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059B1 -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 Google Patents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059B1
KR102596059B1 KR1020210049115A KR20210049115A KR102596059B1 KR 102596059 B1 KR102596059 B1 KR 102596059B1 KR 1020210049115 A KR1020210049115 A KR 1020210049115A KR 20210049115 A KR20210049115 A KR 20210049115A KR 102596059 B1 KR102596059 B1 KR 102596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wire
muzzle
wire portio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724A (ko
Inventor
곽상훈
Original Assignee
곽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상훈 filed Critical 곽상훈
Priority to KR102021004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059B1/ko
Priority to PCT/KR2022/004918 priority patent/WO2022220472A1/ko
Publication of KR2022014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5/00Muzz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견의 입에 착용하여 위협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반려견의 입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신축을 제어함으로써 입을 벌리는 상태와 개도를 제한하는 상태를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신축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려견용 입마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MUZZLE FOR PET DOG WITH IMPROVED FUNCTION}
본 발명은 애완동물에 착용되는 안전용품과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려견의 입에 착용하여 반려견에 의한 위협이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대가족 제도가 붕괴되고 핵가족과 일인가구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제 애완동물, 특히 애완견은 단순한 사육 대상이 아니라 하나의 가족 구성원이나 인생의 동반자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더불어 근래에는 반려동물의 확산 추세에 따라 애완동물용 악세사리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애완견에는 말티즈나, 치와와, 시추, 푸들, 포메라니안 등과 같은 소형견이 많지만, 최근에는 골든 리트리버나 러프 콜리, 달마시안, 시베리안 허스키, 알레스칸 말라뮤트 등과 같은 대형견을 키우는 경우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애완견들에 대하여 실내에서는 각종 가구나 전선 등을 훼손하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실외에서는 다른 사람들에게 위협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입마개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도사견이나 핏불테리어, 로트와일러 등과 같은 일부 대형견의 경우, 자칫 방심하면 어린이나 노인들에게 심각한 위해를 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들 대형견과 함께 외출할 경우에는 반드시 목줄과 함께 입마개를 착용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애완견에게 입마개를 씌우면, 해당 애완견이 입을 벌릴 수도 없고 짖을 수도 없기 때문에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어 동물학대에 해당한다는 지적도 있다.
다만, 애완견들의 스트레스보다는 사람들의 안전이 우선순위가 되기 때문에 공공장소에서는 반드시 입마개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탈착의 편리성과 견고성 및 애완견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853호는 종래기술의 짖음방지용 입마개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견의 입에 끼우고 고정용 목끈으로 목에 맞도록 고정시켜 설치한 다음 마스크 본체에 설치된 자크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양쪽 자크 통합손잡이끈을 구성하였다. 이에, 짖거나 물려고 할 때 양쪽자크 통합손잡이끈를 앞으로 당겨 잠근 상태로 놓고, 그렇지 않을 때는 통합손잡이끈을 뒤로 당겨 열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개선은 상시적으로 입을 닫아 놓는 기존의 입마개들보다 견주나 애완견의 편의성을 일부 향상하기는 하나, 열어 놓는 상태와 닫아 놓는 상태의 두 가지 상태 중에 하나만 선택이 가능한 한계가 있다. 또한, 조작이 번거롭고 상기와 같이 지퍼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갑자기 애완견이 이상 반응을 할 때에는 제어할 수단이 없기 때문에 상황에 유연하게 적응하기도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단순히 입벌림을 억제하는 입마개를 개선하여 견주와 반려견의 사용상 안정감과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반려견용 입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려견의 입 부위를 상하로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와이어부(100); 내부에 상기 와이어부가 양측으로 인입출될 수 있도록 인출구(1101)를 마련하는 케이싱(1100)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와이어부를 권취하되 상하로 이동 가능한 회전체부(1400)를 구비하는 신축제어수단(1000);상기 회전체부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는 승하강탄성부(1510);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제어수단은 상기 회전체부의 하향 이동에 따라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스토퍼부(1121)에 결림될 수 있는 저부의 걸림돌부(1421)를 구비하며, 회전체부에서 와이어부의 풀림이 개시되는 위치가 인출구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인출구측에서 