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759Y1 - 상장 케이스 - Google Patents

상장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759Y1
KR200493759Y1 KR2020190003358U KR20190003358U KR200493759Y1 KR 200493759 Y1 KR200493759 Y1 KR 200493759Y1 KR 2020190003358 U KR2020190003358 U KR 2020190003358U KR 20190003358 U KR20190003358 U KR 20190003358U KR 200493759 Y1 KR200493759 Y1 KR 200493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cover
corners
cas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430U (ko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2020190003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59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커버, 후면 커버 및 상장 결합부를 통하여 상장을 편리하게 수납하고 수여할 수 있으며, 상장 보관시에는 상장 스탠드로서 상장이 훼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심미감과 보관이 편리한 상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장 케이스 { DIPLOMA CASE }
본 고안은 상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커버, 후면 커버 및 상장 결합부를 통하여 상장을 편리하게 수납하고 수여할 수 있으며, 상장 보관시에는 상장 스탠드로서 상장이 훼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심미감과 보관이 편리한 상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근상이나 졸업장 등을 비롯하여 각종 대회에 참가하여 수여 받은 상장은 방치하게 되면 색상이 바래고 찢어지거나 이물질로 훼손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상장들을 보관하는 케이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 케이스는 보통 한 쌍의 하드 커버가 상호 포개질 수 있도록 접혀지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케이스의 내 측면에 상장 등을 끼울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장은 보통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대부분의 케이스도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 측면에는 상장의 각 꼭지점을 고정시키는 스트랩 형상의 고정부재가 모서리에 사선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장의 네 군데의 꼭지점을 각각의 고정부재에 끼우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케이스에 수납된 상장은 하드 커버를 펼쳤을 때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물이나 기타 음료수를 쏟게 되면 상장이 찢어지거나 건조되면 표면이 울퉁불퉁해지게 되는 등 상장이 훼손되어 예전과 같이 방치하는 경우와 별반 다를게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상장을 케이스에 단순히 수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케이스의 하드 커버를 펼친 상태로 세워서 보관하는 경우도 흔히 있는데, 이때에도 상장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 된다.
또한, 일반적인 상장의 경우 통상적으로 종이 재질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상장에 흡수되면서 상장 자체의 무게가 증가 되면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상장의 중앙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각 꼭지점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이탈되어 상장이 케이스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70052호(2013.05.27. 등록) 고안의 명칭 : 상장 케이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056630호(1991.05.14.등록) 고안의 명칭 : 상장 케이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장의 외형에 부합되게 장방형의 테두리가 형성되고 전면 커버를 이루는 전면 표지(110)와 상기 전면 표지(110)의 이면에 형성되는 전면 내지(120)로 구비되는 전면 커버(100)와 상기 전면 커버(100)와 접이선(130)을 경계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100)의 테두리와 부합되게 장방형의 테두리와 상기 접이선(130)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전면 내지(120)와 서로 맞닿게 후면 내지(210)와 상기 후면 내지(210)의 이면을 이루는 후면 표지(220)로 구비되는 후면 커버(200)로 상장 수여와 보관이 편리한 상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후면 내지(210)의 네 모서리 부근에 배치되어 수납 대상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를 끼워 상기 상장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상장 결합부(300)로 상기 상장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상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후면 내지(210)를 상기 후면 표지(220)의 상면에 제 2 후면 내지(212)가 접착되고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의 상면에 제 1 후면 내지(211)이 부분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장 결합부(300)는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 부근에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를 끼우도록 절개선(310)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장의 모서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상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절개선(310)을 제 1 곡선(311)과 상기 제 1 곡선(311)과 서로 이어지는 제 2 곡선(312)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2 곡선(311,312)이 만나는 중심 포인트(313)는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대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상장을 간편하게 끼울 수 있는 상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에 상기 절개선(310)을 따라서 진행하면서 상기 절개선(310)의 상부 방향에 엠보싱(314)이 더 구비되어 상기 엠보싱(314)이 배치되는 제 1 후면 내지(211)의 표면에는 돌출부(314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이면에는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와의 사이에 공간부(314b)가 더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장의 끼움과 빼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상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엠보싱(314)이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대각선을 기준으로 상기 대각선의 양옆에 상기 대각선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장 삽입이 용이해지는 상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면 커버(100)와 상기 후면 커버(200)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접이선(130) 위치에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는하게 탈부착수단(13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면 커버(110)에는 전면 커버 접이선(140)이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후면 표지(220)에 형성되는 전면 커버 수용 홈(221)을 만들어 상기 전면 커버(100)과 결합되어 상기 상장의 스탠드 보관이 가능해지는 상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예와 관련된 상장 케이스는
