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94Y1 -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 Google Patents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94Y1
KR200493694Y1 KR2020190003253U KR20190003253U KR200493694Y1 KR 200493694 Y1 KR200493694 Y1 KR 200493694Y1 KR 2020190003253 U KR2020190003253 U KR 2020190003253U KR 20190003253 U KR20190003253 U KR 20190003253U KR 200493694 Y1 KR200493694 Y1 KR 200493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 line
ratchet
automatic locking
pet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349U (ko
Inventor
박영재
Original Assignee
박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재 filed Critical 박영재
Priority to KR2020190003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94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5Quick-couplings, safety-couplings or shock-absorbing devices between leash and colla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견인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칫과 래칫폴 작동하는 자동록킹부 작동을 통해 애완동물의 돌발 행동으로 견인줄에 인출 충격이 발생시 자동으로 잠겨 견인줄의 인출이 정지되게 하는 등 항시 애완동물의 활동 반경의 제한이 가능하게 하는 등 애완동물의 안전한 동반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견인줄 케이스의 경사 조절에 의해 작동되는 제2 자동록킹부를 구성함으로써, 경사 조절에 의한 견인줄의 인출 또는 인입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애완동물의 활동범위 조절이 편리하게 하기 위한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Rope for pet with an automatic locking structure}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견인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과 함께 동반함에 있어, 애완동물의 순간적인 움직임시 견인줄의 인출을 정지시켜 애완동물의 활동 반경을 제어하는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노인이나 어린이의 정서를 위하여 강아지나 고양이 등과 같은 각종 애완동물(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애완동물 병원, 애완동물 전용 용품점, 애완동물 미용점 등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주로 주거 공간 내에서 길러지고 있으며, 외출시에는 그 크기가 작아 사람이 직접 안거나 바구니 등에 넣고 다니기도 하지만, 애완동물의 건강을 위해서는 가끔씩은 애완동물 스스로 실외에서 걷거나 뛰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애완동물을 풀어놓을 경우 사람을 물 수도 있고, 잃어 버리거나 움직임에 통제가 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바, 애완동물의 목에 목줄을 채운 후 그 목줄에 리드줄을 연결하여 줄의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이 애완동물의 목에 채울 수 있는 목줄과, 그 목줄과 연결하여 주인이 파지하여 애완동물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또한, 근자에는 이러한 리드줄의 발전으로 스파이럴 스프링(태엽) 방식을 통해 애완동물의 활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견인줄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파이럴 스프링 방식의 경우 애완동물이 자유롭게 활동 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인바, 자칫 애완동물이 달아나는 돌발 행동으로 보호자의 보호 범위 이상으로 벗어나 주변인을 무는 사고나 자동차 사고 등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파이럴 스프링 방식을 적용하되, 조작버튼을 이용하여 견인줄(연결줄)을 가압하여 인출이나 인입을 방지하게 하는 줄도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작버튼 방식은 항시 보호자가 인위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인바, 애완동물의 돌발 행동시 즉각 조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99710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4817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래칫과 래칫폴 작동하는 자동록킹부 작동을 통해 애완동물의 돌발 행동으로 견인줄에 인출 충격이 발생시 자동으로 잠겨 견인줄의 인출이 정지되게 하는 등 항시 애완동물의 활동 반경의 제한이 가능하게 하는 등 애완동물의 안전한 동반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견인줄 케이스의 경사 조절에 의해 작동되는 제2 자동록킹부를 구성함으로써, 경사 조절에 의한 견인줄의 인출 또는 인입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애완동물의 활동범위 조절이 편리하게 하기 위한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보호자의 파지가 가능한 견인줄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축에 연결되는 태엽 작동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권해 되어 인출 또는 자동으로 권취 인입되며, 제동버튼을 통해 강제 제동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견인줄에 있어서,
견인줄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어 견인줄에 인출 충격이 발생시 자동으로 잠겨 인출을 방지하는 자동록킹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자동록킹부는,
