 상호 작용(reciprocity)을 제공하기 위해 액슬(51)로부터 반경방향 편차(radial deviation)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다른 유사한 연결이 로드(53)의 반대쪽 단부에도 제공되고, 이에 의해 로드(53)의 반대쪽 단부는 편심 부재 및 액슬(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제2 횡방향 몸체 부분(4)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의 목적은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과 평행한 제2 직교 좌표 차원(Z)으로 진행되는 회전 가능한 편심 액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액슬, 편심 부재 및 로드 대신에, 편심 액슬은 또한 캠형 액슬(cam-like axle)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예는 경량성 및 조절 가능한 인장 프로파일을 갖는 인장 기구를 제공할 가능성 때문에 바람직하다. 실제, 추가적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편심 부재(52)의 길이는 예를 들어 느슨한 상태와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멤브레인(1)이 요동하는 움직임의 진폭을 조절하기 위해, 신축식 아암(telescopic arm)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로드(53)는 편심 부재(52)와 제2 횡방향 몸체 부분(4) 사이에서 제2 직교 좌표 차원(Z)으로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과 평행하게 진행된다. 멤브레인(1)의 다른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직물용 지퍼 또는 다른 유형의 형상-맞춤 결합구(form fitting coupling)와 같은 신속 결합구(quick coupling)를 통해 로드(53)에 부착된다.
구동부(2)는 느슨한 상태와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멤브레인(1)을 조작하기 위해 액슬(51)들, 편심 부재(52)들 및 로드(53)로 구성된 편심 부재를 반대되는 두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배열된다. 1 회전이 가능하지만, 로드(53)에 연결된 멤브레인(1)의 단부에서 상호 작용을 수립하는데 1 회전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구동부(2)는 사용자와 왕복 운동 장치(1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 작용하는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의 기본 기능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2)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기는 또한, 왕복 운동 장치(10)가 사용자가 움직이는 것을 검출할 때 구동부(2)를 시작시키는 모션-유도 시작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목적은 예를 들어 유아가 깨어서 주위로 움직일 때 사용자를 자동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시작하는 것이다. 운동으로-야기되는 시작 기능은 구동부 또는 액슬(51)에 결합된 각도 센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각도 센서는, 액슬(51)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고, 액슬(51)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기에 송신하도록 설정된다. 제어기가 - 이 각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 구동부(2)가 구동되지 않는 동안 액슬(51)이 각도 변위를 나타낸다고 검출하면, 제어기는 멤브레인(1)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부(2)를 시작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왕복 운동은 유아가 깨어난 것을 나타내는 약간의 제스처를 한 유아에 대한 반응이다. 이때 멤브레인을 신속히 요동시키는 반응은 유아가 깨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도 센서는 유아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야기된 멤브레인의 편차를 검출하는 유일한 옵션은 아니다. 다른 센싱 대안은 광전지, 사진이나 비디오를 통한 이미지 인식, 구동부의 액슬에 결합된 하중 센서 등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유아가 우는 소리와 같은 주위 잡음의 볼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센서(sound sensor)를 포함한다. 이 사운드 센서가 이러한 소리를 검출하면, 사운드 센서는 제어기에 신호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되고, 이 제어기는 사운드 센서로부터의 트리거 신호에 응답하여 사이클을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이 사이클은 사운드 센서로부터 오는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연장될 수 있거나 연장될 수 없는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지속되도록 타이밍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주변 잡음의 볼륨이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임계 레벨 아래에 유지될 때까지 멤브레인의 왕복 운동 움직임을 계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장치는 또한 주위 광량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어기에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는 광 센서를 구비한다. 이러한 정보는, 아기의 부모가 유아를 진정시키거나 또는 체크인(check in)하기 위해 방에 들어왔다는 표시로서 방에 스위치가 켜지는 광에 반응하여 움직임을 정지시키기 위해 멤브레인의 왕복 운동을 정지시키거나 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는 주변 광이 특정 임계값 아래의 레벨로 감소한 후에는 멤브레인을 계속 구동할 수 있다.