먼저, 내부에 상장(D)을 수용하도록 상기 상장의 외형에 부합되게 장방형의 테두리가 형성되고 전면 커버를 이루는 전면 표지(110)와 상기 전면 표지(110)의 이면에 형성되는 전면 내지(120)로 구비되는 전면 커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전면 커버(100)와 접이선(130)을 경계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100)의 테두리와 부합되게 장방형의 테두리와 상기 접이선(130)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전면 내지(120)와 서로 맞닿게 후면 내지(210)와 상기 후면 내지(210)의 이면을 이루는 후면 표지(220)로 구비되는 후면 커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내지(210)의 네 모서리 부근에 배치되어 수납 대상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를 끼워 상기 상장을 보호하도록 상장 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 내지(210)는 상기 후면 표지(220)의 상면에 제 2 후면 내지(212)가 접착되고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의 상면에 제 1 후면 내지(211)이 부분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장 결합부(300)는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 부근에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를 끼우도록 절개선(310)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선(310)은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두 개의 대각선과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310)은 제 1 곡선(311)과 상기 제 1 곡선(311)과 서로 이어지는 제 2 곡선(312)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2 곡선(311,312)이 만나는 중심 포인트(313)는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대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는 상기 절개선(310)을 따라서 진행하면서 상기 절개선(310)의 상부 방향에 엠보싱(314)이 더 구비되어 상기 엠보싱(314)이 배치되는 제 1 후면 내지(211)의 표면에는 돌출부(314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이면에는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와의 사이에 공간부(314b)가 더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엠보싱(314)은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대각선을 기준으로 상기 대각선의 양옆에 상기 대각선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표지(110)와 상기 후면 표지(220)은 미끄러움을 방지하도록 패브릭 재질로 표층이 감싸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 커버(100)와 상기 후면 커버(200)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접이선(130) 위치에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탈부착수단(13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면 표지(110)에는 전면 커버 접이선(140)이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후면 표지(220)에 형성되는 전면 커버 수용 홈(221)에 상기 전면 커버(100)가 접혀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장 케이스를 제공하여,
첫째, 상기 상장의 외형에 부합되게 장방형의 테두리가 형성되고 전면 커버를 이루는 전면 표지(110)와 상기 전면 표지(110)의 이면에 형성되는 전면 내지(120)로 구비되는 전면 커버(100)와 상기 전면 커버(100)와 접이선(130)을 경계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100)의 테두리와 부합되게 장방형의 테두리와 상기 접이선(130)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전면 내지(120)와 서로 맞닿게 후면 내지(210)와 상기 후면 내지(210)의 이면을 이루는 후면 표지(220)로 구비되는 후면 커버(200)로 상장 수여와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후면 내지(210)의 네 모서리 부근에 배치되어 수납 대상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를 끼워 상기 상장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상장 결합부(300)로 상기 상장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셋째, 상기 후면 내지(210)를 상기 후면 표지(220)의 상면에 제 2 후면 내지(212)가 접착되고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의 상면에 제 1 후면 내지(211)이 부분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장 결합부(300)는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 부근에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를 끼우도록 절개선(310)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장의 모서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절개선(310)을 제 1 곡선(311)과 상기 제 1 곡선(311)과 서로 이어지는 제 2 곡선(312)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2 곡선(311,312)이 만나는 중심 포인트(313)는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대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상장을 간편하게 끼울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에 상기 절개선(310)을 따라서 진행하면서 상기 절개선(310)의 상부 방향에 엠보싱(314)이 더 구비되어 상기 엠보싱(314)이 배치되는 제 1 후면 내지(211)의 표면에는 돌출부(314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이면에는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와의 사이에 공간부(314b)가 더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장의 끼움과 빼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여섯째, 상기 엠보싱(314)이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대각선을 기준으로 상기 대각선의 양옆에 상기 대각선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장 삽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기 전면 커버(100)와 상기 후면 커버(200)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접이선(130) 위치에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는하게 탈부착수단(13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면 커버(110)에는 전면 커버 접이선(140)이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후면 표지(220)에 형성되는 전면 커버 수용 홈(221)을 만들어 상기 전면 커버(100)과 결합되어 상기 상장의 스탠드 보관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장 케이스의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장 케이스에 상장이 삽입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장 케이스에 곡선의 탈부착 수단이 형성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8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장 케이스에 곡선의 탈부착 수단을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1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장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이용하여 상장을 스탠드 타입으로 보관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및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장 케이스의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장 케이스에 상장이 삽입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4 및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장 케이스에 곡선의 탈부착 수단이 형성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 내지 8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장 케이스에 곡선의 탈부착 수단을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9 내지 1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장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이용하여 상장을 스탠드 타입으로 보관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보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상장 케이스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내부에 상장(D)을 수용하도록 상기 상장의 외형에 부합되게 장방형의 테두리가 형성되고 전면 커버를 이루는 전면 표지(110)와 상기 전면 표지(110)의 이면에 형성되는 전면 내지(120)로 전면 커버(100)가 구비된다.