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래칫;
회전축의 단부에 형성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양측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가이드판;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가이드판에 연결되며, 회전축에 순간 인출 회전력이 발생시 원심력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일측 단부에는 걸림톱니가 형성된 캠 플레이트;
회전축에 베어링 축설되어 회전축의 회전 간섭을 받지 않으며, 내측에는 상기 걸림톱니와 반응하는 내치톱니가 형성되고, 외둘레에는 캠홈이 형성된 제동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걸림톱니가 내치톱니에 치합시 회전 작동하며, 스프링 탄설되어 자동 복귀력을 가지는 클러치판; 및
견인줄 케이스에 축설되며, 일측에는 상기 캠홈에 내입되는 가동돌기가 형성되어 걸림톱니와 내치톱니의 치합에 의해 클러치판이 회전시 함께 회동되어 래칫에 걸려 그 래칫의 회전을 방지하는 래칫폴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또한, 상기 견인줄 케이스의 내부에는 견인줄 케이스의 경사 작동시 래칫과 반응하여 록킹이 가능한 제2 자동록킹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래칫의 하부에서 견인줄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부면에는 함몰 형성되는 반구홈이 형성되고, 반구홈의 상부 일측에는 지주가 수직 돌출되며, 지주에는 반구홈 측으로 돌출되되며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동되면서 래칫과 반응하는 제2 래칫폴이 돌출 형성된 지지부; 및
하단에 무게중심을 이루는 반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반구홈에 수용되며, 상단이 상기 제2 래칫폴과 반응하여 그 제2 래칫폴의 상하 회동을 단속하는 중량추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 래칫폴의 저면에는 반응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중량추의 상부면에는 반응돌기가 수용되는 오목홈이 더 형성되게 구성하여,
견인줄 케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반응돌기가 오목홈에서 위치 변화를 일으켜 제2 래칫폴의 상하 회동 및 래칫과의 록킹이 단속되게 구성하며,
또한, 견인줄 케이스의 손잡이 하부에는 보호자의 손목에 걸어 고정이 가능한 손목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손목줄의 단부에는 개폐 사용이 가능한 비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은, 애완동물의 순간적으로 돌발 행동시 클러치판과 연동 작동하는 래칫폴이 래칫에 맞물려 견인줄의 회전 인출이 방지되게 되는 것인바, 항시 안전한 애완동물의 동반이 가능하며, 이에 애완동물로 인한 인명 사고나 애완동물이 사고당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자동록킹부 작동으로 견인줄 케이스의 경사 조절을 통해 견인줄의 인출 또는 인입 작동이 가능한 것인바, 매우 편리하게 애완동물의 활동범위 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의 전체도.
도 2는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의 자동록킹부 요부도.
도 3은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의 자동록킹부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의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의 자동록킹부 요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의 자동록킹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1)은, 통상의 손잡이(11)가 형성되어 보호자의 파지가 가능한 견인줄 케이스(10)의 내부에서 회전축(20)에 연결되는 태엽(도면중 미도시함) 작동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권해 되어 인출 또는 자동으로 권취 인입되게 구성된다.
또한, 견인줄 케이스(10)에는 견일줄(1)의 가압하여 인출 또는 인입의 강제 제동이 가능하게 하는 제동버튼(12)이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견인줄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견인줄에 순간 인출 충격이 발생시 자동으로 잠겨 인출을 방지하는 자동록킹부(10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되다.
이때, 자동록킹부(100)는 먼저, 상기 회전축(20)의 일측 둘레에는 회전축(20)과 함께 회전하며 둘레에 경사부와 직선부가 반복 형성된 톱니를 이루는 래칫(11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직선부는 견인줄(1)을 인출시 회전되는 방향에 위치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20)에는 래칫(110)이 형성되는측 단부에 회전축(20)과 함게 회전하는 가이드판(120)이 구성된 것으로, 가이드판(120)의 양측에는 가이드돌기(121)가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120)에는 회전축(20)에 순간 인출 회전력이 발생시 원심력에 의해 가이드판(120)으로부터 직선 슬라이딩 작동하는 캠 플레이트(130)가 구성된 것으로, 캠 플레이트(130)는 가이드판(120)의 전면을 일부 감싸게 구성되고, 일측으로 소정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판(120)의 가이드돌기(121)가 직선 슬라이딩 작동하는 가이드홈(131)이 구성된다.
그리고 캠 플레이트(130)의 돌출되는 단부에는 원심력이 부여시 후술하는 클러치판(140)과 반응하여 그 클러치판(1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걸림톱니(132)가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캠 플레이트(130)는 원심력에 의해 일측으로 슬라이딩 작동후, 원심력이 해제시 다시 원상 복귀를 단속하는 인장스프링(135)이 구성된 것으로, 인장스프링(135)은 상기 가이드판(120)의 일측과 캠 플레이트(130)의 타측을 연결하게 구성된다.
