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850B1 -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850B1
KR102388850B1 KR1020210086568A KR20210086568A KR102388850B1 KR 102388850 B1 KR102388850 B1 KR 102388850B1 KR 1020210086568 A KR1020210086568 A KR 1020210086568A KR 20210086568 A KR20210086568 A KR 20210086568A KR 102388850 B1 KR102388850 B1 KR 102388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orce
clasp
elastic body
cau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준
박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퍼트
Priority to KR1020210086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850B1/ko
Priority to PCT/KR2021/008477 priority patent/WO2023277228A1/ko
Priority to CN202180059016.8A priority patent/CN11623443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3Leads, lea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5Quick-couplings, safety-couplings or shock-absorbing devices between leash and colla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는 복수의 걸림수단이 구비된 덮개부, 리드줄이 감기는 회전부재, 회전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회전부재와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지는 복수의 걸쇠, 복수의 걸쇠가 모이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회전부재에 리드줄이 감기도록 회전력을 부가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며, 복수의 걸쇠는,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복수의 걸림 수단 중 일부에 걸리고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복수의 걸림 수단에 걸리지 않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와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리드줄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니즈 및 사용자 편의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ADJUSTING LEAD LINE DEVICE CAPABLE OF INDEPENDENT CONTROL FOR EACH DIRECTION}
본 발명은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 방향별로 상이하게 리드줄의 제어가 가능한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대가족의 가족형태에서 가족 구성원의 수가 작은 소가족 형태로 가족형태가 변하는 추세에 있고, 이러한 소가족화에 따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크게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을 데리고 외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타인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거나 자칫 타인을 공격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통제하기 위한 리드줄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대부분 사용자가 리드줄 조절장치를 소지한채 버튼을 누르는 형식으로 직접 리드줄 조절장치를 제어하여 반려동물과 연결된 리드줄을 늘이거나 줄이고, 또는 고정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늘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주시하여야 하고 갑자기 반려동물이 달려나가려고 할 경우 급히 리드줄 조절장치를 제어하여 달려나가지 못하도록 당기거나 고정을 시켜야 하여, 사용자 입장에서는 늘 리드줄 조절장치를 소지해야 하는 것과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긴급한 상황에 신속히 대응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늘 리드줄 조절장치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반려동물에 부착가능한 리드줄 조절장치도 개발되었으나, 반려동물이 사용자로부터 갑자기 멀어지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리드줄이 고정되도록 제어되는 기능은 편리하나, 반려동물이 사용자와 가까워지는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리드줄이 고정되도록 제어되는 경우에는 리드줄이 늘어난 길이로 고정되어 반려동물을 제어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와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각각에 대해서 상이하게 리드줄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될 경우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와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리드줄이 제어되는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는, 복수의 걸림수단이 구비된 덮개부, 리드줄이 감기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상기 회전부재와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지는 복수의 걸쇠, 상기 복수의 걸쇠가 모이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리드줄이 감기도록 회전력을 부가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걸쇠는, 상기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상기 복수의 걸림 수단 중 일부에 걸리고 상기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상기 복수의 걸림 수단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상이한 탄성력을 갖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체의 탄성력이 상기 제2 탄성체의 탄성력보다 크다.
또한, 상기 복수의 걸쇠는, 상기 제1 탄성체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는 형태를 갖는 제1 걸쇠 및 상기 제2 탄성체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는 형태를 갖는 제2 걸쇠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제1 탄성체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고, 상기 제2 걸쇠는 상기 제2 탄성체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는 경우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및 상기 리드줄이 풀리도록 작용되는 힘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중 하나이다.
또한, 상기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면서 원심력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원심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걸쇠 및 제2 걸쇠 각각이 벌어지되, 상기 제1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제2 걸쇠보다 적게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로 벌어지고, 상기 제2 걸쇠는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제1 탄성체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로 벌어지고, 상기 리드줄이 풀리도록 작용되는 힘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2 걸쇠는 상기 제2 탄성체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줄이 풀리도록 작용되는 힘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2 걸쇠가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리드줄이 풀리는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에 걸리지 않게 되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춘 후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걸쇠 및 제2 걸쇠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모여진다.