와이어부가 인출되는 힘의 일부가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분리되고, 승하강탄성부의 탄성력보다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 때 회전체부가 하강되어 회전을 제한시킴으로써 갑작스러운 입벌림을 억제하는 반려견용 입마개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체부의 상면을 눌러 하향 이동시켜 회전체부의 로킹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버튼부(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반려견의 입 부위를 상하로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와이어부(100); 내부에 상기 와이어부가 양측으로 인입출될 수 있도록 인출구(1101)를 마련하는 케이싱(1100)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와이어부를 권취하되 상하로 이동 가능한 회전체부(1400)와, 상기 회전체부의 하향 이동에 따라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스토퍼부(1121)에 결림될 수 있는 저부의 걸림돌부(1421)를 구비하는 신축제어수단(1000); 상기 회전체부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는 승하강탄성부(1510);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되어 스토퍼부와 걸림돌부의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버튼부(1300);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제어수단은 와이어부의 인입 및 인출이 허용되는 제1상태와, 와이어부의 인출에 따른 회전체부의 하향되는 힘이 승하강탄성부의 복원력보다 커서 스토퍼부와 걸림돌부가 걸림되고 입이 더이상 벌어질 수 없도록 하는 제2상태와, 버튼부의 동작에 의하여 입이 설정된 개도를 가질 수 있는 와이어의 인출된 상태에서 회전체부의 인출 회전이 억제되는 제3상태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반려견용 입마개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추가적으로 상기 회전체부는, 상측에서 회전체부에 권취된 와이어부의 풀림위치를 결정하되 케이싱의 인출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14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인출구가 배치되는 케이싱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와이어부의 인출위치를 결정하는 하방견인돌부(113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인출구를 바라보는 풀림위치에 배치되는 유출구와 권취되는 위치를 배분하도록 상기 유출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유입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경로(14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부에 의하여 로킹상태가 선택되면, 상기 걸림돌부와 스토퍼부는, 와이어부의 인출되는 인출회전방향(ℓ)으로 회전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호 밀착되는 면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와이어부가 인입되는 인입회전방향(s)으로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호 접촉되는 면이 슬라이딩 가능한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단순히 입벌림을 억제하기만 하는 종래의 입마개의 한계를 극복하여 반려견의 자연스러운 입벌림을 허용하고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대해서만 제한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반려견이 짖는 것과 무는 것에 대한 제어가 확실하게 작동될 수 있어 안전성이 보장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제어 조작이 단순하고 입에 대한 확실한 구속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경제성이 있고 사용상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도 간편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짖음방지용 입마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에서 신축제어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축제어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전체부의 잠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에서 신축제어수단의 제어방식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의 각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반려견의 입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신축을 제어함으로써 입을 벌리는 상태와 개도를 제한하는 상태를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신축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려견용 입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와이어부가 신축제어수단의 내부로 인입출되면서 길이를 조정하고 이에 따라 입 부위의 벌어짐 또는 개도를 제어하는바, 와이어가 직접 입 부위를 감싸는 경우는 물론 그 외주연에 합성수지재, 고무 또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밴드가 부착되거나 와이어에 이들이 연결되는 경우도 와이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와이어부의 형상, 재질 및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개념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견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고양이나 돼지 등 애완용으로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동물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반려견(P)을 대상으로 설명하며, 입 부위를 상하로 감싸는 형태로 와이어부(100)가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부(100)의 양단측은 신축제어수단(10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에 인입출 가능하다.