이때, 인장스프링(135)의 탄성은 반복된 실험을 통해 일정 원심력이 부여시 늘어나고 원심력이 해제시 복귀되는 탄성을 이루게 구성함은 당연할 것이다.
즉, 캠 플레이트(130)는 견인줄(1)의 순간적인 당김에 의해 원심력이 부여시 가이드판(120)을 가이드로 하여 일측으로 직선 슬라이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0)에는 베어링 축설되어 회전축(20)과 회전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상기 캠 플레이트(130)와 반응하는 클러치판(140)이 구성된다.
이때, 클러치판(140)에는 그 외측면에는 상기 캠 플레이트(130)가 수용되는 "홈" 구성된 것으로, 그 홈의 내주면에는 캠 플레이트(130)의 걸림톱니(132)와 대응되는 내치톱니(141)가 구성된다.
그리고 클러치판(140)의 외둘레 일측에는 제동돌부(142)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그 제동돌부(142)에는 후술하는 래칫폴(150)의 가동돌기(151)가 내입되는 호형 장공 형태의 캠홈(142a)이 구성된다.
클러치판(140)은 상기와 같이 캠 플레이트(130)와 함께 회전 후, 자동 복귀가 가능하도록 견인줄 케이스(10)에 스프링(143)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클러치판(140)은 평상시 캠 플레이트(130)와 간섭 없이 고정 상태를 이루고, 상기 캠 플레이트(130)가 원심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슬라이딩 작동시 그 캠 플레이트(130)의 걸림톱니(132)가 내치톱니(141)에 치합되어 캠 플레이트(130)와 함께 회전 작동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래칫(110)의 일측에는 견인줄 케이스(10)에 축설되어 회동 작동하는 래칫폴(150)이 구성된 것으로, 래칫폴(150)은 일측으로 돌출 구성된다.
이때, 래칫폴(150)은 상기 클러치판(140)과 연동 작동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 래칫폴(150)의 돌출된 일측에는 가동돌기(151)가 돌출 및 상기 클러치판(140)의 캠홈(142a)에 내입되게 구성된다.
즉, 래칫폴(150)은 상기 클러치판(140)이 회전시 캠홈(142a)이 가동돌기(151)를 걸어 당기게 되는 것으로, 이때 래칫폴(150)이 회전되어 단부가 래칫(110)에 걸려 래칫(110)의 회전이 정지 및 견인줄(1)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대로 견인줄(1)의 순간 인출력이 해제시 견인줄(1)이 인입됨과 동시에 래칫(110)의 역방향 회전과 스프링(143) 작동에 의해 클러치판(140)이 복귀되면서 래칫폴(150)을 복귀시켜 래칫(110)의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자동록킹부(100)와 별도로 상기 견인줄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그 견인줄 케이스(10)의 경사도에 따라 래칫(110)과 반응하여 록킹이 가능한 제2 자동록킹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자동록킹부(200)는 도 4를 참조하여 먼저, 지지부(210)가 구성된다.
이때, 지지부(210)는 상기 자동록킹부(100)와 간섭 없이 래칫(110)의 하부에서 견인줄 케이스(10)에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상부면에는 함몰 형성되는 반구홈(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구홈(211)의 상부 일측엔느 상부로 수직 돌출되는 지주(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212)에는 힌지(H) 연결되어 상하 회동 작동하는 제2 래칫폴(213)이 구성된 것으로, 제2 래칫폴(213)은 상기 반구홈(211)의 상부측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성되며, 그 제2 래칫폴(213)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중량추(220)의 오목홈(222)과 반응하는 반응돌기(213a)가 돌출 구성된다.
또한, 제2 자동록킹부(200)에는 상기 반구홈(211)에 안착 수용되는 중량추(220)가 더 구성된다.
이때, 중량추(220)는 그 하단에 상기 반구홈(211)에 안착 수용되는 반구부(221)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중량추(220)는 항시 수직 상태를 이루도록 하단의 반구부(221)에 무케중심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중량추(220)의 상부에는 상기 제2 래칫폴(213)의 반응돌기(213a)가 반응하는 오목홈(222)이 구성된 것으로, 오목홈(222)은 반구홈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견인줄 케이스(10)가 수평을 이룰시 반응돌기(213a)는 오목홈(222)의 가장 깊은 중앙에 위치되게 구성된다.
