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096B1 -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096B1
KR102043096B1 KR1020180089906A KR20180089906A KR102043096B1 KR 102043096 B1 KR102043096 B1 KR 102043096B1 KR 1020180089906 A KR1020180089906 A KR 1020180089906A KR 20180089906 A KR20180089906 A KR 20180089906A KR 102043096 B1 KR102043096 B1 KR 102043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clutch
guide path
braking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우
Original Assignee
강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우 filed Critical 강준우
Priority to KR1020180089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3Leads, lea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1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directly on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목줄과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리드줄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리드줄이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리드줄이 외주면에 일정길이 감겨지는 텐션릴 ;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당겨져 인출된 리드줄이 상기 텐션릴에 자동으로 감기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 및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당겨져 인출되는 리드줄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기인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리드줄이 급격하게 외부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리드줄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companion animal lead line control device having a emergency braking clutch}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 사용되는 리드줄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반려동물의 갑잡스러운 돌출행동에 의한 리드줄의 급격한 풀림시에 리드줄에 제동력을 자동으로 인가하면서 리드줄의 갑작스럽과 비정상적인 풀림을 제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견과 같은 반려동물용 리드줄 조절장치는 사람이 산책 등을 위하여 외출시 또는 실내에서 반려동물의 통제가 용이하도록 반려동물의 목이나 몸통에 결속되는 리드줄의 길이를 반려동물의 행동반경을 맞추어 통제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용 리드줄 조절장치는 크게 분류하면 목줄 형태와 어깨 밴드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즉, 목줄 형태의 반려동물용 리드줄 조절장치는 반려동물의 목에 착용하는 밴드나 튜브 소재로 이루어진 루프와, 상기 루프에 연결되어 사람이 잡고 이끌 수 있는 익스텐션 리드(extention lead)로 이루어진다.
또한, 어깨 밴드 형태의 줄은 애완동물의 목 부위와 가슴 부위를 감거나 복부까지 감도록 착용하는 어깨 밴드와, 상기 어깨 밴드에 연결되어 사람이 잡고 이끌수 있는 익스텐션 리드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1) KR20-045255 U1
(특허문헌 2) KR10-2009-0069018 A
특허문헌 1에는 애완견의 목줄과 연결되는 애완견 리드줄 조절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텐션릴과, 상기 텐션릴에 감기는 리드줄 및 상기 텐션릴에 리드줄이 감기도록 회전력을 부가하는 스파이럴 스프링(태엽) 및 상기 리드줄의 연장길이를 조정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걸림수단;를 포함하는 조절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애완동물용 연결줄과 목걸이와의 연결부분이 고무줄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순간적인 이동이나 동작으로 인하여 오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1에는 애완견과 같은 반려동물과 산책하는 동안 갑작스러운 소음이나 환경변화에 기인하는 외부요인에 의해서 반려동물이 주위 사람들에게 갑자기 뛰어나가는 경우 반려동물과 연결된 리드줄의 풀림을 통제할 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최근에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된 사건인 유명 연예인의 개에게 물린 이웃주민이 사망하는 사건과 같이 갑작스러운 외부환경에 의해서 놀라게 되는 반려동물의 이상행동시 반려동물의 통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에 대한 시선이 따가워짐에 따라 반려동물의 돌출행동을 자동으로 제어시킬 수 있는 안전한 리드줄 제어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반려동물과 연결된 리드줄과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 변화에 의해서 반려동물이 천천히 움직일 때는 리드줄이 자연스럽게 천천히 풀려지게 되고, 반려동물의 갑잡스러운 돌출행동에 의한 리드줄의 급격한 풀림시에는 리드줄에 제동력을 자동으로 인가하면서 리드줄의 풀림을 제어할 수 있는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드줄이 감겨진 텐션릴의 풀림회전 및 자동 감김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의 고장이나 이상작동시 풀림이 자유로워진 리드줄의 급격한 이상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반려동물의 목줄과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리드줄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리드줄이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리드줄이 외주면에 일정길이 감겨지는 텐션릴 ;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당겨져 인출된 리드줄이 상기 텐션릴에 자동으로 감기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 및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당겨져 인출되는 리드줄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기인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리드줄이 급격하게 