또한, 상기 제1 걸쇠 및 제2 걸쇠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모여지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로 벌어지게 되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을 지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지게 되고, 상기 제1 걸쇠가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리드줄이 감기는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와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리드줄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니즈 및 사용자 편의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와 복수의 걸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에 구비된 걸림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재에 구비된 복수의 걸쇠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및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각각의 복수의 걸쇠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힘이 작용되어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복수의 걸쇠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의 다양한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는 덮개부(110), 회전부재(120), 복수의 걸쇠(130), 탄성부재(140) 및 스파이럴 스프링(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는 소정의 크기로 제작되어지며 사용 용도, 반려동물의 크기 및 리드줄의 종류와 길이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내부에 작동공간부를 형성한 케이스로서, 이러한 작동공간부에는 회전부재(120), 복수의 걸쇠(130), 탄성부재(140) 및 스파이럴 스프링(150)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외에 복수의 걸쇠(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기능을 하는 내부 덮개(121)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의 하우징은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실리콘, 금속, 도자기, 고무, 목재 등의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덮개부(110)는 복수의 걸림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110)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100)의 구성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대로 다양한 소재 또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10)에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100)의 내부 쪽으로 리드줄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구(110-1)가 형성된다. 여기서, 출입구(110-1)가 형성된 면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 리드줄이 출입구(110-1)를 통해 출입하는데 있어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의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출입구(110-1)가 형성된 면이 기울어져 있지 않고 'ㄱ'자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리드줄이 좀더 위쪽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는 경우, 리드줄과 출입구(110-1) 간의 간섭의 영향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출입구(110-1)가 형성된 면이 45°로 기울어진 경우, 리드줄의 출입 방향의 허용범위가 증가하게 되어 즉, 리드줄이 좀더 위쪽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거나 또는 좀더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는 경우, 리드줄과 출입구(110-1) 간의 간섭의 영향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110) 안쪽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는 복수의 걸쇠(130)가 회전하다가 걸릴 수 있도록 덮개부(110) 내부 방향으로 튀어나온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도 4에서는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이 4개의 돌기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이는 일 예로 도시된 것일 뿐, 걸림수단의 개수 및 형태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도시된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는 총 4개로써, 각각 90°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걸림수단이 총 6개가 된다면 각각 60°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은 복수의 걸쇠(130) 중 일부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회전부재(120)의 회전에 제한을 가할 수 있으며,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부재(120)의 회전에 제한을 가할 수 있게 되어, 리드줄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게 되거나 또는 리드줄이 더 이상 감기지 않게 된다.
회전부재(120)는 리드줄이 감길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리드줄이 감기게 된다. 여기서, 회전부재(120)는 리드줄이 감길 수 있는 형태이기만 하면 되며, 도 1에서는 원통형의 모양으로 구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서는 회전부재(120)가 복수의 걸쇠(130)가 결합되어 있는 원판과 받침이 있는 원통형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결합구조가 아닌 하나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리드줄은 반려동물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길이, 두께, 너비, 소재 등이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걸쇠(130)는 회전부재(1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회전부재(120)와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걸쇠(130)는 회전부재(12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걸쇠(130)가 결합되는 일측면은 회전부재(120)의 회전축과 수직을 이룬다.
이에 따라,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이러한 힘에 대응하여 리드줄이 감기거나 풀리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부재(120)는 리드줄이 감기거나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회전부재(120)의 일측면에 결합된 복수의 걸쇠(130) 역시 회전부재(120)와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부재(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걸쇠(130)는 회전하면서 벌어지게 되고, 벌어진 복수의 걸쇠(130) 중 일부는 덮개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게 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걸쇠(130)는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회전부재(120)가 회전하면서 원심력이 생성되고, 생성된 원심력에 대응하여 복수의 걸쇠(130)가 벌어질 수 있다.