즉, 제2 자동록킹부(200)는 견인줄 케이스(10)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는 견인줄의 인출 또는 인입 모두 자유롭게 가능하고, 경사를 이룰 시에는 제2 래칫폴(213)의 반응돌기(213a)가 오목홈(222)의 상부측에 반응하면서 상부로 상승 및 래칫(110)에 걸림되어 래칫(110)의 회전이 정지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견인줄 케이스(10)의 손잡이(11) 하부에는 보호자가 견일줄 케이스(10)의 안전한 파지 휴대가 가능하도록 보호자의 손목에 걸어 고정이 가능한 손목줄(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목줄(30)의 단부에는 필요시 견일줄 케이스()를 걸어 고정이 가능한 비너(3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사용되는 비너(31)는 통상의 장형 링 형태를 이루어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것이면 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은 통상의 견인줄과 같이 그 단부를 애완동물의 목줄(2)에 연결 사용된다.
그리고 보호자는 견인줄 케이스(10)의 손잡이(11)를 파지 휴대하되, 그 휴대시에는 손목줄(30)을 이용하여 보호자의 손목에 걸어 고정하면 된다.
이에, 애완동물과 함께 외출시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견인줄 케이스(10)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어 애완동물의 활동 반경이 조절되는 것으로, 애완동물이 보호자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외출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1)은 보호자가 단속할 틈 없이 순간적인 돌발행동으로 보호자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려고 할 시 이를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자동록킹부(100)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6을 참조하여 애완동물이 보호자로부터 벗어나려는 순간적인 돌발행동시 견인줄(1)은 견인줄 케이스(10)로부터 빠르게 인출되는 것인데, 이때 회전축(20) 및 가이드판(120)의 회전력이 증대되는 것으로, 이에 캠 플레이트(130)도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원심력이 부여되어 가이드판(120)으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후, 이동된 캠 플레이트(130)는 걸림톱니(132)는 클러치판(140)의 내치톱니(141)에 치합되어 캠 플레이트(130)를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이후, 회전되는 캠 플레이트(130)는 회전함과 동시에 캠홈(142a)에 내입된 래칫폴(150)의 가동돌기(151)를 밀어내어 래칫폴(150)을 회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에 래칫폴(150)은 회전축(20)과 함께 회전하는 래칫(110)을 걸어 그 래칫(110)의 회전을 순간 정지시키게 된다.
즉,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1)은 애완동물의 돌발행동시 견인줄(1)의 인출을 순간 차단함으로 애완동물의 활동범위의 안전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등 애완동물의 돌발행동으로 인애 주변인이 물리는 사고나 애완동물이 자동차 등에 치이는 것을 효과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1)은 상기와 같은 순간 인출력을 해제하게 되면 견인줄(1)의 자동 인입과 함께 클러치판(140)의 복귀 회전 및 래칫폴(150)의 걸림이 해제되어 평소와 같은 정상 작동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1)은 도 4를 참조하여 제2 자동록킹부(200)를 더 구성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순간 인출 차단은 물론, 보호자로 하여금 견인줄 케이스(10)의 경사 작동을 통해 견인줄의 인 및 인입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도 7을 참조하여 견인줄 케이스(10)는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는 제2 래칫폴(213)의 반응돌기(213a)가 중량추(220)의 오목홈(222) 중앙에 위치되는 한편, 그 제2 래칫폴(213)이 래칫(110)과 간섭이 방지되는 것인바, 견인줄(1)의 자유로운 인출 또는 인입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보호자는 애완동물의 활동범위를 제어시에는 견인줄 케이스(10)에 경사를 주면 된다.
즉, 견인줄 케이스(10)가 경사를 이루더라도 중량추(220)는 항시 오뚜기의 원리와 같이 하단 무게중심에 의해 수직 상태를 이루는 것으로, 이때 반구부(221)가 지지부(210)의 반구홈(211)에 유동 유도되어 보다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210)는 견인줄 케이스(10)와 함께 경사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그 경사에 의해 제2 래칫폴(213)의 반응돌기(213a)의 위치가 오목홈(222)의 중앙이 아닌 상부측에 반응하게 됨과 동시에 상부로 회동 작동하게 된다.
이에, 상부 회동된 제2 래칫폴(213)은 래칫(110)을 걸어 그 래칫(110)의 회전을 순간 정지시키게 된다.
