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923Y1 - 천막 텐션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천막 텐션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923Y1
KR200493923Y1 KR2020210000052U KR20210000052U KR200493923Y1 KR 200493923 Y1 KR200493923 Y1 KR 200493923Y1 KR 2020210000052 U KR2020210000052 U KR 2020210000052U KR 20210000052 U KR20210000052 U KR 20210000052U KR 200493923 Y1 KR200493923 Y1 KR 200493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elevating
fabric
cutout
fasten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훈
Original Assignee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황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황지훈 filed Critical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2020210000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9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천막 텐션 유지 장치는, 지면상에 설정 거리마다 직립 배치되며, 일단이 지면에 걸리도록 절곡 형성되고 타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가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일단 또는 대향된 양단이 내부에 삽입되면서 천막 원단의 주머니 내에 위치되는 원단 지지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나사산에 나선 체결되어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원단 지지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체결 위치 조절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체결 위치 조절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항시 하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은, 지면에 걸도록 구비된 걸림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재를 천막 원단의 주머니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당겨 천막 원단에 균일하게 텐션을 가하게 되면서, 승강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절개부의 폭만큼 여유가 있어 걸림부재가 틀어진 상태로도 고정 가능하고, 절개부의 양쪽이 절곡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내부 면적이 큰 승강부재의 내부에 외부 면적이 작은 원단 지지부재가 삽입되므로 승강부재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면서 위치 잡기가 쉬워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막 텐션 유지 장치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FOR TENT}
본 고안은 천막 텐션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막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 텐션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천막은 간단한 구조물을 이용하여 야외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대형의 수용시설로서, 통상적으로 경사형 또는 아치형의 바(bar)의 양단을 지상에 고정시키고 비닐이나 천 등으로 덮어서 폐쇄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다른 형태의 조립식 천막은 지붕 트러스의 양단에 단일의 파이프 기둥을 용접 시공하여 제작하고 있다.
한편, 조립식 천막은 철 구조물이나 케이블 구조물 위에서 막재를 인장한 상태로 덮고, 막재의 가장자리에 연결 금구류(세일트랙 또는 클램프)로 고정하여 마감처리를 한다.
이렇게, 조립식 천막의 막재는 마감과정에서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부를 잡아당겨 긴장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24561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막재에 포켓을 형성하고, 포켓 내부에 인서트물을 위치시킨 후 당기게 되는데 당김 위치의 면적이 작아 효율적으로 텐션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24561호(2003.08.14)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천막 원단의 전체를 긴장시켜 텐션을 효율적으로 유지 가능한 천막 텐션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천막의 텐션 조절 장치는, 지면상에 설정 거리마다 직립 배치되며, 일단이 지면에 걸리도록 절곡 형성되고 타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가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일단 또는 대향된 양단이 내부에 삽입되면서 천막 원단의 주머니 내에 위치되는 원단 지지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나사산에 나선 체결되어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원단 지지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체결 위치 조절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체결 위치 조절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항시 하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절개부를 개구된 하단 양쪽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하여 형성하며, 상기 절개부 폭이 상기 걸림부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복수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천막 텐션 유지 장치는 지면상에 설정 거리마다 직립 배치되며, 일단이 지면에 걸리도록 절곡 형성되고 타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가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일단 또는 대향된 양단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천막 원단의 주머니 내에 위치되는 원단 지지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나사산에 나선 체결되어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원단 지지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체결 위치 조절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체결 위치 조절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항시 하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절개부를 개구된 하단 양쪽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하여 형성하며, 상기 절개부 폭이 상기 걸림부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지면에 걸도록 구비된 걸림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재를 천막 원단의 주머니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당겨 천막 원단에 균일하게 텐션을 가하게 되면서, 승강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절개부의 폭만큼 여유가 있어 걸림부재가 틀어진 상태로도 고정 가능하고, 절개부의 양쪽이 절곡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내부 면적이 큰 승강부재의 내부에 외부 면적이 작은 원단 지지부재가 삽입되므로 승강부재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면서 위치 잡기가 쉬워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천막 텐션 유지 장치가 적용될 메인 트러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막 텐션 유지 장치 중 원단 지지부재가 승강부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막 텐션 유지 장치 중 원단 지지부재가 승강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막 텐션 유지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천막 텐션 유지 장치에서 승강부재의 절개부에 의해 걸림부재의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천막 텐션 유지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의 승강부재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천막 텐션 유지 장치(100)는 걸림부재(110), 승강부재(120), 원단 지지부재(130), 체결 위치 조절부재(140) 및 탄성부재(150)를 포함한다.