즉, 생성된 원심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복수의 걸쇠(130)가 벌어지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으며, 생성된 원심력의 크기가 커질수록 복수의 걸쇠(130)가 벌어지는 각도는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원심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복수의 걸쇠(130)가 벌어지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는데, 이때 복수의 걸쇠(130)는 탄성부재(140)에 의해 그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40)는 원심력이 없을 때, 즉 회전부재(12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걸쇠(130)가 모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탄성부재(14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스파이럴 스프링(150)은 회전부재(120)에 리드줄이 감기도록 회전력을 부가할 수 있다. 즉, 스파이럴 스프링(150)은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현되며, 사용자가 리드줄을 풀리는 방향으로 잡아당길 때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리드줄에 장력이 실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걸쇠(130)는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복수의 걸림 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고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복수의 걸림 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도록 탄성부재(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걸쇠(140)는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즉, 반려동물이 사용자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달려나가는 경우와 같이 리드줄이 늘어나는 경우 복수의 걸쇠(130)는 복수의 걸림 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리드줄이 늘어나지 않게 되지만,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즉, 반려동물이 사용자와 가까운 방향으로 달려오는 경우와 같이 리드줄이 줄어드는 경우 복수의 걸쇠(130)는 복수의 걸림 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게 되어 불필요하게 리드줄이 고정되지 않고 리드줄이 지속적으로 회전부재(120)에 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리드줄에 작용될 때,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복수의 걸쇠(140)가 복수의 걸림 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게 되지만,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복수의 걸림 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게 되는 동작은 탄성부재(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탄성부재(1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140)는 서로 상이한 탄성력을 갖는 제1 탄성체(141) 및 제2 탄성체(1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탄성체(141)의 탄성력이 제2 탄성체(142)의 탄성력보다 크다.
도 2에서는 제1 탄성체(141)가 하나의 탄성체가 구부러져 겹치게 되어 2가닥의 탄성체로 구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탄성체의 탄성력은 더 증가하게 된다.
이에 비해, 제2 탄성체(142)는 한 가닥의 탄성체로 구현되어 있어, 제1 탄성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탄성력이 작다.
한편, 도 2에서는 제1 탄성체(141)가 2가닥의 탄성체로 구현되고, 제2 탄성체(142)가 1가닥의 탄성체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탄성체(141)는 탄성계수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 탄성체(142)는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계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140)는 서로 다른 탄성력 또는 탄성계수를 갖는 구조나 재질로 이루어진 제1 탄성체(141) 및 제2 탄성체(142)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걸쇠는 제1 걸쇠 및 제2 걸쇠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와 복수의 걸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걸쇠(130)는 제1 탄성체(141)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는 형태를 갖는 제1 걸쇠(131) 및 제2 탄성체(142)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는 형태를 갖는 제2 걸쇠(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걸쇠(131)는 제1 탄성체(141)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고, 제2 걸쇠(132)는 제2 탄성체(142)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 걸쇠(131)는 원심력에 의해 바깥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면 제1 탄성체(141)와 접하고 있는 제1 걸쇠(131)의 일단이 제1 탄성체(141)를 누르게 되며, 따라서, 제1 탄성체(141)의 탄성력이 강하면 제1 걸쇠(131)의 일단은 제1 탄성체(141)를 크게 누를 수 없게 되어 벌어지는 각이 작아지고, 제1 탄성체(141)의 탄성력이 약하면 제1 걸쇠(131)의 일단은 제1 탄성체(141)를 크게 누를 수 있게 되어 벌어지는 각이 커지게 된다. 