멤브레인(1)은, 직물로 만들어지고 왕복 운동 장치(10)의 프레임을 덮는 커버(도시되지 않음)의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버는 멤브레인(1)과 몸체 부분(3, 4, 6, 7)들뿐만 아니라 구동부(2), 제어기(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보조 구성 요소들 위로 연장된다. 커버는 외부 조각들로부터 구성 요소들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왕복 운동 장치의 이동 구성 요소들을 덮는 기능을 갖는다. 커버는 멤브레인(1)을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이 멤브레인은 커버의 개구에 의해 노출된다. 그리하여, 멤브레인은 예를 들어 스티칭(stitching)에 의해 커버와 통합될 수 있다. 커버는 멤브레인만큼 통기성이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공기 투과성 직물은, 유아를 시원하게 유지하고, 유아가 얼굴을 아래로 하고 잠잘 때에도 유아가 커버와 멤브레인을 통해 호흡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을 갖는다. 커버는 작은 입자들이 왕복 운동 장치의 기계류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구성이 있고 단단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직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멤브레인의 단부들이 로드(53) 및 제3 길이방향 몸체 부분(9)에 부착하기 위해 지퍼 등을 포함하지만, 커버는 왕복 운동 장치를 둘러싸는 가방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왕복 운동 장치를 완전히 둘러싸는 큰 지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커버는 세척을 위해 개방 가능하고 재장착 가능할 수 있다. 먼지 및/또는 발액성(撥液性) 및 내화성 재료가 커버 및/또는 멤브레인에 도포될 수 있다.
전술된 기구는 멤브레인의 중심 영역을 각각 요동하는 방식으로 처지거나 들어올리기 위해 느슨한 상태와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멤브레인의 장력을 토글시킨다. 그리하여, 인장 기구(5)는 느슨한 제1 장력과 타이트한 제2 장력 사이에서 멤브레인(1)의 장력을 반복적으로 조절하는데, 여기서 제2 장력은 제1 장력보다 더 팽팽하다. 다시 말해, 인장 기구(5)는 제3 직교 좌표 차원(X)으로 멤브레인(1)이 처지는 것을 반복적으로 조절한다. 멤브레인의 느슨한 상태와 타이트한 상태를 조사하는 다른 방식은 멤브레인(1)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트한 상태에서 멤브레인(1)의 길이는 제1 및 제2 몸체 부분(6, 7)의 경간 길이에 대응한다. 경간 길이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부재의 길이방향 중심 축들 사이의 최단 거리로 측정된다. 느슨한 상태에서 멤브레인(1)의 길이는 제1 직교 좌표 차원(Y)에서 측정된 경간 길이보다 더 길다. 여기서, 멤브레인(1)의 길이는, 제1 직교 좌표 차원(Y)을 따르는 것과 같이 특정 방향으로 멤브레인이 연장되는 성분을 측정하는 것과 달리, 멤브레인의 외부 표면을 따라서 항상 측정된다.
구동부(2)를 반대되는 두 방향으로 교대로 구동하거나 또는 구동부를 여러번 회전시킴으로써, - 액슬(51), 편심 부재(52) 및 로드(53)로 구성된 것과 같은 - 편심 액슬은 편심 액슬의 편심에 의해 한정된 거리만큼 멤브레인(1)을 인장시키고 해제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멤브레인(1)은 바람직하게는 제3 길이방향 몸체 부분(6)에 고정된 동안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에 대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멤브레인(1)은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6)에 대해서보다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에 대해서 더 큰 상대 운동을 경험한다.
그러나, 멤브레인(1)의 요동 운동을 일으키는 대안적인 구조가 있다. 일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멤브레인은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에 고정된다. 구동되는 몸체 부분은 회전 방식을 규정하는 편심 또는 회전 대칭일 수 있다. 비-대칭 단면은 몸체 부분과 멤브레인 사이에 마찰이 증가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길이방향 몸체 부분들을 모두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왕복 운동 장치의 횡방향 중심선에 대해 처짐이 대칭적으로 발생한다. 2개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은 원하는 요동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상이한 위상으로 반대 방향 또는 유사한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멤브레인의 지지되지 않은 구획, 즉 멤브레인의 중간 구획이 처지는 것을 생성하기 위해 멤브레인의 장력을 변경시켰다. 본 고안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유아와 같은 사용자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멤브레인이 이 지점에서 처지는 것을 조절하지 않고 멤브레인의 장력을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멤브레인은, 멤브레인의 밑면에 제공되거나 톱니식(sawn)으로 되거나 밑면에 통합된 텐터링 프레임(tentering frame)과 같은 추가적인 지지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은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해 주어진 영역에 걸쳐 멤브레인을 팽팽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추가적인 지지 구조물(또는 '텐터링 프레임') 위로 연장되는 멤브레인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멤브레인은 영역에 걸쳐 그 장력을 유지하여,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다. 추가적인 지지 구조물의 외부에 있는 멤브레인의 구획들의 장력은 추가적인 지지 구조물 위로 연장되는 멤브레인의 영역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조절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인장 기구는 이러한 추가적인 지지 구조물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방향 몸체 부분들은 회전 가능한 부분들을 은닉하기 위해 두 개의 측방향 커버에 의해 둘러싸인다. 예시적인 측방향 커버들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제1 및 제3 길이방향 몸체 부분(6, 9)은 제1 측방향 커버로 둘러싸여 있고,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 및 인장 기구(5)는 제2 측방향 커버로 둘러싸여 있다. 그리하여, 횡방향으로 측방향 커버들을 연결하는 횡방향 몸체 부분들은 중공 프로파일(hollow profile)과 같이 경량일 수 있고, 운반을 위해 왕복 운동 장치를 접을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관절식(articulated)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 몸체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몸체 부분을 구동하기 위해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 아래에 별도의 구동 기구가 제공된다. 구동 기구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주 액슬, 및 이 주 액슬과,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 사이에 있는 전달부(transmission)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액슬 자체는 편심일 수 있고, 이에 의해 전달부는 간단한 연결 로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또는 제2 몸체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몸체 부분은 멤브레인의 일 단부 또는 단부들에 필요한 왕복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편심이다.