외부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리드줄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동부는 상기 출입구와 대응하여 상기 리드줄이 안내이동되어 진출입되는 제1안내로와, 상기 텐션릴과 대응하여 상기 리드줄이 안내이동되어 진출입되는 제2안내로 및 상기 제1안내로와 제2안내로가 서로 만나는 영역에 함몰형성되는 배치부를 구비하는 내부체 ; 상기 제1안내로를 경유하는 리드줄과 일단이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제2안내로측으로 방향전환하고, 상기 제2안내로와 타단이 마주하도록 상기 배치부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클러치 ; 및 상기 클러치를 제2안내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인출되는 리드줄과 클러치의 일단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기인하는 외력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될 때 상기 본체의 내부면과 상기 제2안내로측으로 향하여 강제이동되는 클러치의 외부면사이에 개재되는 리드줄을 협착하여 상기 리드줄의 인출작동을 제동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동부는 상기 내부체의 개방된 일측면을 덮는 내부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의 양측면에는 상기 내부체의 밀폐된 타측면에 관통형성된 제1슬릿공에 배치되는 제1안내바와 상기 내부덮개판에 관통형성된 제2슬릿공에 배치되는 제2안내바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내부덮개판의 제1고정핀에 지지되는 코일체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덮개판의 제2고정핀에 걸림구속되는 제1자유탄성단과 상기 제2슬릿공을 통해 외부노출되는 제2안내바에 접하여 걸림구속되는 제2자유탄성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드줄과 대응하는 제1안내로의 내부면에는 상기 리드줄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제1요철라인을 형성하거나 제2안내로의 내부면에는 상기 리드줄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제2요철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러치의 외부면 또는 상기 배치부의 내부면에는 이들사이에 개재되는 리드줄의 협착시 제동력을 높일 수 있도록 리드줄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제3요철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에 근접하는 본체 형성된 안내박스에 누룸작동시 선택적으로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릴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하부단과의 걸림에 의해서 상기 텐션릴의 풀림회전 및 자동 감김회전을 제어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반려동물과 연결되는 리드줄이 감겨진 텐션릴을 갖는 본체에 반려동물의 갑잡스러운 돌출행동에 의한 리드줄이 본체의 외부로 급격하게 빠른 속도로 풀려지는것을 제동하는 제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요인으로 인하여 반려동물의 행동제어가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대인 및 대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풀림이 자유로워진 리드줄이 고속으로 외부 인출되는 과정에서 리드줄의 풀림을 제동함으로써 텐션릴과 스파이럴 스프링에 전달되는 과도한 부하를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리드줄에 관련된 구성부품의 파손 및 손상을 예방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한편,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에서 덮개본체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a 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의 제동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의 제동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의 제동부에 적용되는 내부체 및 덮개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려견과 같은 반려동물의 목줄과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리드줄(L)이 외부요인에 의해서 급격하고 갑자기 인출되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110), 텐션릴(120), 스파이럴 스프링(130) 및 제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을 리드하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일측에 손잡이(114)를 갖추고, 상기 손잡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타측에 상기 리드줄(L)이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는 출입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는 상기 텐션릴(120), 스파이럴 스프링(130) 및 제동부(140)를 내부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추고,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덮어 외부환경으로부터 구성부품을 보호하도록 상기 손잡이와 대응하는 덮개 손잡이(114a)를 갖는 덮개본체(110a)와 합형 조립되는 성형 구조물이다.
상기 텐션릴(120)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 중앙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지지축(115)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리드줄(L)이 외주면에 일정길이 권취되어 감겨지는 대략 원반상의 회전구조물이다.
이러한 텐션릴(12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누룸작동시 하강작동되는 스토퍼(150)와의 간섭에 의해서 걸림력을 발생시키도록 톱니모양의 걸림부(122)를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50)는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114)에 근접하는 본체에 형성된 안내박스(116)에 누룸작동시 선택적으로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의 1차 누름시 하강되는 스토퍼의 하부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강상태를 유지하여 리드줄의 풀림 및 감김이 곤란하도록 상기 텐션릴의 회전작동을 중단시키는 반면에 2차 누름시 상승복귀되는 스토퍼의 하부단이 상기 걸림부와 이격되어 리드줄의 풀림 및 감김이 가능하도록 상기 텐션릴의 회전작동을 허락하는 것이다.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당겨져 인출된 리드줄(L)이 상기 텐션릴(120)에 자동으로 감기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형 탄성체이다.