상기 신축제어수단(1000)으로부터 와이어부(100)가 인입출되는 정도에 따라 정면에서 바라볼 때 내주측 반경 내지는 면적이 변화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상기 신축제어수단(1000)이 와이어부(100)의 신축 여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신장 속도에 감응하여 개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와이어부(100)의 신축은 입을 감싸는 폐곡선에 의한 면적 내지는 반경에 관련되는 것이며 이는 입을 벌릴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 개념에 따라 입을 벌릴 수 있는 정도를 개도로 정의하며, 상기 입을 벌리는 것의 허용 여하와 개도의 조절을 위한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축제어수단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신축제어수단(1000)은 최소한 양측으로 하나 이상의 와이어부(100)가 인입출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와이어부(100)를 수용하고 이를 권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공간을 마련하는 케이싱(1100)과, 상기 케이싱(1100)을 덮는 캡부(12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회전형으로 권취되는 작동방식을 고려하여 상기 케이싱(110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러한 케이싱(1100)의 형상 및 크기는 선택적이다.
상기 케이싱(1100)의 상측으로는 내부 부품의 결속 및 인입출을 위한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캡부(1200)는 이를 덮어 내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도록 체결 가능하다.
한편, 상기 캡부(1200) 또는 케이싱(1100)의 외주로 돌출되어 버튼부(130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버튼부(1300)는 와이어부(100)의 신축 동작을 수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소정의 로킹 및 로킹해제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신축제어수단(1000)이 턱 부위에 배치되며 이에 버튼부(1300)가 케이싱(1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나 배치되는 상태의 방향성은 실시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1100)에 대해 캡부(1200)가 배치되는 방향을 상측으로 통일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상기 버튼부(1300)가 로킹해제 작동하면 와이어부(100)의 인출 및 인입이 양방향으로 허용되는 제1상태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가 로킹된 상태와 관련하여 도 2와 같이 입이 닫힌 상태에서 와이어부의 인출이 잠겨 더 이상 입이 벌어질 수 없도록 하는 제2상태가 정의된다. 또한, 입이 닫힌 상태보다 와이어부(100)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즉 입이 어느 정도 개도를 가질 때까지 허용할 수 있는 제3상태가 정의될 수 있다.
버튼부(1300)의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눌린 상태에서 로킹을 수행하고, 인출된 상태에서 로킹해제를 수행하는 공지의 원터치 버튼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잠금 및 로킹해제의 방식과 관련하여 슬라이딩 스위치, 후크, 핀 방식 등 다양한 회전 잠금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의 신축제어수단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케이싱(1100)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소정의 회전 및 제어를 위한 구성들의 수납을 위한 개방부가 형성됨은 상기와 같다. 이러한 케이싱(1100)의 내부에는 회전체부(1400)가 수납되어 그 외주연에 와이어부(100)를 권취하며 회전체부(1400)로부터의 와이어부(100)는 케이싱(1100)의 양측, 바람직하게는 양측 하부에 형성되는 인출구(1101)에서 내외부로 인입출된다.
상기 인출구(1101)에서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부(100)는 회전체부(1400)에서 인출된 길이에 따라 입을 감싸는 반경이 결정되며 이에 의하여 입의 개도가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싱(1100)의 내부에는 회전체부(1400)가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회전의 지지를 위하여 바닥면에 형성되는 지주부(1110)가 회전체부(140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지주부(1110)는 케이싱(11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형상과 크기는 선택적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지주부(1110)는 케이싱(1100)과 별도의 구성으로 탈착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체부(1400)로부터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싱(1100)의 내부에 지지되는 홈 등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전체부(1400)의 외주연의 일부에 와이어부(100)의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실린더(1410) 외면에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와이어부(100)를 풀어서 인출 가능하도록 하고, 감아서 수축 내지는 수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부(1400)는 감기는 방향으로 소정의 복원력을 받을 수 있도록 회전탄성부(1520)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탄성부(1520)는 회전체부(1400) 내부의 공간에 수납되어 일단이 회전체부(1400)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주부(1110) 측에 고정되는 나선형 스프링(Spiral spring)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입을 벌리는 동작에 의하여 와이어부(100)가 회전탄성부(152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인출구(1101)로 인출되고, 입을 닫으면 회전탄성부(1520)의 복원력에 따라 회전체부(1400)가 회전하여 외면에 와이어부(100)를 권취하면서 인입시키면서 입의 크기에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어부(100)의 인출 및/또는 인입을 로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체부(1400)의 회전을 로킹하는 개념을 제시한다.