추가적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멤브레인의 장력은 제1 및 제2 직교 좌표 차원(Y, Z)에서 모두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장 기구는 도면에 도시된 길이방향 몸체 부분들에 대해 횡방향 몸체 부분들에 제공된 것과 유사한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에서, 횡방향 몸체 부분들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회전 가능한 별도의 로드들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또는 횡방향 몸체 부분들 자체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양방향 인장 기구를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프레임 또는 섀시를 왕복 운동 장치에 제공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멤브레인은 일측 또는 양측에서 2차원으로 느슨해지고 팽팽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길이방향 몸체 부분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즉 선회시키는 또 다른 가능한 방식을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단지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에만 구동 기구가 장착되지만, 두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에 이러한 구동 기구를 제공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길이방향 몸체에 상이한 구동 기구를 갖추는 것도 동등하게 가능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도 4는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6)뿐만 아니라 구동되는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이 각각 제1 및 제2 측방향 커버(11, 12)들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도시한다. 측방향 커버(11, 12)들은, 장치의 측면을 덮고, 길이방향 몸체 부분들 위로 연장되어 길이방향 몸체 부분들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예를 들어, 판금, 목재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도 4는,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을 위한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부(2)가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 아래에 배열되고 제2 횡방향 몸체 부분(4)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다. 명백히, 구동부(2)는 제1 횡방향 몸체 부분(3)에도 동등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제2 횡방향 몸체 부분이 이미지에서 생략되었을 때 구동부(2) 및 인장 기구(5)를 보다 명확히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는 구동부(2)의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회전 부분들에 편심으로 연결된 구동 로드를 통해, 제2 횡방향 몸체 부분(7)의 회전으로 변환시키는 흔드는 기구(rocker mechanism)의 형태를 취하는 인장 기구(5)에 의해 제2 횡방향 몸체 부분(7)에 연결된다. 도 6은 이 원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부(2)의 출력 샤프트(21)는 1차 편심 부재(54)를 통해 구동 로드(55)에 연결된다. 1차 편심 부재(54)는, 구동 로드(55)의 일 단부가 출력 샤프트(21)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궤도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이 기구에서 제1 움직임(throw)을 생성하도록 구동 로드(55)를 출력 샤프트(21)에 연결한다. 구동 로드(55)의 반대쪽 단부는 2차 편심 부재(56)를 통해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에 연결된다. 2차 편심 부재(56)는, 구동 로드(55)가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궤도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이 기구에서 제2 움직임을 생성하도록 구동 로드(55)를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에 연결한다. 이에 의해 구동 로드(55)는 구동부(2)와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 사이에서 연장되는 차원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시된 인장 기구는 모두 일종의 기계적 힘을 전달하거나 또는 전송하는 것을 사용한다. 이 전달은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직접 구동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2)는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에 직접 연결된다. 이 예에서,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의 직경은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부(2)를 중공인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 내에 끼워 넣기 위해 증가된다. 도시된 예에서, 구동부(2)는 엄격한 공차로 달성된 마찰 조인트를 통해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에 끼워져서, 구동부(2)가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의 수용 공동(cavity)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구동부(2)는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과 구동부의 접촉 표면들 사이에 상호 맞물림 형상들 또는 지정된 부착기(affixer)(도시되지 않음)들로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에 각지게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2)의 출력 샤프트(21)는 브래킷(22)에 끼워 맞춰지고, 브래킷(22)은 제2 횡방향 몸체 부분(4)에 고정된다.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의 타 단부에는 또 다른 브래킷(72)이 제공되고, 이 타 단부는 이 브래킷(72)과 맞물리는 액슬(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횡방향 몸체 부분(3, 4)들에 대해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이 회전하는 것은 액슬들/샤프트들과 브래킷 사이의 적절한 계면에 베어링들을 배열함으로써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 출력 샤프트(21)는 브래킷(2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반면,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의 액슬은 브래킷(72)에 위치된 베어링 내에서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2)는 제어된 각도 범위에 걸쳐 원하는 방향으로 출력 샤프트(21)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이 실시예에서, 구동부(2)는 특히 콤팩트한 크기에서 저전압인 것으로 인해 우수한 안전성을 제공하는 영구 자석 직류 모터일 수 있다.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구동되는 길이방향 몸체 부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폐 루프 제어 하에 구동된다. 구동되는 길이방향 몸체 부분의 위치는 모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 또는 모터에 의해 사용되는 토크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동부(2)는 교류 모터일 수 있다.
