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919Y1 - 하이라이트 빗 - Google Patents

하이라이트 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919Y1
KR200493919Y1 KR2020200003669U KR20200003669U KR200493919Y1 KR 200493919 Y1 KR200493919 Y1 KR 200493919Y1 KR 2020200003669 U KR2020200003669 U KR 2020200003669U KR 20200003669 U KR20200003669 U KR 20200003669U KR 200493919 Y1 KR200493919 Y1 KR 200493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ristle
bristles
comb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본뷰티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본뷰티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본뷰티컴퍼니
Priority to KR2020200003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919Y1/ko
Priority to PCT/KR2021/014144 priority patent/WO2022080868A1/ko
Priority to US17/793,359 priority patent/US2023005794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12Devices for colouring or bleaching separated strands of hair, e.g. high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4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with handle designed to be attached to the hand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빗살;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며, 상기 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빗살의 반대편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후크브리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라이트 빗{HIGHLIGHT COMB}
본 고안은 빗에 관한 것으로서, 염색 시 사용자의 헤어의 일부 부분을 다른 부분과 분리 즉 솎아내어 헤어 염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헤어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을 정리하거나 손질할 때에는 빗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빗은 다수의 빗살이 배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빗은 단순히 머리카락을 빗어 정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근래에는 각자 개성에 맞는 다양한 헤어스타일과 건강한 모발에 관심이 증가하면서 모발관리를 위해 모발에 도포하는 여러 종류의 용액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용액들에는 모발에 도포하여 향을 발산시키는 향수가 있고, 잦은 드라이와 자외선 등으로 손상된 모발에 보습 및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제와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한 염색액 또는 무스(mousse), 젤(jell)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용액 중 향수 또는 영양제는 통상적으로 빗으로 모발을 손질한 후 모발에 향수 또는 영양제를 뿌리는 방법과, 머리를 감은 후 물에 상기 향수를 한두 방울 떨어뜨린 후 모발을 헹구어 향취가 모발에 스며들도록 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염색약이나 영양제를 헤어에 직접 도포하는 경우, 헤어의 일정 부분즉 섹션을 잡아주지 못해 헤어의 탈색을 균일하게 빼기 어렵고 시술 시간도 오래 걸리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84339
본 고안은 염색 시 사용자의 헤어의 일부 부분을 다른 부분과 분리하여 헤어 염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하이라이트 빗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빗살;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며, 상기 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빗살의 반대편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후크브리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는 상기 바디에 결합된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의 단에서 연장된 제 1 후크브리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부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더 돌출된 테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빗살 및 제 1 후크브리슬이 형성된 제 1 바디; 및 제 2 후크브리슬 및 제 3 후크브리슬이 형성된 제 2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후크브리슬 및 제 3 후크브리슬은 서로 다른 크기의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후크브리슬은 상기 제 2 바디에서 상기 빗살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3 후크브리슬은 상기 제 2 바디에서 상기 제 1 후크브리슬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후크브리슬이 가장 크고, 상기 제 3 후크브리슬이 가장 작으며, 상기 제 2 후크브리슬이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보다 크고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 제 2 후크브리슬 및 제 3 후크브리슬이 각각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들의 간격이 가장 넓고,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들의 간격이 가장 좁으며, 상기 제 2 후크브리슬들의 간격이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들의 간격 보다 넓고,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들 간격보다 좁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의 돌출길이가 가장 길고, 상기 제 3 후크브리슬의 돌출길이가 가장 짧으며, 상기 제 2 후크브리슬의 돌출길이가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보다 길고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보다 짧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하이라이트 빗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고안은 빗살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후크브리슬들이 배치되기 때문에, 염색 시 헤어 일부분을 다른 부분과 분리하여 헤어의 탈색을 균일하게 뺄 수 있고 시술 시간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제 1 후크브리슬, 제 2 후크브리슬 및 제 3 후크브리슬의 간격, 돌출길이 및 곡률반경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염색 시 헤어의 일부분을 균일하게 잡아줄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은 제 1 후크브리슬, 제 2 후크브리슬 및 제 3 후크브리슬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헤어의 상측면 뿐만 아니라 측면 및 밑면까지도 균일하게 잡아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이라이트 빗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이라이트 빗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빗(1)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테일(20)과, 상기 바디(10)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빗살(30)과, 상기 바디(10)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며, 상기 바디(10)를 기준으로 상기 빗살(30)의 반대편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후크브리슬(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빗(1)은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상기 바디(1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두께가 얇고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10)는 제 1 바디(11) 및 제 2 바디(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디(11)에 상기 빗살(30) 및 제 1 후크브리슬(40)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바디(12)에 상기 테일(20)이 배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빗살(30)은 제 1 바디(11)의 일측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빗살(30)은 일반적인 평 브러시의 형상이다.