즉, 제2 자동록킹부(200)는 보호자가 견인줄(1)의 인출 상태를 고정하고자 할 시에는 견인줄 케이스(10)에 경사를 주어 고정함으로, 애완동물의 활동범위를 제한하게 되고, 그 활동범위의 조절시에는 수평을 이루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작동은 제동버튼(12) 조작 방법에 비해 매우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1)은 견인줄 케이스(10)를 휴대시 손목줄(30)을 통해 보호자의 손목에 고정되는 것인바, 만약 보호자가 견인줄 케이스(10)를 놓치더라도 그 견인불 케이스(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안전한 휴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1)은 상기 손목줄(30)의 단부에는 비너(31)가 구성된 것인바, 만약 보호자가 애완동물을 두고 화장실이나 건물 등을 들어갈 경우 그 비너(31)를 이용하여 걸어 고정함으로 애완동물의 활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은, 항시 애완동물의 활동범위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인바, 보호자가 동반시 애완동물의 안전은 물론, 주변인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10 : 견인줄 케이스 20 : 회전축
30 : 손목줄 31 : 비너
100 : 자동록킹부 110 : 래칫
120 : 가이드판 121 : 가이드돌기
130 : 캠 플레이트 131 : 가이드홈
132 : 걸림톱니 135 : 인장스프링
140 : 클러치판 141 : 내치톱니
142 : 제동돌부 142a : 캠홈
143 : 스프링 150 : 래칫폴
151 : 가동돌기
200 : 제2 자동록킹부 210 : 지지부
211 : 반구홈 212 : 지주
213 : 제2 래칫폴 213a : 반응돌기
220 : 중량추 221 : 반구부
222 : 오목홈

Claims (4)

  1. 손잡이(11)가 형성되어 보호자의 파지가 가능한 견인줄 케이스(10)의 내부에서 회전축(20)에 연결되는 태엽 작동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권해 되어 인출 또는 자동으로 권취 인입되며, 제동버튼(12)을 통해 강제 제동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견인줄에 있어서,
    견인줄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되어 견인줄에 인출 충격이 발생시 자동으로 잠겨 인출을 방지하는 자동록킹부(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자동록킹부(100)는,
    회전축(20)의 둘레에 형성되어 회전축(20)과 함께 회전하는 래칫(110);
    회전축(20)의 단부에 형성되어 회전축(20)과 함께 회전하며, 양측에는 가이드돌기(121)가 돌출 형성된 가이드판(120);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21)가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홈(131)이 형성되어 가이드판(120)에 연결되며, 회전축(20)에 순간 인출 회전력이 발생시 원심력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일측 단부에는 걸림톱니(132)가 형성된 캠 플레이트(130);
    회전축(20)에 베어링 축설되어 회전축(20)의 회전 간섭을 받지 않으며, 내측에는 상기 걸림톱니(132)와 반응하는 내치톱니(141)가 형성되고, 외둘레에는 캠홈(142a)이 형성된 제동돌부(142)가 돌출 형성되어 걸림톱니(132)가 내치톱니(141)에 치합시 회전 작동하며, 스프링(143) 탄설되어 자동 복귀력을 가지는 클러치판(140); 및
    견인줄 케이스(10)에 축설되며, 일측에는 상기 캠홈(142a)에 내입되는 가동돌기(151)가 형성되어 걸림톱니(132)와 내치톱니(141)의 치합에 의해 클러치판(140)이 회전시 함께 회동되어 래칫(110)에 걸려 그 래칫(110)의 회전을 방지하는 래칫폴(15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2. 제 1항에 있어서,
    캠 플레이트(130)는,
    가이드판(120)과 인장스프링(135)으로 연결되어 원심력이 해제시 캠 플레이트(130)의 복귀가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줄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견인줄 케이스(10)의 경사 작동시 래칫(110)과 반응하여 록킹이 가능한 제2 자동록킹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래칫(110)의 하부에서 견인줄 케이스(10)에 결합되며, 상부면에는 함몰 형성되는 반구홈(211)이 형성되고, 반구홈(211)의 상부 일측에는 지주(212)가 수직 돌출되며, 지주(212)에는 반구홈(211) 측으로 돌출되되며 힌지(H) 연결되어 상하 회동되면서 래칫(110)과 반응하는 제2 래칫폴(213)이 돌출 형성된 지지부(210); 및
    하단에 무게중심을 이루는 반구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반구홈(211)에 수용되며, 상단이 상기 제2 래칫폴(213)과 반응하여 그 제2 래칫폴(213)의 상하 회동을 단속하는 중량추(22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 래칫폴(213)의 저면에는 반응돌기(213a)가 더 형성되고, 상기 중량추(220)의 상부면에는 반응돌기(213a)가 수용되는 오목홈(222)이 더 형성되게 구성하여,
    견인줄 케이스(10)의 기울기에 따라 반응돌기(213a)가 오목홈(222)에서 위치 변화를 일으켜 제2 래칫폴(213)의 상하 회동 및 래칫(110)과의 록킹이 단속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4. 제 1항에 있어서,