상기 로킹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회전 잠금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조작의 효율성과 공간적인 이점 및 작동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로킹수단과 이를 제어하는 수단이 높이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회전체부(1400)의 실린더(1410)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버튼부(1300)가 배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전의 잠금 또는 로킹해제가 가능하고, 그 하측에는 소정의 돌기 내지 마찰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실린더(1410)의 저부에는 걸림돌부(1421)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이에 걸림될 수 있는 스토퍼부(1121)가 케이싱(1100)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회전체부(1400)의 하향 이동에 의하여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가 상호 걸림 내지는 치합되어 회전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는 최소한 원주방향에서 상호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인데, 예를 들어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체부(1400)의 회전에 의한 와이어부(100)의 인출 및 인입(신장과 수축)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는 상호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체부(1400)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는 승하강탄성부(151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탄성부(1510)는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단측이 케이싱(1100)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단측이 실린더(1410)의 저면에 지지되어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를 이격시키는 상측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탄성부(1510)는 지주부(1110)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기본적인 위치가 유지될 수 있으며, 케이싱(1100)의 바닥면과 실린더(1410)의 저면에 원통형상의 일부를 에워쌀 수 있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가 복수의 돌기들이 원주상 배치되어 형성되는 경우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버튼부(1300)는 하단부가 회전체부(1400)의 상면을 눌러 하향 이동시키고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가 서로 걸림될 수 있는 상태를 고정하여 로킹하고, 로킹상태를 해제하여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를 승하강탄성부(1510)의 복원력에 따라 이격시킬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원터치 버튼 및 공지의 다양한 잠금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와이어부(100)의 인출과 인입이 허용되는 제1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 3상태는 버튼부(1300)의 로킹 동작에 의하여 회전체부(1400)가 승하강탄성부(1510)에 대항하여 하향 이동된 상태를 의미하는데, 제1상태에서는 회전체부(1400)가 와이어부(100)의 인출 속도에 감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회전체부(1400)의 로킹 상태는 버튼부(1300)에 의하여 회전이 저지되는 상태와, 와이어부(100)의 인출 속도에 의하여 회전이 저지되는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부(100)의 인출속도에 감응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싱(1100)에서 와이어부(100)의 외부 인출을 위한 인출구(1101)는 하측에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회전체부(1400)의 실린더(1410) 외면에서 와이어부(100)의 풀림이 개시되는 위치보다는 하측에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풀림 위치와 인출위치의 정확한 분리를 위하여 실린더(1410)의 외주연의 비교적 상측에는 와이어부(100)가 당겨지는 풀림위치를 상측에 배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440)는 와이어부(100)의 풀림위치(인입될 때는 권취위치)가 평면상 인출구(1101)를 바라보도록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와이어부(100)에 외부에서 강한 장력이 발생하면 하방으로 견인하는 힘을 회전체부(1400)에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부(1440)는 인출구(1101)를 바라보는 양측으로 실린더(1410)에 권취된 와이어부(100)가 풀림위치에서 연장되어 걸림될 수 있는 가이드홈(1441)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440)는 실린더(1410)에 와이어부(100)가 권취 및 풀림되기 위하여 회전체부(1400)의 전체적인 회전에 불구하고 전체적인 케이싱(1100)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회전위치를 가지며, 이를 위하여 가이드부(1440)는 상판부(1430) 및/또는 실린더(14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실린더(1410)와 동축을 가지는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 몸체(참조번호 미표시)가 회전방향에 대해 슬립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양측에서 가이드홈(1441)이 배치되는 부위가 외주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와이어부(100)의 실린더(1410)에 권취되는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가이드홈(1441)이 배치되는 부위는 와이어부(100)의 배열보다 평면상 더 외곽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부(1440)는 와이어부(100)의 신축과정에서 권취되는 위치의 배분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인출구(1101) 내측에는 가이드부(1440)로부터 이어진 와이어부(100)의 인출시 과도한 마찰을 저감하고 장력에 대한 방향성의 전환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방견인돌부(1131)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 와이어부(100)에 외력이 가해져 인출구(1101) 측에서의 수평방향 힘이 실린더(1410)의 외주측에서는 외주방향의 힘과 수직방향, 더욱 정확하게는 하방으로의 힘으로 분리된다.