상기 테일(20)은 꼬리빗의 형상으로 뾰족하고,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일(20)은 모발의 가르마를 나눌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각 빗살(30)들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빗살(30)들의 간격을 빗살간격(B1)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각 빗살(30)들이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를 빗살길이(B2)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일측방향은 하측이고, 타측방향은 상측이다.
상기 빗살간격(B1)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빗살(30)은 제 1 후크브리슬(40)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40)는 상기 제 1 바디(11)의 타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40)의 돌출방향과 상기 빗살(30)의 돌출방향이 반대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40)들의 간격을 제 1 간격(D1)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후들(40)들이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를 제 2 돌출길이(L1)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간격(D1)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40)는 제 1 바디(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40)는 상기 바디(10)에 결합된 제 1 연장부(41)와, 상기 제 1 연장부(41)의 단에서 연장된 제 1 후크브리슬부(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연장부(41)는 상기 제 1 바디(11)의 길이 방향과 직교된다. 상기 제 1 연장부(41)는 상기 빗살(30)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부(42)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부(42)는 소정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부(42)의 곡률반경을 제 1 곡률(R1)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곡률(R1)은 제 1 후크브리슬부(42)의 내측반경일 수 있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부(42)의 끝단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부(42)의 끝단은 좌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부(42)의 끝단이 향하는 방향을 제 1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후크브리슬(50)들의 간격을 제 2 간격(D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후들(50)들이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를 제 2 돌출길이(L2)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간격(D2)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후크브리슬(50)는 제 2 바디(12)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후크브리슬(50)는 상기 바디(10)에 결합된 제 2 연장부(51)와, 상기 제 2 연장부(51)의 단에서 연장된 제 2 후크브리슬부(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연장부(51)는 상기 제 2 바디(12)의 길이 방향과 직교된다. 상기 제 2 연장부(51)는 상기 빗살(30)과 같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후크브리슬부(52)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후크브리슬부(52)는 소정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후크브리슬부(52)의 곡률반경을 제 2 곡률(R2)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곡률(R2)은 제 2 후크브리슬부(52)의 내측반경일 수 있다.
상기 제 2 후크브리슬부(52)의 끝단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후크브리슬부(52)의 끝단은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후크브리슬부(52)의 끝단이 향하는 방향을 제 2 방향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부(42)의 방향과 상기 제 2 후크브리슬부(52)의 방향이 반대이다.
상기 제 3 후크브리슬(60)들의 간격을 제 3 간격(D3)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후들(60)들이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를 제 3 돌출길이(L3)로 정의한다.
상기 제 3 간격(D6)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후크브리슬(60)는 제 2 바디(13)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3 후크브리슬(60)는 상기 바디(10)에 결합된 제 3 연장부(61)와, 상기 제 3 연장부(61)의 단에서 연장된 제 3 후크브리슬부(6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연장부(61)는 상기 제 2 바디(12)의 길이 방향과 직교된다. 상기 제 3 연장부(61)는 상기 제 2 연장부(51)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부(62)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부(62)는 소정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부(62)의 곡률반경을 제 3 곡률(R3)로 정의한다. 상기 제 3 곡률(R3)은 제 3 후크브리슬부(62)의 내측반경일 수 있다.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부(62)의 끝단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부(62)의 끝단은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빗살(30)을 머리를 빗어 정돈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40), 제 2 후크브리슬(50) 및 제 3 후크브리슬(60)는 염색 시 헤어의 일부분을 균일하게 잡아서 다른 헤어 부분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40), 제 2 후크브리슬(50) 및 제 3 후크브리슬(60)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헤어의 상측면을 포함한 측면 및 밑면과도 접촉이 용이하고 헤어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과 균일하게 분리할 수 있고, 헤어의 분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빗살간격(B1), 제 1 간격(D1), 제 2 간격(D2) 및 제 3 간격(D3) 중 상기 빗살간격(B1)이 가장좁다.