이러한 스파이럴 스프링(130)은 상기 텐션릴의 정중앙에 배치되어 외측단이 텐션릴(120)에 고정되고, 내측단이 상기 지지축(115)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행동이 자유로운 반려동물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반려동물과 연결된 리드줄(L)은 텐션릴로부터 풀려짐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출입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당겨져 일정길이 인출되고, 상기 리드줄(L)의 인출시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텐션릴과 연결된 스파이럴 스프링(130)은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연속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사용자측으로 근접하게 되어 리드줄이 자유로워지면 리드줄의 인출시 발생된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텐션릴이 감김방향인 역방향으로 자동회전되기 때문에 풀려진 리드줄은 텐션릴에 자동으로 감기면서 리드줄의 길이를 줄이면서 본체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줄의 길이와 내부로 인입되는 리드줄의 길이는 상기 스토퍼의 누름작동에 의해서 상기 텐션릴의 정방향 풀림회전 또는 역방향 자동 감김회전을 제어하여 간편하게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동부(140)는 도 2 내지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경적이나 큰 소음, 다른 반려동물의 갑작스러운 출현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서 반려동물이 놀라게 되면서 갑자기 뛰처 나가는 경우, 상기 본체(110)의 출입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당겨져 인출되는 리드줄(L)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기인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리드줄의 급격한 풀림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동력을 리드줄에 인가하여 비상제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드줄의 급격한 비정상적인 풀림은 상기 텐션릴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가 상승복귀되어 텐션릴과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이거나 스토퍼의 기능이 상실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동부(140)는 도 3a, 도 3b, 도 4 및 도 5a 와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체(141), 클러치(143) 및 탄성체(145)를 포함하여 상기 리드줄이 경유하도록 상기 본체의 출입구와 텐션릴(120)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구조물이다.
상기 내부체(141)는 상기 본체(110)의 출입구(112)와 대응하여 상기 리드줄(L)이 안내이동되면서 진출입되는 제1안내로(141a)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릴(120)과 대응하여 상기 리드줄(L)이 안내이동되면서 진출입되는 제2안내로(141b)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1안내로(141a)와 제2안내로(141b)가 서로 만나는 영역에 함몰형성되는 배치부(14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안내로(141a,141b)의 폭과 높이는 상기 리드줄(L)이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리드줄의 폭과 두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안내로(141a,141b)는 상기 리드줄의 단면형상에 맞추어 사각단면, 원형, 타원단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줄(L)과 대응하여 접해지는 제1,2안내로(141a,141b)의 각 내부면에는 상기 리드줄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리드줄 진행방향과 나란한 제1,2요철라인(P1,P2)을 각각 형성하거나, 또는 이를 제거하여 마찰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로(141a)는 상기 리드줄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대략 일직선상으로 형성하고, 제1안내로의 개방된 양단은 상기 리드줄의 진출입이 용이하도록 벌림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안내로(141b)는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안내로(141a)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안내로의 개방된 양단은 상기 리드줄의 진출입이 용이하도록 벌림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143)의 일단(143a)은 상기 제1안내로(141a)를 경유하는 리드줄의 일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리드줄을 제2안내로(141b)측으로 방향전환하고, 상기 클러치(143)의 타단(143b)은 상기 제2안내로(141b)와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배치부(141c)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체이다.
이때, 상기 클러치(143)는 제2안내로의 경사도와 대략 동일한 상태로 위치되어 제2안내로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배치부에서 경사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리드줄(L)과 접해지는 클러치(143)의 일단(143a)은 상기 리드줄과의 접촉시 마찰저항을 발생시키는 면적을 증대시키면서 리드줄의 정상적인 속도의 풀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략 호형 단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형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치(143)의 일단(143a)에는 상기 리드줄과의 접촉시 리드줄의 표면손상없이 보다 큰 마찰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고무소재와 같은 마찰재를 피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동부(140)를 경유하게 되는 리드줄(L)은 상기 제1안내로(141a)와 제2안내로(141b)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143)에 의해서 대략 S자형으로 굴곡되면서 경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체(145)는 상기 배치부(141c)에 위치하는 클러치(143)를 상기 제2안내로(141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도록 일정세기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이다.