상기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승하강탄성부(1510)의 탄성력보다 클 때 회전체부(1400)는 하향 이동될 것이며 이를 본 발명의 속도에서는 설정된 인출 속도로 정의한다. 이에,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가 걸림되어 회전이 제한되고 그 힘이 탄성력보다 작을 때, 즉 설정된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인출될 때에는 승하강탄성부(1510)에 의하여 하향 이동이 저지되어 회전체부(14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는 와이어부(100)가 실린더(1410) 외면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서 인출구(1101)로 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케이싱(1100)의 상측 개방부에는 회전체부(1400)가 수납되고 와이어부(100)가 정확하게 권취 및 인출위치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캡부(12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력의 제공을 위한 도시된 형태의 후크 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실린더(1410)를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상판부(1430)가 추가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판부(1430)의 저부로는 지주부(1110)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지주삽입부(14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회전체부의 로킹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의 (a)에서는 회전체부(1400)의 실린더(1410)와 케이싱(1100)을 분해하여 나타낸다. 이러한 실린더(1410)의 저부에는 걸림돌부(1421)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돌출되고, 케이싱(1100)의 바닥면에도 이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스토퍼부(1121)가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는 회전체부(1400)의 버튼부(1300)에 의한 하향 이동 또는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인출되는 와이어부(100)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한 하향 이동에 의하여 서로 걸림되고 어느 일방 내지는 양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기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실린더(1410)의 저부와 케이싱(1100)의 바닥면에는 승하강탄성부(1510)의 안착을 위한 소정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b)는 상기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회전체부(1400)가 하강하여 상호 걸림 및 로킹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스토퍼부(1121)의 상방으로 돌출된 일면과 걸림돌부(1421)의 하방으로 돌출된 일면이 서로 접하여 회전을 제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 의하여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의 와이어부의 인출되는 인출회전방향(ℓ)에 대해서는 회전을 완전하게 억제할 수 있도록 상호 밀착되는 면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부가 인입 및 권취되는 인입회전방향(s)에 대해서는 회전을 어느 정도 허용할 수 있도록 상호 접촉되는 면이 슬라이딩 가능한 경사면 내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회전체부(1400)가 하향 이동되어 걸림된 상태에서 인출회전방향(ℓ)으로는 회전이 완전하게 억제되어 입벌림을 구속하며, 인입회전방향(s)으로는 경사면 내지는 곡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승하강탄성부(1510)에 저항하여 일시 회전체부(1400)가 상승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도를 더욱 좁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반려견(P)에의 착용상태에서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각 상태에 따라 신축제어수단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버튼부(1300)에 의한 구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어부(100)의 인출 속도에 감응하여 인출이 억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외력에 의하여 강제 제한되지 않고 와이어부(100)의 신축이 허용되는 제1상태에서 갑작스러운 와이어부(100)의 신장에 의하여 회전체부(1400)가 하향(α) 동력을 제공받아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가 서로 맞물려서 회전체부(1400)의 회전을 억제하고 있다. 와이어부(100)가 인출되는 장력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의 마찰력에 의하여 하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력이 해제되면 승하강탄성부(1510)의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상승하여 와이어부(100)의 신축이 허용되는 상태가 된다.