여기에, 상기 전면 커버(100)와 접이선(130)을 경계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100)의 테두리와 부합되게 장방형의 테두리와 상기 접이선(130)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전면 내지(120)와 서로 맞닿게 후면 내지(210)와 상기 후면 내지(210)의 이면을 이루는 후면 표지(220)로 구비되는 후면 커버(200)가 구비되어 상기 상장을 폴더 형식으로 보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내지(210)의 네 모서리 부근에 배치되어 수납 대상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를 끼워 상기 상장을 보호하도록 상장 결합부(300)가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면 내지(210)는 도 6 내지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표지(220)의 상면에 제 2 후면 내지(212)가 접착되고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의 상면에 제 1 후면 내지(211)이 부분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장 결합부(300)는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 부근에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를 끼우도록 절개선(310)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가 상기 상장 결합부(300)를 통과하여 상기 후면 커버(200)에서 보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가 덧대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개선(31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두 개의 대각선과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개선(310)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곡선(311)과 상기 제 1 곡선(311)과 서로 이어지는 제 2 곡선(312)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2 곡선(311,312)이 만나는 중심 포인트(313)는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대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장의 각진 네 모서리의 꼭지를 상기 제 1,2 곡선(311,312)을 이용하여 상기 중심 포인트(313)까지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에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선(310)을 따라서 진행하면서 상기 절개선(310)의 상부 방향에 엠보싱(314)이 더 구비되어 상기 엠보싱(314)이 배치되는 제 1 후면 내지(211)의 표면에는 돌출부(314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이면에는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와의 사이에 공간부(314b)가 더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장이 상기 공간부(314b)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엠보싱(314)은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대각선을 기준으로 상기 대각선의 양옆에 상기 대각선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314b)가 상기 대각선을 따라 양옆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장의 삽입을 돕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면 표지(110)와 상기 후면 표지(220)는 미끄러움을 방지하도록 패브릭 재질로 표층이 감싸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전면 커버(100)와 상기 후면 커버(200)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도 9 내지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선(130) 위치에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탈부착수단(13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면 표지(110)에는 전면 커버 접이선(140)이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후면 표지(220)에 형성되는 전면 커버 수용 홈(221)에 상기 전면 커버(100)가 접혀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탈부착수단(131)은 지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상장 케이스를 활용하면, 상기 상장의 외형에 부합되게 장방형의 테두리가 형성되고 전면 커버를 이루는 전면 표지(110)와 상기 전면 표지(110)의 이면에 형성되는 전면 내지(120)로 구비되는 전면 커버(100)와 상기 전면 커버(100)와 접이선(130)을 경계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100)의 테두리와 부합되게 장방형의 테두리와 상기 접이선(130)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전면 내지(120)와 서로 맞닿게 후면 내지(210)와 상기 후면 내지(210)의 이면을 이루는 후면 표지(220)로 구비되는 후면 커버(200)로 상장 수여와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후면 내지(210)의 네 모서리 부근에 배치되어 수납 대상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를 끼워 상기 상장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상장 결합부(300)로 상기 상장을 견고하게 지지하며, 상기 후면 내지(210)를 상기 후면 표지(220)의 상면에 제 2 후면 내지(212)가 접착되고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의 상면에 제 1 후면 내지(211)이 부분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장 결합부(300)는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 부근에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를 끼우도록 절개선(310)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장의 모서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절개선(310)을 제 1 곡선(311)과 상기 제 1 곡선(311)과 서로 이어지는 제 2 곡선(312)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2 곡선(311,312)이 만나는 중심 포인트(313)는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대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상장을 간편하게 끼울 수 있으며,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에 상기 절개선(310)을 따라서 진행하면서 상기 절개선(310)의 상부 방향에 엠보싱(314)이 더 구비되어 상기 엠보싱(314)이 배치되는 제 1 후면 내지(211)의 표면에는 돌출부(314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이면에는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와의 사이에 공간부(314b)가 더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장의 끼움과 빼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314)이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대각선을 기준으로 상기 대각선의 양옆에 상기 대각선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장 삽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전면 커버
110 ... 전면 표지
120 ... 전면 내지
130 ... 접이선
131 ... 탈부착수단
140 ... 전면 커버 접이선