상기 제동부(140)는 도 5a 와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체(141)의 개방된 일측면을 덮는 내부덮개판(142)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143)의 양측면에는 상기 내부체의 밀폐된 타측면에 관통형성된 제1슬릿공(141d)에 배치되는 제1안내바(144a)와 상기 내부덮개판(142)에 관통형성된 제2슬릿공(142d)에 배치되는 제2안내바(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45)는 상기 내부덮개판에 고정설치된 제1고정핀(146a)에 지지되는 코일체(145a)를 갖추고, 상기 코일체로부터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내부덮개판에 고정설치된 제2고정핀(146b)에 접하여 걸림구속되는 제1자유탄성단(145b)과 상기 제2슬릿공(142d)을 통해 외부노출되는 제2안내바(144b)에 접하여 걸림구속되는 제2자유탄성단(14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체(145a)는 제1,2자유탄성단의 벌림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곡선상 또는 적어도 1회 이상 감겨진 코일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자유탄성단은 서로 나란하게 연장하다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45)와 제1,2고정핀(146a,146b)은 상기 내부덮개판의 외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배치부에 타부재와의 간섭이 없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체(141)의 배치부에서 클러치(143)를 제2안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체(145)의 탄성력은 양측으로 벌어진 제1,2자유탄성단이 걸림구속되는 상기 제2안내바와 제2고정핀간의 거리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에 의해서 적절히 조절하거나 상기 코일체의 감김턴수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체(141)와 마주하는 내부덮개판(142)의 내부면에는 상기 내부체에 형성된 제1안내로(141a), 제2안내로(141b) 및 배치부(141c)에 대응결합되어 형합되도록 제1,2,3돌출부(142a,142b,142c)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부체와 내부덮개판은 별도의 추가적인 체결부재의 필요없이 간편하게 합형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체(141)의 일측면은 상기 내부덮개판(142)에 의해서 덮어져 조립되어 본체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면을 덮는 덮개본체(110a)에 의해서 덮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2고정핀(146a,146b)은 상기 내부체의 외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슬릿공(142b)은 제1,2,3돌출부(142a,142b,142c)는 상기 덮개본체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탄성체는 내부체와 덮개본체사이에 배치되어 클러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드줄이 정상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면, 도 6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동부의 클러치의 일단과 접하게 되는 리드줄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기인하는 외력이 상기 클러치를 외측(도면상 하부방향)으로 탄려지지하는 탄성력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리드줄이 제2안내로, 클러치 및 제1안내로를 경유하여 본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행동이 자유로운 반려동물이 외부요인에 의해서 놀라 뛰처나가면서 반려동물과 연결된 리드줄이 상기 본체의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갑자기 빠른 속도로 인출되는 비상발생시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줄이 외부로 강제 고속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동부에 대략 S자형으로 배치된 리드줄과 상기 클러치의 일단사이에서 마찰력이 정상시보다 크게 발생하게 된다.
상기 리드줄과 접해지는 클러치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기인하는 외력이 상기 클러치의 제2안내바를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체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되면, 상기 탄성체가 벌림상태에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본체의 내부면인 배치부의 내부면에 대하여 상기 클러치의 외부면이 상기 제2안내로측(도면상 상부방향)으로 향하여 강제이동되어 상대이동되기 때문에 이들사이에 개재되는 리드줄을 협착하면서 상기 리드줄이 본체로부터 외부로 강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상 제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러치(143)의 외부면과 리드줄을 매개로 하여 접해지는 배치부(141c)의 내부면에는 리드줄과의 접촉시 마찰저항을 증대시켜 제동력을 높일 수 있도록 리드줄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제3요철라인(M)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3요철라인(M)은 상기 클러치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반려동물과 연결된 리드줄이 비정상적으로 급격하게 빠른 속도로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강제고속인출되는 것을 상기 제동부(140)에 의해서 비상제동하여 통제함으로써 반려동물의 행동제어가 불가능해짐으로 인한 2차적인 대인 및 대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속으로 인출되는 리드줄의 빠른 풀림에 의한 텐션릴과 스파이럴 스프링의 파손 및 손상을 예방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본체
112 : 출입구
115 : 지지축
120 : 텐션릴
122 : 걸림부
130 : 스파이럴 스프링
140 : 제동부
141 : 내부체
141a : 제1안내로
141b : 제2안내로
141c : 배치부
142 : 내부덮개판
143 : 클러치
144a : 제1안내바
144b : 제2안내바
145 : 탄성체
150 : 스토퍼
L : 리드줄

Claims (6)

  1. 삭제
  2. 반려동물의 목줄과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리드줄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리드줄이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리드줄이 외주면에 일정길이 감겨지는 텐션릴 ;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당겨져 인출된 리드줄이 상기 텐션릴에 자동으로 감기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 및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당겨져 인출되는 리드줄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기인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리드줄이 급격하게 외부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리드줄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상기 출입구와 대응하여 상기 리드줄이 안내이동되어 진출입되는 제1안내로와, 상기 텐션릴과 대응하여 상기 리드줄이 안내이동되어 진출입되는 제2안내로 및 상기 제1안내로와 제2안내로가 서로 만나는 영역에 함몰형성되는 배치부를 구비하는 내부체 ;
    상기 제1안내로를 경유하는 리드줄과 일단이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제2안내로 측으로 방향전환하고, 상기 제2안내로와 타단이 마주하도록 상기 배치부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클러치 ; 및