물론,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직접 구동이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에 제공되거나 또는 제1 및 제2 몸체 부분 아래에 배열된 제3 또는 제4 길이방향 몸체 부분(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3 또는 제4 길이방향 몸체 부분 또는 이들 둘 모두가 직접 구동되는 경우, 이 실시예는 이동 부분들을 멤브레인 상에 있는 사용자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이동시키는 장점을 제공하는 한편, 멤브레인의 선-장력(pre-tension)은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장착된 조절 기구(도시되지 않음) 상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조절 기구는 아주 높이 위치되어 사용자에 쉽게 접근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절 기구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들 아래에 위치된 구동되지 않는 길이방향 몸체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두 실시예에서, 멤브레인(도시되지 않음)은 길이방향 몸체 부분을 덮는 부착기로 길이방향 몸체 부분에 멤브레인을 가압함으로써 또는 길이방향 몸체 부분에 슬릿 또는 유사한 개구를 배열함으로써 길이방향 몸체 부분에 부착될 수 있고, 여기서 멤브레인은 개구를 통해 나사산이 형성되고, 움직임은 멤브레인의 일 단부에서 스토퍼(stopper)에 의해 정지된다. 이러한 스토퍼는 멤브레인의 접힘부에 의해 간단히 제공될 수 있고, 이 스토퍼는 멤브레인이 개구를 통해 완전히 빠져 나갈 수 없도록 두께를 증가시킨 것이다. 다른 연결 옵션들도 이용 가능할 수 있다.
전술된 인장 기구의 실시예들은 모두 멤브레인의 적어도 일 단부에 왕복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편심 부재를 가지거나 편심 부재에 연결된 일종의 회전 가능한 액슬을 포함한다. 그러나, 회전 가능하지 않은 다른 수단으로 멤브레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인장 기구는 멤브레인 아래에 제공된 액추에이터를 사용하고, 이 액추에이터는 멤브레인을 팽팽하게 하기 위해 느슨한 멤브레인을 제3 직교 좌표 차원을 따라 위로 푸시하고, 하강된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이 멤브레인을 느슨한 상태로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인장 기구는 실제 예를 들어 보다 균일한 효과를 위해 또는 파도 같은 효과를 위해 특정 시퀀스를 수행하기 위해 상이한 위치들에 제공된 여러 개의 이러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회전 가능한 편심 액슬은 경량이고 구조가 단순하여서, 장치의 견고성을 개선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인장 기구의 구조에 관계 없이, 구동부의 제어기는 상이한 요동 운동 순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상이한 설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폰과 같은 컴퓨팅 단말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또는 물리적 단말에 의한 원격 제어부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구조물, 공정 단계 또는 재료로 제한되지 않고, 관련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인식할 수 있는 균등물에까지 확장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된 것일 뿐, 본 고안을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라는 언급은 이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고안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걸쳐 여러 곳에서 "일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표현은 모두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약' 또는 '실질적으로'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수치값을 언급하는 경우, 정확한 수치값이 또한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항목, 구조 요소, 구성 요소 및/또는 재료가 편의상 공통의 리스트(list)에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스트는 이 리스트의 각 구성 요소가 별도의 고유한 구성 요소로서 개별적으로 식별된 것처럼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리스트의 개별 구성 요소는, 달리 언급이 없는 한, 공통 그룹 내 그 표현에 기초하여서만 동일한 리스트의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와 사실상 균등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 및 예는 다양한 구성 요소에 대한 대안과 함께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예 및 대안은 서로 사실상 균등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고안의 별도의 자율적 표현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설명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길이, 폭, 형상 등의 예와 같은 다수의 특정 상세 사항이 제공된다. 그러나, 관련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하나 이상의 특정 상세 없이 실시될 수 있고 또는 다른 방법, 구성 요소, 재료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경우, 잘 알려진 구조, 재료 또는 동작은 본 고안의 양태를 불명확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히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았다.