제2 걸쇠(132)와 제2 탄성체(142) 간의 동작 과정 역시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1 걸쇠(131)는 제2 탄성체(142)에 비해 탄성력이 더 강한 제1 탄성체(141)와 접하며, 이에 따라 제1 걸쇠(131)는 제1 탄성체(141)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는 각이 제2 걸쇠(132)에 비해 작아질 수 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제2 걸쇠(132)는 제1 탄성체(141)에 비해 탄성력이 더 약한 제2 탄성체(142)와 접하며, 이에 따라 제2 걸쇠(132)는 제2 탄성체(142)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는 각이 제1 걸쇠(131)에 비해 커질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제1 걸쇠(131)는 제1 탄성체(141)에 의해 벌어지는 각이 제어되고, 제2 걸쇠(132)는 제2 탄성체(142)에 의해 벌어지는 각이 제어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제1 걸쇠(131)가 제1 탄성체(141)에 의해 오므라지게 되더라도 더 이상 오므라지지 않게끔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133)와 제2 걸쇠(132)가 제2 탄성체(142)에 의해 오므라지게 되더라도 더 이상 오므라지지 않게끔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134)가 회전부재(12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에 구비된 걸림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덮개부(110)에 구비된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대해서는 도 1에서 함께 설명하였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는 경우는, 스파이럴 스프링(150)에 의한 회전력이 기설정된 범위로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및 리드줄이 풀리도록 작용되는 힘이 기설정된 범위로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중 하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반려동물과 거리를 두고 있어 리드줄이 풀려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갑자기 손에 쥐고 있는 리드줄을 놓치게 되는 경우를 상정하면, 우선 사용자가 반려동물과 거리를 두고 있어 리드줄이 풀려있는 경우 리드줄이 풀려있는 만큼 스파이럴 스프링(150)에는 리드줄이 회전부재(120)에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점점 증가하게 되고, 이렇게 탄성력이 증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갑자기 손에 쥐고 있는 리드줄을 놓치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150)은 리드줄이 회전부재(120)에 감기도록 하는 회전력을 회전부재(120)에 강하게 부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력이 복수의 걸쇠(130)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릴 수 있을 정도로 벌어지게 할 정도의 힘이 될 경우,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걸쇠(130)는 스파이럴 스프링(150)에 의한 회전력이 기설정된 범위로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라도, 탄성부재(140)에 의해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갑자기 사용자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갑자기 리드줄을 잡아당기는 경우를 상정하면, 이러한 경우는 모두 리드줄이 회전부재(120)로부터 갑자기 풀리는 경우에 해당하며, 이때 리드줄이 회전부재(120)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힘이 회전부재(120)에 강하게 작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리드줄이 회전부재(120)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힘이 적어도 복수의 걸쇠(130)가 복수의 걸림수단에 걸릴 수 있을 정도로 벌어지게 할 정도의 힘이 될 경우,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는 경우 상술한 예와 같이, 리드줄이 풀리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는 경우 또는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회전부재가 회전하면서 원심력이 생성되고 생성된 원심력에 대응하여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 각각이 벌어지되, 제1 탄성체(141)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걸쇠(131)는 제2 걸쇠(132)보다 적게 벌어지게 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탄성체(141)의 탄성력이 제2 탄성체(142)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생성된 원심력에 의해 제1 걸쇠(131)가 벌어지게 되더라도 벌어진 제1 걸쇠(131)가 제1 탄성체(141)와 접한 부위를 누르게 되면 제1 탄성체(141)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복원하고자 하기 때문에 제1 걸쇠(131)는 제1 탄성체(141)에 의해 벌어지는 각이 제한되게 된다.
이에 비해, 제2 탄성체(142)의 탄성력은 제1 탄성체(141)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생성된 원심력에 의해 제2 걸쇠(132)가 벌어지게 되어 벌어진 제2 걸쇠(132)가 제2 탄성체(142)와 접한 부위를 누르게 되면 제2 탄성체(142)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복원하고자 하는 복원력이 제1 탄성체(141)에 비해 약해서 제2 걸쇠(132)는 제2 탄성체(142)에 의해 벌어지는 각이 제1 걸쇠(131)보다 크게 된다.
이에 따라,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제1 걸쇠(131)는 복수의 걸림 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로 벌어지고, 제2 걸쇠(132)는 복수의 걸림 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지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재에 구비된 복수의 걸쇠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의 일단은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핀(131-1, 132-1)을 통해 회전부재(120)에 결합되어 있다.
즉,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 각각의 일단만 핀(131-1, 132-1)을 통해 회전부재(120)에 결합되어 있어,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 각각은 핀(131-1. 132-1)을 중심으로 움직이되,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 각각의 일단이 핀(131-1. 132-1)으로 고정되어 있어,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 각각의 타단(131-2, 132-2)은 원심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움직일 수 밖에 없게 된다.