상기 제 3 간격(D3)이 상기 빗살간격(B1) 보다 넓고, 상기 제 2 간격(D2)이 상기 제 3 간격(D3) 보다 넓으며, 상기 제 1 간격(D1)이 가장 넓다.
상기 빗살간격(B1), 제 1 간격(D1), 제 2 간격(D2) 및 제 3 간격(D3) 순으로 간격이 순차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상기 빗살길이(B2), 제 1 돌출길이(L1), 제 2 돌출길이(L2) 및 제 3 돌출길이(L3) 중 상기 빗살길이(B2)가 가장 길다.
상기 제 1 돌출길이(L1)가 상기 빗살길이(B2) 보다 짧고, 상기 제 2 돌출길이(L2)가 상기 제 1 돌출길이(L1) 보다 짧으며, 상기 제 3 돌출길이(L3)가 가장 짧다.
상기 빗살길이(B2), 제 1 돌출길이(L1), 제 2 돌출길이(L2) 및 제 3 돌출길이(L3) 순으로 길이가 순차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제 1 후크브리슬(40)의 제 1 곡률반경(R1)이 가장 크고, 상기 제 3 후크브리슬(60)의 제 3 곡률반경(R3)이 가장 작으며, 상기 제 2 후크브리슬(50)의 제 2 곡률반경(R2)이 중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곡률반경(R1), 제 2 곡률반경(R2) 및 제 3 곡률반경(R3) 순으로 그 곡률반경이 순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빗살(30)을 이용하여 헤어에 약액을 러프하게 도포하고, 상기 제 1 후크브리슬(40), 제 2 후크브리슬(50) 및 제 3 후크브리슬(60)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밀하게 약액을 도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후크브리슬(40), 제 2 후크브리슬(50) 및 제 3 후크브리슬(60)를 통해 헤어를 상측으로 걸어 빗을 경우, 분리된 헤어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바디(11) 및 제 2 바디(12) 사이에 제 3 바디(1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13)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13)의 외측부분(13a)이 상기 제 1 바디(11)에 결합되고, 내측부분(13b)이 제 2 바디(1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부분(13a) 및 내측부분(13b)이 서로 상대회전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디 11 : 제 1 바디
12 : 제 2 바디 20 : 테일
30 : 빗살 40 : 제 1 후크브리슬
50 : 제 2 후크브리슬 60 : 제 3 후크브리슬

Claims (7)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빗살;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며, 상기 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빗살의 반대편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후크브리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빗살 및 제 1 후크브리슬이 형성된 제 1 바디; 및 제 2 후크브리슬 및 제 3 후크브리슬이 형성된 제 2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후크브리슬 및 제 3 후크브리슬은 서로 다른 크기의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하이라이트 빗.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는 상기 바디에 결합된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의 단에서 연장된 제 1 후크브리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부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하이라이트 빗.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더 돌출된 테일;을 더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빗.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후크브리슬은 상기 제 2 바디에서 상기 빗살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3 후크브리슬은 상기 제 2 바디에서 상기 제 1 후크브리슬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후크브리슬이 가장 크고, 상기 제 3 후크브리슬이 가장 작으며,
    상기 제 2 후크브리슬이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보다 크고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보다 작게 형성된 하이라이트 빗.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크브리슬, 제 2 후크브리슬 및 제 3 후크브리슬이 각각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들의 간격이 가장 넓고,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들의 간격이 가장 좁으며, 상기 제 2 후크브리슬들의 간격이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들의 간격 보다 넓고,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들 간격보다 좁게 배치된 하이라이트 빗.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크브리슬의 돌출길이가 가장 길고, 상기 제 3 후크브리슬의 돌출길이가 가장 짧으며, 상기 제 2 후크브리슬의 돌출길이가 상기 제 3 후크브리슬보다 길고 상기 제 1 후크브리슬보다 짧게 배치된 하이라이트 빗.