도 6의 (b)는 버튼부(1300)에 의하여 로킹되는 제2상태 또는 제3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버튼부의 하향(β) 이동에 의하여 회전체부(1400)는 승하강탄성부(151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하향되고, 이에 걸림돌부(1421)와 스토퍼부(1121)가 강제로 맞물려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최소한 인출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억제된다.
또한, 상기 로킹상태에서 상기 인출회전방향(ℓ)과 인입회전방향(s)을 위한 걸림돌부(1421) 및/또는 스토퍼부(1121)의 돌출면 형상이 다르게 이루어지는 경우 와이어부(100)를 수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할 수 있으며, 특히 제3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개도를 허용한 상태에서 로킹이 이루어졌음에 불구하고 개도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튼부(1300)는 로킹상태에서 어느 정도 상하 유동이 허용될 수 있는 유격을 가지거나 소정의 탄성제공수단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와 대비하면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가이드부(1440)가 추가적인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440)가 상판부(1430)의 양측에서 외곽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가이드홈(1441)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이렇게 와이어부(100)의 풀림위치가 구성되는 경우 와이어부(100)의 인입(수축)시 실린더(1410)에 권취되는 위치가 과도하게 상측으로 편심될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인출구(1101)를 바라보는 가이드부(1440)의 풀림위치를 상측에 유지하되 권취되는 위치를 배분하기 위하여 가이드경로(1442)를 추가한다.
도시된 사항과 같이 가이드부(1440)는 상판부(1430) 및/또는 실린더(14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인출구(1101)를 바라보는 위치를 고정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되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홈(1441)에 걸리는 구조를 제거하고 상하로 긴 가이드경로(1442)를 제공하여 신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실린더(1410)에서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측의 유출구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경로(144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유입구와 유출구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 형상은 선택적이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실린더(1410)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나가는 위치는 실린더(1410)의 상하단에 지나치게 치우치지 않은 위치가 되며 인출구(1101)를 바라보는 풀림위치는 상단에 위치되는 것이다. 반대로 회전체부(1400)의 복원력에 따라 외부로부터 와이어부(100)가 인입되면 상측의 유출구에서 가이드경로(1442)를 따라 보다 하측의 유입구로 연결되고 비교적 실린더(1410)의 높이방향의 중심에서 권취가 시작되도록 하여 권취되는 위치를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이드경로(1442)의 위치는 실린더(1410)에 권취되는 와이어부(100)의 두께와 배열을 고려하여 실린더(1410) 외벽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의 (a)는 입이 벌어질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와이어부(100)의 신축이 완전하게 허용되되 인출 속도에만 감응하는 제1상태 또는 와이어부(100)의 소정의 인출된 길이가 허용된 상태에서 로킹된 제3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상태에서는 비교적 완만한 속도로 입을 벌리는, 예를 들어 가볍게 소리를 내거나 음식을 섭취하는 등의 상태에서는 입의 개방을 허용하고, 급하게 짖거나 물기 위하여 공격적으로 입을 벌리는 경우에는 속도에 감응하여 개방을 제한하고 입을 벌리지 못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의 (b)는 입이 완전하게 구속된 제2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경우는 와이어부(100)가 입을 감싸면서 완전하게 이에 대응한 길이로 수축된 상태에서 버튼부(1300)에 의하여 로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외출시, 사람이 많은 곳에 있을 때 또는 위급한 상황 등에서 입의 벌림을 강제로 억제하여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부(100a, 100b)가 복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부(100a, 100b)는 선택된 개수로 선택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부(100a, 100b)의 신축 조절을 위하여 단일 또는 복수의 신축제어수단이 연결될 수 있으며, 도시된 사항에서는 두 개의 신축제어수단(1000a, 1000b)들이 병렬로 구성되어 각각 독립적인 신축 동작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두 개의 와이어부(100a, 100b)가 하나의 신축제어수단에 작동되거나, 두 개 이상의 와이어부 및 신축제어수단의 세트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조합 방식과 형태는 선택적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 의하여 신체에 착용되는 부가적 요소를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는 와이어부와 신축제어수단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하되 입 부위에 착용되거나, 신체의 일부를 수용하거나, 신체의 다른 부위에 연결되는 등의 다양한 구조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반려견(P)의 입 벌림을 제한할 수 있는 와이어부(100a)와 목 부위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 와이어부(100b)를 함께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반려견(P)의 신체의 일부에 장착 와이어부(100b)에 의한 