한편, 도 5a와 같이 회전부재(120)의 회전이 없는 상태에서는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 각각은 제1 탄성체(141) 및 제2 탄성체(142)에 의해 서로 모여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도 5b와 같이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가 모이도록 하는 제1 탄성체(141) 및 제2 탄성체(142)의 탄성력보다 회전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원심력이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 각각에 더 강하게 작용되어 제1 탄성체(141) 및 제2 탄성체(142)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도 5b와 같이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각각은 벌어지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탄성체(141)의 탄성력이 제2 탄성체(142)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1 걸쇠(131)가 핀(131-1)을 기준으로 벌어지는 각과 제2 걸쇠(132)가 핀(131-2)을 기준으로 벌어지는 각은 차이가 있으며, 제1 걸쇠(131)의 타단(131-2)과 제2 걸쇠(132)의 타단(132-2)이 원심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도 차이가 있다.
또한,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가 원심력에 대응하여 벌어지게 되면서, 제1 탄성체(141) 및 제2 탄성체(142)도 서로 오므려지게 된다.
물론, 회전부재(120)의 회전이 멈추게 되면 제1 탄성체(141) 및 제2 탄성체(142)의 탄성력이 다시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 각각에 작용하게 되어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 각각은 도 5a와 같이 서로 모여지게 된다.
한편, 스파이럴 스프링(150)에 의한 회전력이 기설정된 범위로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제1 걸쇠(131)는 제1 탄성체(141)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어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로 벌어지고, 리드줄이 풀리도록 작용되는 힘이 기설정된 범위로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제2 걸쇠(132)는 제2 탄성체(142)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어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지게 된다.
즉, 도 5b에서 회전부재(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로 가정하고, 리드줄이 풀리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쇠(131)는 제1 탄성체(141)에 의해 제2 걸쇠(132)보다 적게 벌어지면서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로 벌어지고, 제2 걸쇠(132)는 제2 탄성체(142)에 의해 제1 걸쇠(131)보다 크게 벌어지면서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진다.
한편, 리드줄이 풀리도록 작용되는 힘이 기설정된 범위로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제2 걸쇠(132)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게 되면 회전부재(120)는 리드줄이 풀리는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추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및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각각의 복수의 걸쇠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덮개부(110)의 내부를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올려다 본 경우, 제2 걸쇠(132)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방향을 리드줄이 풀리는 방향으로 가정하면, 덮개부(110)의 내부를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올려다볼 경우, 리드줄이 풀리는 방향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610)이 된다.
그리고,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가 회전부재(120)와 함께 반시계 방향(610) 즉, 리드줄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되,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제2 탄성체(142)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는 제2 걸쇠(132)는 제1 탄성체(141)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는 제1 걸쇠(131)에 비해 더 크게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걸쇠(132)의 타단(132-2)이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114)에 걸리게 되면서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 및 회전부재(120)는 리드줄이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추게 된다.
한편, 제1 탄성체(141)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는 제1 걸쇠(131)는 제2 탄성체(142)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는 제2 걸쇠(132)에 비해 더 작게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걸쇠(131)의 타단(131-2)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로 벌어지게 되어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리드줄이 풀리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리드줄에 작용되면 제2 걸쇠(132)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게 되어 리드줄이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멈춰지게 된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덮개부(110)의 내부를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올려다본 경우,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히전하는 회전방향을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으로 가정하면, 덮개부(110)의 내부를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올려다볼 경우,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620)이 된다.
그리고,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가 회전부재(120)와 함께 시계 방향(620) 즉,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되,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제1 탄성체(141)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는 제1 걸쇠(131)는 제2 탄성체(142)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는 제2 걸쇠(132)에 비해 더 작게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걸쇠(131)의 타단(131-2)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로 벌어지게 되어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게 된다.