이때,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천막의 텐션 조절 장치(100)가 적용되는 조립식 천막(10)은 천막(10)의 길이만큼 설정 간격마다 지면에 다수 고정되는 메인 트러스(main truss: 20)와, 메인 트러스(20)들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퍼린(purlin: 30) 및 메인 트러스(10)를 마감하는 외장막(40)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메인 트러스(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된 기초면(1) 상에 볼팅에 의해 금속판재인 베이스 플레이트(2)를 고정시킨 후 베이스 플레이트(2) 상에 기둥(22)을 용접 등에 의해 직립 설치된다.
이때, 기둥(22)은 설정 거리마다 직립 설치되므로 기둥(22)의 위치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2) 역시 각각 지면 상에 다수 설치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22)과 중첩되지 않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볼트에는 환형 형상의 고리가 부착된 걸림부(3)가 고정된다.
걸림부재(1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상태에서 걸림부(3)에 형성된 구멍에 걸리도록 하단에 절곡부(112)가 절곡 형성되고,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승강부재(12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또는 양단에 원단 지지부재(130)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장막(40)의 천막 원단(42) 하부에 형성된 주머니(44) 내에 위치되면서 원단 지지부재(130)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걸림부재(110)의 나사산이 관통되도록 상면 일측과 중심부에 제1, 2 관통공(124a, 124b)이 형성되어 걸림부재(110)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승강된다.
여기서, 제1, 2 관통공(124a, 124b)이 복수 형성되는 이유는 가장 바깥쪽인 전후 단부에 위치된 메인 트러스(20)는 끝 부분에서 걸림부재(110)가 걸리게 되므로 일측에 치우치게 형성된 제1 관통공(124a)에 걸림부재(110)를 통과시키고, 안쪽에 위치된 메인 트러스(20)는 중간 부분에서 걸림부재(110)가 걸리게 되므로 제2 관통공(124b)에 걸림부재(110)를 통과시키기 때문이다. 이렇게, 승강부재(120)에 제1, 2 관통공(124a, 124b)을 형성하므로 메인 트러스(20)의 위치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때, 승강부재(120)는 내부가 원단 지지부재(1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체결 위치 조절부재(140) 및 탄성부재(150)에 의해 가압력이 직접 전달되므로 강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승강부재(120)는 "
Figure 112021002543595-utm00001
" 자 형태로 개구된 하단 양쪽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절개부(122)가 형성되며, 절개부(122) 폭이 제1, 2 관통공(124a, 124b)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이는 제1, 2 관통공(124a, 124b)을 통해 통과한 걸림부재(110)의 하부가 절개부(122)의 폭만큼 여유가 있어 틀어진 상태로 걸림부(3)에 고정 가능하다. 만약, 절개부(122) 없이 승강부재(120)의 상하면에 제1, 2 관통공이 형성되면 걸림부재(110)의 이동이 어려워 걸림부재(110)가 수직 상태로만 걸림부(3)에 고정 가능한 단점이 있다.
여기서, 절개부(122)는 수평면과 수평면 양단에서 하방으로 절곡한 수직부 및 수직부의 하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재차 수평하게 절곡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승강부재(120)는 일단 또는 대향된 양단 내부에 길이가 긴 원단 지지부재(130)가 삽입된다.