KR2020200003669U 2020-10-14 2020-10-14 하이라이트 빗 KR200493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69U KR200493919Y1 (ko) 2020-10-14 2020-10-14 하이라이트 빗
PCT/KR2021/014144 WO2022080868A1 (ko) 2020-10-14 2021-10-13 하이라이트 빗
US17/793,359 US20230057945A1 (en) 2020-10-14 2021-10-13 Highlighting com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69U KR200493919Y1 (ko) 2020-10-14 2020-10-14 하이라이트 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919Y1 true KR200493919Y1 (ko) 2021-06-30

Family

ID=7660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669U KR200493919Y1 (ko) 2020-10-14 2020-10-14 하이라이트 빗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57945A1 (ko)
KR (1) KR200493919Y1 (ko)
WO (1) WO20220808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868A1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본뷰티컴퍼니 하이라이트 빗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2403A (en) * 1967-11-13 1971-01-05 Joseph T Sestito Hair-colo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5152306A (en) * 1989-11-22 1992-10-06 Stephan Carl W B Hairdressing comb and hairdressing kit including each comb
JPH0685607U (ja) * 1993-06-01 1994-12-13 千加士 大宮 差替え可能可動フック付き櫛
JPH09510118A (ja) * 1994-03-03 1997-10-14 ミリ コンセプ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蛇歯状二重フックのくし
KR100684339B1 (ko) 2006-04-10 2007-02-26 차성일 용액 수납케이스가 구비된 헤어브러시
KR200473878Y1 (ko) * 2014-02-24 2014-08-05 김수혁 헤어 미용용 툴
JP2015211770A (ja) * 2014-05-02 2015-11-26 株式会社ニシ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4138B2 (en) * 2003-01-14 2006-05-16 Kari Brown Multi-purpose hair highlighting comb and method of use
KR20090005692U (ko) * 2007-12-06 2009-06-11 정봉옥 염색용 빗
US20110155159A1 (en) * 2009-12-10 2011-06-30 Kelly Rae Haggett Colorthru comb
KR20170000528U (ko) * 2015-07-30 2017-02-08 장대환 보조 빗살이 구비된 염색 빗
KR200493919Y1 (ko) * 2020-10-14 2021-06-30 주식회사 본뷰티컴퍼니 하이라이트 빗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2403A (en) * 1967-11-13 1971-01-05 Joseph T Sestito Hair-colo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5152306A (en) * 1989-11-22 1992-10-06 Stephan Carl W B Hairdressing comb and hairdressing kit including each comb
JPH0685607U (ja) * 1993-06-01 1994-12-13 千加士 大宮 差替え可能可動フック付き櫛
JPH09510118A (ja) * 1994-03-03 1997-10-14 ミリ コンセプ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蛇歯状二重フックのくし
KR100684339B1 (ko) 2006-04-10 2007-02-26 차성일 용액 수납케이스가 구비된 헤어브러시
KR200473878Y1 (ko) * 2014-02-24 2014-08-05 김수혁 헤어 미용용 툴
JP2015211770A (ja) * 2014-05-02 2015-11-26 株式会社ニシ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868A1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본뷰티컴퍼니 하이라이트 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0868A1 (ko) 2022-04-21
US20230057945A1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9236C2 (ru) Щетка для волос
KR200493138Y1 (ko) 칫솔
JP6647226B2 (ja) 髪のスタイリング用ヘアブラシ
KR101254672B1 (ko) 손가락 타입 헤어 브러시
BRPI0809158B1 (pt) Escova de cabelo para uso no desembaraçamento de cabelo
US20080099031A1 (en) Therapeutic styling brush with infusion delivery
JP3076313B2 (ja) マッサージ用ブラシ
KR200493919Y1 (ko) 하이라이트 빗
US20230019658A1 (en) Smart Comb/Smart Brush
US6082307A (en) Interchangeable grooming apparatus for animals
KR20090005692U (ko) 염색용 빗
TWI808957B (zh) 毛髮化妝品塗抹器
KR20230000013U (ko) 하이라이트 빗
KR20170000528U (ko) 보조 빗살이 구비된 염색 빗
JPH1170019A (ja) 洗浄用ブラシ
US6047704A (en) Self-fixing multi-comb hair-curler with retention channels
WO2015103682A1 (pt) Método de aplicação de um produto capilar
CN215837551U (zh) 梳子装置
JPH0335146Y2 (ko)
JP2000201736A (ja) 染毛用ブラシ
JPH09327333A (ja) ヘアブラシ
JPH08196330A (ja) 整髪用櫛
KR200312898Y1 (ko) 헤어브러시
JP3042283U (ja) 毛髪処理具
JPH10127344A (ja) ヘアー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