또한, 제2 탄성체(142)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는 제2 걸쇠(132)는 제1 탄성체(141)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는 제1 걸쇠(131)에 비해 더 크게 벌어지기는 하지만, 제2 걸쇠(132)는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는 형태를 갖고 있어, 설령 제2 걸쇠(132)가 크게 벌어진다고 하더라도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에 대응되는 회전 방향(620)에 있어서는 제2 걸쇠(132)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 중 어느 것도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게 되어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멈추지 않고 지속될 수 있게 된다.
즉, 스파이럴 스프링(150)에 의한 회전력이 기설정된 범위로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제1 걸쇠(131)는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로 벌어지게 되어 회전부재(120)는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를 사용함에 있어서, 반려동물이 사용자로부터 갑자기 멀어지는 경우 즉,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에는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리드줄에 작용하게 되어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와 회전부재(120)의 회전이 멈춰지게 되면서 리드줄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고 고정되어 사용자가 반려동물이 더 이상 멀어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 사용자와 가까워지는 경우 즉,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에는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리드줄에 작용하게 되더라도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와 회전부재(120)의 회전이 지속될 수 있어 불필요하게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와 회전부재(120)의 회전이 멈추게 되어 리드줄이 불필요하게 고정된 채로 감기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140) 즉, 탄성력이 상이한 제1 탄성체(141) 및 제2 탄성체(142)를 포함하는 탄성부재(140)가 활용되지 않고, 탄성력의 차이가 없는 일반적인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활용할 경우에는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및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에 있어서 모두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회전부재(120)의 회전이 멈추게 되며, 리드줄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회전부재(120)의 회전이 멈추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에까지 회전부재(120)의 회전이 멈추는 것은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에 있어서, 탄성력의 차이가 없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와 탄성력의 차이가 있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에 대해 감기는 속도와 이동거리를 실험해본 결과 하기의 표 1과 같은 효과를 파악할 수 있다.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탄성력의 차이가 없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 탄성력의 차이가 있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
감기는 길이 1200mm 1200mm
감기는 시간 1.4s 0.9s
감기는 속도 857mm/s 1333mm/s
1초내 이동거리 600mm 1200mm
즉, 탄성력의 차이가 있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는 탄성력의 차이가 없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에 비해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에 있어서, 감기는 리드줄의 길이가 1200mm로 동일한 경우 감기는 시간이 각각 1.4초, 0.9초로써 감기는 속도가 훨씬더 빠름을 알 수 있다.
또한, 감기는 속도 역시 탄성력의 차이가 있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의 경우 1333mm/s이고, 탄성력의 차이가 없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의 경우 857mm/s로써, 탄성력의 차이가 있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가 감기는 속도가 훨씬 빠름을 알 수 있다.
또한, 1초내 리드줄의 이동 거리도, 탄성력의 차이가 없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의 경우 600mm이고, 탄성력의 차이가 있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의 경우 1200mm여서 2배가 차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탄성력의 차이가 없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는 회전이 멈추는 현상이 발생하여 감기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감기는 속도가 낮으며, 1초내 이동거리가 작다.
이에 비해,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탄성력의 차이가 있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리드줄 조절장치는 회전이 멈추지 않고 지속되기 때문에, 감기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감기는 속도가 높으며, 1초내 이동거리도 더 크다.
한편, 도 6a와 같이, 리드줄이 풀리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리드줄에 작용되어 제2 걸쇠(132)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게 되어 리드줄이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멈춰진 경우라도, 제1 걸쇠(131)는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게 되어, 회전부재(120)는 리드줄이 풀리는 회전방향(610)의 반대 방향(620)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다.
즉, 반려동물이 사용자로부터 갑자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달려나가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갑자기 리드줄을 잡아당기는 경우, 리드줄은 더 이상 늘어나지 않게 되어 반려동물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되지만, 리드줄이 감기는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반려동물과 가까워지면서 리드줄이 감기는 동작은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120)가 리드줄이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춘 후 반대방향 즉,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는 탄성부재(140)에 의해 다시 모여지게 된다.