이렇게, 내부 면적이 큰 승강부재(120)의 내부에 외부 면적이 작은 원단 지지부재(130)가 삽입되므로 승강부재(120)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면서 위치 잡기가 쉬워 작업이 편리하다. 이와 반대로 승강부재(120)의 일단 또는 양단이 원단 지지부재(130)의 대향된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주머니(44) 내에 위치된 길이가 긴 원단 지지부재(130)를 승강부재(120)에서 분리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승강부재(120)는 복수 형성된 제1, 2 관통공(124a, 124b)과 달리 상면에 제1, 2 관통공(124a, 124b)을 서로 연결한 길이를 갖는 장공 형상의 관통공(124c)이 형성되고, 관통공(124c)을 따라 이동부(126)가 이동하면서 관통공(124c)의 일단이 개구되면 관통공(124c)의 타단은 폐쇄되고, 관통공(124c)의 타단이 개구되면 관통공(124c)의 일단은 폐쇄되도록 한다. 이는 앞선 실시예의 승강부재(120)에서 걸림부재(110)가 제1, 2 관통공(124a, 124b) 중 어느 하나에 통과하게 되므로 나머지 하나를 폐쇄시키기 위함이다.
이동부(126)는 판상으로 구비되어 길이방향 전후에 전후 반원홈(126a, 126b)이 형성되어 관통공(124c)의 일단으로 이동시 전방 반원홈(126a)과 인접하면서 원형의 구멍을 형성하고, 관통공(124c)의 타단으로 이동시 후방 반원홈(126b)과 인접하면서 원형의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더욱이, 이동부(126)는 길이방향 양단이 승강부재(120)의 저면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126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1260)의 내벽면에는 이동부(126)의 이동위치를 제한하는 제1, 2 홈(1260a, 1260b)이 형성되고, 이동부(126)의 일측면에 제1, 2 홈(1260a, 1260b)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탄성체(126a)가 구비된다.
더욱이, 제1, 2 홈(1260a, 1260b)은 이동부(126)가 관통공(124c)의 일단으로 이동하여 전방 반원홈(126a)과 인접하면서 원형의 구멍을 형성하는 위치와, 이동부(126)가 관통공(124c)의 타단으로 이동하여 후방 반원홈(126b)과 인접하면서 원형의 구멍을 형성하는 위치와 대응된다.
원단 지지부재(13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120)의 일단 또는 대향된 양단 내부에 삽입되어 이웃한 승강부재(120)에 의해 일률적으로 높낮이가 조절된다.
여기서, 원단 지지부재(130)는 알루미늄 등의 재질을 통해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나 원형 등으로 형성되면서 내부가 횡방향으로 관통된다.
체결 위치 조절부재(14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10)의 나사산에 나선 체결되어 체결 위치에 따라 승강부재(120)의 위치를 조절하며, 일예로 너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15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10)의 나사산을 감싸도록 구비되면서 승강부재(120)와 체결 위치 조절부재(140)의 사이에 위치되어 승강부재(120)가 항시 하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천막 텐션 유지 장치(100)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식 천막(10)의 외부에 설치된 외장막(40) 중 천막 원단(42)의 하부 안쪽 면에 주머니(44)가 형성되도록 처리한 후 주머니(44)에서 스커트 원단(46)이 연장되도록 구비한다.
이때, 주머니(44)는 승강부재(120)의 제1, 2 관통공(124a, 124b)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개구 형성되어 개구된 부분을 통해 걸림부재(110)가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다음으로, 승강부재(120)의 제1, 2 관통공(124a, 124b) 중 어느 하나에 걸림부재(110)의 나사산을 각각 관통시킨 상태에서 걸림부재(110)의 절곡부(112)를 기초면(1)의 베이스 플레이트(2)마다 설치된 걸림부(3)에 각각 걸리도록 작업한다.
다음으로, 걸림부재(110)의 나사산마다 탄성부재(150)를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에 체결 위치 조절부재(140)를 각각 체결시킨다.
다음으로, 대향된 걸림부재(110)의 내부에 원단 지지부재(130)의 일단 또는 양단을 삽입하여 원단 지지부재(130)의 양단이 걸림부재(110)의 내부에 위치되게 한다.
다음으로, 체결 위치 조절부재(140)를 더 체결시켜 나사산과의 체결 정도를 크게 하면 탄성부재(150)의 하단이 승강부재(120)의 상면에 탄성력을 가하게 되면서 천막 원단(42)이 신장된다.