전술된 예들은 하나 이상의 특정 응용에서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는 것이지만,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능을 실시함이 없이 및 본 고안의 원리와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구현 형태, 용도 및 상세에 다수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 제시된 청구범위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고안이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및 "구비하다"라는 동사는 언급되지 않은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고 요구하지 않는 개방형 용어인 것으로 사용된다. 종속 청구항들에 언급된 특징들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상호 자유롭게 결합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단수 형태의 요소의 사용은 다수의 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멤브레인, 예를 들어, 네트(net)
2: 구동부, 예를 들어, 모터
21: 출력 샤프트
22: 브래킷
3: 제1 횡방향 몸체 부분
4: 제2 횡방향 몸체 부분
5: 인장 기구
51: 액슬
52: 편심 부재
53: 로드
54: 1차 편심 부재
55: 구동 로드
56: 2차 편심 부재
6: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
7: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
71: 부착 링
72: 브래킷
9: 제3 길이방향 몸체 부분
10: 장치
11: 제1 측방향 커버
12: 제1 측방향 커버
X: 제1 직교 좌표 차원
Y: 제2 직교 좌표 차원
Z: 제3 직교 좌표 차원

Claims (37)

  1. 왕복 운동 장치(10)로서,
    - 유아를 수용하고 지지하기에 적합한 영역을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영역을 덮기 위해 제1 직교 좌표 차원(Y) 및 제2 직교 좌표 차원(Z)을 따라 연장되고 제3 직교 좌표 차원(X)으로 두께를 갖는 시트형 멤브레인(1); 및
    - 상기 멤브레인(1)에 부착되고, 상기 멤브레인(1)에 요동 운동을 제공하여 상기 멤브레인(1)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유아를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해 제1 또는 제2 직교 좌표 차원(Y, Z) 중 적어도 하나의 차원에서 상기 멤브레인(1)의 장력을 반복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인장 기구(5)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유아용 침대의 매트리스를 교체하도록 유아용 침대에 장착되거나 상기 매트리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는 치수를 갖고,
    상기 멤브레인(1)은 공기에 투과성인 직물로 만들어지거나 메쉬로 만들어지고,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의 프레임을 덮도록 구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멤브레인(1)을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1)은 상기 커버에 통합되고 상기 커버의 상기 개구에 의해 노출되고, 상기 커버는 세척을 위해 개방 가능하고 재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5)는 느슨한(loose) 제1 장력과 타이트(tight)한 제2 장력 사이에서 상기 멤브레인(1)의 장력을 반복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장력은 상기 제1 장력보다 더 타이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5)는 상기 제3 직교 좌표 차원(X)에서 상기 멤브레인(1)의 처짐을 반복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 상기 제2 직교 좌표 차원(Z)으로 연장되는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6); 및
    - 상기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6)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직교 좌표 차원(Y)으로 경간 길이(span length)만큼 이격된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1)은 상기 경간 길이에 걸쳐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 사이에 걸쳐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5. 제4항에 있어서,
    - 상기 경간 길이는 상기 제1 직교 좌표 차원(Y)에서 측정된 타이트한 상태에서 상기 멤브레인(1)의 길이에 대응하고, 느슨한 상태에서 상기 멤브레인(1)의 길이는 상기 제1 직교 좌표 차원(Y)에서 측정된 상기 경간 길이보다 더 길고,
    - 상기 인장 기구(5)는 제1 길이와 제2 길이 사이에서 상기 제1 직교 좌표 차원(Y)을 따라 상기 멤브레인(1)의 길이를 반복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1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교 좌표 차원(Y)으로 측정된 상기 멤브레인(1)의 길이는 타이트한 상태에서보다 느슨한 상태에서 10% 더 길고, 또는 상기 멤브레인(1)의 중심으로부터 측정된 요동 운동의 진폭은 10 mm 내지 15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5)는 상기 멤브레인(1)의 장력을 반복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멤브레인(1)에 연결된 회전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부재는 편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5)는 상기 멤브레인(1)의 장력을 반복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멤브레인(1)에 연결된 회전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1)의 일 단부는 상기 인장 기구(5)에 연결되고, 상기 멤브레인(1)의 타 단부는 상기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6)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멤브레인(1)의 상태들 사이의 전이 동안 상기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10. 제9항에 있어서,
    -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상기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으로부터 상기 제3 직교 좌표 차원(X)으로 편위된 제3 길이 방향 몸체 부분(9)을 포함하고,
    - 상기 멤브레인(1)의 상기 타 단부는 상기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6)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제3 길이방향 몸체 부분(9)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상기 멤브레인(1)의 장력을 미리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3 직교 좌표 차원(X)으로 상기 제3 길이방향 몸체 부분(9)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5)는,
    - 액슬(axle)(51); 및