그리고,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가 탄성부재(140)에 의해 모여지게 되면 다시 회전부재(120)는 리드줄이 풀리는 방향 및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스파이럴 스프링(150)에 의한 회전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제1 걸쇠(131)는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지게 되고, 제1 걸쇠(131)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게 되면 회전부재(120)는 리드줄이 감기는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추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드줄을 잡아당겼다가 리드줄을 확 놓아버리는 경우 스파이럴 스프링(150)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이 증가하여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그대로 리드줄이 감기게 되면 반려동물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걸쇠(131)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게 되어 회전부재(120)가 리드줄이 감기는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추게 된다.
즉, 스파이럴 스프링(150)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게 되어 제1 탄성체(141)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스파이럴 스프링(150)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대응하여 제1 걸쇠(131)의 벌어지는 각도가 제1 탄성체(141)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도록 증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힘이 작용되어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복수의 걸쇠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파이럴 스프링(150)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1 걸쇠(131)의 벌어지는 각도가 제1 탄성체(141)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증가하게 되어 제1 걸쇠(131)의 타단(131-2)이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114)에 걸리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걸쇠(131)는 스파이럴 스프링(150)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620)에 있어서도, 스파이럴 스프링(150)에 의한 회전력이 기설정된 범위의 힘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게 되어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620)으로의 회전이 멈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리드줄을 놓치는 경우 리드줄의 손잡이가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 내부로 감겨들어가면서 반려동물에 충격을 가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의 다양한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는 반려동물을 감싸는 구성품(예를 들면, 하네스)에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이 리드줄(810)을 파지한 채 또는 리드줄(810)에 연결된 손잡이와 같은 구성품을 파지한채, 리드줄(810)을 통해 반려동물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는 예를 들어 하네스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는 하네스의 어느 부분에라도 제한없이 부착가능할 수 있다. 물론, 하네스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 사용 가능한 모든 물품 또는 구성품에 부착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는 사용자가 직접 손에 쥐고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별도의 스위치나 버튼을 조작하여 리드줄을 제어할 필요없이 그냥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를 손에 쥐고만 있어도 앞서 설명한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의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는 리드줄(810)을 통해 반려동물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도 8b와 같이 반려동물이 사용자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달려나가는 경우 제1 걸쇠(131)가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 중 일부에 걸리게 되어 즉,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에 구비된 회전부재(120)의 회전이 멈춰지게 되어 리드줄(810)이 고정되어 팽팽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반려동물이 달려나가는 것을 팽팽해진 리드줄을 통해 제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반려동물이 사용자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제1 걸쇠(131) 및 제2 걸쇠(132)는 복수의 걸림수단(111, 112, 113, 114)에 걸리지 않게 되어 즉,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에 구비된 회전부재(120)의 회전이 지속되어 리드줄(810)이 고정되거나 팽팽해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반려동물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100)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별도로 버튼이나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또는, 사용자가 별도의 리드줄 조절장치를 가지고 다닐 필요도 없으며, 특히,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멈추게 할 수 있는 반면,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에는 멈추지 않고 회전을 유지하여 불필요한 멈춤 현상을 없애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110: 덮개부
120: 회전부재 130: 복수의 걸쇠
140: 탄성부재 150: 스파이럴 스프링

Claims (13)

  1.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걸림수단이 구비된 덮개부;
    리드줄이 감기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상기 회전부재와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지는 복수의 걸쇠;
    상기 복수의 걸쇠가 모이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리드줄이 감기도록 회전력을 부가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걸쇠는,
    상기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상기 복수의 걸림 수단 중 일부에 걸리고 상기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상기 복수의 걸림 수단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상이한 탄성력을 갖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체의 탄성력이 상기 제2 탄성체의 탄성력보다 큰 것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쇠는,
    상기 제1 탄성체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드줄이 감기는 경우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는 형태를 갖는 제1 걸쇠; 및