한편, 일측부터 시작하여 타측까지 체결 위치 조절부재(140)를 순차적으로 조이는 과정에서 먼저 조인 일측의 탄성부재(150)가 타측대비 천막 원단(42)에 탄성력을 더 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천막 원단(42)의 일측이 타측 대비 더 긴장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천막 원단(42)의 타측까지 조금씩 긴장시킨 상태에서 다시 천막 원단(42)의 일측을 긴장시키고자 할 때 탄성부재(150)에 의해 이미 긴장된 상태이므로 수월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천막 텐션 유지 장치 110: 걸림부재
112: 절곡부 120: 승강부재
122: 절개부 124a, 124b: 제1, 2 관통공
130: 원단 지지부재 140: 체결 위치 조절부재
150: 탄성부재

Claims (3)

  1. 지면상에 설정 거리마다 직립 배치되며, 일단이 지면에 걸리도록 절곡 형성되고 타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가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일단 또는 대향된 양단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천막 원단의 주머니 내에 위치되는 원단 지지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나사산에 나선 체결되어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원단 지지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체결 위치 조절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체결 위치 조절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항시 하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절개부를 개구된 하단 양쪽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하여 형성하며, 상기 절개부 폭이 상기 걸림부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텐션 유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텐션 유지 장치.
KR2020210000052U 2021-01-08 2021-01-08 천막 텐션 유지 장치 KR200493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052U KR200493923Y1 (ko) 2021-01-08 2021-01-08 천막 텐션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052U KR200493923Y1 (ko) 2021-01-08 2021-01-08 천막 텐션 유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923Y1 true KR200493923Y1 (ko) 2021-06-29

Family

ID=7660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052U KR200493923Y1 (ko) 2021-01-08 2021-01-08 천막 텐션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92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561B1 (ko) 1998-07-02 2002-04-17 구자홍 흡수식히트펌프의고압방지장치와그방법
KR20190083301A (ko) *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용 막재의 수직인장 텐션 조절방법 및 장치
KR102099771B1 (ko) * 2019-04-23 2020-04-10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의 텐션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561B1 (ko) 1998-07-02 2002-04-17 구자홍 흡수식히트펌프의고압방지장치와그방법
KR20190083301A (ko) *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용 막재의 수직인장 텐션 조절방법 및 장치
KR102099771B1 (ko) * 2019-04-23 2020-04-10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의 텐션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677B1 (ko) 조립식 천막용 막재의 수직인장 텐션 조절방법 및 장치
US20090151269A1 (en) Roof Support Structure for a Greenhouse
US20040134140A1 (en) Cable system and method for wind-resistant buildings
JP6865467B2 (ja) 引張構造の建物
JP3151836U (ja) 屋根上載置物固定装置
KR102099771B1 (ko) 조립식 천막의 텐션 조절 장치
KR200493923Y1 (ko) 천막 텐션 유지 장치
KR102465048B1 (ko) 막재시공 및 재인장이 편리한 인장장치
CN214302553U (zh) 一种基于bim的大跨度结构的平衡弦张弦梁结构
JP5020194B2 (ja) 防風雪柵
JP4990342B2 (ja) 屋根上作業用安全柵及び支柱
DE202009008610U1 (de) Sonnenschutz- und Regenschutzüberdachung für Baustellen
KR102623328B1 (ko) 천막 텐션 조절 장치
KR200304653Y1 (ko)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JPH08165074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用足場装置
JP2620681B2 (ja) 仮設屋根
KR102623313B1 (ko) 외장막과 내장막 모두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천막
JP2781319B2 (ja) 手摺りの取付け方法
JP2019131974A (ja) 簡易構造物
JP2006183356A (ja) 屋根膜取付構造
KR0128705Y1 (ko) 휀스망 체결장치
KR102197342B1 (ko)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이용한 고성능 울타리 구조물
JPH0141204Y2 (ko)
FI13443Y1 (fi) Järjestely aurinkopaneelien kiinnittämiseksi katolle
JP2022052737A (ja) 旗支持構造および旗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