장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와이어부(100a) 및 와이어부의 제어를 위한 신축제어수단(1000a)의 위치관계를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장착 와이어부(100b)도 반려견의 신체의 부위(목, 몸통, 다리 등)를 감싸면서 신축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실시예의 신축제어수단처럼 신축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장착 신축제어수단(1000b)으로 정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신축제어수단(1000a)과 장착 신축제어수단(1000b)이 상기의 예와 같이 병렬로 구성되어 입 부위를 감싸는 와이어부(100a)와 목 부위를 감싸는 장착 와이어부(100b)에 대해 독립적으로 신축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에 의하여, 단순히 입벌림을 억제하기만 하는 종래의 입마개의 한계를 극복하여 반려견의 자연스러운 입벌림을 허용하고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대해서만 제한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최소화되면서 안전성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제어 조작이 단순하고 확실한 입에 대한 구속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고,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경제성이 있으며 사용상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와이어부 1000...신축제어수단
1100...케이싱 1101...인출구
1110...지주부 1121...스토퍼부
1131...하방견인돌부 1200...캡부
1300...버튼부 1400...회전체부
1410...실린더 1411...삽입구
1421...걸림돌부 1430...상판부
1440...가이드부 1441...가이드홈
1442...가이드경로 1432...지주삽입부
1510...승하강탄성부 1520...회전탄성부

Claims (7)

  1. 반려견의 입 부위를 상하로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와이어부(100);
    내부에 상기 와이어부가 양측으로 인입출될 수 있도록 인출구(1101)를 마련하는 케이싱(1100)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와이어부를 권취하되 상하로 이동 가능한 회전체부(1400)를 구비하는 신축제어수단(1000);
    상기 회전체부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는 승하강탄성부(1510);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제어수단은,
    상기 회전체부의 하향 이동에 따라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스토퍼부(1121)에 결림될 수 있는 저부의 걸림돌부(1421)를 구비하며, 회전체부에서 와이어부의 풀림이 개시되는 위치가 인출구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인출구측에서 와이어부가 인출되는 힘의 일부가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분리되고, 승하강탄성부의 탄성력보다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이 더 클 때 회전체부가 하강되어 회전을 제한시킴으로써 갑작스러운 입벌림을 억제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부의 상면을 눌러 하향 이동시켜 회전체부의 로킹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버튼부(1300);를 더 포함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3. 반려견의 입 부위를 상하로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와이어부(100);
    내부에 상기 와이어부가 양측으로 인입출될 수 있도록 인출구(1101)를 마련하는 케이싱(1100)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와이어부를 권취하되 상하로 이동 가능한 회전체부(1400)와, 상기 회전체부의 하향 이동에 따라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스토퍼부(1121)에 결림될 수 있는 저부의 걸림돌부(1421)를 구비하는 신축제어수단(1000);
    상기 회전체부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는 승하강탄성부(1510);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되어 스토퍼부와 걸림돌부의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버튼부(1300);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제어수단은,
    와이어부의 인입 및 인출이 허용되는 제1상태와, 와이어부의 인출에 따른 회전체부의 하향되는 힘이 승하강탄성부의 복원력보다 커서 스토퍼부와 걸림돌부가 걸림되고 입이 더 이상 벌어질 수 없도록 하는 제2상태와, 버튼부의 동작에 의하여 입이 설정된 개도를 가질 수 있는 와이어의 인출된 상태에서 회전체부의 인출 회전이 억제되는 제3상태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반려견용 입마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부는,
    상측에서 회전체부에 권취된 와이어부의 풀림위치를 결정하되 케이싱의 인출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1440)를 구비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인출구가 배치되는 케이싱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와이어부의 인출위치를 결정하는 하방견인돌부(1131)를 구비하는 반려견용 입마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인출구를 바라보는 풀림위치에 배치되는 유출구와 권취되는 위치를 배분하도록 상기 유출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유입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경로(1442)로 이루어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부와 스토퍼부는,
    버튼부에 의하여 로킹상태가 선택된 상태에서 와이어부의 인출되는 인출회전방향(ℓ)으로 회전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호 밀착되는 면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와이어부가 인입되는 인입회전방향(s)으로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호 접촉되는 면이 슬라이딩 가능한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반려견용 입마개.