    상기 제2 탄성체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드줄이 풀리는 경우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는 형태를 갖는 제2 걸쇠;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제1 탄성체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고, 상기 제2 걸쇠는 상기 제2 탄성체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는 것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는 경우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및 상기 리드줄이 풀리도록 작용되는 힘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중 하나인 것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면서 원심력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원심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걸쇠 및 제2 걸쇠 각각이 벌어지되,
    상기 제1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제2 걸쇠보다 적게 벌어지는 것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줄에 기설정된 범위의 힘이 작용되면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로 벌어지고, 상기 제2 걸쇠는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지는 것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제1 탄성체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로 벌어지고,
    상기 리드줄이 풀리도록 작용되는 힘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2 걸쇠는 상기 제2 탄성체에 의해 벌어짐이 제어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지는 것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줄이 풀리도록 작용되는 힘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2 걸쇠가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리드줄이 풀리는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추는 것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에 걸리지 않게 되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춘 후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걸쇠 및 제2 걸쇠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모여지는 것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쇠 및 제2 걸쇠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모여지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것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로 벌어지게 되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리드줄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을 지속하는 것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리드줄에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1 걸쇠는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도록 벌어지게 되고, 상기 제1 걸쇠가 상기 복수의 걸림수단 중 일부에 걸리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리드줄이 감기는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추는 것인,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KR1020210086568A 2021-07-01 2021-07-01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KR10238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68A KR102388850B1 (ko) 2021-07-01 2021-07-01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PCT/KR2021/008477 WO2023277228A1 (ko) 2021-07-01 2021-07-05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CN202180059016.8A CN116234438A (zh) 2021-07-01 2021-07-05 根据各个方向的不同力控制的牵引绳调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68A KR102388850B1 (ko) 2021-07-01 2021-07-01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850B1 true KR102388850B1 (ko) 2022-04-20

Family

ID=8139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568A KR102388850B1 (ko) 2021-07-01 2021-07-01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88850B1 (ko)
CN (1) CN116234438A (ko)
WO (1) WO202327722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161A (ja) * 2006-01-16 2007-07-26 Hideki Higashisei ペット用リード
KR20110002359U (ko) * 2009-08-31 2011-03-08 김한나 애완견 리드줄 조절장치
KR20130021041A (ko) * 2011-08-22 2013-03-05 김승철 릴 장치 및 릴 시스템
KR102043096B1 (ko) * 2018-08-01 2019-11-11 강준우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KR102088031B1 (ko) * 2019-08-05 2020-03-11 주식회사 퍼스퍼트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161A (ja) * 2006-01-16 2007-07-26 Hideki Higashisei ペット用リード
KR20110002359U (ko) * 2009-08-31 2011-03-08 김한나 애완견 리드줄 조절장치
KR20130021041A (ko) * 2011-08-22 2013-03-05 김승철 릴 장치 및 릴 시스템
KR102043096B1 (ko) * 2018-08-01 2019-11-11 강준우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KR102088031B1 (ko) * 2019-08-05 2020-03-11 주식회사 퍼스퍼트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228A1 (ko) 2023-01-05
CN116234438A (zh)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031B1 (ko)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US7621856B1 (en) Reel mechanism
US84960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the length of a pull cord
JP5554403B2 (ja) 自動ブレーキ付きデサンドール
AU2018208618A1 (en)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US3180401A (en) Shade
US5354011A (en) Take-up reel for window blind cords
US5275222A (en) Cord lock and release system for blinds
KR102043096B1 (ko) 비상제동 클러치를 갖는 반려동물 리드줄 조절장치
EP1253822A1 (de) Halte- und führungsvorrichtung
US20190178030A1 (en) Window covering system
KR102388850B1 (ko) 방향별 상이한 힘에 따라 제어되는 리드줄 조절장치
US4347885A (en) Roller blind structure
US3021089A (en) Safety arm for cord reel
ITTO941021A1 (it) Dispositivo di sopporto e comando per una tenda a rullo.
US3332638A (en) Retractor device with brake
US20180093870A1 (en) Winch Fairlead Pivot
US6691760B1 (en) Lift cord tensioning device
US2360199A (en) Tethering post
US9447616B2 (en) Window opening control device
US4310178A (en) Three points passive seat belt assembly
KR20210067349A (ko) 방충망 프레임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잠금장치
KR200432402Y1 (ko) 권취식 방충망의 방충망체 개폐구조
GB2279104A (en) Keep adjuster
US1903000A (en) Fas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