    - 느슨한 상태와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상기 멤브레인(1)을 토글(toggling)하기 위해 상기 액슬(51)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5)는, 상기 느슨한 상태와 상기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상기 멤브레인(1)의 장력을 반복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멤브레인(1)의 일 단부에서 상호 작용을 제공하도록 상기 액슬(51)로부터 반경방향 편차(radial deviation)를 제공하는 편심 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부재(52)는 상기 느슨한 상태와 상기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상기 멤브레인(1)이 요동하는 움직임의 진폭을 조절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는 상기 느슨한 상태와 상기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상기 멤브레인(1)의 일 단부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액슬(51)을 반대되는 두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은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인장 기구(5)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1)은 회전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또는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은 상기 멤브레인(1)을 파지하기 위해 회전 비-대칭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 아래에는, 주 액슬, 및 상기 주 액슬과,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 사이에 있는 전달부(transmission)를 포함하는 구동 기구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느슨한 상태와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상기 멤브레인(1)을 토글하기 위해 상기 제1 또는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거나 상기 주 액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5)는,
    - 액슬(axle)(51); 및
    - 느슨한 상태와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상기 멤브레인(1)을 토글(toggling)하기 위해 상기 액슬(51)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는 출력 샤프트(21)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샤프트는 느슨한 상태와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상기 멤브레인(1)을 토글하기 위해 구동 로드(55)를 통해 상기 제1 또는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로드(55)는 일 단부에서 1차 편심 부재(54)를 통해 상기 출력 샤프트(21)에 연결되고, 반대쪽 단부에서 2차 편심 부재(56)를 통해 상기 제1 또는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5)는,
    - 액슬(axle)(51); 및
    - 느슨한 상태와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상기 멤브레인(1)을 토글(toggling)하기 위해 상기 액슬(51)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는 직접 구동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또는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의 출력 샤프트(21)를 위해, 상기 제1 또는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은 상기 구동부(2)가 끼워지는 내부 공동(cavity)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기구(5)는,
    - 액슬(axle)(51); 및
    - 느슨한 상태와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상기 멤브레인(1)을 토글(toggling)하기 위해 상기 액슬(51)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느슨한 상태와 상기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상기 멤브레인(1)의 일 단부를 권취하기 위해 상기 제1 또는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몸체 부분을 반대되는 두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1)은 반복되는 좌굴을 견딜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27. 삭제
  28. 삭제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 상기 제2 직교 좌표 차원(Z)으로 연장되는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6); 및
    - 상기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6)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길이방향 몸체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직교 좌표 차원(Y)으로 경간 길이(span length)만큼 이격된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7)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1)은 상기 경간 길이에 걸쳐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 사이에 걸쳐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들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인장 기구(5)는,
    - 액슬(axle)(51); 및
    - 느슨한 상태와 타이트한 상태 사이에서 상기 멤브레인(1)을 토글(toggling)하기 위해 상기 액슬(51)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2)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의 일 단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을 연결하는 제1 횡방향 몸체 부분(3); 및
    -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의 타 단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을 연결하는 제2 횡방향 몸체 부분(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횡방향 몸체 부분(3, 4)들 및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몸체 부분(6, 7)들은 상기 구동부(2)를 포함하는 부속품(accessory)들을 위한 장착점으로서 작용하는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30. 삭제
  31. 삭제
  3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33. 제32항에 있어서,
    - 상기 인장 기구는 상기 유아에 의해 야기되는 편차를 포함하여 상기 멤브레인(1)의 장력의 편차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또한 포함하고,
    - 상기 제어기는,
    o 상기 구동부(2)가 구동되지 않는 것을 검출하고,
    o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유아에 의해 야기되는 편차를 포함하여 상기 멤브레인(1)의 장력의 편차를 결정하고,
    o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멤브레인(1)의 장력의 편차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때, 구동되지 않고 있는 상기 구동부(2)를 시작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 상기 액슬(51)의 각도 위치를 감지하고,
    - 상기 액슬(51)의 상기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3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주변 잡음의 볼륨을 측정하고, 측정된 볼륨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 신호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센서; 및 상기 사운드 센서에 연결되어, 초과하는 주변 잡음에 의해 야기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부를 시작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장치(10).