KR1020210049115A 2021-04-15 2021-04-15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KR102596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115A KR102596059B1 (ko) 2021-04-15 2021-04-15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PCT/KR2022/004918 WO2022220472A1 (ko) 2021-04-15 2022-04-06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115A KR102596059B1 (ko) 2021-04-15 2021-04-15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724A KR20220142724A (ko) 2022-10-24
KR102596059B1 true KR102596059B1 (ko) 2023-10-30

Family

ID=8363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115A KR102596059B1 (ko) 2021-04-15 2021-04-15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6059B1 (ko)
WO (1) WO20222204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399B1 (ko) * 2023-05-02 2023-11-13 주식회사 내의미 반려동물용 의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9564A1 (en) * 2003-07-10 2007-02-22 Alexia Steunou Muzzle
JP2007185161A (ja) * 2006-01-16 2007-07-26 Hideki Higashisei ペット用リード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4246A (en) * 1999-05-06 2000-12-26 Naftaly; David Remote release muzzle
KR20190072728A (ko) * 2017-12-18 2019-06-26 강보림 애완견 입마개
KR102043096B1 (ko) * 2018-08-01 2019-11-11 강준우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KR102137466B1 (ko) * 2018-08-30 2020-07-24 주식회사 분독 애완견용 리드줄 조절장치
KR102248898B1 (ko) * 2019-07-05 2021-05-06 서주은 반려견 입벌림 방지 기능을 갖는 반려견 목걸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9564A1 (en) * 2003-07-10 2007-02-22 Alexia Steunou Muzzle
JP2007185161A (ja) * 2006-01-16 2007-07-26 Hideki Higashisei ペット用リ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724A (ko) 2022-10-24
WO2022220472A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6198A (en) Animal leash
CA1131911A (en) Arrangement for a casting float
KR102596059B1 (ko)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US7730852B2 (en) Portable animal restraint and feeding station
US3804409A (en) Kicking practice aid
US9107394B2 (en) Dual dog leash
US4398500A (en) Locking animal collar
US20060070584A1 (en) Leash for multiple pets
US6612263B2 (en) Rotatable elevated tether device for use with retractable restraints
US6745969B1 (en) Pull-cord keeper
US6044523A (en) Break-away tassel and method
US4762089A (en) Horse-grooming tether device and improved horse grooming stall
US4480589A (en) Safety collar device
US3722478A (en) Tether assembly
CA1050367A (en) Neck frame for cattle
CN207462530U (zh) 滑轮顶部外罩杆
US7266937B2 (en) Retractable safety horse tying apparatus
US6463986B1 (en) Window treatment assembly pull-cord keeper
US5241773A (en) Fishing rod for bait fish and the like
KR200493694Y1 (ko)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KR200360400Y1 (ko) 축사용 양계급이기
JP7183431B2 (ja) ペットの移動制限のための両方向扉開き間隔調節具
US20170318791A1 (en) Squirrel deterrent kit
US4702033A (en) Downrigger cable accessory
KR20230008478A (ko) 반려견 목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