    견인줄 케이스(10)의 손잡이(11) 하부에는,
    보호자의 손목에 걸어 고정이 가능한 손목줄(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손목줄(30)의 단부에는 개폐 사용이 가능한 비너(3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KR2020190003253U 2019-08-06 2019-08-06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KR200493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53U KR200493694Y1 (ko) 2019-08-06 2019-08-06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53U KR200493694Y1 (ko) 2019-08-06 2019-08-06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49U KR20210000349U (ko) 2021-02-17
KR200493694Y1 true KR200493694Y1 (ko) 2021-05-20

Family

ID=7471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253U KR200493694Y1 (ko) 2019-08-06 2019-08-06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833Y1 (ko) * 2022-10-07 2023-05-09 김진영 반려동물 리드줄 손잡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747B2 (ja) 1995-04-26 2000-02-28 ダイソー株式会社 エピクロロヒドリン系ゴムとフッ素含有共重合体樹脂との積層体
KR102043096B1 (ko) 2018-08-01 2019-11-11 강준우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838355B (en) * 1982-11-20 1984-06-27 Britax Kolb Gmbh & Co Safety belt emergency locking retractor
JPH04360634A (ja) * 1991-06-05 1992-12-14 Taakii:Kk 動物の引き紐操作具
JP3013747U (ja) * 1995-01-19 1995-07-18 ハヤシ株式会社 動物の引き紐装置
KR200452555Y1 (ko) * 2009-08-31 2011-03-14 김한나 애완견 리드줄 조절장치
KR101548172B1 (ko) 2013-10-11 2015-09-03 안시현 애완동물용 줄도구
KR101999710B1 (ko) 2017-11-28 2019-07-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의 제어가 용이한 리드 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747B2 (ja) 1995-04-26 2000-02-28 ダイソー株式会社 エピクロロヒドリン系ゴムとフッ素含有共重合体樹脂との積層体
KR102043096B1 (ko) 2018-08-01 2019-11-11 강준우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49U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17061B (zh) 具有自动制动机构的可伸缩牵引带
KR101252028B1 (ko) 롤스크린 또는 블라인드의 가동줄 안전연결고리
US9107394B2 (en) Dual dog leash
US7438112B2 (en) Roll-up barrier
US20090255485A1 (en) leash assembly for a pet collar and a combined collar and leash
US20120137978A1 (en) Leash handle
KR200493694Y1 (ko)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US20100089338A1 (en) Child safety tether
US20150128879A1 (en) Retractable leash
JP6981681B2 (ja) 犬およびその他のペット用の伸長性引き綱
US6216834B1 (en) Arrangements in a protection container for an electrical cable
US6612263B2 (en) Rotatable elevated tether device for use with retractable restraints
WO2011089535A1 (en) Safety system with two carabiners each one to be hung to a belay element for climbing purposes, adventure parks, works on civil structures or generally works requiring safety ropes
JP7109834B2 (ja) 引き紐組立体
KR102596059B1 (ko)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US20060285939A1 (en) Vertically adjustable device for suspending an article from a ceiling
CN211473974U (zh) 一种两端可调节无绳系统
CN203952114U (zh) 安全型宠物牵引器
KR200473374Y1 (ko) 애완동물용 견인줄 일체형 장갑
JP3223551U (ja) 柄が折れる傘
TWM355319U (en) Safety buckles for high-elevation work
WO2004002219A1 (en) Rope for pets with shock absorber
EP3003940A1 (en) Retractable leash mechanism with automatic brake
CN220343229U (zh) 一种具有抗静电功能的宠物牵引绳
KR102568570B1 (ko) 당김줄을 구비한 끈 조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