  36. 왕복 운동 장치(10)를 포함하는 유아용 침대로서,
    상기 왕복 운동 장치는,
    - 유아를 수용하고 지지하기에 적합한 영역을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영역을 덮기 위해 제1 직교 좌표 차원(Y) 및 제2 직교 좌표 차원(Z)을 따라 연장되고 제3 직교 좌표 차원(X)으로 두께를 갖는 시트형 멤브레인(1); 및
    - 상기 멤브레인(1)에 부착되고, 상기 멤브레인(1)에 요동 운동을 제공하여상기 멤브레인(1)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유아를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해 제1 또는 제2 직교 좌표 차원(Y, Z) 중 적어도 하나의 차원에서 상기 멤브레인(1)의 장력을 반복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인장 기구(5)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유아용 침대의 매트리스를 교체하도록 유아용 침대에 장착되거나 상기 매트리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는 치수를 갖고,
    상기 멤브레인(1)은 공기에 투과성인 직물로 만들어지거나 메쉬로 만들어지고,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의 프레임을 덮도록 구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멤브레인(1)을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1)은 상기 커버에 통합되고 상기 커버의 상기 개구에 의해 노출되고, 상기 커버는 세척을 위해 개방 가능하고 재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장치(10)는 제2항 내지 제26항, 제29항, 및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의 왕복 운동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KR2020187000009U 2015-07-24 2016-07-19 왕복 운동 장치 및 유아용 침대 KR20049402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513121.2 2015-07-24
GB1513121.2A GB2540627B (en) 2015-07-24 2015-07-24 Reciprocation device
PCT/FI2016/050534 WO2017017311A1 (en) 2015-07-24 2016-07-19 Reciprocation device and cri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10U KR20180000910U (ko) 2018-04-03
KR200494020Y1 true KR200494020Y1 (ko) 2021-07-20

Family

ID=5410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7000009U KR200494020Y1 (ko) 2015-07-24 2016-07-19 왕복 운동 장치 및 유아용 침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141001B2 (ko)
EP (1) EP3324792B1 (ko)
JP (1) JP3218021U (ko)
KR (1) KR200494020Y1 (ko)
CN (1) CN107920673B (ko)
AU (2) AU2016102377A4 (ko)
BR (1) BR212018001416U2 (ko)
CA (1) CA2992166A1 (ko)
GB (1) GB2540627B (ko)
WO (1) WO2017017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3619A1 (zh) * 2020-06-19 2021-12-23 永艺家具股份有限公司 一种坐具的支撑装置及其安装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09787A (en) 1962-08-16 1965-11-10 Archibald Milne Hamilton Improvements relating to beds or other supports, particularly for disabled people
US4357722A (en) 1979-04-05 1982-11-09 Egerton Hospital Equipment Limited Bed with adjustably tensionable patient supporting net
KR200409952Y1 (ko) 2005-12-05 2006-03-03 (주)신기기연 탈부착식 침대피가 구비된 접절식 침대
US20120068510A1 (en) 2010-09-17 2012-03-22 John Yanhao Chen Pressure-ulcer-prevention Dynamic Cushion
US20140103687A1 (en) 2011-06-07 2014-04-17 Tamarack Habilitati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 support surface with interwoven support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6553A (en) * 1964-03-31 Auto-contouring support element
US4459712A (en) * 1981-06-11 1984-07-17 Pathan Rajendra K Hospital bed
US5058952A (en) * 1990-11-29 1991-10-22 Lasota Laurence Conformable seat with pivotal belt support
US5107555A (en) * 1990-12-12 1992-04-28 Thrasher Mickey L Crib rocking assembly
US5769727A (en) * 1996-12-27 1998-06-23 Lisco, Inc. Swing
WO2005107533A1 (en) * 2004-05-07 2005-11-17 Ramachandra Rao Gudipati Support for baby
CN1748619A (zh) * 2004-09-15 2006-03-22 王学义 一种能一起一伏的仿生婴儿床垫子及其设计变化
US7467426B1 (en) * 2005-08-10 2008-12-23 Jarmon Robert G Body support and method for supporting a body