    상기 클러치를 제2안내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인출되는 리드줄과 클러치의 일단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기인하는 외력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될 때 상기 본체의 내부면과 상기 제2안내로측으로 향하여 강제이동되는 클러치의 외부면사이에 개재되는 리드줄을 협착하여 상기 리드줄의 인출작동을 제동하는,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내부체의 개방된 일측면을 덮는 내부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의 양측면에는 상기 내부체의 밀폐된 타측면에 관통형성된 제1슬릿공에 배치되는 제1안내바와 상기 내부덮개판에 관통형성된 제2슬릿공에 배치되는 제2안내바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내부덮개판의 제1고정핀에 지지되는 코일체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덮개판의 제2고정핀에 걸림구속되는 제1자유탄성단과 상기 제2슬릿공을 통해 외부노출되는 제2안내바에 접하여 걸림구속되는 제2자유탄성단을 포함하는,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줄과 대응하는 제1안내로의 내부면에는 상기 리드줄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제1요철라인을 형성하거나 제2안내로의 내부면에는 상기 리드줄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제2요철라인을 형성하는,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의 외부면 또는 상기 배치부의 내부면에는 이들사이에 개재되는 리드줄의 협착시 제동력을 높일 수 있도록 리드줄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제3요철라인을 형성하는,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근접하는 본체 형성된 안내박스에 누룸작동시 선택적으로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릴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하부단과의 걸림에 의해서 상기 텐션릴의 풀림회전 및 자동 감김회전을 제어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KR1020180089906A 2018-08-01 2018-08-01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KR102043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06A KR102043096B1 (ko) 2018-08-01 2018-08-01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06A KR102043096B1 (ko) 2018-08-01 2018-08-01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096B1 true KR102043096B1 (ko) 2019-11-11

Family

ID=6853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906A KR102043096B1 (ko) 2018-08-01 2018-08-01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0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49U (ko) * 2019-08-06 2021-02-17 박영재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KR102388850B1 (ko) * 2021-07-01 2022-04-20 주식회사 퍼스퍼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WO2022220472A1 (ko) * 2021-04-15 2022-10-20 곽상훈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KR200496833Y1 (ko) 2022-10-07 2023-05-09 김진영 반려동물 리드줄 손잡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465A (ja) * 1982-11-20 1984-06-18 ブリタツクス,コルブ,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ランクタ−,ハフトウンク,ウント,コンパニ− 安全ベルト巻取り装置の戻り止め機構
KR20110002359U (ko) * 2009-08-31 2011-03-08 김한나 애완견 리드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465A (ja) * 1982-11-20 1984-06-18 ブリタツクス,コルブ,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ランクタ−,ハフトウンク,ウント,コンパニ− 安全ベルト巻取り装置の戻り止め機構
KR20110002359U (ko) * 2009-08-31 2011-03-08 김한나 애완견 리드줄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49U (ko) * 2019-08-06 2021-02-17 박영재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KR200493694Y1 (ko) 2019-08-06 2021-05-20 박영재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WO2022220472A1 (ko) * 2021-04-15 2022-10-20 곽상훈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KR102388850B1 (ko) * 2021-07-01 2022-04-20 주식회사 퍼스퍼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WO2023277228A1 (ko) * 2021-07-01 2023-01-05 주식회사 퍼스퍼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KR200496833Y1 (ko) 2022-10-07 2023-05-09 김진영 반려동물 리드줄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096B1 (ko)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US8251020B2 (en) Leash having a speed-limiting braking mechanism an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CA2398944C (en) Retaining and guiding device
US20130074783A1 (en) Leash slack control system
CA2885267C (en) Device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a four-legged animal
KR102088031B1 (ko)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US20090255485A1 (en) leash assembly for a pet collar and a combined collar and leash
US7036459B1 (en) Leash assembly
EP3154337B1 (en) Retractable leash and method with end-of-leash warning
CN102469870B (zh) 系索以及个人紧急发射器系统
US20130247838A1 (en) Self-containing, retractable leash and collar/harness assembly
US11439128B2 (en) Reduce pull leash apparatus and methods
CN104026039A (zh) 安全型宠物牵引器
NL2011105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oprollen van een kabel.
US4762089A (en) Horse-grooming tether device and improved horse grooming stall
EP3911152B1 (en) Leash assembly
RU2745688C2 (ru) Поводок-рулетка с выполненным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орота выходом
KR200473374Y1 (ko) 애완동물용 견인줄 일체형 장갑
US983013A (en) Fishing-reel.
KR20240040163A (ko) 애완견 안전 입마개
JP6731888B2 (ja) アシスト器具
KR101641693B1 (ko) 애견용 견인줄
JP6842756B2 (ja) 魚釣り用リール
KR102633016B1 (ko) 커터가 구비된 리드줄
CN116234438A (zh) 根据各个方向的不同力控制的牵引绳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