200 ... 후면 커버
210 ... 후면 내지
211 ... 제 1 후면 내지
212 ... 제 2 후면 내지
220 ... 후면 표지
221 ... 전면 커버 수용 홈
300 ... 상장 결합부
310 ... 절개선
311 ... 제 1 곡선
312 ... 제 2 곡선
313 ... 중심점
314 ... 엠보싱
314a ... 돌출부
314b ... 공간부
D ... 상장

Claims (7)

  1. 내부에 상장(D)을 수용하도록,
    상기 상장의 외형에 부합되게 장방형의 테두리가 형성되고 전면 커버를 이루는 전면 표지(110)와 상기 전면 표지(110)의 이면에 형성되는 전면 내지(120)로 구비되는 전면 커버(100);
    상기 전면 커버(100)와 접이선(130)을 경계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100)의 테두리와 부합되게 장방형의 테두리와 상기 접이선(130)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전면 내지(120)와 서로 맞닿게 후면 내지(210)와 상기 후면 내지(210)의 이면을 이루는 후면 표지(220)로 구비되는 후면 커버(200); 및
    상기 후면 내지(210)의 네 모서리 부근에 배치되어 수납 대상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를 끼워 상기 상장을 보호하도록 상장 결합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 내지(210)는 상기 후면 표지(220)의 상면에 제 2 후면 내지(212)가 접착되고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의 상면에 제 1 후면 내지(211)이 부분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장 결합부(300)는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 부근에 상기 상장의 네 모서리를 끼우도록 절개선(310)으로 구비되며,
    상기 절개선(310)은 제 1 곡선(311)과 상기 제 1 곡선(311)과 서로 이어지는 제 2 곡선(312)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2 곡선(311,312)이 만나는 중심 포인트(313)는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대각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는 상기 절개선(310)을 따라서 진행하면서 상기 절개선(310)의 상부 방향에 엠보싱(314)이 더 구비되어 상기 엠보싱(314)이 배치되는 제 1 후면 내지(211)의 표면에는 돌출부(314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이면에는 상기 제 2 후면 내지(212)와의 사이에 공간부(314b)가 더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장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310)은,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두 개의 대각선과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장 케이스.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314)은,
    상기 제 1 후면 내지(211)의 네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대각선을 기준으로 상기 대각선의 양옆에 상기 대각선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장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표지(110)와 상기 후면 표지(220)은,
    미끄러움을 방지하도록 패브릭 재질로 표층이 감싸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장 케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100)와 상기 후면 커버(200)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접이선(130) 위치에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탈부착수단(13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면 표지(110)에는 전면 커버 접이선(140)이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후면 표지(220)에 형성되는 전면 커버 수용 홈(221)에 상기 전면 커버(100)가 접혀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장 케이스.
KR2020190003358U 2019-08-14 2019-08-14 상장 케이스 KR200493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358U KR200493759Y1 (ko) 2019-08-14 2019-08-14 상장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358U KR200493759Y1 (ko) 2019-08-14 2019-08-14 상장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30U KR20210000430U (ko) 2021-02-24
KR200493759Y1 true KR200493759Y1 (ko) 2021-05-31

Family

ID=74716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358U KR200493759Y1 (ko) 2019-08-14 2019-08-14 상장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2283A (ko) 2022-08-11 2024-02-20 정찬민 상장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21Y1 (ko) * 2005-02-02 2005-04-22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속끼움틀 및 이를 구비하는 문서 보관용 폴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961A (ko) * 2004-01-12 2005-07-18 주식회사 디지털포토 사진 액자
KR101270052B1 (ko) 2010-04-01 2013-05-31 박종두환 상장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21Y1 (ko) * 2005-02-02 2005-04-22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속끼움틀 및 이를 구비하는 문서 보관용 폴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2283A (ko) 2022-08-11 2024-02-20 정찬민 상장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30U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3112A (en) Puzzle book
US7946067B2 (en) Picture frame with tilt display and support
KR200493759Y1 (ko) 상장 케이스
US8333278B2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for fabric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D643714S1 (en) Leakproof carton
KR101270052B1 (ko) 상장케이스
US6176549B1 (en) Disposable head-and-neck rest
US7011365B2 (en) Chair cover
JP4362542B1 (ja) 折りたたみ眼鏡ケース
JP3134923U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
JP3894739B2 (ja) 折畳箱
JP5295442B1 (ja) ヘッドレスト装着用ティッシュペーパーボックス
JPH11268752A (ja) 手提げ袋
JP3186978U (ja) ダイカット紙バッグ
CN207747661U (zh) 一种折叠画板
JP3136752U (ja) バッグの芯構造
JP4364655B2 (ja) ボックスファイル
FR2817884A1 (fr) Dispositif pour plier les vetements de haut de corps destines a etre presentes en piles
KR101948413B1 (ko) 분할끈이 탈착 가능한 상장 케이스
JP3091852U (ja) シートホルダー
JP3061104U (ja) 使い捨て溲瓶
JP3194311U (ja) ブックケース兼包装箱用シート及びブックケース兼包装箱
CA2621029C (en) Shirt box
JP3110456U (ja) スコアカードケース
JPS5921777Y2 (ja) 医療機用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