ATE532493T1 (de) * 2007-07-08 2011-11-15 Prec Automation And Robotics India Ltd In ein bett umwandelbarer patientenstuhl mit kommode
KR20090004275U (ko) * 2007-11-02 2009-05-08 박기태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침대
CA2688904A1 (en) * 2009-12-18 2011-06-18 Robert Jarmon M.D. Body support and method for supporting a body
US8210612B2 (en) * 2010-07-14 2012-07-03 La-Z-Boy Incorporated Tension fabric lumbar support system
CN201905578U (zh) * 2010-11-15 2011-07-27 张芷瑛 变化组合婴儿床
US20140250592A1 (en) * 2011-10-20 2014-09-11 Unacuna, Llc Infant calming/sleep-aid device and method of use
US9149401B2 (en) * 2011-12-23 2015-10-06 Thomas Davenport Support apparatus for preventing and/or inhibiting decubitus ulcers
CN202525642U (zh) * 2012-04-02 2012-11-14 张少堂 空调风调温湿定时变换承重部位的垫子
CN202536809U (zh) * 2012-04-09 2012-11-21 浙江师范大学 一种自动叠被装置
CN202681291U (zh) * 2012-06-11 2013-01-23 茅鸿勇 摇篮驱动装置及安装有该摇篮驱动装置的童床
DE102012110959A1 (de) * 2012-11-14 2014-05-28 Logicdata Electronic & Software Entwicklungs Gmbh Bedienteil für ein Möbelsteuerungssystem, Möbelsteuerungssystem und elektrisch verstellbares Möbel
JPWO2015004765A1 (ja) * 2013-07-11 2017-02-23 由倫 羽柴 椅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09787A (en) 1962-08-16 1965-11-10 Archibald Milne Hamilton Improvements relating to beds or other supports, particularly for disabled people
US4357722A (en) 1979-04-05 1982-11-09 Egerton Hospital Equipment Limited Bed with adjustably tensionable patient supporting net
KR200409952Y1 (ko) 2005-12-05 2006-03-03 (주)신기기연 탈부착식 침대피가 구비된 접절식 침대
US20120068510A1 (en) 2010-09-17 2012-03-22 John Yanhao Chen Pressure-ulcer-prevention Dynamic Cushion
US20140103687A1 (en) 2011-06-07 2014-04-17 Tamarack Habilitati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 support surface with interwoven support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10U (ko) 2018-04-03
AU2016102377A4 (en) 2019-05-16
EP3324792B1 (en) 2020-05-06
CN107920673A (zh) 2018-04-17
CA2992166A1 (en) 2017-02-02
EP3324792A1 (en) 2018-05-30
US11141001B2 (en) 2021-10-12
GB2540627B (en) 2020-02-19
AU2016299849A1 (en) 2018-02-22
BR212018001416U2 (pt) 2018-07-24
GB2540627A (en) 2017-01-25
CN107920673B (zh) 2021-07-30
JP3218021U (ja) 2018-09-20
GB201513121D0 (en) 2015-09-09
AU2016299849A2 (en) 2018-04-26
US20180192787A1 (en) 2018-07-12
WO2017017311A1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42367A1 (en) Cradling bassinet
US20160227939A1 (en) Gliding child support device
US9033415B2 (en) Driven infant seat
JP6236121B2 (ja) 小児運動装置
JP2010522064A (ja) 子供運動装置
US20070277309A1 (en) Infant soothing device and method
US20190290011A1 (en) Modular rocking bed with programmable control
US20140215712A1 (en) Child sleep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sleep angle
KR200494020Y1 (ko) 왕복 운동 장치 및 유아용 침대
KR102171708B1 (ko) 이분할 구조의 다단변형 모션침대
JP6511622B2 (ja) 揺動式ベビーベッド
JP2018139766A (ja) 人体用揺動装置
KR102319267B1 (ko) 전동식 아기요람
EP3085573A1 (en) Gliding child support device
KR200416202Y1 (ko) 전동 요람
JP7338906B2 (ja) 子供の脚力を鍛えるためのジャンプ娯楽椅子
RU10247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чания детской кроватки
TW202116233A (zh) 嬰兒照護裝置
JPWO2020165984A1 (ja) 揺動式ベビーベッド
JP2004313254A (ja) 吊り床式ベビーベッド
CN117045078A (zh) 一种幼儿监护装置及方法
KR20190127158A (ko) 수면 유도용 침대
JP2002262968A (ja) パイプハンガーを利用した乳幼児揺り籠と自動振幅装置
KR20000018699U (ko) 유아용 전동식 자동 그네
JPH1170147A (ja) 可動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